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더덕에서 약용식물을 이용한 당근뿌리혹선충 증식 억제 효과
임주락,황창연,류정,최영근,Lim, Ju-Rak,Hwang, Chang-Yeon,Ryu, Jeong,Choi, Yeong-Geu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6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5 No.3
약용식물 25종 중 지모, 창포, 쇠무릎, 짚신나물, 패랭이, 큰뱀무, 약모밀, 원추천인국, 아주까리, 현삼, 흑참깨, 기린초, 오이풀 등 13종의 식물체 추출액 5배와 10배의 희석농도에서 살선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덕을 Pot에 파종하여 13종의 식물 추출액 5배액의 살선충 효과를 평가한 결과 짚신나물을 제외한 12종의 식물체 추출액에서 살선충 효과가 있었고, 지모, 쇠무릎, 창포, 패랭이, 원추천인국, 아주까리 등 6종의 추출액은 80% 이상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선발된 약용식물을 재배했었던 포장에 더덕을 파종하고 당근뿌리혹선충의 감염정도를 조사한 결과, 대조구에 비해 짚신나물을 제외한 지모 등 12종의 식물 포장에서 뿌리혹 및 토양 내 유충밀도가 적게 발생하였으며, 80% 이상의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선발된 약용식물을 퇴비처럼 처리한 포장에 더덕을 파종하였을 때는, 뿌리혹수 및 난낭수, 토양 내 유충밀도가 무처리에 비해서 흑참깨 처리를 제외하고는 적게 발생하였으나, 방제효과는 선발된 약용식물을 재배했던 포장에 비해 크게 떨어졌으며, 쇠무릎과 창포 처리의 방제가만 70% 이상으로 다른 식물에 비해 좋았다. Possible nematicidal effects of plant extracts of 25 species uninfected by M. hapla were observed at the 5 times dilutions in all treatments and at the 10 times dilutions in Anemarrhena asphodeloides, Acorus calamus, Achyranthes japonica, Agrimonia pilosa, Dianthus chinensis, Geum aleppicum, Houttuynia cordate, Rudbeckia bicolor, Ricinus communis, Scrophularia buergeriana, Sesamum iindicum, Sedum kamtschaticum, and Sanguisorba officinalis. The 13 species plant extracts of 5 times dilutions were evaluated for the suppression effects on reducing densities of M. hapla by treating to C. lanceolata sown and transplanted later in pots. All the plant extracts showed suppressive effects on M. hapla except for.A. pilosa. The suppressive effects of A. asphodeloides, A. japonica, A. calamus, D. chinensis, R. communis, and S. buergeriana were over 80%. When the selected plants had been incorporated into the soil before C. lanceolata was sown, the numbers of root galls, egg sacs and $J_{2}$ appeared lower in the treatment of 12 plant species than in control except for S. indicum. But the suppressive effects were lower than the effects of selected plants being cultivated simultaneously in the field. A. calamus and A. japonica exhibited over 70% suppressive effects, among the tested plants.
Public Access를 이용한 지역미디어센터 활성화에 관한 연구
김재헌(Kim Jae-Heon),최영근(Choi Yeong-Geun),박병주(Park Byeong-Ju),주영숙(Ju Young-Suk),김치용(Kim Cheeyong)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8 한국멀티미디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08 No.2
오늘날 급변하는 방송환경 속에서 디지털화를 중심으로 한 지상파와 케이블 TV, 디지털 위성방송 등 방송망도 급격하게 고도화 되고 있다. 디지털화된 기술은 방송과 통신의 융합을 가져오게 되었고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와 융합 미디어가 등장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방송의 주체도 방송국이 아닌 시청자들의 참여로 바뀌게 되고 시청자 참여방송인 퍼블릭 액세스 (Public Access) 방송환경에서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퍼블릭 액세스(Public Access)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퍼블릭 액세스(Public Access)의 활성화를 위해 지역미디어센터의 대안미디어인 인터넷 방송(OKCOMIN)을 제시해 보았다. 이를 잘 활용한다면 퍼블릭 액세스(Public Access)의 활성화 뿐 아니라 지역미디어센터의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벼 수확 후 수분함량별 건조지연에 따른 쌀 품위 및 화학성
권석주,송은주,권영립,최동칠,최영근,권태오,Kwon, Suk-Ju,Song, Eun-Ju,Kwon, Young-Rip,Choi, Dong-Chil,Choi, Yeong-Geun,Kwon, Tae-Oh 한국작물학회 2006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51 No.suppl1
쌀 품질의 고급화를 위한 벼 수확 후 관리기술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벼 수확을 대형포대 및 콤바인포대로 수확한 후 수분함량 별 야적기간 연장에 따른 쌀 품위 및 품질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였다. 수확당일 수확시간에 따른 정조의 수분함량은 $23.7{\sim}28.8%$로 수확시간이 늦어질수록 낮았고, 수확 후 건조지연에 따른 정조의 외관변화는 저장포대가 대형인 경우 3일째 정조의 색깔이 변하고 악취가 심하게 발생하였으며 콤바인포대는 4일째부터 색깔이 변하고 악취가 발생하였다. 포대내부의 온도변화는 대형포대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그리고 수분함량이 높을수록 증가되는 폭이 컸으나 콤바인포대는 수확당시 수분함량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대형포대에 저장된 정조의 수분함량은 저장 2일째부터 증가되었고 수분함량이 높을수록 증가폭이 컸으나 콤바인포대의 경우는 수확 시 수분함량이 적은 경우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고 높은 경우는 약간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수확 후 건조가 지연될수록 단백질, 아밀로스함량은 차이가 없으나 지방산은 증가되었고 대형포대가 콤바인포대에 저장된 정조보다 지방산 증가폭이 컸으며 수확 후 건조지연일수나 벼 수확 시 수분함량이 높을수록 현미의 완전미율은 감소되고 청미와 피해립율이 증가되었으며 백미품위 역시 비슷한 경향이었다. 따라서 미질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포대종류별 건조지연 한계기는 대형포대가 벼 수확 후 $1{\sim}2$일 이내, 콤바인포대는 $2{\sim}3$일 이내로 추정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post-harvest management system in rice. Harvested hulled rice was gathered into large-scale bag and combine bag, in which the rice quality and the influence on quality change were investigated on various storage periods and moisture contents. Moisture content of hulled rice ranged from 23.7% to 28.8% on different harvest times, which grew lower as harvesting time was delayed. When desiccation was retarded hulled rice in large scale bag was changed in color and emitted an of offensive odor in 3 days and that in combine bag showed similar symptom in 4 days. Inner temperature in large scale bag was changed a lot when the storage period was prolonged and also the moisture content was higher while that in combine bag increased regularly corresponding to the moisture content at the time of harvest. Moisture content of hulled rice stored in large-scale bag increased 2 days after harvest and the more moisture content showed the more increased tendency, while in the case of combine bag the moisture content was not changed much whether the hulled rice contained low or high moisture content in harvesting. As desiccation was delayed fatty acid increased much more in large-scale bag than in combine bag even though protein and amylose contentwere not changed. As desiccation was delayed more and hulled rice contained moisture more in harvesting head rice ratio of brown rice decreased and green-kerneled rice and damaged grain ratio increased and quality of milled rice also became deteriorated. As a result, desiccation day to minimize the deterioration of rice quality was estimated 1-2 days in large scale bag and 2-3 days in combine bag after harves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