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형보간법을 이용한 기계학습 기반 매립지 침출수 발생량 예측 모델 개발

        최인하,차경환,김경민,안종화 대한환경공학회 2023 대한환경공학회지 Vol.45 No.1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single models according to the missing value handling techniques for predicting leachate generation. Method : Input factors such as leachate generation, landfill gas generation, and weather data (precipitation, wind speed, radiation,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were used from June 2002 to October 2018. Linear interpolation and mean method were used as the missing value handling techniqu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data into train and test data according to the optimal ratio. Various single models were used, and the prediction performance of the model was compared and evaluated using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Result and discussion : The gated recurrent unit (GRU) model was the best among the single models. In the GRU model, R2 was 0.867 for linear interpolation and R2 was 0.839 for the mean method, so that the GRU model using linear interpolation was most suitable for predicting leachate generation. In the ANN model, R2 of linear interpolation (0.862) was higher than that of mean method (0.828). In the long short-term memory (LSTM) model, R2 was 0.779 for linear interpolation and 0.762 for mean method. In the random forest (RF) model, R2 for linear interpolation (0.700) was also higher than that for the mean method (0.665). The model performance was excellent in the order GRU > ANN > LSTM > RF. The linear interpolation for the missing value handling technique was superior to the mean method in all models used in this experiment. Conclusion : The GRU using linear interpolation was the most suitable model for predicting landfill leachate generation. 목적 : 기계학습을 이용한 결측치 처리방식에 따른 침출수 발생량 최적 예측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 입력인자로 침출수 발생량, 매립가스 발생량, 기상데이터(강수량, 풍속, 일사량, 온도, 상대습도) 등을 2002년 6월에서 2018년 10월까지 사용하였다. 결측치 처리방식으로 선형보간법과 평균법을 사용한 데이터를 최적 비율에 따라 학습과 테스트데이터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다양한 단일모델을 사용하였으며 모델의 예측성능을 비교, 평가하기 위해 결정계수를 사용하였다. 결과 및 토의 : 단일모델 중 게이트순환유닛을 사용했을 때 가장 예측성능이 우수했다. 게이트순환유닛(gated recurrent unit, GRU)의 경우 선형보간법 결정계수(0.867)가 평균법 결정계수(0.839)보다 높아 선형보간법을 사용한 GRU 모델이 침출수 발생량 예측에 가장 적합하였다.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모델에서 결정계수는 선형보간법의 경우 0.862, 평균법의 경우 0.828이었다. 장단기메모리(long short-term memory, LSTM) 모델에서 결정계수는 선형보간법 0.779, 평균법 0.762로 나타났다. 랜덤포레스트(random forest, RF) 모델에서도 선형보간법을 사용한 결정계수(0.700)가 평균법을 사용한 결정계수(0.665)보다 높았다. 모델의 성능은 GRU > ANN > LSTM > RF 순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에 사용한 모든 모델에서 평균법보다 선형보간법을 사용하는 것이 결정계수가 높았다. 결론 : 매립지 침출수 발생량을 예측할 때 선형보간법을 사용한 GRU 모델이 가장 우수하였다.

      • KCI등재

        건설현장 모니터링을 위한 단안 카메라 기반의 소실점을 이용한 높이 결정

        최인하,소형윤,김의명,Choi, In-Ha,So, Hyeong-Yoon,Kim, Eui-Myoung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2021 지적과 국토정보 Vol.51 No.2

        정부의 중·소형 민간공사장 안전관리 강화대책 발표에 따라 CCTV 설치 의무화 대상이 대형 공사장에서 중·소형 공사장으로 확대되었다. 하지만 기존의 건설현장의 CCTV는 안전관리를 위한 단순 관제용으로 활용되고 있어 건설현장의 모니터링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단안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단 영상을 기반으로 3개의 소실점(vanishing point)을 계산한 후 내부표정요소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카메라 행렬을 결정하고 기준 객체의 높이를 통해 대상 객체의 높이를 계산하여 정확도를 검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단안 카메라 기반의 소실점을 이용한 높이 결정 실험을 통해 별도의 지상기준점 측량 없이 단 영상만으로 대상 객체의 높이를 결정할 수 있었으며, 정확도를 평가한 결과 평균제곱근오차는 ±0.161m로 나타났다. 따라서, 단안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단영상을 통해 건설현장의 공사 진척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ccording to the government's announcement of the safety management enhancement policy for small and medium-sized private construction sites, the subject of mandatory CCTV installation has been expanded from large construction sites to small and medium-sized construction sites. However, since the existing CCTV at construction sites has been used for simple control for safety management, so research is needed for monitoring of construction sites. Therefore, in this study, three vanishing points were calculated based on a single image taken with a monocular camera, and then a camera matrix containing in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information was determined. And the accuracy was verified by calculating the height of the target object from the height of the reference object. Through height determination experiments using vanishing points based on a monocular camera, it was possible to determine the height of target objects only with a single image without separately surveying of ground control points. As a result of the accuracy evaluation, the root mean square error was ±0.161m. Therefore, it is determined that the progress of construction work at the construction sites can be monitored through the single image taken using the single camera.

      • KCI등재후보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최인하 한국청소년상담학회 2023 청소년상담학회지 Vol.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in school counselors. The research questions set for this purpose are: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resilience, and burnout? Second, what are the effects of job stress and resilience on burnout? Third, what is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resilience and burnout. Second, job stres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burnout. Resilience was found to have a negatively significant effect on burnout.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was found to be significant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This suggests that resilience acts as a protective factor in the effect of school counselors' job stress on burnout. 본 연구는 학교상담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직무스트레스, 회복탄력성, 소진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직무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는 어떠한가?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간에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복탄력성과 소진 간에는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는 소진에 정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복탄력성은 소진에 부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간에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교상담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이 보호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이 인식하는 사회적낙인감이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

        최인하 한국아동교육학회 2023 아동교육 Vol.32 No.3

        This study purpose to find out the moderating effect of adaptation flexibility on the effect of social stigma perceived by children using local children's centers on happiness, and to suggest effective intervention plans for children suffering from various problems due to stigma.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300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4th to 6th grades among the children using local children's centers installed in the Gyeongnam region,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Although social stigma reduces happiness,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moderating effect of adaptation flexi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and happiness. This suggests that it is possible to develop self-regulation and regulatory abilities by using positive emotions such as resilience, away from coercive methods such as existing control and regulation.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이 인식하는 사회적낙인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 낙인으로 인해 다양한 문제를 겪는 아동들에 효과적인 개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지역에 설치된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 중 초등학생 4~6학년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과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구조방식을 토해 분석하였다. 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회적낙인감이 행복감을 감소시키나, 사회적낙인감과 행복감 관계에서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가 있음이 나타났다. 이는 통제와 규제와 같은 기존의 강제적인 방법에서 벗어나 적응유연성과 같은 긍정 정서를 활용하여 스스로 규제하고 조절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울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SCOPUS

        3차원 산림공간정보 서비스를 위한 산림 디지털트윈 구현 연구

        최인하 ( In-ha Choi ),남상관 ( Sang-kwan Nam ),김승엽 ( Seung-yub Kim ),이동국 ( Dong-gook Lee ) 대한원격탐사학회 2023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9 No.5

        최근 우리나라는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하였고, 산림청에서는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하여 디지털트윈 기반으로 산림자원 관리, 산림재해 예방 등을 위한 K-포레스트 추진계획을 발표하였으며, 드론, LiDAR 등의 활용으로 산림자원 조사의 정밀화 및 첨단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처럼 산림자원 관리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산림공간의 디지털트윈 구축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우리나라의 디지털트윈은 도시 및 전국단위 디지털트윈 환경인 가상도시 서비스만을 구축 및 제공하고 있으며, 산림 공간을 대상으로하는 3차원 디지털트윈 서비스는 운영 및 제공되고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목 단위의 수고, 흉고직경과 같은 수직적 정보에 해당하는 3차원 산림공간정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산림 디지털트윈 환경을 구현하고자 하였으며, 실감형 3D 나무모델의 경량화, 3D Tiles 적용으로 3차원 산림공간정보 서비스를 위한 산림 디지털트윈 환경 구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도심지 내의 가로수를 포함해 전국단위 수목을 대상으로 3D 나무모델 배치 및 서비스 가능한 산림 디지털트윈 구현할 예정이며, 이를 통하여 산림자원 관리를 위한 산림 디지털트윈 서비스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Korea has declared carbon neutrality by 2050. The Korea Forest Service is promoting the precision and high technology of forest resource surveys. As such, the demand for forest resource management is increasing, and the need to build a digital twin of forest space is increasing. However, to date, digital twin has only built and provided virtual city services, which are city and nationwide digital twin environments. Three-dimensional digital twin services targeting forest space are not operated and provid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aimed to implement a forest digital twin environment to provide 3D forest spatial information services corresponding to vertical information such as tree-level height and thorax diameter. By lightweighting realistic 3D tree models and applying 3D Tiles, we confirmed the feasibility of implementing a forest digital twin environment for 3D forest spatial information services. Through continuous research, we plan to implement a forest digital twin that can deploy and service 3D tree models for trees nationwide, including street trees in urban areas. This is expected to enable the development of forest digital twin services for forest resource management.

      • KCI등재후보

        청소년이 지각한 학업 스트레스가 또래관계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

        최인하(In-Ha Choi) 한국청소년상담학회 2022 청소년상담학회지 Vol.3 No.4

        The purpose of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out the moderating effect of positivepsychological capital on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school life adaptation and peerrelationships in adolescent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350 middle schoolstudents located in Daegu and Gyeongbuk.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stress, school lifeadaptation, peer relationships,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chool life adaptation, and peerrelationships. Second, it was found tha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a moderating effecton the negative effects of academic stress on school life adaptation and peer relationships. Inother words, even in adolescents with high academic stress, it means that negative problemsrelated to school life adaptation and peer relationships are reduced if positive psychologicalcapital is high. Considering that positive emotions such a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adolescents are an important factor that can control various negative problems in adolescentswith high academic stress, this is a positive psychology of adolescents in various areas of oursociety beyond home and school. It also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professionaland realistic programs that can increase positive emotions such as capital.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긍정심리자본의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 대구․경북에 소재한 중학년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 또래관계, 긍정심리자본 간에는 통계적으로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긍정심리자본과 학교생활적응, 또래관계 간에는 통계적으로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부정적영향을 긍정심리자본이 조절효과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업스트레스가 높은 청소년이라도 긍정심리자본이 높으면 학교생활적응과 또래관계에 대한 부정적인 문제가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청소년의 긍정심리자본과 같은 긍정적 정서가 학업스트레스 높은 청소년들에게 나타나는 다양한 부정적 문제를조절해 줄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임을 감안 할 때, 가정과 학교현장에서 더 나아가 우리 사회의 여러 영역에서청소년의 긍정심리자본과 같은 긍정적 정서를 높일 수 있는 전문적이고 현실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질필요가 있음도 시사한다.

      • 드론의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기준점 배치에 따른 시뮬레이션

        최인하(Inha Choi),김의명(Euimyoung Kim) 대한공간정보학회 2021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1

        본 연구에서는 드론의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해 촬영 계획을 기반으로 지상기준점과 드론의 위치/자세 및 카메라의 위치/자세 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하였다. 생성한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상기준점(GCP: Ground Control Point) 배치에 따른 시스템 캘리브레이션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 카메라와 GPS 센서 간 기선 차이가 각 -0.12m, -0.04m로 나타나 기준점의 배치가 캘리브레이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학업무기력과의 관계에서 우울과 학업스트레스의 이중 매개효과

        최인하(In-Ha Choi) 한국청소년상담학회 2023 청소년상담학회지 Vol.4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학업무기력과의 관계에서 우울과 학업스트레스의 이중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에 재학중인 중학교 2-3학년 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거된 설문지는 SPSS 통계 프로그램과 SPSS Macro를 통해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청소년의 스마트폰과의존과 학업무기력 그리고 우울과 학업스트레스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우울과 학업스트레스가 매개효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직접효과보다 우울과 학업스트레스를 경유하여 미치는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우울과 학업스트레스가 매개 역할을 함으로서 학업무기력을 더 부정적으로 만들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관련하여 학업무기력을 감소하는데 있어 우울과 학업스트레를 감소시키면 학업무기력 감소가 효과적일 수 있다는 시사점들을 언급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academic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academic helplessness in adolescent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500 students in grades 2 and 3 of junior high schools in Daegu and Gyeongbuk, and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conducting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rough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and SPSS Macro. Th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between adolescents' dependence on smartphones, academic lethargy, depression, and academic stress. In addition, depression and academic stress were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adolescents' overdependence on smartphones on academic lethargy, and the effect of adolescents' overdependence on smartphones through depression and academic stress was greater than the direct effect on academic lethargy. This means that depression and academic stress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impact of adolescents' overdependence on smartphones on academic lethargy, making academic lethargy more negative. Therefore, in relation to adolescents' overdependence on smartphones, we have cited implications that reducing depression and academic weakness may be effective in reducing academic lethargy.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감각추구성향이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최인하(In-Ha Choi) 한국청소년상담학회 2022 청소년상담학회지 Vol.3 No.1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감각추구성향이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 부산․경남에 소재한 중학년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감각추구 성향과 스마트폰 과다사용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존중감과 스마트폰 과다사용 간, 자아존중감과 감각추구성향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감각추구성향이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자아존중감이 긍정적으로 조절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감각추구성향이 높은 청소년이라도 자아존중감이 높으면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부정적인 문제가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감각추구성향이 높은 청소년들의 긍정적인 스마트폰 사용을 위해 감각추구성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기보다는 자아존중감을 높여 스마트폰 사용을 긍정적으로 도울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Sensation -seeking orientation on the excessive use of smartphones.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300 middle-aged students in Busan and GyeongNam.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nsation -seeking orientation and smartphone overuse,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smartphone overuse, and between self-esteem and Sensation –seeking orient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positively controls the negative effects of adolescents' Sensation seeking on smartphone overuse. In other words, even in adolescents with a high Sensation seeking orientation, if their self-esteem is high, negative problems regarding smartphone use are reduced. This suggests that for the positive smartphone use of adolescents with high sensation seeking orientation, it is possible to positively help smartphone use by increasing self-esteem rather than directly engaging in Sensation seeking orie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