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조환경을 위한 미니클러스터 네트워크 주체들 간의 구조적·공간적 특성 : 디지틸미디어시티를 사례로

        최해옥 대한지리학회 2012 대한지리학회지 Vol.47 No.3

        이 연구에서는 창조환경에서 네트워크 활동의 기관별 구조적 공간적 특성을 디지털미디어시티를 사례로 고찰해 보고자한다. 네트워크의 활동은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창조환경에서 상호 학습을 기반으로한 미니클러스터 활동을 분석하였다. 정적인 클러스터 내에서의 미니클러스터 활동을 통한 동적인 네트워크를 구조적 공간적으로 분석하여 기관별 역할과 특징에 대해 고찰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활동에 참가하는 주체들의 자료를 이용하여 구조적, 공간적 특성을 주체들이 속한 기관별로 나누어 설명하였고, 네트워크의 분석에서 들어나지 않는 창조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설문조사를 통해 입증하였다. 먼저 디지털미디어시티는 정부의 강력한 정책적 지원으로 정부주도형 클러스터 구축이 네트워크 형성에 크게 영향을 주고 있다. 각 기관들 사이의 네트워크에서 디지틸미디어와 관련된 산업들 중에서도 이종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네트워크 형성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하지만 미니클러스터의 참가자들은 각각의 미니클러스터 단위로 활동하고 있으며, 다른 활동에 중복하여 참여하고 있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까지 디지털미디어시티의 학습을 기반으로 한 미니클러스터의 활동은 발전 초기의 단계에 머물고 있음을 분석결과 확인할 수 있었다. 창조환경에 대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살펴보면 벤처기업의 경우 특히 기반시설에 만족하고 있고, 대학 관련 종사자들은 환경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사회공정성을 위한 시설, 예를 들면 장애우나 아이들을 위한 시설 등은 부족한 것으로 들어났다. 이 연구는 디지틸미디어시티 사례를 통해 본 창조환경에서 미니클러스터 활동의 기관별 특성을 고찰하여 앞으로의 발전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Many policy makers believe that geographically clustered business activities, in order to stimulate regional innovation, are the keys to development. Underlying the assumption between cluster and development, mere co-located forms engaged in innovative process helped from knowledge transmission locally. To address the constraints of creative economy, creative milieu require networking to support innovation activities. This paper examines the development of the mini cluster reconsidered in creative milieu that shifted environment development through network activities. It shows that the powerful node get more powerful, weak node get weaker in institutional network. Moreover, the significant of cluster in creative milieu is that brings out synergy to spill over knowledge through inter-relationship based on face-to-face meeting. Creative milieu benefits from and contributes to the competitiveness of the city, they are also embedded in its network activities.

      • 글로벌 기술패권에 대응하는 일본의 전략 및 시사점

        최해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21 STEPI Insight Vol.- No.280

        □ 일본의 사례는 글로벌 기술패권에 대응하는 방식과 내용의 측면에서 우리나라에게 참고할 만한 시사점을 제공 ● 일본의 글로벌 기술패권에 대응하는 전략을 살펴보고자 하는 이유는 디지털화, 데이터 전략, 핵심 분야 육성전략 등 대응방안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주기 때문 - 과학기술정책을 중심에 둔 대응전략이라는 관점에서 디지털화, 데이터전략, 반도체 전략을 핵심으로 일관된 대응책 강구 - 특히 최근 일본에서 수립된 과학기술 및 혁신정책(종합이노베이션전략 2021)과 주요 정책문건(성장전략 2021, 디지털사회 실현을 위한 중점계획(포괄적 데이터전략), 반도체 · 디지털산업전략(반도체전략))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공하자 함 □ 글로벌 기술패권에 대응하는 일본의 대응방향은 다음과 같음 ● [산업 · 통상 측면] 일본은 글로벌 기술패권에 대응하기 위해 산업정책과 통상정책이 동시에 고려되고 있다는 점이 특징 - 일본 정부는 글로벌 지향형·공급망 중심의 기업이 중견기업으로 성장하여 해외에서 경쟁할 수 있도록 기업규모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정책 지원 - 사회과제 해결과 디지털 기술을 아시아 신흥국 시장진출 기회로 활용 ● [외교 · 안보 측면] 미 · 일 안보조약 등을 통한 중국에 대한 명시적 견제 표명 - 미 · 일 관계 강화를 통한 중 · 일 관계 안정화를 추구 - 미 · 중 대립이 격화되는 가운데 일본은 미국과의 동맹 및 우호협력관계 강화 ● [경제 · 안보 측면]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법의 질서 등 일본의 국가적 가치 수호 및 ‘경제안보’ 강화 - 일본의 경제안보정책은 미 · 중 패권경쟁이 격화됨에 따라 정책추진의 전환기를 맞이함 - 미 · 일 간 협력강화를 표명한 많은 분야가 미 · 중 경쟁 분야과도 중첩되는 바, 향후 경쟁이 심화될 경우, 일본 또한 미 · 중 갈등에 연계될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짐 □ 일본의 주요 문건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음 1. 제6기 과학기술 · 이노베이션 기본계획 ● 「과학기술 · 이노베이션 기본법」에서 인문과학을 포함한 과학기술분야의 이노베이션 창출 제시 ● 일본은 과학기술분야의 이노베이션 창출 활성화를 통한 지식, 인력, 자금의 선순환 구축을 강조 2. 종합이노베이션 전략 ● 「종합이노베이션 전략」은 정부 전체의 기술전략 방향성을 보여주는 이노베이션 관련 핵심문건 ●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임무중심의 전략적 연구개발지원 ● 사이버 공간과 물리적 공간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가치 창출 전략 제시 3. 성장전략 2021 ● 일본정부의 성장전략관련 핵심문건으로 글로벌 경쟁우위를 선점하려는 일본의 독특한 전략 전개 ● 탄소중립에 따른 산업구조전환을 대응하기 위한 대책 제시 ● 「슈퍼시티」를 추진하고 각 부처 간 사업예산을 일괄로 관리하여 지원하기 위해 「공동심사회」 추진하는 등 사업추진체계 마련 4. 디지털사회 실현을 위한 중점계획, 포괄적 데이터 전략 ● 일본 내각부는 「디지털사회 실현을 위한 중점계획」1)(2021.6)을 발표하고, 부록으로 「포괄적 데이터 전략」 제시 ● 일본 정부는 ‘디지털청’을 설립함으로서 정부주도의 디지털화 추진 ● 데이터신뢰확보를 위해 「트러스트제도」 도입 5. 반도체 · 디지털산업전략, 반도체전략 ● 「성장전략 2021」에서 반도체 산업에 대한 육성을 강화하겠다는 방향 발표(2021.6.18) ● 일본 정부는 반도체 산업육성을 위한 「반도체 · 디지털산업전략」 발표(2021.6.4.) ● 일본 기업들은 제조 및 재료 분야에 집중으로 선회하여, 제2의 플라자 시대 개막을 선언 ● 포스트5G네트워크 보급 및 확산을 위해 반도체 · 디지털산업기반 정비 중 □ 일본 전략의 특징 및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음 시사점 1. 정부전체의 정책 추진을 위한 방향성(철학) 제시 ● 정부전체의 일괄된 방향 및 철학을 설정하여 추진 ● 인문과학을 포함한 과학기술분야의 이노베이션 창출을 위한 법개정 시사점 2. 일본은 글로벌 기술패권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정부차원의 빠른 대응전략 제시 ● 일본의 경우 신흥기술 및 반도체를 바탕으로 하는 서플라이 체인 확보 등 경제안전보장에의 대응을 국가의 중요과제로 설정 ● 최근 시대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데이터’와 "디지털’을 중심에 둔 전략 추진 선회 ● 「슈퍼시티」를 통해 데이터 연계와 포괄적 규제개혁을 실현 추구 시사점 3. 디지털 전환에 대한 간명하고도 구체적인 방향성 제시 ● 일본 정부는 ‘디지털청’을 설립함으로서 정부주도의 디지털화 추진 ● 「포괄적 데이터 전략」은 행정 기관이 최대 데이터 보유자이며, 행정 자신이 국가 전체의 최대 플랫폼이 될 수 있다는 발상 ● 데이터관련 플랫폼 구축을 정부의 역할로 인식하고 관련 제도 설계 ● 데이터 신뢰확보를 위해 도입한 「트러스트제도」 내용도 참고할 만함 시사점 4. 자국의 장단점을 고려한 일괄된 추진체계 구축 및 전략 수립 ● 사회과제 해결과 디지털 기술을 아시아 신흥국 시장진출 기회로 활용 ● 일본은 글로벌 기술패권에 대응하기 위해 산업정책과 통상정책이 동시에 고려되고 있다는 점이 특징 ● 미 · 중 갈등 속 일본의 입지 선정 및 대응방식을 참고할 만함 시사점 5. 정책과제 중 반도체육성을 특히 강조하고 이를 위해 다양한 수단 제시 ● 일본 정부는 자국의 약점을 인식하여 글로벌 파운드리를 자국 내 유치하는 전략으로 방향 설정 ● 포스트5G네트워크 보급 및 확산을 위해 반도체·디지털산업기반 정비 중 □ Japan’s case provides implication for Korea in terms of the method and content of responding to global hegemony. ● The reason why this research tries to look at Japan"s strategy to counter Japan’s global hegemony is because it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for countermeasures such as digitalization, data strategy, and core sector development strategy. - From the perspective of a response strategy centered o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devise a coherent countermeasure centered on digitalization, data strategy, and semiconductor strategy - In particular, published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policies (comprehensive innovation strategy 2021) and major policy documents (growth strategy 2021, key plans for the realization of a digital society (comprehensive data strategy), semiconductor and digital industry strategy (semiconductor strategy)) □ Japan’s response to global hegemony is as follows: ● [Industry and Trade] Japan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industrial and trade policies are being considered at the same time to respond to global hegemony. - The Japanese government supports policy support in the direction of expanding the size of global-oriented and supply chain-oriented companies to grow into mid-sized companies and compete abroad. - Solving social problems and using digital technology as an opportunity to enter emerging markets in Asia ● [Diplomatic/Security Aspect] Expressing ‘checks and checks’ on China through the US-Japan security treaty - Pursuing the stabilization of China-Japan relations by strengthening US-Japan relations - As the U.S.-China confrontation intensifies, Japan strengthens its alliance and friendly cooperation with the U.S. ● [Economic and Security Aspect] Protecting Japan’s national values such as liberal democracy, market economy, and order of law and strengthening ‘economic security’ - Japan’s economic and security policy faces a turning point in policy implementation as the competition for hegemony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intensifies. - The strengthening of coopera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overlap with the fields of compet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 [Health and Security Aspects] The U.S. and Japan emphasize strengthening public-private cooperation to jointly respond to COVID-19 and possible public health crises in the future. - Positioning Japan in the era of U.S.-China competition and clarifying cooperation partners - To continuously emphasize Japan"s role and will to lead the world order after COVID-19 □ Analysis of major Japanese documents is as follows. 1. The 6th Basic Plan for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 Suggested creation of innov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fields including humanities in 「Basic Act 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Innovation」 ● Japan emphasizes the establishment of a cycle of knowledge, manpower, and funds by activating the creation of innov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2. Comprehensive innovation strategy ●「Comprehensive Innovation Strategy」 is a key innovation-related document that shows the direction of the entire government’s technology strategy. ● Mission-oriented strategic R&D support to secur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in the global market ● Propose a new value creation strategy through the convergence of cyberspace and physical space 3. Growth Strategy 2021 ● Japan’s unique strategy to preoccupy global competitive advantage as a key document in Suga(Abenomics) growth strategy ● Suggestion of measures to respond to industrial structural change due to carbon neutrality ● Promotion of “super city” to realize data linkage and comprehensive regulatory reform ● Differentiation from existing smart cities in terms of ‘data’ and ‘technology demonstration’ 4. 「Critical Plan for Realization of a Digital

      • KCI등재

        부모교육 강사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역할 경험, 배움 경험에 관한 탐구

        최해옥,김성길 한국미래교육학회 2021 미래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9년 이상 활동 중인 부모교육 강사 4명과 경기도교육청에 재직 중인 학부모지원전문가 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부모교육 강사들이 경험한 가정 내에서의 다양한 역할 경험과 능동적인 배움 경험에 관하여 이들의 내러티브를 통해 돌아보고 깨달음을 다시 경험하는 과정에서 의미를 찾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이러한 역할 경험과 배움 경험이 평생학습시대에 부모교육 강사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민주시민으로서 부모교육 강사의 역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심층적 면접을 통해 드러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교육 강사의 다양한 역할 경험과 능동적인 배움 경험은 평생학습시대 부모 교육 강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에 직결되기 때문에 평생학습의 좋은 사례가 되고, 또한 민주시민의 역할을 촉진하는데 도움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향후 부모교육 강사에 대한 이해와 인식개선, 그리고 전문성 강화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함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4 parent education instructors who have been active for more than 9 years and 4 parent supporting experts who have been working at the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meaning in the process of re-experiencing enlightenment by looking into through their narratives about the experiences of various roles and active learning experienced by parent education instructors in the home. And,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how these role experiences and learning experiences affect the capabilities required to become parent education instructors in the age of lifelong learning and the role of parent education instructors as democratic citizens through in-depth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s of various roles and active learning of parental education instructors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capabilities required of parental education instructors in the age of lifelong learning, making them a good example of lifelong learning and helping to promote the role of democratic citizens.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in that they can serve as the basis for future understanding and improvement of parental education instructors, and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education and programs.

      • KCI등재후보

        부모교육프로그램 이수자의 전환적 배움

        최해옥,김성길 한국미래교육학회 2015 미래교육연구 Vol.5 No.1

        This study aims to give a help for participants of parent education program to solve their conflicts in family. The research subject of this study is what the transformative erudition of participants of parent education program is and which difficulties they experience in their practice of learning.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explained to two groups which engaged in voluntary study circles after completion of parent education program and the participants in the research were publicly asked and then, the participant-A and the participant-B were selected. As a research method, interview was conducted and recorded; and an analysis was done on the tape-recording. Results through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peculiar experience received from the original parents gave influence to my role to be a parent. Second, I came to know the cause of conflict in family was 'I'. Third, I came to know effect of importance of an attentive hearing and faithful expression of 'myself. Fourth;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parent role according to development stages of children. Fifth, it is necessary to solve conflicts through learning. Sixth, there was a limit in practicing transformative learning; it was not easy for the graduates to practice as per their learning and intention; sometimes, situation interrupted practice; the graduates failed to control their emotion at the time when they needed the control; there were not enough opportunities to get parent education; they wanted to have education style to be performed during many hours in a small group lecture rather than a large group lecture; and, they also wanted fathers, grandparents together with their children to participate in the education. As a result, parent education program proved that it had pleasure of meeting-learninggrowth- sharing and educational meaning of 'learning' as parents and that transformative erudition to solve conflicts in family through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had measures for happy family relationships. 이 연구의 목적은 부모교육프로그램 이수자들이 가정 내 갈등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 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부모교육프로그램 이수자의 전환적 배움은 무엇이며, 배움을 실천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은 무엇인가였다. 연구대상은 부모교육프로그램을 이수한 후 자발적인 학습동아리 활동을 하고 있는 참여자들에게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연구 참여자를 공개적으로 구해서 연구 참여자A와 연구 참여자B를 선정했다. 연구방법은 면담을 실시하고 녹음하여 녹취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연구결과는 첫째,원 가족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독특한 경험이 내가 부모역할을 하는데 영향을 준다. 둘째, 가족 내에서의갈등의 원인이 ‘나’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셋째, 경청의 중요성과 성실한 ‘나’표현법의 효과를 알았다. 넷째, 자녀의 발달단계에 따른 부모역할의 이해가 필요하다. 다섯째, 배움으로 갈등해결을 위해 노력한다. 여섯째, 전환적 배움의 실천에 있어 한계도 있었는데, 이수자 스스로가 배운 대로 실천이 마음먹고 의도한대로 잘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상황이 방해하는 경우도 있고, 이수자가 필요한 순간에 자기감정을 잘 조절하지 못하기도 하고, 부모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많지 않고, 교육형태가 대규모의 집단강의보다는 소규모 집단으로 다양한 시간에 진행되기를 원했고, 교육의 대상이 아버지와 조부모, 자녀도 함께 참여하는 교육으로 다양해지기를 원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부모교육프로그램은 만남-배움-성장-나눔의 기쁨과 부모로서 ‘배움’의 교육적 의의가 있고, 부모교육프로그램을 통해 가족 내에서의 갈등을 해결하려는 전환적 배움은 행복한 가족관계를 위한 대책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신산업 규제혁신 수요파악을 위한 메타버스 분야 미시적 갈등구조 분석 -VR·AR 기술을 중심으로-

        최해옥,하리다,이광호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22 산업혁신연구 Vol.38 No.1

        이 연구는 신산업 분야의 규제혁신 수요조사를 파악함에 있어, 관련 이해관계자들의 정책수요를 파악하고 향후 정책수립에 활용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메타버스 분야의 정부주도의 연구개발추진에 있어 등급설정을 통한 기준 강화보다는 기준 완화 즉, 개별 검증, 인증절차 완화, 기준 유연화 등을 통해 안전성입증관련 연구가 우선 수행되어야 한다. 둘째, 메타버스 분야의 이해관계자들은 공통적으로 메타버스 안전성 실증을 위해 정부-기업 간 소통창구 및 지원기반을 확대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셋째, 메타버스는 의료 분야 등 타 분야와 접목되면서 기준완화를 통한 산업육성이냐 기준강화를 통한 관리체계 지원이냐에 대한 갈등을 겪고 있다. 넷째, 신사업 및 서비스 분야의 규제지형변화로 인해 새롭게 구축해야 할 등급 분류기준설정, 표준, 안전성 기준 등의 법제도 기반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해외사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 향후 신산업분야의 규제혁신 관련 연구에 있어 이해관계자들의 분석을 통한 갈등지점 및 협력대안 도출에 관한 연구가 활성화 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 KCI등재

        소셜미디어의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통한 지적측량 이슈 네트워크 분석

        최해옥 한국도시행정학회 2015 도시 행정 학보 Vol.28 No.3

        이 연구는 지적측량과 관련된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활용하여 소셜미디어의 주요 키워드를 도출하고 키워들 간의 네트워크 구조를 계량적으로 분석하여 지적측량과 관련된 이슈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첫째, 네트워크 결과를 살펴보면 지적측량 처리와 행정에 관한 상황은 국가기관과 관련이 깊으며, 이에 대한 시행은 지자체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네트워크 분석 결과 농촌지역의 수수료 감면혜택과 함께 농촌의 주택개량과 같은 사업들은 기존 농촌지역의 주민들이 지불하는 비용의 일부를 국고보조사업을 통해 지원하였다. 셋째, 중심성지수에서 살펴보면 ‘지적’ ‘측량’ 이외에 사업이나 수수료 감면 등과 같은 지적측량 사업에 관련된 항목들이 주요 키워드임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하여 지적측량 분야의 소셜미디어 데이터를 활용하고 네트워크 구조를 파악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네트워크 구조 분석에서 클러스터를 통해 얻은 결과는 연구자의 통찰력을 통해 재해석해 내야 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실시간으로 올라오는 소셜미디어의 데이터를 가지고 가치를 뽑아내는 과정을 통해 이슈를 파악함으로서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 KCI등재

        남성 한부모가족의 내러티브 탐구를 통한 교육복지 경험에 관한 연구

        최해옥,김성길 한국코칭학회 2019 코칭연구 Vol.12 No.5

        This study aims to look at individual and unique aspects of an education-related welfare experience that single fathers experience in raising their children. Single fathers tend to be uncomfortable with sharing personal experiences and their personal situations are diverse and sensitive. Thus, a narrative inquiry method was applied accurately for analyzing the situation. To figure out the individual difficulties and unique contents of three research participants who became responsible for their livelihoods, parenting and education after becoming a single male parent through 'narrated-experience' was analyzed. Within the three-dimensional research space presented by Clandinin and Connelly(2007), this study focused on the time of experience, the ability to relate through communication(sociality), life inside and outside the home as the analytical space(place), and analyzed through the procedures of descrip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presented by Wolcot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fforts to support child rearing expenses, education and living expenses, which are only provided to low-income single-parent families, need to be extended to general single-parent families. Second, education or measures are necessary to strengthen family capacity and continue lasting connection with schools or caring institutions. Third, there is a need to increase access to various schemes that help single-father families to stand on their own feet. Fourth,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education-related welfare more personally and precisely by approaching single-father families with narratives. 본 연구는 남성 한부모가 자녀를 양육하면서 경험하는 교육복지 경험에 대해 개별적이고독특한 내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남성 한부모가족은 개인적인 경험을 드러내는 것을 불편해하는 경향이 있고, 개인적 상황이 매우 다양하고 민감한 부분이 있어 그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기위해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남성 한부모가 된 후에 생계와 양육· 교육을 감당하게 된 3명의 연구 참여자들의 개별적인 어려움과 독특한 내용을 ‘이야기화 된경험’을 통해 이해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Clandinin과 Connelly(2007)가 제시한 삼차원 연구공간 내에서 경험의 시간성, 의사소통을 통한 관계능력-사회성, 분석공간으로의 집 안과 집밖에서의 삶-장소에 집중하였고, Harry F. Wolcott가 제시한 기술(description), 분석(analysis), 해석(interpretation)하는 절차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저소득 한부모가족에게만 지원되는 아동양육비, 교육비, 생계비 지원 노력을 일반한부모가족에게까지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학교나 돌봄 기관과의 지속적인 연계와 가족역량강화를 위한 교육이나 대책이 필요하다. 또한 남성 한부모가족이 자립할 수 있도록 돕는 여러제도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남성 한부모가족을 내러티브로 접근하여 자녀교육 관련 복지를 좀 더 개인적으로 집중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민간 주도 에듀테크 육성을 위한 이해관계자 갈등구조 분석: 교육데이터 활용을 중심으로

        최해옥,하리다,서승환,이광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2

        Objectives In the distance education field, education data are easing as the education paradigm shifts to personalized education courses, while the government is still focusing on data collection, and fast-changing edtech companies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Methods This study examines the main issues through a focus group on the use of data in the field of distance education, where conflicts between various interests are occurring at the time of institutional transition in the field of distance education, and attempts to analyze it using the Q methodology to find conflict points and cooperative alternatives was derived. Result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overnment should prepare legal and institutional alternatives so that various unstructured data of students can be used as educational data. Second, it is necessary to set clear usage standards for the scope of data related to education data. Third,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is needed so that data can be collected from the stage of data collection to meet the purpose of use by stage so that Edutech companies can use it for their business models.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relevant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conflict structure between stakeholders that occurs in the process of using educational data in distance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the transition to the digital age. 목적 교육 분야 패러다임이 원격교육 및 개인별 맞춤형 교육으로 전환됨에 따라 교육데이터 활용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반면, 에듀테크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교육 데이터 활용에 대한 논의는 미흡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민간 주도 에듀테크 발전과정에서 이해관계자 마찰이 발생하고 있는 교육데이터 활용 분야의 주요 쟁점을 파악하여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이 연구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주요 쟁점을 살펴보고, Q방법론을 활용하여 실증 분석을 시도함으로서 갈등지점과 협력대안을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정부는 학생들의 다양한 비정형 데이터를 교육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도록 법적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 둘째, 현재 각 기관/ 시스템에서 개별적으로 보유한 교육 관련 데이터 간 추출, 데이터 간 호환 등을 위한 기준이 필요하다. 셋째, 에듀테크 기업들이 비즈니스 모델에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수집 단계부터 단계별 활용목적에 맞도록 수집될 수 있도록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결론 이 연구는 디지털시대로의 전환 시점에서 교육데이터 활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이해관계자 간 갈등구조를 분석하여 시사점을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