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최정희의 <녹색의 문>에 나타난 여성 정체성 탐구 양상

        최정아(Jung A Choi) 한국현대소설학회 2010 현대소설연구 Vol.- No.44

        This thesis examines the process of women`s subjectivity developing as a historical subject, shown in <Green Door>, and studies the self-recognition as a female that is revealed during the process and the issue of feminine reality. Chapter 2 looks into the issue of women`s reemergence as the victim of `Imperialism` and `Ethnicity`, through the history of women`s suffering symbolized by Do Young-Hye and Yoo Bo-Hwa`s life. Do Young-Hye and Yoo Bo-Hwa both live a life of tragic suffering and ordeal after falling in love with and then parting with student activist Kim Yeong-Seo. The true nature of their tragedy is fully accounted for after the liberation, as Do Young-Hye is charged of being a female spy after the defection to North Korea of the communist man whom she dated, and as Yoo Bo-Hwa is burdened with all kinds of hardships of life ever since Lee Seong-Bae who raped her and forced her into marriage is killed after being revealed to be one of the pro-Japanese groups that cooperated with the Japanese Empire. While Yoo Bo-Hwa`s tragedy is caused by Japanese imperialism, Do Young-Hye`s tragedy is caused by ideology conflict between the left and right wing. However, the most fundamental cause that drives Do Young-Hye and Yoo Bo-Hwa`s life into tragedy is Kim Yeong-Seo. As Kim Yeong-Seo is a student thinker and a young nationalist, both Do Young-Hye and Yoo Bo-Hwa admire his patriotic aspect and falls in love with him. However, Kim Yeong-Seo deems Do Young-Hye as a mere object of sexual desire, and not only does he repudiate her harshly but also judges her as a prosecutor when Do Young-Hye is on trial charged of being a spy. Such duality of Kim Yeong-Seo can be seen as criticism towards the fact that the immense discourse of `Ethnicity`,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that forms women`s identity of the colonial era, carries aspects of oppression against women. Furthermore this implies that during the colonial era, in which the carrying of `Ethnicity` was inevitable, the reemergence of women`s identity would have been established under the state of such oppressive conditions internalized. For example, the meaning of the `Maternity` discourse can be reconsidered by the fact that the emphasis on maternity in Choi Jung-Hee`s novel published during the colonial era is a strategy to establish feminine subjectivity through embracing the identity as a mother that `Ethnicity` demands. In this perspective, <Green Door> evidently shows a critical point of view that decomposes the `Ethnicity` discourse from a female`s standpoint as a post-colonial feminism text. Additionally in chapter 2, we can discover the significance as a female novel from the fact that through Yoo Bo-Hwa`s self-awakening it is perceived that all ideologies such as nationalism, imperialism, communism are ideologies of men, and the prospect of overcoming this through bondage of women is presented. Especially, Do Young-Hye accusing the contradiction within men`s ideology represented by Kim Yeong-Seo during the trial, and inversely changing the trial stage into a stage of judgment of men`s sins toward the history of women`s suffering can be evaluated as acquiring a symbolic figure about women as a historical subject. In chapter 3, we examined the process of self-recognition as a women being revealed, from the perspective of intensification of feminine reality exposed through the method in which Yoo Bo-Hwa`s inner consciousness is formed, this is to say through such as mirror, wind, sky, and color images. For the various phases of development that Yoo Bo-Hwa shows, for example body, love, parting, violence, marriage, childbirth and etc, in each point of transition Yoo Bo-Hwa`s inner world is expressed through various objective correlatives such as mirror, wind, sky, color images, and this appears as Choi Jung-Hee`s unique way of constructing feminine reality. <Green Door> which charges `Imperialism` and `Ethnicity` as oppressive male ideologies, is a work that embodies the pu

      • KCI등재

        청소년의 지각된 부모지지, 자아통제력, 학교적응의 종단적 관계

        최정아(Choi Jung-Ah)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1 社會科學硏究 Vol.27 No.3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지지와 자아통제력, 그리고 학교적응이 시간에 따라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를 기반으로 한 상호연관성은 어떠한지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개별잠재성장모형 및 다변량잠재성장모형을 구성하여 한국청소년패널(KYPS)중학교 2학년 데이터 1~5차년도 자료에 대하여 실증적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5년 동안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지지, 자아통제력, 학교적응 수준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1차년도에 측정한 부모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동일한 시기의 학교적응과 자아통제력 수준이 높고, 자아통제력 수준이 높을수록 학교적응 수준 역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1차년도에서 5차년도까지 부모지지 수준이 급격하게 증가할수록 학교적응과 자아통제력 수준 역시 빠르게 증가하며, 자아통제력 수준이 가파르게 증가할수록 학교적응 수준의 증가폭 역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부모지지 및 자아통제력이 학교적응에 횡단적으로뿐 아니라 종단적으로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비추어 청소년의 학교적응 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한 부모 및 청소년에 대한 개입에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parental support, self-control, and school adjustment, as well as the development from Grade 8 to Grade 12 by repeated assessment of Korean adolescents. The data from Korea Youth Panel Study (KYPS) of 8th graders who were followed fer five years were analyzed using the latent growth model. Latent growth model showed that adolescents experience an increase in parental support, self-control, and school adjustment during five years. In addition, the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suggested that parental support had significant effects on school adjustment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self-control. The evolution of parental support was related to the evolution of school adjustment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the evolution of self-control. These results imply that parental support and self-control need to be emphasized as a strategy in order to improve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 KCI등재

        청소년의 스트레스 평가, 대처, 가족의사소통, 우울의 관계: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최정아 ( Jung Ah Choi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1 한국가족복지학 Vol.33 No.-

        본 연구의 목적은 스트레스 평가가 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접근대처와 회피대처를 매개변인으로, 그리고 가족의사소통을 조절변인으로 설정하여 스트레스 평가와 우울 간의 관계구조를 설정한 연구 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 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도권 소재 중학교 재학생 1,23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에 대하여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Ping의 2단계 방법을 이용하여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스트레스 평가는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 뿐 아니라 접근대처와 회피대처를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접근대처와 가족의사소통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접근대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가족의사소통 수준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청소년의 우울에 대한 예방 및 치료적 개입과 관련된 함의가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tress appraisal on adolescent depression.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developed and empirically tested a theoretical model where stress appraisal was hypothesized to affect depression either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both approach and avoidant coping controlling gender, socioeconomic status, and grade.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communication was also hypothesized. The data of 1,238 adolescents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stress appraisal was found to affect depression directly as well as indirectly through both approach and avoidant coping. In addition, the effect of approach coping on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moderated by family communica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it is suggested not only to improve coping skills and family communication respectively but also to develop ways increasing synergy effects between individual and family interventions.

      • KCI등재

        OER 활용 참여적 학습 : 오픈 러닝 시대에 필요한 기업교육방법론에 대한 고찰

        최정아(Jung-A Choi),강인애(Inae Kang),정은영(Eun Young Jeong) 한국기업교육학회 2021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23 No.4

        현 사회는 디지털 기술 및 네트워크 환경의 발달에 따라, 개방과 공유를 강조하는 오픈 러닝 시대, 참여적 활동을 강조하는 참여적 문화로 규명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문화적 현상과 트렌드는 기업 문화, 나아가 기업교육에도 변화를 요구하게 되었다. 곧, 지식과 정보의 공유와 참여가 이루어지는 기업 문화와 인재의 역량의 필요성에 따라 새로운 기업교육방법론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오픈 러닝과 참여적 문화의 각각에서 비롯된 ‘OER 활용 교육’과 ‘참여적 학습’을 연결하여, ‘OER 활용 참여적 학습’이라는 새로운 교육방법론을 고안하였으며, 이를 이 시대의 새로운 기업교육방법론으로서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OER 활용 교육과 참여적 학습의 선행 연구를 분석, 정리하고, 이를 종합하여 OBPL의 개념과 요소, 학습목표, 그리고 학습 단계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그 결과, OBPL의 요소는 ‘디지털 테크놀로지’, ‘관련성 및 동기’, ‘창조’, ‘연결’, ‘협력’, ‘순환’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학습 목표는 ‘지식적’,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실천적 측면’과 ‘디지털 리터러시’로 도출되었다. 그리고 학습 단계는 블렌디드 형태로 사전 온라인 학습과 오프라인 본 학습으로 나누어 총 7단계로 제시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급변하는 사회문화적 현상과 가치를 적극 수용, 반영한 OBPL을 기업교육의 새로운 교육방법론으로서 제시하고자 하였다. Due to rapid development and broad use of digital technology and network environments, the current society has been characterized as an era of Open Learning and Participatory Culture that highlights openness and sharing. These socio-cultural phenomena and trends demanded changes in corporate culture as well as corporate education. In turn, new corporate education methodology is required as information sharing and participating environment demanded new corporate culture and new competency in worker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new educational model called ‘OER-based Participatory learning (OBPL)’ by combining ‘OER-based learning’ and ‘Participatory learning’. Literature review on OER-Based Learning and Participatory learning was conducted to identified 6 elements(digital technology, relevance and motivation, creation, connection, collaboration, and circulation), 6 learning objectives(intellectual, cognitive, emotional, social, practical aspect and digital literacy) and 7 learning process of OBPL(pre-session activities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and main learning activities in an off-line environment).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OBPL as a new corporate educational method that actively accepts and reflects rapidly changing current socio-cultural phenomena and values.

      • KCI등재

        사이버명예훼손죄의 구성요건 분석 및 형사법적 규제 방안에 대한 소고(小考)

        최정일 ( Jung Il Choi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法學硏究 Vol.23 No.2

        오늘날 사이버공간은 우리에게 없어서는 안 되는 가상의 생활영역이 되었다. 일방향적인 매체특성을 가진 기존 매체(인쇄매체나 방송매체 등)와 달리 쌍방향적 매체특성을 가진 인터넷은 사회구성원들로 하여금 정보교류의 場에 능동적·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길을 열어놓았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기능하고 있다. 그러나 사이버 공간은 현실세계보다 더 자유로운 가상세계가 된 만큼 종래의 현실공간의 범죄가 사이버공간으로 확장되거나 사이버를 토대로 하는 범죄가 새롭게 등장하는 폐해가 존재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사이버 범죄 중에서 정보통신망법 제70조 사이버상 명예훼손죄를 오프라인상 명예훼손죄(형법)와 비교하여 그 쟁점을 검토하였다. 첫째, 표현의 자유와 개인의 명예보호간의 합리적 조화를 위해서는 매체특성이 다른 사이버공간상의 명예훼손의 경우 오프라인상의 명예훼손죄와 다른 새로운 해석기준이 필요하다는 견해가 있으나, 명예훼손의 성부(成否)를 사이버공간이라 해서 오프라인의 경우와 달리 볼 이유가 없기에 사이버공간의 명예훼손에 대해서도 형법상의 명예훼손 법리를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다만 피해자의 신속한 구제를 위한 제도적 장치는 추가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정보통신망법 제70조 사이버명예훼손죄의 체계적 지위와 관련하여 정보통신망의 정의 및 입법 취지를 고려하여 형법 제309조‘기타 출판물’에 인터넷은 포함되지 않는다고 보았다. 따라서 정보통신망법 제70조를 형법 제307조 일반명예훼손죄에 대해서는 가중적 구성요건으로, 형법 제309조 출판물 등에 의한 명예훼손죄와의 관계에서는 독자적 구성요건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이버명예훼손죄의 명예주체성과 관련하여 ID나 핸들네임 그 자체를 독자적인 명예의 주체로 볼 수 없다. 따라서 ID나 핸들네임에 대한 명예훼손의 여부는 명예의 주체성이 인정되는 ID 소유자에 대한 명예훼손죄의 문제로 다루면 족하다. 넷째, 형법 제309조 출판물 등에 의한 명예훼손죄 및 정보통신망법 제70조 사이버명예훼손죄에 있어서의‘비방의 목적’은 명예훼손의 고의와 내용면에서 차이가 없을 뿐만 아니라,‘비방의 목적’이 형법 제309조 및 정보통신망법 제70조의 성립을 제한하여 표현의 자유를 확대하는 기능 보다 오히려 형법 제310조(위법성조각)의 적용을 배제시켜 가벌성을 확대한다는 점에서 삭제될 필요가 있다. 또한 내심의 의사인‘비방의 목적’과‘공공의 이익을 위한다는 것’을 상호배척관계로만 보는 판례의 태도는 문제가 있다.‘비방의 목적’과‘공공의 이익을 위한다는 것’은 얼마든지 상호병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느 정도 상대방에 대한 비방의 목적이 있는 경우라도 그에 비하여 우월한 공공의 이익을 위하여 기타 출판물이나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명예훼손행위를 한 경우 형법 제310조의 적용을 배제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입법론과 관련하여 비방의 목적 삭제와 형법 제310조를 개정할 필요가 있다. 즉 형법제310조를“사람의 명예를 훼손하는 행위가 진실한 사실로서 오로지 공공의 이익에 관한 때에는 처벌하지 아니한다”로 개정하여 적시매체와 관계없이 모든 진실한 사실적시명예훼손행위를 형법 제310조의 적용대상으로 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와 같은 개정을 전제로하여 정보통신망법 제70조 사이버명예훼손죄를 형법전에 편입하고, 그 편입 형식은 별도의 조문을 신설하기보다는 형법 제309조를 개정하여‘기타 출판물’에 인터넷을 포함시키면 충분할 것이다. In the thesis, Among Cyber crimes, especially Cyber defamation(Article 70 of Service digital network Law) was dealt with through the thinking of Crminal law. most of all, issue of Cyber defamation was studied and reviewed with comparison to Off-line defamation. Since the Cyber space is not different from the Off - line space, we should apply the theory of criminal law’s defamation to the Cyber defamation. furthermore, we need to establish institutional devices for swift relief of victims additionally. In relation to systematic status concerning Article 70 Service digital network Law, we need to understand Article 70 of Service digital network Law as the aggravation constitutional requirement regarding Article 307 of Criminal law and independence constitutional requirement about Article 309 of Criminal law. besides, ID and Handle name should not be regarded as the subject of fame. So chance of defamation about ID and Handle name should be treated as the defamation problem about ID owner. Purpose of slander(in the Article 309 of Criminal law and Article 70 of Service digital network Law) is not different from intention of defamation in terms of its content. Also opinion of the Supreme court has many problems in that it sees a relation between‘purpose of slander’and‘for public interest’as contrary. A Relation between‘purpose of slander’and‘for public interest’should be thought as coexistent. Although there is somewhat purpose of slander on the other party, in case of defaming the other party for superior public interest through publication and service digital network. the Article 309 of Criminal law should be applied to that. In relation to legislation theory,‘purpose of slander’needs to be deleted from the Article 309 of Criminal law and Article 70 of Service digital network Law. also the Article 309 of Criminal law needs to be revised. Above all, Article 70 of Service digital network Law - Cyber defamation - should be incorporated into the Article 309 of Criminal law.

      • KCI등재

        스쿠버다이빙시설의 서비스품질, 고객만족, 재이용의도, 구전의도의 관계

        최정도 ( Jung Do Choi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08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13 No.4

        본 연구는 스쿠버다이빙시설의 서비스 품질 이론을 토대로 고객만족과 재이용의도 및 구전의도의 관계를 분석하여 스쿠버다이빙시설 경영자나 지도자가 소비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실질적인 만족을 제공함과 동시에 고객지향적 마케팅전략을 세울 수 있는 학문적인 기초자료 제시를 위해 강원도에 소재한 스쿠버다이빙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스쿠버다이빙 소비자 268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SPSS for Win Ver. 14.0과 AMOS 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스쿠버다이빙시설의 서비스품질은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품질 중 지도자, 직원, 부대시설, 주시설의 요인은 고객만족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프로그램요인은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쿠버다이빙시설의 고객만족은 재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쿠버다이빙시설의 고객만족은 구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쿠버다이빙시설의 재이용의도는 구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customer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in scuba diving facilities based on a theory of the quality of service in an attempt to ensure the supply of satisfactory service by the managers and instructors of the facilities and lay the academic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ustomer-oriented marketing strategi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68 consumers who used scuba diving establishments in Gangweon province on the shore of the East Sea. After they were surveyed,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quality of service provided by the scuba diving faciliti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Instructors, employees, incidental equipment and main facilities, which were factors of the quality of service, exercis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at, but programs didn``t. Second, customer satisfaction with the scuba diving facilities exert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revisit intention. Third, customer satisfaction with the scuba diving facilities affected their word-of-mouth intention in a significant manner. Fourth, the revisit intention of the customer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word-of-mouth intention.

      • KCI등재

        물질의 상태 분류에 대한 머신러닝 기반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최정인(Jung-In Choi),백성혜(Seoung-Hey Pa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중등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물질의 상태 분류에 대한 머신러닝 기반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실행하여 물질의 상태 분류 머신러닝 모델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모델의 평가 및 과학교사들의 경험을 질적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 및 과학수업에 머신러닝을 적용하는 것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인식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중부권 소재의 사범대학의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초·중등 과학교사 31명을 대상으로 총 3회의 물질의 상태 분류 활동을 수행하고 의사결정트리 알고리즘을 적용한 머신러닝 모델로 구축하였다. 그리고 정확도, F1-score 등 모델 성능 평가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과학교사들이 머신러닝의 적용에 대해 갖는 생각을 질적 분석하였다. 결과 총 3회의 물질의 상태 분류 활동 동안 구축된 모델의 성능 평가 결과 정확도, F1-score 등의 값이 정적으로 증가하여 물질의 상태 분류에 대한 머신러닝 기반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연구 참여자들의 머신러닝 모델 생성을 위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식에 근거한 연역적 사고과정을 통해 물질의 상태를 분류하는 경우가 있음이 드러났다. 머신러닝 모델의 분류 성능을 비교한 결과 미시적 분류 기준보다는 거시적 분류 기준이 더 큰 영향을 주었으며, 물질의 사례별 연구 참여자와 머신러닝 모델의 분류 결과를 비교하였을 때 혼합물의 경우 불일치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질적 연구 분석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이 머신러닝의 적용에 대해 갖는 생각을 ‘과학 개념의 생성 과정 체험’, ‘인지갈등’, ‘의사소통’ 등 9개의 주제로 도출하였다. 결론 머신러닝을 과학교육의 탐구학습 방안으로 교사교육에 적극 도입하여야 하며, 머신러닝 기반 교육 프로그램을 토대로 귀납적 사고와 같은 과학적 추론 과정을 제대로 반영할 수 있는 교과서 등의 교육 자료가 개발되어야 하겠다. 그리고 혼합물을 물질의 상태 분류 학습에 포함시켜야 하는가에 대한 과학적 관점에서의 논의가 필요하다. Objectives In this study, a machine learning-based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classifying the state of matter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ience teachers and machine learning model for state classification of matter was established. And by analyzing the model evaluation and the experience of science teachers qualitatively, it was attempte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nd the perception of science teachers about the application of machine learning to science classes. Methods For 31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enrolled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t the College of Education located in the central region, a total of three matter classification activities were performed and a decision tree algorithm was applied to the machine learning model.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confirmed through model performance evaluation such as accuracy and F1-score. In addition, we qualitatively analyzed the thoughts of science teachers on the application of machine learning. Results T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built model during a total of 3 state of matter classification activities, it was determined that the accuracy and F1-score values increased statically, resulting in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Machine Learning-Based Teacher Education Program on the Classifying State of Matter.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of the study participants, it was revealed that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states of matter are classified through a deductive thinking process based on knowledge. As a result of comparing evaluation indicators of the machine learning models, the macroscopic classification criteria had a greater effect than the microscopic classification criteria. And when the classification results between the machine learning model and the research participants for various examples were compared, in the case of mixtures, the degree of inconsistency increased. In addition,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analysis, the thoughts of science teachers on the application of machine learning were derived into nine topics, including ‘experience the process of creating science concepts’, ‘cognitive conflict’, and ‘communication’. Conclusions Machine learning should be actively introduced into teacher education as an inquiry-learning method of science education. And educational materials such as textbooks that can properly reflect scientific reasoning processes such as inductive thinking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machine learning-based education programs. And it is necessary to discuss from a scientific point of view whether mixtures should be included in the learning of Classifying State of Mat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