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수도 시스템 지진 신뢰성의 합리적 평가를 위한 적정 지반운동예측식 결정

        최정욱,강두선,정동휘,이찬욱,유도근,조성배,Choi, Jeongwook,Kang, Doosun,Jung, Donghwi,Lee, Chanwook,Yoo, Do Guen,Jo, Seong-Bae 한국수자원학회 2020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3 No.9

        The water supply system has a wider installation range and various components of it than other infrastructure, making it difficult to secure stability against earthquak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methods for evaluating the seismic performance of water supply systems. Ground Motion Prediction Equation (GMPE) is used to evaluate the seismic performance (e.g, failure probability) for water supply facilities such as pump, water tank, and pipes. GMPE is calculated considering the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the magnitude of the earthquake and the ground motion such as PGV (Peak Ground Velocity) and PGA (Peak Ground Acceleration). Since the large magnitude earthquake data has not accumulated much to date in Korea, this study tried to select a suitable GMPE for the domestic earthquake simulation by using the earthquake data measured in Korea. To this end, GMPE formula is calculated based on the existing domestic earthquake and presented the result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evaluation will be more appropriate if the determined GMPE is used when evaluating the seismic performance of domestic waterworks. Appropriate GMPE can be directly used to evaluate hydraulic seismic performance of water supply networks.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quantify the damage rate of a pipeline during an earthquake through linkage with the pipe failure probability model, and it is possible to derive more reasonable results when estimating the water outage or low-pressure area due to pipe damages. Finally, the quantifying result of the seismic performance can be used as a design criteria for preparing an optimal restoration plan and proactive seismic design of pipe networks to minimize the damage in the event of an earthquake.

      • KCI등재

        저류특성을 고려한 북한강수계 발전용댐의 유형 구분방안 제시

        최정욱,정기문,강두선,안정환,김태순,Choi, Jeongwook,Jeong, Gimoon,Kang, Doosun,Ahn, Jeonghwan,Kim, Taesoon 한국수자원학회 2021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4 No.8

        Climate change threatens the security of domestic water resources in South Korea. To overcome the potential water shortage, various approaches are being studied by alterning the operation of dams or by integrated operation of multiple dams and reservoirs. However, most of the related researches were developed and applied for multi-purpose dams, and few studies were conducted for the hydropower dams. The main purpose of the hydropower dam is to generate electric energy; however, the potential water shortage due to prolonged droughts brings the idea to supply water from the hydropower dam in the basin. To that end, it is required to estimate the water supply ability of the hydropower dams. In this study, we proposed a methodology to classify the hydropower dam into a "storage-type" and "run-of-river type" dam. The proposed approach was demonstrated using the hydropower dams located in North-han River basi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for further analysis of the hydropower dams, such as evaluation of water supply capacity and drought mitigation purpose operation of the hydropower dams.

      • KCI등재

        상수관망 시스템의 골격화 기법 평가

        최정욱,강두선,Choi, Jeong Wook,Kang, Doosun 한국수자원학회 2015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8 No.10

        대규모 상수관망 시스템의 운영비용 절감을 위한 펌프장 운영 최적화 연구가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상수관망 시스템 운영 최적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짧게는 24시간, 길게는 1주일 이상의 시간모의가 필수적이며, 최적화 알고리즘과의 연계를 통한 시뮬레이션이 요구된다. 대규모 상수관망의 경우 관로 및 절점의 수가 수 천 혹은 수 만개에 달해 수리해석 및 최적화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실시간 운영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모형의 적용에 한계가 발생한다. 이처럼 모의시간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해당 상수관망 시스템의 수리 거동, 수질 해석 결과를 변화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관망을 간소화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실제로 운영되고 있는 송, 배수 시스템의 일부를 대상으로 시스템 간소화, 즉 골격화(Skeletonization)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모두 네 가지의 골격화 기법을 비교,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골격화 기법을 통해 대규모 상수관망의 해석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실제 상수관망의 실시간 운영 모듈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Studies of optimizing pump operation in water distribution networks (WDN) are receiving spotlight in recent days. However, the water networks are quite complex including thousands of or even tens of thousands of nodes and pipes, thus simulation time is an issue. In some cases, implementing a computer model for pump operation decisions is restrictive due to intensive computation time. To that end,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simulation time of water networks by simplifying the network layout. In this study, WDN skeletonization approaches were suggested and applied to a real water transmission network in South Korea. In skeletonizing the original network, it was constrained to match the water pressure and water age in the same junction locations to maintain the hydraulic and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in the skeletonized network. Using the skeletonization approaches suggested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reduce the simulation time of WDN and apply for developing a computer module of WDN real-time optimal operation.

      • KCI등재
      • 항만시설물의 재해위험도 평가기준 개발

        최정욱 ( Choi Jungwook ),이웅종 ( Lee Woongjong ),김영진 ( Kim Youngjin ),배정주 ( Bea Jungju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2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6 No.2

        국내·외 항만시설물의 재해 피해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재해위험도 평가대상 시설물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재해-항만시설물(태풍-방파제 및 지진-안벽)의 파괴모드 및 파괴변수를 분석하고 평가지표별 성능수준에 따른 정량적 손상한계기준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RFID 시스템을 이용한 거리 비종속 위치추정기법

        최정욱(Choi Jung-Wook),오동익(Oh Dong-I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1 No.2

        본 논문에서는 RFID 시스템을 기반으로 거리 비종속(range-free) 방식의 위치추정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에 서는 위치가 알려져 있는 참조태그를 먼저 인식한 후, 함께 인식되는 대상태그들이 어떤 참조태그 주변에 존재하는지 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때 대상태그의 위치를 참조태그와의 관계(근접여부)로 표현할 수 있게 하여 위치를 추정한다. 이를 위해 RFID 시스템에서 인식 빈도에 따라 거리를 추정할 수 있도록 에이징 카운터(Aging Counter)를 이용한다. 제안하는 위치추정기법의 유효성을 증명하기위해 본 논문에서 개발한 기법을 도서관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도서위치추정 시스템과 연계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We propose an RFID system based on range-free localization method. This method recognizes pre-determined reference tags first, and then checks within which reference tag the target tag is placed closest. It estimates target tag’s position relative to the reference tag’s position. We use Aging Counter to estimate the distance between reference and target tags using the read ratio of RFID tags. Practicality of the proposed method is verified by applying it to a library book locating system.

      • KCI등재

        냉동 고등어(Scomber japonicus)의 유통 온도 관리를 위한 Time-temperature Indicator 개발

        최정욱 ( Jeong-wook Choi ),이민경 ( Min-kyeong Lee ),최재혁 ( Jae-hyuk Choi ),장명기 ( Myung-kee Jang ),안동현 ( Dong-hyun Ahn ),남택정 ( Taek-jeong Nam ) 한국수산과학회(구 한국수산학회) 2018 한국수산과학회지 Vol.51 No.5

        We developed a time-temperature indicator (TTI) that rapidly determines whether frozen mackerel Scomber japonicus has thawed during its distribution. Our TTI was made from filter paper capable of absorbing mackerel exudate that was soaked in a 20% citric acid solution at pH 4.0 and then dried. The dried absorbent paper was cut and attached to blue litmus paper with a 2 mm overhang. The fixed litmus paper was covered with a polypropylene film and sealed. The indicator was placed inside a polyvinyl vacuum package containing the mackerel sample. The vacuum-sealed packaged was frozen at -20℃ for 24 h. After freezing, the color change and time dependence of the indicator were observed at room temperature (25℃) and demonstrated the utility of this TTI for rapidly determining whether frozen mackerel underwent thawing during distribution.

      • KCI등재

        인도의 사회적취약층에 대한 우대정책의 사례연구: 기타후진계층(OBC)에 대한 할당정책의 이해

        최정욱 ( Jungug Choi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4 韓國 政治 硏究 Vol.23 No.3

        사회적 취약층에 대한 우대정책의 해외사례로서 인도의 우대정책을 이 연구에서는 다루고 있다.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인도는 우대정책을 전세계적으로 가장 먼저 그리고 가장 강력하게 시행하고 있는 국가에 해당한다. 이 연구는 인도의 우대정책 중 특히 차상위계층에 해당하는 기타후진계층에 대한 할당정책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이를 위해서 우리에게 생소한 기타후진계층(other backward classes: OBC)이란 어떤 부류의 사람들을 이야기하는지를 먼저 살펴본 다음에, 지정카스트와 지정부족에 뒤이어 이들에게 우대정책의 일환으로 할당정책을 도입하게 된 역사적 과정을 살펴보고, 우대정책의 내용을 교육부문과 공직부문으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검토한다. 그러고 나서 이러한 우대정책의 효과와 문제점을 보기 위하여 도입결과 공공부문에서의 공직점유율이 사회집단별로 어떻게 변경되었는지 알아보는 동시에 기타후진정책에 대한 할당정책의 문제점을 살펴본다. 이러한 연구가 비단 우대정책에 대한 관심의 제고만이 아니라 한국 정치학계에서 상대적으로 부족한 인도에 대한 연구의 심화에 기여하였으면 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affirmative action program for the weaker sections in India, in particular, the so-called other backward classes (OBCs). India introduced, even if not well-known, the most comprehensive and strongest type of affirmative action program earlier than elsewhere in the world. This study focuses on the reservation policy for the OBCs among its other affirmative action programs. It begins by addressing the issues of who the OBCs are and how they are defined and differentiated from other social groups or classes. Then, it discusses the historical and constitutional context in which reservation policy was extended to the OBCs in addition to the other much more backward social classes, that is, the scheduled castes (SCs) and the scheduled tribes (STs). It continues to deal with the details of reservation policy for the other backward classes in the fields of higher education and public employment. Finally, it concludes with the effects of reservation policy and the problems with its implementation process including the issue of creamy lay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