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래하는 "대조선(大朝鮮)", 귀환하는 "영지(靈地)" - 최남선 『조선유람가』의 문화정치학 -

        최현식 ( Hyun Sik Choi ) 한국시가학회 2014 韓國 詩歌硏究 Vol.37 No.-

        이 글은 최남선의 『조선유람가』(1928)의 문학사적·문화정치학적 가치와 의미를 동시에 제고하기 위해 작성된다. 장편창가 『조선유람가』는 1920년대 중반 ‘조선주의’와 ‘불함문화’를 널리 표방하기 위해 작성된 시조집 『백팔번뇌』와 기행문 『백두산근참기』 『심춘순례』 「풍악기유」(『금강예찬』) 등에 비해 비교적 덜 알려져 있다. 『조선유람가』는 당시로서는 퇴조기에 접어들던 ‘영사’ 형식을 빌려, ‘대조선’의 영웅과 역사, 인문과 자연 등을 예찬하는 장편창가, 곧 ‘만들어진 전통’이었다는 것이 본고의 입장이다. ‘대조선’의 소환은 서사시적 과거의 기억과 현재화, 그를 통한 조선적 정체성의 확립과 미래로의 투기를 도모하는 탈식민 혹은 저항의 문화정치학이었다. 요컨대『조선유람가』는 실제 여행과 그에 대한 정서의 기록과 표출을 목표하는 시조집이나 기행문과 달리, 과거(역사)와 지리 정보를 자유롭게 통합, 배치함으로써 ‘조선주의’의 폭넓은 확장과 심화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상상되고 기대되었다. 본고는 이런 사실들을 논구하고 증명하기 위해 ≪동아일보≫본 『조선유람가』와 이를 수정·보완한 한성도서본 『조선유람가』를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전자에 수록되었으나 후자에서 탈락한 경성의 창경원 부분, 후자에 보충된 측우기, 활자등을 중심으로 경성과 궁궐을 둘러싼 공간의 지배를 향한 일제의 식민주의 및 그에 대한육당의 탈식민적 저항의 면모를 주의 깊게 살펴보았다. 또한 『조선유람가』의 핵심으로 생각되는 백두산과 영웅 서사, 당시 조선 투어리즘의 핵심 장소 금강산과 경주에 대해서도 복합적으로 검토했다. 먼저 이것들을 ‘조선주의’와 ‘불함문화’의 근원적 장소로 예찬하는 육당의 심미적 시선과 태도를 주목했다. 또한 이것들을 식민지의 폐허화된 유물 내지 식민지 본국의 성스러운 자연에 비해 그 가치가 미약한 공간으로 바라보았던 일제의 식민주의적 시선 역시 고찰함으로써 육당의 탈식민적 문화정치학의 가치를 입체화하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함께 실린 요약본 창가 『조선유람별곡』을 살펴봄으로써 육당이 조선의 역사와 영웅, 자연 등의 우수함을 대중들이 보다 쉽게 체득할 수 있도록 노력했음을 다시 한번확인하고자 했다. This article is written to consider the value and meaning of Choi, Namsun`s Josun-Yuramga(1928) from the viewpoint of history of literature. Josun-Yuramga, a full-length changga, is known relatively less than the sijo collection, Baekpalbeonnoe, or travel literature, Baekdusan-Geunchamgi, Simchun- sunrye, or "Pungakgiyu"(Geumgangyechan) written in order to publicize the mid-1920`s ‘Josunjuui’ and ‘Bulham Culture’ widely. This researcher sees that Josun-Yuramga was a full-length changga, that is, ‘made tradition’ to admire the heroes, history, humanities, or nature of ‘Daejosun’ adopting the form of ‘Yeongsa’ that went into decline then. The calling of ‘Daejosun’ was the cultural politics of either postcolonialism or resistance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Josun and promote speculation for the future through the epic poem-based recalling of the past and realization of it in the present. As a matter of fact, unlike sijo collections or travel literature intended to write about and express real traveling or emotion towards it, Josun-Yuramga was imagined and expected to integrate and arrange the past (history)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freely and attain the wide-range extension and deepening of ‘Josunjuui’. To discuss and verify these points, the current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Donga-Ilbo-edition "Josun-Yuramga" and Hanseong Doseoedition "Josun-Yuramga" which edited and complemented the former. Especially centering around the part of Changgyeongwon in Gyeongseong contained in the former but deleted in the latter or the part about Cheukugi or Hwalja complemented in the latter, the study profoundly examined Japan`s colonialism pursuing the ruling of space around Gyeongseong and the palace and Yukdang`s postcolonialistic resistance against it. In addition, it complexly investigated Baekdu Mountain and heroic narratives regarded to be the core part of "Josun- Yuramga" and also Geumgang Mountain and Gyeongju, the major tourist sites in Josun at that time. First, the researcher noticed the aesthetic eye and attitude of Yukdang praising these as the sourceful places of ‘Josunjuui’ and ‘Bulham Culture’. Also, considering the colonialistic eye of Japan regarding these as the ruined relics of its colony or space with much less value than the divine nature of the owner country, the study intended to examine Yukdang`s postcolonialistic value of cultural politics multilaterally. Lastly, by looking into "Josun-Yurambyeolgok" along with it, the researcher tries to reconfirm that Yukdang attempted to help the people to acquire the excellence of Josun`s history, heroes, or nature more readily.

      • KCI등재

        ‘모던 만주’, 이상과 파국의 임계지대-김남천의 『사랑의 수족관』을 가로질러-

        최현식 ( Choi Hyun-sik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0 No.45

        글은 김남천은 『사랑의 수족관』을 중심으로, 연애의 기차, 만주의 문제성을 다룬다. 보통 이 작품은 경성에 초점을 맞춰 주인공들의 사랑과 성공의 욕망을 서사화한 것으로 평가 한다. 또한 직업과 생활을 문제를 회사 경영, 기술자, 자선사업, 양재사, 바(bar)의 여급 등을 등장시켜 관찰, 묘사한 것에 주목한다. 이를 통해 ‘사실의 세기’로 흔히 평가되는 1940년을 전후한 식민지 조선의 현실과, 그를 바라보는 소설가 김남천의 내면과 전향의 논리를 다시 살펴보고자 한다. 본고는 이 작품에서 오히려 미지와 공백의 지표로 남겨진 것으로 평가되는 만주, 특히 길림-사가방 연선의 서사화 및 상상적 접근에 중심을 두고자 한다. 그럼으로써 ‘만주 모던’의 의미와 가치, 그곳으로 이주한 조선인의 현실과 삶의 저변을 짚어나갈 것이다. 하여 경성이 대흥콘체른의 이신국과 그 영양(令孃) 경희, 토목기사 광호의 공간이라면, 만주는 직업과 생활을 앞세운 현순과 양자의 공간임을 전제한다. 물론 『사랑의 수족관』에서 만주의 풍경과 내면은 주로 광호와 경희의 기차와 여행, 길림 방문을 통해 제시된다. 그러나 개척의 식민도시 신경과 길림, 사가방은 경성의 또 다른 재현이자 연장의 공간이다. 이를 비판적으로 조감하고 당대 만주의 현실을 드러내기 위해 현순과 양자를 화자로 설정한다. 그를 통해 조선인·일본인·만주인의 기묘한 갈등과 싸움, 결속이 이뤄졌던 농토개척단 및‘춤추는 여자’와 ‘팔려온 여자’로 대표되는 만주 유흥공간의 문제성을 분석한다. 결국 이를 통해 만주에서 생활과 직업을 구했던 조선이주민 현순과 양자, 개척농민들이 이중으로 소외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train of romance and the issue of Manchuria focusing on Love Aquarium by Kim Nam-Cheon. Usually, this work is considered to be a narrative on the main characters’ desire about love and success, focusing on Kyungseong(an old name for Seoul). It also noted that the problems of occupation and life are observed and depicted with the appearance of company management, an engineer, charity business, a costume maker, and a bar waitress. Through this, this paper tries to review the reality of the colonial Joseon around 1940, the period often regarded as the ‘century of facts’, and the inside of novelist Kim Nam-Cheon who looks at it and his logic of conversion. This paper focuses on the narrative and imaginative approach of Manchuria, especially Gillim-Sagabang railroad, which is regarded as an indicator of the unknown and empty in this work. By doing so, it will examine the meaning and value of ‘Modern Manchuria’, the reality of the Korean people who migrated there and their bases of life. If Kyungseong is the space of Lee Shin-Kook of Daeheung Konzern, his daughter Kyung-Hee, and civil engineer Gwang-Ho, it is presumed that Manchuria is the space of Hyun-Soon and Yang-Ja, those who focus on occupation and life. Of course, in Love Aquarium, the scenery and inside of Manchuria are mainly presented through the train and trips of Gwang-Ho and Kyung-Hee, their visit to Gillim. However, the colonial cities of pioneering, Sinkyung, JGillim, and Sagabang is another recreation of Kyungseong and a space of extension. In order to examine this critically and to reveal the reality of Manchuria of the time, Hyun-Soon and Yang-Ja are set as narrators. Through this, this paper analyzes the problems of the farm pioneering group which had conflicts, fights, and unity among the people of Joseon, Japan, and Manchuria and the space of entertainment represented by ‘dancing women’ and ‘women who were sold’. In the end, this paper tries to reveal that Hyun-Soon and Yang-Ja, Korean immigrants who searched for life and occupation in Manchuria, and pioneer farmers were doubly alienated there.

      • KCI등재

        평균기온과 식생의 영향을 고려한 격자기반 일 지표토양온도 예측 모형 개발

        최지현 ( Chi Hyun Choi ),최대규 ( Dae Gyu Choi ),최현일 ( Hyun Il Choi ),김경헌 ( Kyung Hyun Kim ),김상단 ( Sang Dan Kim ) 한국물환경학회 2012 한국물환경학회지 Vol.28 No.1

        Land surface temperature in ecohydrology is a variable that links surface structure to soil processes and yet its spatial prediction across landscapes with variable surface structure is poorly understood. And there are an insufficient number of soil temperature monitoring stations. In this study, a grid-based land surface temperature prediction model is proposed. Target sites are Andong and Namgang dam region. The proposed model is run in the following way. At first, geo-referenced site specific air temperatures are estimated using a kriging technique from data collected from 60 point weather stations. Then surface soil temperature is computed from the estimated geo-referenced site-specific air temperature and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After the model is calibrated with data collected from observed remote-sensed soil temperature, a soil temperature map is prepared based on the predictions of the model for each geo-referenced site. The daily and monthly simulated soil temperature shows that the proposed model is useful for reproducing observed soil temperature. Soil temperatures at 30 and 50 cm of soil depth are also well simulated.

      • 250W 고압 나트륨램프용 전자식 안정기

        최현배(Hyun-Bae Choi),이진우(Chin-Woo Yi)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2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2 No.-

        본 논문에서는 250[W] 고압나트륨램프용 전자식 안정기를 제작하여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개발한 전자식 안정기는 입력전압 220[V]용으로, 안정된 전기적 특성을 갖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 KCI등재

        남북한 통합조성을 위한 국제 비정부 기구의 활동 : 독일 정치재단 사례를 중심으로

        최현아(Choi, Hyun-Ah),이혜경(Lee, Hye-Kyung)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20 亞細亞硏究 Vol.63 No.4

        한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독일 정치재단은 통일 독일의 경험을 공유하고, 남북한 화해정착과 협력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독일 정치재단 한국사무소의 남북협력 지원은 2003년부터 경제, 의료, 환경, 스포츠 및 문화 교류 등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북한 전문가의 능력배양을 위한 교육 사업이 포함되어 있다. 독일 정치재단 한국사무소의 교류협력 사업은 소규모로 진행되고 있으나, 인도적 지원사업을 넘어 개발 협력 성격의 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또한, 북한 현지 파트너기관과의 협력관계를 유지하면서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독일 정치재단이 가지는 특수성과 교류협력 사업에서 보듯이 북한과의 지속가능한 교류협력 사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인적교류를 진행할 필요가 있으며, 이때 교육 및 기술적 지원이 동시에 진행되어야 한다. 교류협력 사업 진행 시 직접적인 물품 지원이 아닌 북한 내 정책결정자와 연구자의 분야별 능력배양을 위한 소규모 지원사업을 진행하면서 사업의 범위를 확장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현재 비정부기구인 독일 정치재단이 진행하고 있는 북한과의 공식적, 비공식적 교류 확대사업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국제 비정부기구의 지속적이며 장기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협력사례를 통해서 향후 정부와 민간단체의 남북교류 사업이 재개될 경우, 독일 정치재단의 사례 연구는 지속적인 추진과 강화를 위한 전략 수립 시 경험적 차원에서 의미 있는 기초연구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German Political Foundation (GPF) is one of the leading institutions that share the experience of a unified Germany and support the reconcili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In particular, the German Political Foundation Korea has supported the environment including forest and water management, sports and culture, market economy, economy and medical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since 2003. It also supported training and education to develop the capabilities of North Korean experts. The project of GPF Korea implemented small scale humanitarian aid, but it goes beyond humanitarian aid for development cooperation. It is working to form a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North Korea’s local partner agencies to proceed continuously. Although there are certain characteristics of the GPF Korea, it is necessary to conduct human exchanges in various fields and educational and technical support should be carried for sustainable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The scope of the project needs to be expanded while carrying out small-scale aid projects to sector-specific capabilities of policymakers and researchers in North Korea. This study focused on the expansion of formal and informal exchanges with North Korea, which are currently being carried out by the GPF Korea,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This study findings can help to establish the strategy to restart the sustainable inter-Korean cooperation.

      • SCOPUSKCI등재

        스트렙토키나제를 함유하는 스텔스 리포좀의 제조 및 평가

        최현순(Hyun Soon Choi),이계원(Gye Won Lee),백명기(Myung Gee Baek),조인숙(In Sook Cho),김동출(Dong Chool Kim),지웅길(Ung Kil Jee) 한국약제학회 2000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Vol.30 No.1

        Stealth^ⓡ liposomes entrapped with streptokinase were prepared to improve the physical stability of conventional liposomes.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dissolution rate and entrapping efficiency of the Stealth^ⓡ liposomes were studied. The entrapping efficiency of streptokinase into conventional liposomes was proportional to the total lipid and cholesterol amounts. In Stealth^ⓡ liposomes, the entrapping efficiency of streptokinase wa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DPPE-PEG(5,000) amount. The particle size of Stealth^ⓡ liposomes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DPPE-PEG(5,000) amount. The dissolution rate of streptokinase from conventional liposomes was decreased by addition of cholesterol. The dissolution rate of streptokinase from the Stealth^ⓡ liposomes was also decreased by addition of DPPE-PEG(5,000).

      • KCI등재
      • KCI등재

        간화선의 전통과 그 현대적 수용

        최현각(Hyun Gak Choi)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0 佛敎學報 Vol.0 No.56

        수많은 선수행의 방법 가운데 현재 우리나라에서 행해지고 있는 것은 간화선 위주이다. 우리나라 간화선의 연원은 고려시대 보조지눌이 대혜의 선법을 수용한 이래부터이다. 이것이 그의 제자인 眞覺慧諶에게 전승되어 한국 간화선의 체계성이 형성된 이래로 간화선은 줄곧 한국선의 특징으로 부각되어 왔다. 이와 같은 전통은 이미 원효도 하나도 아니고 여럿도 아니기 때문에 일법은 곧 일체법이다. 또한 이 일체법은 일법이다. 이와 같이 걸림없는 법은 法界無門의 妙術이다.라고 이와 같은 의미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이에 대하여 太古는 心地를 直指하여 有一物이라 한다. 이 일물은 밝고 밝아 역력하며 거짓이 없고 사사로움이 없으며 적연하고 움직임이 없으며 대단히 신령스러워 본래 생사가 없고 또한 분별이 없으며 名相도 없고 언설도 없다. 모든 허공을 삼키고 천지를 뒤덮으며 모든 소리와 색을 뒤덮는다.고 하였다. 다시 懶翁은 湛然空寂한 本來無一物은 찬란하게 빛나는 것인데 그것이 어디로부터 나왔는가. 라고 하여 일물을 부정적으로 표현하였는데 이것 역시 화두로서의 의미를 담고 있다. 아울러 得通은 一物이라는 것은 억지로 이름하여 그렇게 부른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南嶽懷讓이 ``一物에 대하여 말씀드리자면 그것도 꼭 맞는 것은 아닙니다.``고 하였다. 여기에 一物이 있다는 것은 당처를 떠나지 않고 항상 담연하기 때문에 그렇게 말한 것이다.고 하였다. 이와 같은 한국 간화선의 전통은 한국불교의 역사를 통하여 오랜 세월동안 면면히 전승되었다. 그런데 우리는 이 자리에서 그 모습이 소위 대승불교의 모습과 얼마나 부합되는 모습으로 전개되었는가 한번 생각해볼 일이다. 일반적으로 선의 깨침은 중생을 교화하는 것과 무관한가. 참선을 한답시고 사회문제를 일체 도외시하는 수행자는 과연 소승적인 사람인가. 적어도 대승불교를 표방하고 있는 이 땅에서 이루어지는 선수행자들의 행위가 얼마나 그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는가. 말 그대로 혼자 수행에 전념하고 있는 것은 대단히 소승적인 행위로 비쳐질 수 있는 여지가 많다. 선의 생명은 불도를 수행하고 깨치는 것이다. 깨침이란 사량분별에 끄달리지 않고 천지우주와 자기가 하나가 되어 能所가 泯絶하여 所觀의 理와 能觀의 智가 不二一體가 되는 無碍淸淨한 작용이다. 이렇게 보면 선은 철저하게 자기만족의 수행일 뿐이다. 그러나 과연 그런 것일까. 대승적이라는 말은 對社會的인 행위와 對衆生的인 행위의 교화를 말한다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그런데 중생을 교화한다는 말은 무엇인가. 이것은 사람들을 가르쳐 이끌어 올바른 길로 향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敎導感化라고도 한다. 사람들을 가르쳐 이끌어 감화시키고 선한 길로 귀착시키는 것을 말한다. 그런데 교화란 수행자가 자신의 수행을 통하여 스스로가 원하는 경지, 곧 그것이 깨침이건 번뇌로부터 벗어나는 것이건 간에 그 경지에 오르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수행자 스스로의 교화이기도 하다. 곧 자신의 깨침이나 번뇌의 속박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곧 교화 바로 그것이다. 이렇게 보면 깨침이야말로 가장 확실하고 보편적인 교화방식이다. 왜냐하면 이것은 누구에게나 열려 있고 또한 누구나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선이 목표로 하고 있는 깨침이야말로 가장 대승적인 교화행위이고 구제방식이다. 그런데 선에서 추구하는 현실적인 인간상은 무엇인가. 그것은 본래의 자각과 그것을 실천하는 인간의 모습이다. 사람은 본래부터 깨친 존재라는 것이 부처님의 가르침이고 선의 입장이다. 그래서 스스로 깨친 사람을 부처라 하고 깨치지 못한 사람을 중생이라 한다. 중생은 뭇 생명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그 생명의 실현이 곧 깨침이다. 그래서 깨침은 부처가 되는 현상이다. 이와 같은 것은 철저하게 내면적인 자기수행에 관한 것이다. 불교수행이 모두 그렇기는 하다. 본래 인도에서의 선수행은 불교의 모든 분야에 걸쳐서 기본적으로 행하는 수행 방법이었다. 그리하여 좌선수행만 일방적으로 추구하는 선종은 등장하지 않았다. 그러나 중국에 전래되면서부터 좌선만을 최고로 하여 그것을 수행의 전부로 간주하여 그것을 보급하고 이루어가는 선종이 등장한 것은 어찌보면 다행이면서도 큰 위험성이 내포되어 있었다. 다행이라는 것은 좌선수행을 속깊이 모두에게 권장하여 깨침에 이르는 첩경으로 제시하여 선수행을 보편화시켰다는 점을 말한다. Ganhwa Seon(看話禪) has had a long tradition, and is still most widely practiced in Korean Buddhism. This paper examined several issues on Ganhwa Seon practice situation in Korea. First, current Seon practice mainly focuses on the mind and the result of practice, ignoring the process such as breathing and body control. It is essential to have control over ones` body posture and breathing before concentrating on sitting meditation. Second, it is very rare to have a teacher of practice who is easy to access, and can provide accurate teaching for a practitioner whenever needed. Without a teacher, both monks and lay person have great difficulty in making progress of practice. Third, there is no designated period for enough Seon practice, since it depends on the progress of practitioners. Nevertheless, Korean Buddhists tend to evaluate one`s progress of Seon practice according to how many times of Seon retreats one has had. Last, Seon practitioners often ignore the importance of teachings of sutras and academic methods of thought. In fact, most Seon Masters in history have been well-versed in sutras, and any enlightenment should be expressed in language or some other forms of thought. On the other hand, Korean Buddhism is considered to be Mahayana Buddhism, therefore the role of helping people and related activities in the society also remain necessary, which requires a balance and further consideration in Seon practic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