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나원 교육 교재의 개선을 통한 북한이탈주민 교육 경험의 향상 : 임신과 출산을 중심으로

        하영지(Ha, Young Ji),김성우(Kim, Sung Woo)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2 한국디자인리서치 Vol.7 No.1

        북한은 남한과 사회 체제나 문화가 달라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하나원에 입소하여 사회 적응 훈련을 필수적으로 교육 받는다. 그 과정에서 발견된 몇 가지 경험적 측면의 교육 현황을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북한이탈주민은 영어권 외래어가 섞인 남한의 한국어에 익숙하지 않아 교재 내용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특히 북한이탈주민의 72%를 차지하는 여성 중에서도 임산부는 출산과 육아에 필요한 정보를 교육받음에도 불구하고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채 남한 사회로 나가 출산-육아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다. 교육 공급자 입장에서는 탈북민 수강생의 이해도와 니즈를 세세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이 연구는 하나원에서 제공하는 여러 교육 중에 임산부에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는 디자인 사고(Design Thinking) 기반의 더블 다이아몬드 프로세스에 맞춰 진행되었으며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탈북민 임산부의 교재에 대한 니즈와 진짜 문제를 규명하고 교재를 개선하는 데에 집중하였다. 연구를 통해 기존 교재를 북한이탈주민 임산의 눈높이에 맞게 리플렛 형태로 재디자인(Re-design)하여 하나원 교육과정 뿐만 아니라 수료 이후에도 활용 가능하게 만들었다. 연구에서 만든 리플렛은 하나원에서 현재 실제 교재로 사용 중이며, 디자인 사고에 기반하여 탈북민의 남한 사회 안착을 돕는 데에 디자인이 기여했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South and North Korea have different social systems and cultures. Therefore North Korean defectors must first enter Hanawon Institute and receive social adaptation training. The current status of Hanawon’s education in terms of UX discovered during the process of training is as follows. First, North Korean defectors have difficulty understanding South Korean language because it is frequently mixed up with English words and expressions, which makes the defectors hard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In particular, among women who make up 72% of North Korean defectors, pregnant women who enter into South Korean society after graduation have difficulty in childbirth and childrearing due to lack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despite being educated during their Hanawon training days.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providers,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in detail the hidden needs of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This study focused on pregnant women among the various education provided by Hanawon. The research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Double Diamond process based on design thinking, and focused on improving the UX of the textbooks used in Hanawon classes by identifying the true needs and real problems of pregnant women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rough research, the existing textbooks were re-designed in the form of leaflets to meet the eye level of North Korean defectors, so that they can be used not only in the Hanawon curriculum but also after completion. The leaflet created in the study is currently being used as an actual textbook at Hanaw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design contributed to helping North Korean defectors settle into South Korean society by developing solutions based on design thinking.

      • KCI등재후보

        한국과 일본 언론사의 웹사이트 특성에 관한 연구

        하영지(Youngji Ha),김지영(Jiyoung Kim),박한우(Hanwoo Park) 동아인문학회 2012 동아인문학 Vol.21 No.-

        This paper aims to compare some newspaper websites of South Korea with Japanese sites. Newspaper organizations communicate with their audience through their websites in a digitalized society. However, a difference in media environment and cultural background between Korea and Japan may influence website management. Using feature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eight newspaper websites are comparatively analyzed: 4 sites from each country. The result shows that news sites of Korea and Japan have some contrasting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he four features: Communication, Information, Business and SNSs (Social Networking Services). Interaction and SNS features between readers and journalists are more prevalent in Korea than Japan. Korean newspaper sites tend to actively provide their visitors with premium contents. On the other hand, community features are better developed in Japan than Korea.

      • KCI등재

        학령전기 말더듬 아동의 시각과 청각 자극에 따른 의미점화효과 연구

        하영지(Young-Ji Ha),이은주(Eun-Ju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6 No.1

        배경 및 목적: 말더듬 아동의 언어 처리에 관한 연구는 말더듬 아동의 언어 계획이나 처리가 일반 아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리거나 비효율적인지를 알아봄으로써 아동기 말더듬이 시작되어 심화되고 지속되는 것과 언어 처리의 어려움이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이 제시되는 자극유형과 단어의 의미관련여부에 따라 구어반응시간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지능, 언어능력, 어휘능력, 조음능력을 일치시킨 4;0∼6;6세의 말더듬 아동 8명과 일반 아동 10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자극유형과 의미관련여부에 따라 제시되는 그림을 명명하는 과제를 사용하였으며, 과제 수행에서 나타난 구어반응시간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일반 아동은 시각과 청각자극 모두 의미관련단어에서 구어반응시간이 더 짧게 나타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말더듬 아동은 의미관련여부에 따른 구어반응시간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일반 아동은 의미관련여부에 관계없이 시각 자극에서 청각 자극보다 더 빠르게 반응하여 자극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말더듬 아동은 의미관련조건에서는 시각 자극에 대한 반응이 청각 자극에서보다 더 빠르게 나타나 자극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의미무 관련조건에서는 자극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말더듬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의미적으로 관련된 청각적 정보의 활용이 비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말더듬 아동의 언어처리 능력이 상대적으로 느리거나 비효율적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Background & Objectives: This study focusing on the language processes of children who stutter (CWS) aims to determine whether the language plan or process is relatively slower or inefficient compared to those of children who do not stutter (CWNS) and to identify any correlations between a continually developing stuttering and difficulties in the language process. Methods: This study compared CWS's SRT differences depending on visual and auditory priming stimuli and the existence of semantic relationship in CWNS. The target children were eight CWS ranging from 4.0-6.6 years of age who met the required conditions of intelligence, linguistic ability, vocabulary ability, articulation ability and ten CWNS who met the same criteria.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used tasks in which the children chose one of a set of pictures based on the stimulus pattern and the semantic relationship. The SRT of each task performance was measured and analyzed. Results: Normal children had significantly faster SRTs than did CWS in the semantic word tasks regardless of stimulus pattern. However, the CW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RT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emantic relationship. The CWNS responded to visual priming stimuli more quickly than they did to auditory ones regardless of the existence of a semantic relationship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timulus pattern. For the CWS, their SRT was faster for visual priming stimuli compared to that of auditory stimuli, illustrating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timulus pattern. However, in the semantically unrelated conditions, there were no differences according to stimulus pattern. Discussion & Conclusion: Compared with CWNS, the CWS appeared to inefficiently utilize semantically related auditory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language processing ability of CWS may be relatively slower or more inefficient than that of CWNS.

      • KCI우수등재

        광주전단대 : 영남육괴와 옥천변성대의 지구조적 경계?

        하영지(Yeongji Ha),송용선(Yong-Sun Song),김정민(Jeon-Min Kim) 한국암석학회 2014 암석학회지 Vol.23 No.1

        이 연구에선 한반도 남서부에 북북동-남남서 주향으로 발달된 호남전단대의 지류 중의 하나인 광주 전단대 주변에 전단대를 따라 분포된 변성퇴적암층에 대해 고분해능이온마이크로프로브를 이용하여 쇄설성 저어콘의 우라늄-납 연대측정을 수행하였다. 광주전단대를 경계로 각각 서쪽과 동쪽에 위치한 영광지역과 장성지역의 변성퇴적암층들은 저어콘 연대분포가 구별되는 특징을 보인다. 영광지역 규암층의 저어콘들은 신시생대(약 2,500 Ma), 고원생대(약 1,860 Ma) 및 고생대(약 380 Ma) 연령에 집중점을 이루는데 반해 장성지역 규암층의 저어콘들은 신시생대(약 2,500 Ma)와 고원생대(약 1,880 Ma) 연령에 집중점을 이루고 보다 젊은 연대는 산출되지 않는다. 두 지역의 대조적인 연대분포 특성은 서쪽의 영광지역 변성퇴적암층은 옥천변성대 변성퇴적암층에, 동쪽의 장성지역 변성퇴적암층은 영남육괴의 퇴적암층에 각각 대비됨을 지시한다. 이러한 결과는 광주전단대가 옥천변성대와 영남육괴의 지구조적 경계일 가능성을 암시한다.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SHRIMP U-Pb age dating of detrital zircons from age-unknown meta-sedimentary formations distributed around the NNE-SSW trending Gwangju Shear Zone, a branch of Honam Shear Zone, in the southwe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meta-sedimentary formations from the west (Yeonggwang) and east (Jangseong) areas of the Gwangju Shear Zone have different patterns of zircon age distributions. Zircons of quartzites from the Yeonggwang area yield clusters at Neoarchean (ca. 2,500 Ma), Paleoproterozoic (ca. 1,860 Ma), Neoproterozoic (Ca 960 Ma) and Paleozoic (ca. 380 Ma) ages, but those of the Jangseong area yield clusters at only Neoarchean (ca. 2,500 Ma) and Paleoproterozoic (ca. 1,880 Ma) ages. The contrastive patterns on age indicate that the meta-sedimentary formations from the west and east areas correspond to the meta-sedimentary formations of the Okcheon Metamorphic Belt and the sedimentary formations overlying on the Yeongnam Massif, respectively. The results imply that the Gwangju Shear Zone is the tectonic boundary between the Okcheon Metamorphic Belt and the Yeongnam Massi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