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모의 비감염 질환이 태아 및 신생아에 미치는 영향

        최영륜 ( Young Youn Choi ) 대한주산의학회 2010 Perinatology Vol.21 No.3

        Fetal development is achieved under the influences of maternal environment, utero-placental function and the genetic growth potential which lead to development and maturation of tissues and organs. In the optimal condition, normal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fetus will be achieved and process of labor and delivery will be easier. And also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metabolic adaptation of the newborn in extrauterine environment will progress naturally. However, if there is unsatisfactory environmental condition such as maternal illness, problems including abnormal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fetus, difficult labor and delivery and uneasy transition to extrauterine environment may occur. This article reviews the effects of noninfectious diseases of pregnancy such as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thyroid and autoimmune diseases on the fetus and newborn.

      • KCI등재
      • KCI등재

        조기 양막파수 산모로부터 태어난 신생아의 관리

        조영국 ( Young Kuk Cho ),임호경 ( Ho Kyoung Lim ),김선희 ( Sun Hee Kim ),박천학 ( Chun Hak Park ),최영륜 ( Young Youn Choi ) 대한주산의학회 2005 Perinatology Vol.16 No.2

        목적: 신생아 패혈증은 조기진단이 어렵고 중증으로 진행하는 속도가 빨라서 조기 양막파수(PROM)와 같은 신생아 패혈증의 고위험 인자가 있을 때는 패혈증 여부를 조기 진단하여 적절하고 충분한 항생제를 투여해야 한다. 이에 저자들은 PROM 산모로부터 태어난 재태주령 35주 이상의 신생아의 파수시간에 따른 임상 증상 및 검사실 소견을 살펴보고 패혈증의 조기 진단 및 항생제 투여에 관한 기준을 정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법: 1998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만 5년간 전남대학교병원에서 출생한 신생아 3,850예 중 PROM 산모로부터 태어난 591예의 환아 중 재태연령 35주 이상인 신생아 125예를 대상으로 파수시간과 신생아에서의 CRP와 발열, 혈액 배양, 말초혈액 총백혈구수와 중성구(%), 모체의 발열 및 모체의 총백혈구수 간의 상관관계를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결과: 1) 신생아 3,850예 중 PROM이 591예(15.4%)이었으며 그 중 재태주령 35주 이상인 PROM은 125예로 총 신생아의 3.5%를 차지하였고 연도별 발생 추이는 차이가 없었다. 2) 파수시간에 따라 CRP 양성률과 신생아 발열 빈도 및 신생아 패혈증 발생과는 상관이 없었으나 신생아에서 항생제 사용률이 높았다. 3) 신생아 패혈증 군에서 CRP 양성률과 신생아 발열 및 산모의 발열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고, 산모의 항생제 사용률이 낮았다. 결론: PROM 산모로 태어난 신생아 중 재태주령 35주 이상인 경우는 파수시간에 관계없이 산모의 발열, 산모의 항생제 사용 유무와 신생아의 혈액배양과 CRP 등의 전반적인 평가를 실시하고 패혈증의 증상 유무에 따라 항생제를 시작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his clinical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 of premature rupture of the membranes (PROM) on neonatal sepsis in infants who were delivered more than 35 weeks of gestational age (GA). Methods: Clinical data were collected from 125 newborns of mothers with PROM who were delivered more than 35 weeks of GA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five-year period from January 1998 to December 2002. Results: The incidence of PROM was 15.4% with little yearly variations and PROM in which GA more than 35 weeks was 3.5%. The incidence of positive C-reactive protein (CRP), neonatal fever and neonatal sepsis were not increased but the neonatal use of antibiotics was increased in relation to the duration of the PROM. In the patients with neonatal sepsis, positive CRP rate and incidence of neonatal and maternal fever were significantly high, and use of maternal antibiotics was significantly low. Conclusion: When the newborns of mothers with PROM were delivered more than 35 weeks of GA, maternal history of fever or antibiotic treatment and neonatal history of fever, blood culture and CRP should be checked regardless of duration of PROM, and then begin to start antibiotics according to the baby`s clinical signs and symptoms.

      • KCI등재

        조직학적 융모양막염 및 제대 혈관염이 극소 저체중 출생아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

        이영진 ( Young Jin Lee ),송태복 ( Tae Bok Song ),최영륜 ( Young Youn Choi ),송은송 ( Eun Song Song ) 대한주산의학회 2010 大韓周産醫學會雜誌 Vol.21 No.1

        목적: 융모양막염과 조산, 만성 폐질환 및 뇌실주위 백질연화증과의 관계에 대해 많은 보고가 있지만 아직도 논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조직학적 융모양막염(HC) 및 제대 혈관염(F)이 극소 저체중 출생아의 예후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4년부터 2008년까지 전남대학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극소 저체중 출생아 중 태반 조직검사가 실시되었던 363명(HC (+) 103명 vs. HC (-) 260명)과 그 산모 324명(HC (+) 88명 vs. HC (-) 236명)의 의무 기록지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HC (+)군과 HC (-)군 간에 임상적 특성을 비교하였고, 조직학적 융모양막염(HC) 및 제대 혈관염(F)이 극소 저체중 출생아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 HC (+) 산모군이 HC (-)에 비해 조기 양막 파수와 조기 진통은 많았고 전자간증/자간증은 적었다(각각 P<0.05). HC (+) 환아군이 HC (-)에 비해 출생체중과 Apgar 점수가 낮았고 제왕 절개율과 자궁내 성장지연은 적었다(각각 P<0.05). HC (+) 환아군이 HC (-)에 비해 호흡 곤란 증후군과 사망은 많았고 괴사성 장염은 적었으나(각각 P<0.05) 제대 혈관염(F) 유무에 따른 차이는 없었고, 여러 위험인자를 보정한 결과 조직학적 융모양막염이 호흡 곤란 증후군과 괴사성 장염 및 사망에 영향을 주지는 않았다. 결론: 조직학적 융모양막염 및 제대 혈관염이 조산과 관계가 있으나 극소 저체중 출생아의 합병증과 사망률에 대한 영향은 없었다. Purpose: The association of chorioamnionitis and preterm birth, chronic lung disease (CLD) and periventricular leukomalacia (PVL) has been reported, however, controversy is still presen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histologic chorioamnionitis (HC) and/or funisitis (F) affected the clinical outcomes of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VLBWI, <1,500 g).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VLBWI who were admitted at NICU, Chonnam University Hospital from 2004 to 2008 with placental biopsy result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Maternal (n=324) and neonatal (n=363) characteristics and their clinical outcomes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placental pathology. Results: HC (+) mothers (n=88) had higher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and preterm labor, and lower rates of preeclampsia/eclampsia (P<0.05 at each) than HC (-) mothers (n=236). HC (+) infants (n=103) had lower birth weight and Apgar score, higher rate of Cesarean section and lower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P<0.05 at each) rates than HC (-) infants (n=260). HC (+) infants had higher rates of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nd mortality, and lower rate of necrotizing enterocolitis (P<0.05 at each), however, when adjusted for verified multivariables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C didn`t affect the clinical outcomes. Conclusion: It was known that intrauterine infection or fetal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FIRS) was associated with neonatal outcomes. However, our results suggest that HC with or without funisitis is not an isolated risk factor to affect the clinical outcomes in VLBWI.

      • SCOPUSKCI등재

        범저감마 글로불린혈증 환아에서 B형 간염 바이러스 수직 감염에 의해 발생한 간세포 암종 1례

        오종곤,김병주,국훈,우영종,최영륜,마재숙,황태주,서종진,Oh, Jong-Gon,Kim, Byung-Ju,Kook, Hoon,Woo, Young-Jong,Choi, Young-Youn,Ma, Jae-Sook,Hwang, Tai-Ju,Seo, Jong-Jin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0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3 No.1

        저자들은 B형 간염 바이러스에 수직 감염된 13세 된 XLA 환아에서 발생한 간세포 암종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며, 간세포 암종의 발생은 XLA 환아에서 수직 감염된 B형 간염 바이러스가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못해 발생되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X-linked agammaglobulinemia (XLA) is a primary inherited B-cell immunodeficiency. The prevalence of neoplastic disease in patients with XLA is approximatedly 0.7%. The most frequent tumor is lymphoreticular malignancy. We report a case of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in a 13-year-old boy with XLA, after probable maternal transmission of hepatitis B virus. The authors consider that the vertical transmission of hepatitis B virus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HCC in a child with XLA who could not eliminate hepatitis B virus effectively.

      • KCI등재

        음순 유착(Labial Adhesion) 1례

        노하영,오찬균,손경란,국진화,최영륜,Roh, Ha Young,Oh, Chan Kyun,Son, Kyung Ran,Kook, Jin Hwa,Choi, Young Youn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12

        저자들은 5개월 영아에서 음순 유착이 관찰되어 에스트로겐 크림의 국소 도포와 도수 분리로 3주만에 호전을 보인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Labial adhesions are postnatal fusion of the labia minora in the midline of varying degrees. They are postulated to be the result of low estrogen levels in the prepubertal child and possibly of a chronic inflammatory process. Topical treatment with conjugated estrogens has been the mainstay of therapy. We experienced one case of labial adhesion in an infant who was treated with estrogen cream for three weeks without any complication. Here we present this case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 SCOPUSKCI등재

        위혈관종증에 의해 초래된 위-십이지장 중첩증 1례

        박아람,김병주,국훈,우영종,최영륜,마재숙,황태주,Park, A-Ram,Kim, Byung-Ju,Kook, Hoon,Woo, Young-Jong,Choi, Young-Youn,Ma, Jae-Sook,Hwang, Tai-Ju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0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3 No.2

        Gastroduodenal intussusception is an invagination of part of the stomach through the pylorus and into the duodenum for a varying distance. The lead point of the intussusception is usually a benign gastric tumor such as gastric adenoma. We report a case of gastroduodenal intussusception in a 33-month-old boy presented with nonbilious vomiting and abdominal pain. Laparotomy revealed a gastroduodenal intussusception. After reduction and gastrostomy, a mass measuring $15{\times}5\;cm$ in size, was found at the leading point of the intussusceptum. The mass was resected, and pathological diagnosis showed a gastric hemangiomatosis.

      • SCOPUSKCI등재

        당뇨병 산모아에서 출생 체중군에 따른 합병증 및 주산기 인자

        손경란,백희조,조창이,최영륜,송태복,박천학,Son, Kyung-Ran,Back, Hee-Jo,Cho, Chang-Yee,Choi, Young-Youn,Song, Tae-Bok,Park, Chun-Hak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5

        목 적 : 당뇨병 산모의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이들에서 태어난 신생아에서 거대아, 대사성 합병증, 선천성 기형 및 분만 손상 등의 주산기 유병률이 높아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당뇨병 산모아에서 출생 체중에 따른 주산기 합병증 및 주산기 인자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1996년 1월부터 2002년 3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에서 입원하였던 단태 임신의 당뇨병 산모와 그 신생아 중, 부당 경량아와 재태 연령 30주 미만의 환아를 제외한 301례를 대상으로 하여 산모에서는 체중과 신장, 분만력, 당화 혈색소치, 당뇨병의 분류 및 치료를, 그리고 신생아에서는 대사성 합병증, 분만 손상 및 심기형을 포함한 선천성 기형에 대해 의무 기록지를 통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대상아를 부당 중량아군(1군, 162명)과 적정 체중아군(2군, 139명)으로 나누어 합병증 및 주산기 인자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결 과: 대사성 합병증은 저마그네슘혈증(37.5%), 황달(21.3%), 저혈당증(11.0%) 및 저칼슘혈증(7.0%) 순이었으며, 분만 손상은 59명(19.6%), 동반된 선천성 기형은 동맥관 개존을 포함하여 75명(24.9%)이었고 심기형이 가장 많았다. 부당 중량아군(1군)과 적정 체중아군(2군) 두 군간의 주산기 합병증을 비교해 본 결과, 1군에서 2군에 비해 황달의 빈도(27.7% vs. 16.7%, P<0.05)와 저혈당증 빈도(15.6% vs. 7.4%, P=0.02), 빈호흡의 빈도(10.6% vs. 3.6%, P<0.05) 및 분만 손상의 빈도(24.1% vs. 14.5%. P<0.05)가 의의 있게 높았으며, 심실 중격이 두터웠다($5.5{\pm}3.1mm$ vs. $4.7{\pm}1.1mm$, P<0.05). 당뇨병 산모아의 출생 체중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산기 인자를 비교해 본 결과, 1군에서 산모의 키와 임신 전 체중 및 임신 기간 중 체중 증가가 의의 있게 컸고(모두 P<0.01), 산모가 임신 기간 동안 임신성 당뇨를 인지하지 못했던 경우가 더 많았다(21.7% vs. 6.6%, P<0.01). 결 론 : 당뇨병 산모아에서 출생 체중군에 따른 주산기 합병증은 부당 중량아군에서 적정 체중아군에 비해 황달, 저혈당증 및 분만 손상의 빈도가 의의 있게 높았고 심실 중격 두께가 두터웠으며, 산모의 키가 더 크고 임신 전 체중 및 임신 기간 동안 체중 증가가 컸으므로, 부당 중량아를 분만할 수 있는 고위험 임산부에 대한 주의 깊은 검사와 관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Purpos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complications and perinatal factors according to the birth weight groups in the infants of diabetic mothers(IDM). Methods : Three hundred and one singleton diabetic mothers and their babies of more than 30 weeks' gestational age admitted in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Chonnam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96 to March 2002 were enrolled. Complications and perinatal factors were compared between large for gestational age(LGA) and appropriated for gestational age(AGA) infants. Results : Hypomagnesemia was observed in 37.5%, jaundice in 21.3%, hypoglycemia in 11.1%, hypocalcemia in 7.0%, and birth injury in 19.6%. Congenital anomaly was noted in 24.9% with cardiovascular anomaly most commonly. In the LGA group, the frequencies of jaundice, hypoglycemia, tachypnea, and birth injuries were higher, and the interventricular septum was thicker than the AGA group. In the LGA group, Cesarean section rate, maternal height, weight before pregnancy,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and the incidence of unawareness of gestational DM were significant compared with the AGA group. Conclusion : In the LGA group, the frequencies of jaundice, hypoglycemia, tachypnea, and birth injuries were higher, and the interventricular septum was thicker than the AGA group. In the LGA group, maternal height, weight before pregnancy and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were larger, and the incidence of unawareness of gestational DM was higher compared with the AGA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reful examination and management are needed to detect the high risk, pregnant DM mothers with possible LGA babies.

      • SCOPUSKCI등재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캔디다 패혈증의 발생 추이와 위험 인자

        최익선,임석환,조창이,최영륜,황태주,Choi, Ic Sun,Lim, Suk Hwan,Cho, Chang Yee,Choi, Young Youn,Hwang, Tai Ju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7

        목 적: 신생아 캔디다 패혈증은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시행되지 않을 경우 높은 이환율과 사망률을 유발할 수 있어, 특히 집중 치료가 필요한 저출생 체중아의 예후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이에 저자는 최근 6년간 전남대학교병원 신생아 집중 치료실의 캔디다 패혈증 발생 빈도와 추이, 임상 형태와 특징 및 위험 인자 등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방 법: 1995년 7월부터 2001년 6월까지 만 6년간 전남대학교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했던 환아 4,587명 중 캔디다 패혈증으로 확진된 환아 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발생률, 임상 양상, 선행된 항생제 치료, 검사 소견, 장기 침범 유무, 위험 인자 및 사망 여부 등을 환아의 의무 기록지를 통해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또한 출생 시기, 출생 체중 및 재태 주령이 비슷하면서 캔디다 패혈증이 없었던 환아 29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위험 인자를 비교하였다. 결 과 : 1)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6년간 캔디다 패혈증의 발생 빈도는 전체 입원 환아의 0.61%, 극소 저출생 체중 환아의 3.68%였으며, 연간 발생률은 전체 환아 및 극소 저출생 체중아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2) 캔디다 패혈증 환아에서 대조군에 비해 기도내삽관(endotracheal intubation), 경피 중심 정맥 도관술(PCVC, percutaneous central vein catheterization), 제대 정맥 도관술, 총정맥 영양 사용, 지방유제 사용 및 dopamine 사용 빈도가 의의 있게 높았다(모두 P<0.01). 또한 기도내 삽관 유지 기간, PCVC 또는 제대 동 정맥 도관의 유지 기간, 금식 기간, 입원 기간이 캔디다 패혈증 환아에서 의의 있게 길었다(모두 P<0.01). 3) 캔디다 패혈증 발병 전 사용했던 항생제는 ampicillin/ sulbactam, ceftazidime, amikacin, netilmicin, teicoplanin, imipenem/cilastatin이 대조군에 비해 많았고(P<0.05), 이 중 ampicillin/sulbactam, ceftazidime, netilmicin, imipenem/cilastatin의 사용 기간이 길었다(P<0.01). 결 론 : 최근 6년 동안 본원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캔디다 패혈증 연간 발생률은 전체 환아 및 극소 저출생 체중아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대조군과의 비교를 통해 의의 있게 밝혀진 이들 캔디다 패혈증 위험군에 대한 조기 감시 및 치료가 저출생 체중아를 중심으로 한 신생아의 생존율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하리라 사료된다. Purpose : With the development of neonatal intensive care and the increased use of systemic antibiotics, candida sepsis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causes of neonatal morbidity and mort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rate and its associated risk factors.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medical records of 28 cases with candida sepsis who were admitted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NICU) of Chonnam University Hospital from July 1995 to June 2001. Twenty-nine patients without candida sepsis were enrolled for the control group to verify the risk factors. Results : The overall incidence of candida sepsis was 0.61% for all NICU admissions and 3.68% for all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with the gradual increase of the annual prevalance rate over time. The endotracheal intubation, percutaneous central vein catheter(PCVC), umbilical vein catheter, total parenteral nutrition, intralipid and dopamine were more applied than the control group (P<0.01 for all). The durations of mechanical ventilator care, central catheter appliance, nothing per os, and admission were also significantly longer than the control group(P<0.01 for all). Ampicillin/ sulbactam, ceftazidime, amikacin, netilmicin, teicoplanin and imipenem/cilastatin were significantly more used than the control group(P<0.05). The durations of ampicillin/sulbactam, ceftazidime, netilmicin and imipenem/cilastatin administration were also proved to be significant as the risk factors(P<0.01). Conclusion : The average annual prevalence rate of candida sepsis in NICU for six years was 0.61% with gradual increasing tendency over time. The elimination of the above risk factors is important in decreasing neonatal morbidity and mortality associated with candida sepsis.

      • KCI등재

        극소 저출생 체중아의 빈도와 생존율 및 예후 변화

        김영옥,김선희,조창이,최영륜,국진화,황태주,Kim, Young Ok,Kim, Sun Hui,Cho, Chang Yee,Choi, Young Youn,Kook, Jin Hwa,Hwang, Tae Ju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8

        목 적 : 한 나라의 건강 지표로 중요한 의의를 갖는 영아 사망의 2/3는 신생아기에 일어나며 주로 저출생 체중아에 의한 것이다. 최근 신생아 집중치료의 발달로 1,500 gm 미만의 극소 저출생 체중아의 생존율이 향상되는 추이여서, 본 연구는 1996년 부터 2001년까지 6년간 전남대학교병원에서 극소 저출생 체중아의 발생 빈도와 생존율 및 이환율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본 연구는 1996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 입원했던 1,500 gm 미만의 극소 저출생 체중아 56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1996년부터 1998년까지를 전반기, 1999년부터 2001년까지를 후반기로 나누어 기간별 VLBWI의 생존율, 이환율 및 입원 기간의 차이를 비교하였고, 이를 또한 출생 체중과 재태 연령별로도 비교하였다. 생존 환아에서의 이환율은 '단기 질환'과 '장기 질환'으로 질환을 구분하여 비교하였고, 원내 출생아에서의 VLBWI 발생 빈도 및 기간별 변화, 기간별 주산기 인자와 생존율과의 상관관계, 사망 원인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결 과 : 원내 출생 VLBWI의 발생 빈도는 총 8.3%이었으며 전반기 6.0%, 후반기 11.0%로 후반기에 그 빈도가 증가하였다. VLBWI 총 생존율은 76.8%이었으며, 전반기(71.8%)에 비해 후반기(80.1%)에 향상되었고, 특히 출생 체중 1,000-1,249 gm과 재태 연령 28-30주에서 개선되었다. 주산기 인자 중 후반기에 제왕 절개 분만이 증가하였고, 다태아에 비해 단태아일 경우, 질식 분만에 비해 제왕 절개 분만일 경우에 생존율이 증가하였다. 사망의 빈도는 생후 7일 이전 사망이 전체 사망의 58.8%로 가장 빈번하였다. 사망 원인으로는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이 주요한 원인이었고, 패혈증, 폐출혈 빈도순이었다. 이환율은 전반기(82.5%)에 비해 후반기(92.3%)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생존한 환아에서 전반기에 비해 후반기에 총 이환율과 단기 이환율은 증가하였으나 장기 이환율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출생 체중 1,000-1,499 gm과 제태 연령 28-33주에서는 단기 이환율이 유의하게 후반기에 증가한 반면 오히려 장기 이환율은 감소하였다. 생존 환아에서 평균 입원 기간은 전반기에 비해 후반기에 유의하게 연장되지는 않았다. 결 론 : VLBWI의 빈도가 증가하고 생존율이 향상된 반면 이환율은 증가되었다. 그러나, 출생 체중 1,000-1,249 gm과 재태 연령 28-30주에서 현격한 생존율 증가와 함께 '단기 이환율'은 증가되었으나 오히려 '장기 이환율'은 감소하였다. Purpose : The survival rate of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VLBWI) has improved by virtue of specialized neonatal car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changes in incidence, survival rate and morbidity of VLBWI who admitted to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1996 to 2001. Methods : We enrolled 565 VLBWI, and compared the incidence and the survival rate according to the birth weight or gestational weeks between period I(1996 to 1998) and period II(1999 to 2001). The mortality rate according to the postnatal age, cause of death, morbidity and days of hospital stay were also compared. Morbidity is categorized into 'short term' which is curable until discharge, and 'long term' causing any types of sequelae after discharge. Results : Incidence of VLBWI significantly increased in period II over period I(6.0% vs. 11.0%, P< 0.001). The survival rate also increased in period II(71.8% vs. 80.1%, P<0.05), especially in 1,000 to 1,249 gm of birth weight(P<0.001) and in 28 to 30 weeks of gestation(P<0.001). The most common cause of death wa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in period I; however it was sepsis in period II. Although overall and short term morbidity rate increased, long term morbidity and days of hospital stay didn't increase in period II. Conclusion : Although the incidence of VLBWI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 survival improved in period II compared to period I, especially in 1,000 to 1,249 gm of birth weight and 28 to 30 weeks of gestation, 'long term' morbidity rate and hospital days didn't incre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