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igital Musicology as a Method

        Eun-HaKim ( 김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17 이화음악논집 Vol.21 No.3

        This paper stemmed from a realization that musicology should consider in depth the methodology that is pursued in “Digital Humanities,” including the digitalization of primary sources, and Linked Data that syncs information about these sources through the Semantic Web. With the current emphasis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umanities and musicology as a field of study based on humanities, is faced with a challenge of developing creative contents by developing, combining and applying digital technology with clear methodology in an environment of digital technology. Although it is important to construct music-specific databases and archives based on detailed musical considerations, new branches of musicology should be established, including the technology to read and analyze the linked data in the digitization of musical information and newly expand the scope and subject of research, and to extract contents linked by context. This paper introduces the history of digital musicology, which is not well known to Korean music academics, and the techniques and operations used in digital musicology. Ultimate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 foundational study necessary for the fostering of new age musicologists who are skilled in computer language and will develop new fields of music research through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music related digital programs. 본 논문은 음악학 연구에 근간이 되는 음악원전(原典) 자료의 디지털화뿐만 아니라 시맨틱 웹(Semantic Web)을 통해 이들 자료에 관한 정보와 연계되는 데이터 링크(Linked Data) 등 “디지털 인문학”에서 추구하는 방법에 대해 음악학이 심도 있게 고려해야 한다는 반성에서 출발하였다. 4차 산업에 대한 논의가 강조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인문학 그리고 인문학에 기반을 두는 음악학 역시 디지털 기술 환경 하에 분명한 방법론을 가지고 디지털 기술을 개발하고 결합, 응용하여 창의적인 콘텐츠를 구축해야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세부적으로 음악학적 고려에 의거한 음악전문 데이터베이스 및 아카이브의 구축도 중요하지만 음악적 정보의 디지털화에 있어 연계정보들을 읽어내고 분석하여 연구 범위와 대상을 새롭게 확대해 나가는 기술, 맥락으로 연결된 콘텐츠 추출 등은 음악학의 분과로 정립되어야할 대상이다. 본 논문은 아직까지 한국 음악학계에 잘 알려지지 않은 디지털 음악학의 역사와 디지털 음악학에서 활용되는 기술 및 운영에 대해 소개한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앞으로 컴퓨터 언어에 능숙하고 음악관련 디지털 프로그램들의 개발 및 운영을 통해 음악연구의 새로운 장(場)을 열 새 시대 음악학자들의 양성에 필요한 기초연구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Effects of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Subfactors on Purchase Intention through Empathy and Product Reliability

        ,김미영 한국의류학회 2022 한국의류학회지 Vol.46 No.6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show host's verbal communication subfactors, such as paralanguage, friendliness, and professionalism, as well as nonverbal communication subfactors, such as demonstration attitude, appearance, and attractiveness, on purchase intention were examined by evaluating customer empathy and product reliability. Data was collected from 20s‒50s females. SPSS 23.0 and AMOS 23.0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professionalism and friendliness had a positive impact on customer empathy; however, friendliness had a negative impact on product reliability. Moreover, nonverbal communication subfactors had a positive impact on empathy, and appearance had a positive impact on product reliability. In contrast, attractiveness had a negative impact on product reliability, whereas empathy and product reliability had a positive impact on purchase intention. Thus, ensuring appropriate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is essential for customer empathy and product reliability. Given that a show host's friendliness, professional verbal communication, demonstration attitude, appearance, and attractiveness have a positive impact on customer empathy, thes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critical qualities of show hosts.

      • KCI등재

        애니메이션 <파리의 딜릴리> 속 차별에 대한 인식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3 한국디자인포럼 Vol.28 No.1

        Background The Belle Epoque era was a period of rapid economic development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the revival of culture and arts. However, it was a time of explosive revival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 but at the same time it was a time of polarization in which the weak in terms of race or sexuality were discriminated against. These points were examined through the events that the main characters, Delili and Orel, experience in the play, and also analyzes the visualized images to find the message they want to say in the play. Methods Michel Ocelot's animated film <Dilili in Paris> discusses the‘discrimination' of the weak in terms of gender and race through narrative. For the psychological part appearing in the visual aspect, the meanings that the image of color is intended to represent were analyzed. Result France has transformed into a splendid city with the emergence of a new wealthy class due to economic development, but the dark side of society has appeared in various parts of society due to discrimination against the poor, women, and race. Through the process of resolving cases with distinguished celebrities from all walks of life, I was able to see the narrative of this era and the process of subversion. Conclusion The French gaze at Dilili was distinction and discrimination. In addition, discrimination appeared in various fields because of being a woman, and the rebellion of the weak who wanted to overthrow it was shown. In the visual aspect, the characters and color images were well matched, and the background colors also expressed the difference between classes through the stark contrast of light and shade and saturation. 연구배경 본 작품의 시대적 배경은 벨 에포크 시대인데, 산업화로 인해 경제적인 급격한 발전이 있었고, 문화와 예술 분야가 폭발적으로 부흥한 시기였으나, 동시에 인종이나 성(性)적 약자들이 차별을 받는 양극화의 때였다. 이러한 점을 극중 주인공 딜릴리와 오렐이 겪는 사건을 통해 살펴보고 더불어 시각화된 이미지도 분석하여 극중에서 말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찾고자 한다. 연구방법 프랑스 출신 미셀 오슬로 감독의 애니메이션 작품<파리의 딜리리>를 대상으로 하여 성(性)과 인종에서 약자들의 ‘차별’에 관한 부분을 논하였고, 시각적인 측면에서 나타나는 심리적인 부분은 색채의 이미지가 나타내고자 하는 의미들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경제발전으로 인해 신부유층이 발생하고, 화려한 도시의 면이 나타났지만, 빈곤층과 여성, 인종의 차별로 인해 사회 곳곳에는 어두운 면이 나타났다. 이 시절 차별 받았던 각계각층의 유명인들과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사회의 이면과 전복과정을 볼 수 있었다. 결론 혼혈아인 딜릴리를 바라보는 프랑스인의 시선은 구별 짓기와 차별이었다. 또한 여성이라는 이유로 과학, 예술과 문화의 영역에서 차별을 당해, 이를 전복시키고자 하는 약자들의 반란을 보여주었다. 비주얼 적으로는 캐릭터와 색채 이미지와 서로 잘 매치되고 있었고, 배경의 색채들도 명암과 채도의 극명한 대비를 통해 계층 간의 차이를 표현하고 있었다.

      • KCI등재

        아로마목걸이 착용이 임상실습 중인 간호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 스트레스 증상 및 자율신경계 변화에 미치는 효과

        김미희,김진일, 기초간호학회 2014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16 No.4

        임상실습 시 간호학생이 이론지식과 임상현장과의 불일치함을 경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론과 임상을 효과적으로 연결시켜 줄 수 있는 다리역할이나 지지체계가 부족한 실정이다. 간호학생은 임상실습 현장에서 아직 간호사라는 직업관과 가치관이 확립되지 않은 상태로 직접간호 제공 기회는 적고, 새로운 환경과 예상치 못한 상황에 따른 두려움, 전문적인 지식과 능력의 부족, 대상자 및 보호자와의 대인관계 어려움 등을 경험하게 된다(Park, 2009). 또한 수업과 실습을 병행해야 하는 간호학 특성상 학업과정에서 다른 전공 대학생보다 심한 정도의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Kim & Yoon, 2013). 선행연구에 따르면 임상실습은 간호학생의 주요 스트레스 요인이며 그 정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im & Lee, 2011). 임상실습에 대한 간호학생들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한 수행된 국내 질적연구의 대부분에서 임상실습이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였음을 보고하였으며, 간호학생들은 적응하기 어려워하거나, 이론과 실제의 괴리, 신체 ? 정신적 피로, 자존감 저하, 부담감 등을 경험하고 있었다(Kim, Sun, & Kim, 2009; Park & Ha, 2003). 이러한 임상실습에 의한 스트레스를 간호학생들이 잘 견디어 낸다고 하더라도 스트레스 상황이 지속될 경우 잘 해내려는 에너지가 소진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임상실습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으로 바뀌어 간호학 전공에 대한 흥미를 잃게 될 수도 있다(Kim & Yoo, 2014). 또한 임상실습 스트레스 상황이 반복되거나 지속될 경우 정서적, 신체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되는데, 임상실습은 간호학생의 통증, 불면증, 소화기 장애 및 심혈관계 장애와 같은 신체적 증상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Park, 2008) 이를 완화 및 경감할 수 있는 중재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