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흄의 철학에서 지성과 정서: 『논고』1권의 결론 절을 중심으로

        최희봉 ( Hee Bong Choi ) 한국동서철학회 2013 동서철학연구 Vol.67 No.-

        흄의 철학은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되어 왔으며, 그 중 최근의 하나 가정서(또는 감성)의 관점이다. 이런 관점에서 흄의 철학을 해석하는 해석하는 작업에 일조하는 것이 이 논문의 일반적인 목적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특히 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 1권의 결론 절(4분 7절)에 주목한다. 그런데 결론 잘에서 흄이 인간 본성의 중요한 부분인 감성에 대해 말하는 내용이나 방식으로 감정을 다루고 있다. 이런 다른 내용과 방식을 드러내 보리는 것이 이 논문의 구체적인 목적이다. 결론 절에서 흄은 감성을 직접적인 탐구 대상으로 삼고 있지 않다. 이 절은 “오성에 관하여” 라는 제목의 논고1권에서 다은 주제와 논의들을 정리하기 위해 마련된 절이며 실제로 그런 주제와 논의들을 재검토하면서 자신의 최종적 견해를 재시라고 있다. 그런데 이 절을 다른 관점에서 읽으면 아주 새롭게 흥미로운 모습이 드러난다. 즉 1권의 내용을 마무리 짓고 2권과 3권으로 독자들을 이끌기 위한 이러한 결론 절 에는 흄 자신이 직접 느끼는 감정들 또는 정서들의 파노라마가 펼쳐진다. 이러한 정서들의 전개는 흄 자신의 이성적 추리론 진행에 맞추어 단계적으로 진행되는데, 각 단계가 특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필자는 흄의 서술들에 나타나는 정서의 흐름과 변화를 고찰하고, 이를 통하여 감성과 관련된 흄 철학의 어떤 중요한 특징을 드러나 보이고자 한다. Of the various angles from which David Hume`s philosophy has been understood, one recent variation is that of emotion. The General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is line of understanding through a detailed examination of part IV, section VII, the conclusive section to the first book of A Treatise of Human Nature. However, in the conclusive section to the first book of Human Nature. However, in the conclusive where Hume dwells on emotion which is an important aspect of human nature),the content and the manner with which is approached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what can be found in other parts of his writing. In other words, instead of presenting a naturalist thesis or demonstrating the importance of emotion through his view on passion or moral sense, he puts forth emotion in a way that is both refreshing and intriguing. The specific aim of this study is to highlight and examine this variation in approach and method. In the conclusion, Hume does not discuss as a direct subject of investigation. This section was written with purpose of summarizing subjects and arguments discussed in the first book of Treatise, “Of the Understanding,“to which he adds his final opinion while reexamining the issues. When read in a different light, however, this section contains an unexpected quality. What was third also becomes a gateway to a panorama of Hume`s own emotions or feelings The flow of there emotions proceed step by step alongside his rational reasoning with each step bearing its own unique significance. Thus it is the aim of this study to look into the progression and change in emotion, and bring to surface important aspects of Hume`s philosophy related to this matter.

      • SCOPUS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인문학, 인문학 실천, 그리고 인문치료

        최희봉(Choi Hee-Bo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인문과학연구 Vol.0 No.25

        이 논문은 인문학의 위기를 기회로 전환시킬 수 있는 한 가지 대안과 관련된다. 인문학을 그 초기의 정신으로 되돌려 앎의 실천을통하여 일상인들의 삶에 기여하는 인문학으로 거듭나게 하는 일과 관련된다. 그럼에 있어 이 논문의 목적은 최근에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신생 분야인 〈인문치료〉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기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논자는 특히 인문치료와 관련된 주변 학문 및 활동들과의 개념적 차이를 드러내 보임으로써 그 위상을 명료화하는데 주력할 것이다. 논자는 먼저 인문학의 개념과 그 목적을 살펴보고, 이에 대비되는 개념으로서, 국내외적으로 생소한 용어인 '인문학 실천'에 대해 살펴보겠다. 그리고 인문학의 이론분야와 실천분야의 지형도를 제시하면서, 그 안에서 인문치료의 위치를 확인할 것이다. 이러한 작업은 기본적으로 인문학과 인문학 실천의 관계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진행될 것이며, 뒤이어서 인문치료의 정의, 목적, 대상, 방법을 검토할 것이다. This article involves an attempt to take advantage of the so-called "crisis in the humanities" by considering it an opportunity to revisit the founding ideals of humanities that lie in the very practice of knowledge. In doing so. humanities can once again contribute to the lives of everyday people. In accordance to the larger frame of thought mentioned above. the main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firmly define the identity of the newly rising field of humanities therapy. By characterizing its nature in comparison to other related studies and movements in this field. the writer clarifies its status within the realm of humanities. Firstly. the concept and central aim of humanities will be scrutinized alongside the fairly unknown term "Humanities Practice" or "Humanitas Praxis." In addition. the writer also attempts to locate humanities therapy within the topology of both theory and practice in humanities. Underlying this study .is the basic process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ities and "Humanities Practice." This is to be followed by the defmition and objective of humanities therapy and its potential subjects and methodology.

      • KCI등재
      • SCOPUSKCI등재

        보웬병의 임상 및 병리조직학적 연구

        최희봉 ( Hee Bong Choi ),조옥자 ( Ok Ja Joh ),박시룡 ( See Ryoug Park ),김낙인 ( Nack In Kim ) 대한피부과학회 2006 대한피부과학회지 Vol.44 No.9

        Background: Bowen`s disease, also known as squamous intraepidermal carcinoma, is a pre-malignant skin tumor with a potential to progress to an invasive carcinoma.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and hist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Bowen`s disease. Methods: A total of 45 patients with Bowen`s disease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hospital charts and histopathological slides from 1994 to 2005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at Seoul Veterans Hospital. Results: There were thirty-seven cases (82%) of single lesions and eight cases (18%) of multiple lesions. Thirty cases (81%) of solitary Bowen`s disease were located in non sun-exposed areas. These included the trunk, extremities and genital area in decreasing order. Seven cases (19%) of solitary Bowen`s disease occurred on sun-exposed areas including the face and the dorsum of the hand in decreasing order. Analysis of the clinical character of Bowen`s disease was performed and results were as follows: the most common type was patch (20 cases; 44%), plaque (14 cases; 31%) and pigmented lesions (12 cases: 27%). Analysis of the histopathological character of Bowen`s disease was performed and results were as follows: the most common type was irregular (18 cases; 46%), psoriasiform (11 cases; 28%) and verrucous, atrophic type in decreasing order. Of 18 cases where surgical removal was performed, there were 2 case (11%) of recurrence. Of 16 cases where cryotherapy treatment was administered, there were 3 cases of recurrence. And of 4 cases where CO2 laser therapy was used, there was 1 case (25%) of recurrence, in 2 cases where multiple or large-sized lesions were observed, clinical recovery processes were monitored after applying isotretinoin and 5-FU combined therapy, as well as surgical removal and cryotherapy combined therapy. Conclusion: In Bowen`s disease among Koreans, there were many distinctive clinical and histopathological features compared to those of non-Korean cases. (Korean J Dermatol 2006;44(9):1058~1064)

      • KCI등재
      • KCI등재

        취미에 관한 흄의 견해

        최희봉(Choi Hee-Bo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연구 Vol.0 No.34

        이 논문은 흄의 에세이, ‘취미의 기준에 관하여’의 내용에 기초하여 미학과 관련된 흄의 논의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미학의 발전에는 18세기 영국 철학자들의 기여가 크다. 이들의 취미 이론은 현대 미학 이론의 직계 선조로서, 이 이론들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친 철학자를 꼽는다면, 단연 로크와 샤프츠버리가 선두다. 로크 자신은 정작 취미의 문제에 주목하지 않았지만, 취미 이론의 중요한 이론적 기반인 경험론적 구조틀을 제공했다. 샤프츠버리는 비록 그의 이론 자체는 소박한 수준에 머물렀지만 취미 문제를 철학적 관심의 중심부에 옮겨 놓은 인물로서 그 의의가 크다. 이렇게 보면 18세기 영국 미학은 한마디로 로크의 경험론적 구조틀에 샤프츠 버리의 취미에 대한 관심이 접목된 결과이며, 이런 지반 위에서 18세기 영국 미학을 꽃피운 대표적인 인물이 허치슨과 흄인데, 이 논문은 흄에 초점을 맞춰 그의 미학적 논의를 검토하고자 한다. 미에 관한 흄의 견해는 기본적으로 에디슨과 허치슨에 기초한다. 흄은 에디슨의 저술들을 통해 미와 관련된 가치의 본질은 인간의 상상력이 느끼는 쾌락에 있다는 논제를 받아들인다. 흄은 순전히 감각적인 성격의 미적 쾌락을 인정하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아름다움이 인지적 쾌락의 지위를 갖는다고 본다. 미의 지위를 이렇게 본다는 것은 그가 ‘상상력의 작용으로서의 취미’라고 하는 에디슨의 논제를 허치슨의 입장과 결합시켰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허치슨에게 도덕적 판단의 토대는 정서인데, 여기서 도덕적 판단을 일으키는 정서가 낳는 쾌락은 순전히 감각적인 성격의 것일 수 없다. 흄은 도덕적 가치와 미적 가치 양자의 본성에 관한 허치슨의 입장을 지지하면서, 일종의 내감 이론(inner sense theory)을 발전시키게 된다. 이에 기초하여 흄이 전개하는 견해는, 미적 판단은 이성에 의해 추론된 분석이 아니라 취미의 표현이며, 미적 가치는 우리가 공유하고 있는 인간 본성에 대한 일반 이론의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Hume’s argument on Aesthetics on the basis of Hume’s essay ‘standard of taste’. Hume, one of the 18th century British philosophers who made a substantial contribution to the study of Aesthetics, founded his view of aesthetics on Addison and Hutcheson’s views. That is, Hume agrees upon Addison’s view that the fundamental value of beauty is in the pleasure that humans feel through their imagination. While Hume admits aesthetic pleasure from sense, he rather thinks that Beauty is more to do with cognitive pleasure. Therefore, Hume’s view on beauty can be regarded as the result of combining Addison’s theory and Hutcheson’s stance on beauty. Hutcheson’s value judgement is rooted in sentiment that generates value judgement. Pleasure caused by such sentiment cannot solely depend on sense-experience. By holding Hutcheson’s views on value judgement and the value of beauty, Hume develops ‘inner sense theory’, through which Hume argues that the judgement of aesthetics is not analysis resulted from reasoning but the expression of taste. Thus, the value of beauty should be understood in terms of general ideas of common human nature. This study on Hume’s view on aesthetics will not only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Hume but also encourage further studies on Hume’s view on aesthe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