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연성 회복을 위한 소하천정비 방안

        최종남 한국방재학회 2011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0 No.-

        최근 하천재해의 대부분이 지방하천과 소하천에서 발생하고 있는데 반하여 소하천의 정비율이 지방하천에 비하여 월등히 낮고, 기존의 정비도 수해복구 위주로 진행되어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어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들어 소하천정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자연형 소하천 정비공법 개발, 소하천정비사업의 예방투자에 대한 연구 및 소하천 설계기준 개정 등에 관한 준비가 진행되고 있어, 향후 소하천정비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소하천 정비사업을 계획하고 수행함에 있어, 정비 방향을 설정하고, 이에 따른 계획 및 설계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소하천은 지역별로 지형, 수문, 수리적 특징이 매우 다양하므로 소하천의 피해사례, 성공적인 정비사례 등을 분석하여 소하천의 특징을 이해함으로써, 적정한 정비방안을 수립하고, 하천의 기본기능인 치수, 이수, 환경적인 측면을 고려한 설계기법을 적용함으로써 하천의 자연성을 회복하고 친수적인 기능을 가미한 경제적이고 홍수에 안전한 소하천을 계획하고자 한다.

      • KCI등재

        운동파모형을 이용한 저류함수법 매개변수의 특성 평가

        최종남,안원식,김형수,박민규 한국방재학회 2010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0 No.4

        The storage function model is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models for floo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in Korea. This paper studies the physical significance of the storage function model by comparing it with kinematic wave model. The results showed universal applicability of the storage function model to Korean basins. Through a comparison of the basic equations for the models, the storage function model parameters, K, P and , are shown to be related with the kinematic wave model parameters, k and p. The analysis showed that P and p are identical and K and can be related to k, basin area, and coefficients of Hack's law. To apply the storage function model throughout the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r, regional parameter relationships for K and were developed for watershed area using data from 17 watersheds and 101 flood events. These relationships combine the kinematic wave parameters with topographic information using Hack's Law. 저류함수법은 한국의 홍수예경보시스템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강우-유출 모형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저류함수법의 매개변수를 운동파모형과 비교하여 물리적 의미를 고찰하고 국내 하천유역에서의 일반적인 적용방법을 도모하고자 한다. 두 모형의 기본적인 방정식을 이론적으로 비교한 결과 저류함수법에서 저류량과 비선형관계인 유출량의 멱승을 나타내는 P와 운동파모형에서 유출수심과 비선형관계를 보이는 단위폭당 유량의 멱승을 나타내는 p가 동일하다고 볼 수 있었다. 또한, 저류함수법에서 저류상수와 지체시간을 나타내는 K와 은 운동파모형에서 유역특성상수를 나타내는 k, 유역면적 그리고 Hack의 법칙의 계수를 이용하여 관계식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와 함께 한국에서의 저류함수법의 일반적인 적용을 위해 K와 에 관한 매개변수 추정을 위한 식을 제안할 수 있었다. 이러한 관계식은 국내 전국에 산재한 17개의 댐지점에서의 101개의 호우사상으로부터 얻어졌다. 이들 관계식은 운동파 모형의 매개변수와 국내 하천유역에 대해 새롭게 발전된 형태로 얻어진 Hack의 법칙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었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1010部의 諸宗敎藏 중에서 국내 유일본 瑜伽行派 章疏들에 대한 서지적 연구

        최종남 한국서지학회 2020 서지학연구 Vol.83 No.-

        『新編諸宗敎藏總錄』(義天(1055-1101), 1010部․4857卷)의 편찬과 함께 판각된 제종교장의 原刊本은 현재 2부로서 『大方廣佛花嚴經隨疏演義鈔』와 『貞元新譯花嚴經疏』 만이 현존하고 있다(일본). 원간본의 판각 시기인 壽昌刊記가 기록된 필사본들로서는 『大方廣佛花嚴經隨疏演義鈔』, 『佛說金剛般若波羅蜜經略疏』 등이 현존하고 있으며(일본), 그리고 飜刻本으로서는 『成唯識論述記』, 『成唯識論了義燈抄』, 『成唯識論義景鈔』, 『瑜伽師地論義演』 등이 국내에 현존하고 있다. 이들에 대한 서지학적 조사는 2012년부터 2019년까지 「고려교장 결집 및 DB 구축사업」으로 국내외 소장 기관들을 방문하여 진행하였다. 본 프로젝트에서는 7년 동안 『교장총록』에 수록되어 있는 1010부 중에서 307부인 30.3%를 실측 조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서지 조사한 장소 중에서 대승불교 유가행파의 논서들인 『成唯識論』과 『瑜伽師地論』의 장소들을 중심으로 서지학적 소개 및 고찰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성유식론』은 동북아시아에서 108부가 찬술되었으며(『교장총록』에는 29부 수록), 그리고 『유가사지론』은 동북아시아에서 62부가 찬술되었다( 『교장총록』에는 19부 수록). 이 두 논서들은 유가행파 사상의 시대별 전개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문헌들이다. 이에 동북아시아에서는 두 논서들에 대한 많은 장소들이 찬술되었다. 그러나 아쉽게도 이 장소들은 다수가 산일되어 현존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현존하는 장소들 중에서 국내 유일한 판본들인 4부를 소개하였다. 4부 중에서 3부는 『성유식론』에 대한 장소로서 『술기』, 『요의등초』, 『의경초』와 1부는 『유가사지론』에 대한 장소로서 『의연』이다. 이 章疏들은 世祖年間에 刊經都監에서 번각한 목판본들이다. 이 장소들 중에서 『술기』(권6), 『요의등초』(권3․4), 『의경초』(권12․19)는 廣敎院에서 판각된 목판본들이며, 卷軸裝 형식에서 線裝으로 제책한 장소들이다. 그리고 모두 순천 송광사 四天王像에서 발견된 服藏典籍들이다. 『의연』은 송광사에 소장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권15․16의 卷首․卷末만 사진복사 자료로서 현존하고 있다. 특히 본 논문에서 소개되는 『의경초』와 『의연』 권16은 국내 유일의 목판본일 뿐만 아니라 동북아시아 어느 대장경, 혹은 어느 문헌들에도 수록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논문에서 소개되는 유가행파 목판본들과 각 卷次의 사상적 내용은 동북아시아의 지역별, 주석적 전개 과정, 그리고 논사별들의 사상적 위치들에 대해서 이해하고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적 가치가 있을 것이다. At present, regarding the original copies of the Jejonggyojang, which had been engraved together with the compilation of Shinpyeonjejonggyojangchongrok (Uicheon (1055-1101), 1010 titles, 4857 fascicles), there are 2 titles. Only Daebanggwangbulhwaeomgyeongsusoyeoneuicho and Jeongwonshinyeokhwaeomgyeongso have been existing presently (In Japan). Regarding the manuscripts in which the imprints of the issue of the Suchang Year, which is the time of the engraving of the original copy, had been recorded, Daebanggwangbulhwaeomgyeongsusoyeoneuicho, Bulseolgeumgangbanyakparamilgyeongyakso, etc. have been existing presently (In Japan). And, as for the reprint copies, Seongyushikronsulgi, Seongyushikronyoeuideungcho, Seongyushikroneuigyeongcho, Yugasajironeuiyeon, etc. have been existing presently (In Korea). Regarding the bibliographic investigation regarding these, it had been proceeded with by visiting the organizations that own them in Korea and overseas as ‘The Project for Collecting the Goryeogyojang in Mass and for Establishing a DB’ from the year 2012 until 2019. In this project, for 7 years, the survey investigation had been carried out with 307 titles, or 30.3%, from the 1010 titles that are contained in the Gyojangchongrok. In this thesis, among the possessions regarding which the bibliographic investigation had been carried out, centered on the possessions in the Seongyushikron and the Yugasajiron, which are the theses of the Mahayana Buddhism Yogācāra-School, the bibliographical introduction and consideration had taken place. Regarding the Seongyushikron, 108 titles had been written in Northeast Asia (In the Gyojangchongrok, 29 titles were contained). And, regarding the Yugasajiron, 62 titles had been written in Northeast Asia (In the Gyojangchongrok, 19 titles were contained). These two theses are the important literatures in understanding the unfolding, by the era, of the Yogācāra thought. As such, in Northeast Asia, a lot of the possessions regarding the two theses had been written. However, regretfully, regarding these possessions, because many of them had been scattered and lost, they do not exist at the present. In this thesis, among the possessions that exist at the present, 4 titles, which are the only woodblock- printed books in Korea, had been introduced. Among the 4 titles, regarding 3 titles, as the possessions regarding the seongyushikron, they are Sulgi, Yoeuideungcho, and Euigyeongcho. And, regarding 1 title, as a possession regarding the Yugasajiron, it is Euiyeon. These possessions are the block books that had been reprinted at the Gangyeongdogam in the year of King Sejo. Among these possessions, Sulgi (Vol.6), Yoeuideungcho (Vol.3․4), and Euigyeongcho (Vol.12․19) are the block books that had been engraved at the Gwanggyowon. And they are the possessions that had been bound from the Gweonchukjang form to the Seonjang. And all of them are the Excavated Documents that were discovered at the Statue of the Four Warrior Spirits at the Songgwangsa Temple in Suncheon. Although Euiyeon had been possessed at the Songgwangsa Temple, at the present, only the first volumes and the end volumes of the volumes 15 and 16 have been presently existing as the photo duplicated materials. Especially, regarding the Euigyeongcho and the volume 16 of the Euiyeon, which are introduced in this thesis, not only are they the only block books in Korea, but, also, they are not contained in any collection of the sacred writings of Buddhism or any literature in Northeast Asia. As such, regarding the ideological contents of the woodblocks of the Yogācāra and each volume, which are introduced in this thesis, they have the important material value in understanding and researching about the process of the regional and annotative unfolding in Northeast Asia and the ideological positions of the discussions.

      • 자연성 회복을 위한 소하천정비 방안

        최종남,Choi. Jong Nam 한국방재학회 2012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2 No.1

        최근 하천재해의 대부분이 지방하천과 소하천에서 발생하고 있는데 반하여 소하천의 정비율이 지방하천에 비하여 월등히 낮고, 기존의 정비도 수해복구 위주로 진행되어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어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들어 소하천정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자연형 소하천 정비공법 개발, 소하천정비사업의 예방투자에 대한 연구 및 소하천 설계기준 개정 등에 관한 준비가 진행되고 있어, 향후 소하천정비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소하천 정비사업을 계획하고 수행함에 있어, 정비 방향을 설정하고, 이에 따른 계획 및 설계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소하천은 지역별로 지형, 수문, 수리적 특징이 매우 다양하므로 소하천의 피해사례, 성공적인 정비사례 등을 분석하여 소하천의 특징을 이해함으로써, 적정한 정비방안을 수립하고, 하천의 기본기능인 치수, 이수, 환경적인 측면을 고려한 설계기법을 적용함으로써 하천의 자연성을 회복하고 친수적인 기능을 가미한 경제적이고 홍수에 안전한 소하천을 계획하고자 한다.

      • KCI등재

        중국․티베트 佛典 目錄들에 있어서 部와 『新編諸宗敎藏總錄』에 있어서 部의 分類體系에 대한 대조 연구

        최종남 한국서지학회 2016 서지학연구 Vol.67 No.-

        In this thesis, I compared and researched on classifications of the collections and the lists edited in China & Tibet, and in Shinpyeonjejongyojangchongrok, which national teacher Daegak Uicheon collected and edited with annotations written in northen east asian countries, China, Korea, and Japan. Among the Buddhist stura lists edited in China, the Collections of Hwayen and Prajna were recorded in the first part of Lidaisanbaoji, Datangneidianlu, Kaiyuanshijiaolu, and Shinpyeonjejongyojangchongrok. And the Hwayen collection was recorded in the first part like Lidaisanbaoji, Datangneidianlu, and Shinpyeonjejongyojangchongrok, except for Chusanzanggjiji. Therefore the reason why Hwayen collection was situated in the first part of Shinpyeonjejongyojangchongrok was because of Hwayen thought, the central thought of Mahayana thought, and influence by Lidaisanbaoji, Datangneidianlu, and a deep relationship that Uicheon had with Hwayen sect and Hwayen thought as a practitioner for 36 years. From this, I could find out that the name of three sutras, which placed in the first part of each collection of Shinpyeonjejongyojangchongrok, and researches & commentaries(章疏) lists, which situated in the latter part of the name of three sutras, were based on Datangneidianlu, Kaiyuanshijiaolu. In the Buddhist sutra lists of Tibet, the Prajna collection was placed in the first part from the list of lDan kar ma edited in the sNga dar(前傳期). The Esoteric Buddhism collection of Peking print and the Precept collection of sDe dge print were recorded in the first part of the books among Koreana engraved in the Phyi dar(後傳期). The Hwayen collection was situated in the first part of Tibetan lists and Koreana. The record of the Prajna collection in the list of lDan dkar ma situated in the first part was because of the of the Prajna and Madhyamaka though, which developed as the parts of practice and action with doctrine diversely in the sNga dar. And in the Phyi dar, the Esoteric collection and the Precept collection were placed in the first part of the Peking print and sDe dge print engraved in the processes of re-establishment of precept to rebuild Tibetan Buddhist Sangha Cluster disorganized by destruction of Buddhism and the movement of new Esoteric Buddhism to change the religious style accompanied with spell and Bon sect, the folksy religion. Although the collections and Koreanas edited and engraved in China, Korea, and Tibet had different classification systems, the collections of Hwayen and Prajna, the central thoughts of Mahayana Buddhism, were typically recorded in the first part of those books in common. 본 논문에서는 대각 국사 의천이 중국․한국․일본의 동북아시아에서 찬술된 주석서들을 수집․정리하여 편찬한 『新編諸宗敎藏總錄』(이하 『교장총록』)에 있어서 部와 중국․티베트에서 편찬된 목록들에 있어서 부의 분류체계를 서로 대조 연구하였다. 중국에서 편찬된 불전 목록들 중에서 『출삼장기집』을 제외하고 『역대삼보기』, 『대당내전록』, 『개원석교록』, 『교장총록』에서는 화엄부와 반야부가 서두에, 그리고 『역대삼보기』, 『대당내전록』에서는 『교장총록』과 같이 화엄부가 맨 먼저 각각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교장총록』 부의 순서에 있어서 화엄부가 맨 앞에 기록된 것은 화엄사상이 대승 사상 중의 중심사상이며, 그리고 『역대삼보기』, 『대당내전록』의 참조와 영향에 의한 것이며, 또한 의천이 36년간 수행자로서 화엄종과 화엄사상과의 깊은 인연 때문이다. 이와 함께 『교장총록』 각 부의 구성에 있어서 삼장명이 앞에 위치하고, 章疏 목록들을 삼장명 뒤에 위치한 것은 『대당내전록』과 『개원석교록』을 참조하여 배열한 것이다. 티베트의 불전 목록들 중에서 前傳期에 편찬된 『댄까르마 목록』의 맨 먼저 반야부가, 그리고 後傳期에 판각된 대장경들 중에서 북경본에는 비밀부(=밀교부)가, 그리고 데게본에는 율부가 맨 먼저 각각 기록되어 있다. 티베트의 목록과 대장경들에는 화엄부가 서두에 각각 기록되고 있다. 『댄까르마 목록』에 반야부가 맨 먼저 기록된 것은 전전기 시대에 반야․중관사상이 다양하게 교학과 실천․수행면으로 전개된 것이 반영된 것이고, 그리고 후전기 시대에는 토속적인 종교인 뵌(Bon)교와 주술이 합한 신앙형태를 바꾸기 위하여 신 밀교의 움직임이 전개되고, 그리고 패불에 의해 와해된 티베트 불교 승단을 재건하기 위하여 계율을 재정비하는 과정에서 판각되어서 북경본과 데게본은 각각 비밀부와 율부가 맨 먼저 기록되어 있다. 이와 같이 중국, 한국, 티베트에서 편찬․판각된 목록들과 대장경들에 있어서 부의 분류체계는 다르지만 대승의 중심사상인 화엄부와 반야부가 서두에 기록되어 있다는 것은 동일하고, 그리고 특징적이라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