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중차분모형을 활용한 재난이 지역의 가계 소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추미진(Mijin Choo),윤동근(Dong Keun Yoon) 한국방재학회 202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3 No.6

        재난이 발생함에 따라 피해지역의 가구는 주 생계수단의 소실, 소득원의 감소, 예기치 않은 복구비 지출 등으로 인해 가계소비의 변화를 경험할 수 있다. 재난의 규모, 가구의 특성(고용형태, 소득수준 등)에 따라 재난이 가계 소비에 미치는 영향 수준은 달라질 수 있으나 실제 재난이 지역의 가계 소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는 미흡하며, 가구에 대한 복구지원정책도 한정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2년도 태풍 볼라벤⋅덴빈⋅산바를 대상으로 태풍 발생 전⋅후 피해(우심피해)를 경험한 지역의 가계 소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한국노동패널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중차분모형을 통해 재난 발생 및 피해규모에 따른 가구의 소비지출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가구주의 고용형태와 가구 소득분위에 따라 재난이 가구의 소비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재난 피해를 경험한 가구가 그렇지 않은 가구에 비해 재난 이후 약 5% 더 소비지출이 감소했으며, 우심피해지역 가구는 3.05% 소비지출이 더 감소하였다. 또한, 소득 1사분위일 경우 36.8%, 가구주가 임시/일용직 또는 자영업에 종사하는 경우 각각 5.3%, 3.8% 소비지출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가구 측면의 복구지원 정책 수립 및 우선 지원 대상 등을 선정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the 2012 typhoon on household consumption expenditures in South Korea using a difference-indifferences model. We analyzed the changes in household consumption expenditures based on the extent and severity of disaster damage. Additionally, how these impacts vary depending on the employment status of the household head and the household’s income quartile was explored. The findings indicate that households experiencing disaster damage tend to reduce their consumption expenditures compared to unaffected households. Notably, households in the lowest income quintile and those with heads engaged in temporary or self-employment experience more significant declines. These research findings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shaping future policies aimed at supporting household recovery and effectively directing post-disaster assistance resources.

      • KCI등재

        드론영상 기반 고밀 도심지의 3차원 공간모형의 정밀도에 관한 연구

        최연우,윤혜원,추미진,윤동근 한국측량학회 2022 한국측량학회지 Vol.40 No.2

        3차원 공간모형은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분석틀로서 도시계획, 환경, 토지 및 주택관리, 재난 시뮬레이션 등 다 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또한, 3차원 공간모형의 구축 시에 저비용으로 단시간에 3차원 영상 촬영이 가능한 드론의 활용성은 증가하고 있다. 드론을 활용한 가상도시 구축 및 시뮬레이션 모듈 활용 측면에서 항공촬영의 정 확도 및 3차원 공간모형의 정밀도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기능하기 때문에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본 연구는 건축물이 밀집하여 위치한 도심지를 대상으로 항공촬영 조건별로 드론을 활용한 항공촬영의 정확 도 및 3차원 공간모형의 정밀도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지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대림2동 내 건축물 밀집도 가 높은 일부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항공촬영 조건으로, 촬영각, 촬영고도, 드론영상의 중복률을 활용하였다. 항 공촬영의 정확도는 대상지 내에 설치한 검사점의 실제 측량값과 항공촬영을 통해 구축한 3차원 공간모형의 예측값 간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정확도를 산정하였다. 3차원 공간모형의 정밀도는 항공촬영을 통해 생산된 Point cloud 와 Point cloud에 기반하여 구축된 3차원 공간모형 간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정밀도를 산정하였다. 분석결과, 정 확도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중복률에서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정밀도의 경우에는 중복률이 높 을수록 정밀도는 오히려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촬영각도가 수직에 가까울수록 정밀도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 였다. 촬영고도의 경우에는 정밀도와 유의미한 관련성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기선고도비의 경우에는 중복률 과 상이하게, 기선고도비가 커질수록 정밀도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The 3D spatial model is an analysis framework for solving urban problems and is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urban planning, environment, land and housing management, and disaster simulation. The utilization of drones that can capture 3D images in a short time at a low cost is increasing for the construction of 3D spatial model. In terms of building a virtual city and utilizing simulation modules, high location accuracy of aerial survey and precision of 3D spatial model function as important factors, so a method to increase the accuracy has been proposed. This study analyzed location accuracy of aerial survey and precision of 3D spatial model by each condition of aerial survey for urban areas where buildings are densely located. We selected Daerim 2-dong, Yeongdeungpo-gu, Seoul as a target area and applied shooting angle, shooting altitude, and overlap rate as conditions for the aerial survey. In this study, we calculated the location accuracy of aerial survey by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an actual survey value of CPs and a predicted value of 3D spatial Model. Also, We calculated the precision of 3D spatial Model by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on of Point cloud and the 3D spatial Model (3D Mesh).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location accuracy tended to be high at a relatively high rate of overlap, but the higher the rate of overlap, the lower the precision of 3D spatial model and the higher the shooting angle, the higher precision.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recision. In terms of baseline-height ratio, the precision tended to be improved as the baseline-height ratio increased.

      • COVID-19 발생 전후 서울시 지하철 이용감소패턴 분석

        홍유정,김우식,추미진,윤동근 한국재난정보학회 2020 한국재난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11

        COVID-19 확산으로 인해 밀폐된 공간에 대한 위험인식이 증가하고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되면서 수도권 대중교통 이용 수요는 급감하였다. 서울시 내 지하철의 경우, 역에 따라 역 주변 토지이용특성과 관련하여 요일 및 시간대별 통행패턴이 다르 게 나타난다. 따라서 효과적인 COVID-19 대응을 위해 전반적인 수요감소 현상뿐만 아니라 역별 구체적인 감소패턴을 파악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지하철역 242개를 대상으로 2019년 대비 2020년 1-8월 이용수요 변화를 일별 및 시간 대별로 분석하였다. 감소패턴 도출을 위해 19년 대비 20년 감소시간대와 감소율을 기준으로 K-mean cluster 방법을 활용하여 지하철역을 유형화하였다. 또한, 유형별로 감소패턴과 역 주변 토지이용 특성 간 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019년 대비 2020년 일 평균 승하차 인원수는 약 37% 감소하였고, 평일(약 32%)과 비교하여 주말(약 46%) 감소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철역을 유형화한 결과, ① 평일 오전 통행량 감소율이 가장 높은 유형, ② 평일 오전 승하차 통행량 감소율이 가장 낮은 유형, ③ 주말 오후 통행량과 평일 저녁 통행량이 가장 높은 유형, ④ 주말 오후 통행량과 평일 저녁 통행량이 가장 낮은 유형의 4가지 이용감소패턴이 도출되었다. 유형별 토지이용특성을 분석한 결과, 요일 및 시간대별 상이하게 분석된 감 소패턴과 토지이용비율 간 관계를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지하철 이용수요 변화분석 및 유형화를 통해 대중교통 측면의 COVID-19 대응양상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안전한 대중교통 이용환경 조성을 위한 스마트 재난관리 체계를 마련하는데 기 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회복력 비용지수를 활용한 지역의 재난 회복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최연우(Choi,Yeon-woo),홍유정(Hong,You-jeong),추미진(Choo,Mijin),윤동근(Yoon,Dong Keun) 한국방재학회 202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1 No.6

        자연재난으로 인한 피해가 일련의 지방자치단체가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서는 재난발생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재난의 피해규모가 커짐에 따라 재난으로 인한 지역사회에 발생되는 피해가 장기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지역사회에 발생된 재난피해의 장기화를 방지하고;피해로부터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는 회복력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재난에 대한 지역의 회복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역의 특성요인을 분석하였다. 2010년부터 2017년까지 발생한 자연재난으로부터 피해를 입은 지역을 대상으로 회복력 비용지수를 활용하여 지역별 회복력을 정량화하였다. 이후;지역의 특성요인과 회복력 비용지수의 변화량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지역 회복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산업적으로는 산업 다양성을 확보하여 재난에 대한 개별 산업의 노출수준을 저감하고;정책적으로는 사회복지 분야에 집행되는 예산비율을 높이며;지역사회 차원에서는 지역 내의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참여수준이 높아질수록 지역의 회복력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Natural disasters whose scale of damage exceeds the level that regional governments can afford are increasing. As such disasters have increased;the damage to local communities tends to be prolonged. Accordingly;it is important to prevent prolonged disaster damage and secure resilience to ensure quick recovery from the damage. This study analyzed the regional factors that can affect resilience to disaster;quantifying the regional resilience of each sigungu administrative district in Korea that suffered damage from natural disasters during the period 2010-2017 using the resilience cost index (RCI).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 in resilience cost index by year and changes in regional factors by year to identify the regions where industrial diversity was secured so as to reduce the exposure of each industry to disaster;budgets for social welfare were increased;and participation in volunteer activities was expanded;all of which tend to improve regional resil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