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주민등록번호 사용현황과 대체수단에 관한 연구

        최해랑 ( Haelahng Choi ),정정윤 ( Chung-yun Chung ),최성은 ( Sung-eun Choi ),박혜진 ( Hyejin Pak ),김창수 ( Chang-soo Kim ),안성수 ( Sung-soo Ah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9 No.2

        주민등록번호는 주민생활의 편익 증진과 행정사무의 적정한 처리를 목적으로 도입되었으나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관행적이고 무분별하게 사용되어 왔다. 수집된 주민등록번호가 해킹 등의 유출사고로 명의도용 등 범죄에 악용될 우려가 커지자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2011년 방송통신위원회는 인터넷상 주민등록번호 수집·이용을 제한하는 법·제도적 정책을 추진하였다. 정보통신망법이 개정되어 주민등록번호의 사용이 제한되면서 사업자에게 본인확인, 연령확인 등 법률의무의 이행이나 고객의 분쟁조정 등 목적을 위해 주민등록번호를 대체할 본인확인수단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주민등록번호를 이용자가 입력하지 않으며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인프라를 이용하고 단순한 입력정보의 변경을 통해 본인확인을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 KCI등재

        무용 표기법에 대한 연구

        최해 한국무용연구회 1991 한국무용연구 Vol.9 No.-

        This is a study about Dance Notation which measns a record by regular symbols, signs, or a system of dance. Dance notation is a language of movements-as there is a score in Music which describes the changes of phonemics-that can be a record of all movements in dance and the whole dance work organized creatively by promised signs. For a long time, until very recently dance was preserved only by the way of student’s imitation of teacher’s movements or as a way of a folk dance tradition. In case of Korean Dance the subtle technic of dance was initiated only from person to person. Therefore it has alawys been a big obstacle in organizing technics and inheritance, re-creation of traditional dance. In spite of these important assignments of preservation of tradition dance and reknown works of time, and recording the dancer’s own achievements, it is true we are still using the old method of 17th century in Korean Dance. My purpose is to organize Dance Notation scientifically and theoritically that analyzes all movements of dance and introduce other Dance notation practically used in other countries, and also to find a suitable method to preserve Korean Dance. Therefore, in chapter 2 as a background theory of Dance Notation 1 tried to clear out the characters of Dance based by three main concepts of time, space, humanbody and also quotate Nelson Goodman’s method of a dual classification system of divide autographic art and allographic art that makes records possible. Also, I tried to study the basic concepts and purpose of Dance Notation in microscopic view and macroscopic view. In chapter 3 I tried to show the development of Dance Notation in west countries, that appeared first in 15th centure and had made progress untill 20 th century as modern technic of using the computer. In chapter 4 I explained the practical value and limits of film recording and dance notation. Finally, I would like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 new method of Dance Notation because in Korean Dance mental aspects-inner energy, breathing system-are more important, and also the nessecity of utilizing the Notation system of Laban which is used world wide until recently.

      • 중층적 공간에 의한 중의적 표현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최해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논문집 Vol.8 No.-

        인간은 사회가 발달할수록 자신과 자신을 둘러싼 환경을 규정하고 정리하여 계열화시킨다. 또, 다양한 제도를 만들고 규범을 정하여 사회를 구성한다. 이는 인류가 이성적인 사고를 통해 이상적인 사회를 꿈꾸며 유토피아를 구현해 내려는 것이다. 그러나 인간 스스로가 만들어내고 유지시켜왔던 여러 가지 제도와 장치들은 한편으로 그들을 통제하고 감시하는 기구들로 발전하게 된다. 또 제도의 집행을 수행하는 다양한 기관들은 규율과 질서들을 통해 동식물뿐 아니라 사람까지도 조정하며 통제하고 있다. 이것은 시대의 흐름 속에서도 별 다른 의의나 문제의식의 고려 없이 무의식적으로 사회 안에서 실행되기도 하며, 일부는 당연한 것으로 무관심하게 받아들여지기도 한다. 이러한 상황들은 근대 이후, 사회를 구성하는 다양한 기관들을 통해서 우리들의 시각과 관점에 보편적이고 일반적이라는 틀을 제시하며, 행동양식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또, 이러한 사회제도적 장치들은 이상적인 모습을 지닌 사회교육기관의 역할을 수행하는 곳으로서 가치체계를 부여하며 유지해왔다. 그러나 세계 각국 다른 토양과 기후의 배경을 지녔던 동물들이 한 곳에 집거(集居)하는 동물원이라는 이 부조리한 환경의 공간은 합리적이고 지성적인 장소라기보다는 오히려 피폐하고 초현실적이며 기이한 감각을 체험하게 한다. 본인은 현실 속 비현실적인 체험의 균열사이에서 돌출된 낯선 경험들을 표현하고자 한다. 이러한 표현들은 동물원뿐 아니라 인간이 만들어놓은 특별한 위상을 지닌 당위적인 공간들의 탈장소화(non-site)되고 버려진 상황들로까지 관심을 확장시켜 근원적 의미를 환기시킨다. 어떠한 장소와 대상물들이 개인의 심미적이고 정서적인 경험을 통해 최초의 시원(始原)으로서 정의된 사회적 기능과 목적을 가진 모습이외에 표피적으로 드러나지 않는 또 다른 관점과 상황의 인식적 재고들로 획일적 현상들을 낯설게 바라보게 하는 것이다. 작품들의 소재적 배경들은 더 이상 최초의 목적으로 쓰이지 않는 건물의 숨겨지고 방치된 공간, 소멸되는 인공호수, 텅 빈 공원묘지, 길가의 방치된 폐가, 그림이 걸리는 전시장의 벽 자체, 기존 사각양식의 틀에서 잡아당겨지는 팽팽한 화면이 아닌 유동적인 주름과 다겹의 층을 지닌 화면 등이 된다. 이들은 내용상에서도 중층적 구조와 공간에 의해 다중적(多重的)이고 중의적(重意的)인 의미들을 유발(誘發)하는 요소들이 된다. 주름그림에서는 사각 틀의 일차원적 평평한 평면이 아닌, 투명하고 다층으로 겹쳐진 천들의 물성적 특성인 투영(投影)과 중층(重層)의 표현법을 이용한다. 이들의 또 다른 효과는 다양한 각도의 입체적인 공간을 만들면서 기존매체의 제한을 넘어설 수 있는 확장적인 공간들을 형성한다. 확장적 공간들은 디지털 작업에서도 다층적 시공간의 레이어들(layers)의 얹힘을 통해 한 화면에 투영(透映)되는 방식을 이용하여 시각화된다. 인간지각의 대상과 현상은 개개인의 관심이나 환경, 문화적 혹은 역사적 상황에 의해 선택되고 형성되는 데, 문맥적(contextualism)이고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의 양상을 띠게 된다. 하나의 사건과 현상에 있어서도 다양한 맥락들이 교차되고 반영되는 현상을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중층적 공간과 구조에 의한 표현언어와 기법으로서 은유적으로 전달하고자 한 것이다. 본인의 작품 표현 주제들은 인간의 합목적적 관점의 가치평가의 기준에 있어서 하등의 의미화 혹은 일괄적, 획일적으로 판단된 것들이 지금 우리 곁에서 처음과는 어떠한 모습으로 남아있는지에 대한 의문의 표시이며, 기록이기도 하다. 또한 그러한 것들이 꼭 그렇지만은 않은 다양한 층위와 관점에서 이해되고 존재될 수는 없는지, 효용성을 잃은 것들로 낙인(烙印)되어 가려진 존재들에 대한 다양한 가치들의 재고와 발견이 본인 작업의 주된 목적이자, 결과물들이라고 볼 수 있겠다.

      • KCI등재
      • KCI등재

        Treacher Collins 증후군 환아의 기관 삽관 시 마우스가드의 활용

        최해,최병재,최형준,송제선,이제호 大韓小兒齒科學會 2014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1 No.1

        Treacher Collins syndrome (TCS) is autosomal dominant disorder that occurs approximately 1 in 25,000 to50,000 live births. The main signs of syndrome are hypoplasia of facial bone and microtia. One in third of themis associated with cleft palate and often shows dental hypoplasia. TCS patients need several number of surgerywith general anesthesia throughout their life time for recovery of function and esthetic. Endotracheal intubationof TCS patient is very difficult due to microstomia, retrognathia, choanal stenosis, and decreased oropharyngealairway. Therefore, general anesthesia of adolescent TCS patient with immature incisor roots has high risk ofcausing dental trauma. This case is regarding TCS patient who was referred to the Department of PediatricDentistry, Yonsei University for avulsed upper left central incisor during endotracheal intubation. The purposeof this report is to emphasize the usefulness of mouth guard to prevent dental trauma when endotracheal intubationis needed for TCS patient. Treacher collins 증후군(TCS)는 25,000명에서 50,000명당 1명의 빈도로 발생하는 상염색체우성의 유전질환이다. 상, 하악의발육 부전, 부정교합, 양측성 이개 기형, 안검렬의 반몽고증 사면, 구순구개열, 외이도 폐쇄, 중이와 내이의 기형으로 인한 청각 소실등의 구강악안면 부위의 특징을 보여 태생 이후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여러 차례에 걸친 외과적 수술을 거치게 된다. 하악골의 형성저하로 하악골이 짧고 후방 위치되며 후방 위치하는 혀와 후비공의 협착과 폐쇄로 인해 상기도가 좁아지게 되는데 이로 인해 기관삽관의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치근 발육이 미약한 소아청소년 시기의 TCS 환자의 기관 삽관 시 상악 전치부의 손상 가능성이 매우 높다. 본 증례는 전신마취 유도를 위한 기관 삽관 도중 상악 전치의 완전 탈구가 발생한 TCS 환아의 치험례를 통해 기도 삽관 시사전의 마우스가드 제작의 유용성에 대하여 알리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