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소위‘부율’의 공정거래 문제

        최승수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06 Law & technology Vol.2 No.5

        배급사와 극장이 박스오피스 수익을 분배하는 비율을 부율이라고 부른다. 미국 등 다른 나라와 달리 한국의 경우는 모든 극장이 동일한 부율을 적용하여 박스오피스 수익을 배급사에게 분배하고 있다. 나아가, 영화가 외화인가 한국영화인가에 따라 부율을 달리하는데 현재 서울의 경우 한국영화는 50:50, 외화는 60:40으로 분배한다. 이와 같은 차별적 부율은 한국영화와 외화 사이의 관객동원력에 따라 성립된 것으로 알려졌는데, 최근 한국영화의 흥행력이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외화에 비하여 불리하게 부율이 적용되는 것에 대하여 불만이 많다고 한다. 이러한 획일적인 부율 및 차별적인 부율은 공정거래법 이슈를 제기한다. 먼저 외화와 한국영화를 차별하는 것은 공정거래법상 부당하게 거래상대방에 따라 가격을 차별하는 경우에 해당하는가가 문제로 된다. 외화와 한국영화의 상영비용 등이 차이 나는 것도 아니고, 한국영화의 편당 관객동원력이 외화에 비하여 4배가 높다는 점, 가격차별이 개개 영화의 특성, 상품성 등을 고려하지 않고 한국영화라는 이유만으로 일률적으로 차별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등에 비추어보면 일응 부당한 가격차별에 해당될 가능성이 높다. 한편, 극장들이 획일적인 부율을 적용하는 것이 부당공동행위에 해당하는가도 문제로 된다. 카르텔에 해당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데 있어 극장주간의 합의가 있었는가가 가장 중요하고 실제 소송절차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이다. 현재와 같은 극장 부율은 의식적인 동조행위로 볼 여지도 있고, 그 유래를 추적할 수 없는 때 시작되어 지속된 관행으로 볼 여지도 있다. 다만 한국 공정거래법상 추정 규정을 적용하면 합의의 성립이 인정되어 부당공동행위로 판단될 가능성도 있다. There two big characteristics regarding distribution system in motion picture industry of South Korea. First, almost all Korean threatre owners distribute box office revenue with distributors at the same rate. In other words, it has been customary that every theatre located in Seoul pay 50 percents out of box office profits to every distributor without exceptions. Second, Theatre owners treat differently according to nationalities of films. Whereas distributors of Hollywood films usually negotiate the prices of film licensing and the percentage share out of box office revenue, Korean distributors are forced to receive the same rate of the revenues. These distribution rate issues in motion picture industry raise some antitrust problems. Unequal share rate between Korean movie and Hollywood movie is supposed to be unfair price discrimination in that i) there are not any exhibition cost differences between two; ii) market power of Korean film is as four times as that of Hollywood film; iii) the price discrimination is based on only its nationality without consideration of individual features. It could be addressed as a cartel that all theatres apply a uniform rate without exceptions. For this purpose, the most difficult key is whether theatre owners conspire to uniformity. They might argue that it has been long standing cutom in Korean film industry or it is a result of conscious parallelism. But when applying presumption provision of Korean Antitrust law, they might not escape from penalty of conspiracy.

      • KCI등재

        저작권법상 등록제도의 제3자 대항력에 관한 연구

        최승수,이규호 한국저작권위원회 2018 계간 저작권 Vol.31 No.1

        According to Article 54 of the Korean Copyright Act prescribes that assignment of economic rights (except for inheritance and other types of general succession) or limitation to their disposition can not set up against a third party without registration of transfer or limitation to disposition, of their economic rights. In other words, the registration of transfer or limitation to disposition of their economic rights is the requirement for setting up against a third party. In reality, collective management societies such as KOMCA do not register the transfer of economic rights of their members. In terms of the issue as to whether a third party can have legally proper stakes at the present case, the Korean Supreme Court (Judgement rendered on January 14th, 2016, Case No. 2014 Da 202110) held that the CMO, who did not register the transfer of economic rights of its member, can not set up against the third person (i.e., movie producers) who gets economic rights or license from the author (i.e., a member of the CMO). In this case, the Court went on to hold that the movie producer did not induce the authors of the musical works to breach the trust between the CMO and the authors. Hence, It is a practically pivotal one the issue as to whether a third party can have legally proper stakes at a specific case. This Article purports to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copyright industry by proposing reasonable solution to tension and conflict among CMOs, authors, and users. Especially, it proposes reasonable interpretation and legal reform, of Article 54 of the Korean Copyright Act. Also, it takes into account the practical strategic solution to those disputes. 저작권법 제54조에서는 저작재산권의 양도(상속 그 밖의 일반승계의 경우를 제외한다) 또는 처분제한에 대해서는 그 권리 변동을 등록해야만 제3자에게 대항할 수 있다. 권리 변동 등록이 대항요건으로 규정되어 있는 것이다. 그런데 현실적으로 보면, 한국음악저작권협회 등 저작권신탁관리단체는 저작자로부터 신탁을 받으면서 권리 변동 등록을 하지 아니한다. 대법원 2016. 1. 14. 선고 2014다202110 판결[손해배상(기)][공2016상,280]은 저작물의 이용허락을 받은 영화제작자들과 그들로부터 영화를 공급받아 상영한 자가 법률상 정당한 이익을 가진 제3자에 해당하는지 여부와 관련하여 “원심은, 원고가 이 사건 창작곡의 저작자들로부터 그에 관한 저작재산권을 신탁받았더라도 그 이전등록을 마치지 아니한 이상 저작자들로부터 저작재산권을 이중양수하거나 저작물의 이용허락을 받은 영화제작자들과 그들로부터 영화를 공급받아 상영한 피고에 대하여 저작재산권 신탁에 따른 양도로써 대항할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기록을 살펴보아도 영화제작자가 이 사건 창작곡 저작자들의 배임행위를 유도하고 조장하여 저작권을 양도받거나 이용허락받았다고 볼 만한 사정이 보이지 아니한다.”라고 판시한 바 있다. 이 경우 판례에 따르면, 법률상 정당한 이익을 가지는 제3자만이 권리 변동의 대항요건의 흠을 주장할 수 있으므로 그 제3자가 법률상 정당한 이익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저작권신탁관리단체는 신탁된 저작물에 대한 권리를 그 제3자에 대항하여 행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권리 변동 등록 없는 경우에 제3자가 ‘법률상 정당한 이익을 가지는지 여부’는 매우 중요한 쟁점이 된다. 그래서 이 논문은 저작권신탁관리단체와 저작자, 이용자 상호 간의 이해관계를 합리적으로 조율하는 방안을 제시하여 저작권 산업 육성에 기여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에 의거하여 이 논문은 권리 변동 등록 없는 경우에 제3자가 ‘법률상 정당한 이익을 가지는지 여부’에 대한 합리적인 해석론, 입법론, 정책적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 KCI등재

        A Novel Balloon-Inflatable Catheter for Percutaneous Epidural Adhesiolysis and Decompression

        최승수,주은영,황범상,이종혁,이건,섭정훈,임정길,신진우 대한통증학회 2014 The Korean Journal of Pain Vol.27 No.2

        Epidural adhesions cause pain by interfering with the free movement of the spinal nerves and increasing neural sensitivity as a consequence of neural compression. To remove adhesions and deliver injected drugs to target sites, percutaneous epidural adhesiolysis (PEA) is performed in patients who are unresponsive to conservative treatments. We describe four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a newly developed inflatable balloon catheter for more effective PEA and relief of stenosis. In the present patients, treatments with repetitive epidural steroid injection and/or PEA with the Racz catheter or the NaviCath did not yield long-lasting effects or functional improvements. However, PEA and decompression with the inflatable balloon catheter led to maintenance of pain relief for more than seven months and improvements in the functional status with increases in the walking distance. The present case series suggests that the inflatable balloon catheter may be an effective alternative to performing PEA when conventional methods fail to remove adhesions or sufficiently relieve stenosis.

      • Woyzeck에 나타난 Humanitat와 Nihilismus

        崔承壽 청주대학교 국제문제연구원 1985 國際文化硏究 Vol.2 No.-

        Die Hauptfigur Woyzeck leidet unter dle Umsta¨nde, die auβer ihm liegen. Die Neben-figuren, Hauptmann und Doktor, erschweren ihm das Leben durch die unmenschliche Tat. Aber dieser Armste noch ist reich an Lebensinn und Wert und halt sein armes Glu¨ck noch fest, keuchend vor Anstrengung. Durch den Maries Ehebruch verliert er seinen letzten Halt. Hier geht es im letzten nicht um die Besonderheit des Falls Woyzecks, nicht um die Vergeltung fu¨r den Fehlurteil, die damals gemacht wurde, nicht um Aufru¨ttelung des sozialen Gewissens-obgleich auch dies alles im Vordergrund da ist. Sondern wie im Danton mill Biichner darstellen: sein dunkles Gesicht vom Leben, sein pessimistisches Bild des Menschen. Als Bu¨chner auftrat, zeigte das Geba¨ude des Idealismus schon merklich jene Risse und Spru¨nge, die in seinem Verfall immer deutlicher wurden. Zwei Wurzeln Bu¨chners liegen offen bloβ: die eine heiβt erlahmung der Kraft zur Synthese der Widerspru¨chlichkeit und Bru¨chigkeit der welt, wie sie noch in vomantischer und Hegelscher Weltsicht zur allumfassenden Idee verdichtet hatte. Eine andere Wurzel der Weltschau Bu¨chners liegt in der Entwicklungslinie der modernen Skepsis. Bu¨chner hat Liebe besonders u¨ber der Leidenden wie Wovzeck und Marie, Durch die Bilder Hauptmanns und doktors, die durch Fratzen dargestellt sind, ist das sichtbar. Schlieβlich ist es der tiefsts Sinn dieses Werk, das in oben genannten Gedanken wurzelt, daβ Unser Dasein Nichts ist.

      • KCI등재

        괴테문학의 치유의 모멘트

        최승수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인문학연구 Vol.0 No.58

        In our age when man is overwhelmed by civilization and the essential values of our lives ​​have become disoriented, literature, along with the other arts, is trying to heal our damaged sick soul. The original suffering in our lives arises from the fact that rational man is thrown into the absurd, irrational world. Finiteness, the existential restlessness, the impossibility of communication, the misfortune caused by fate, all these things make us despair. The aim of this essay is to examine whether we can find healing moments in Goethe’s works to overcome or reconcile such suffering. Suffering is, according to Goethe, an existential condition in our lives. Therefore, from this situation comes the principle, “I am suffering, therefore I am.” Man cannot escape suffering. But for man, the capacity for reflection is inherent. The suffering of separation could be a trauma to the lover, however the moments of traumatic petrification do not suggest that they should be banished from our imperfect existence, from the deficiency of life, but it allows the experience of happiness within the tragic dimensions. The pleasure of being can be stronger than the burden of existence. Suffering, never coming to rest, is balanced by the power of human metaphysical reflection. In this case, man only gains his value for the price of suffering In Geothe’s poem “Gingo Biloba” the ginkgo leaf from the East is seen as a symbol of love, the growth and decay of nature, and the love is relieved only from the moment it has turned into the written piece of art. Then love in art could last forever, which in reality is unfulfilled. The healing moment of renunciation is neither a coercive element nor self-sacrifice. Rather, the voluntary renunciation allows us to act as socially-recognized fellow human. That's the paradox of renunciation. Man may suffer from the blow of fate that unexpectedly assails us; however, we cannot escape from it at all. Goethe also demands a renouncing attitude, or to be more precise, the unconditional submission to the fate and will of God. Because we cannot find an alternative faced with the blow of fate, we should accept that. Only in this way do we learn humility and gratitude, and always do we gain balance. When we finally learn such healing moments from Goethe, we can take our first steps towards becoming a person of wisdom. 최근 인문학 연구는 사회와의 소통을 위한 다양한 시도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도는 한편 문명에 압도되고 가치가 표류하는 시대에 휴머니즘에 근거하는 가치를 지켜내려는 노력이며, 다른 한편 왜곡되고 손상된 존재를 치유하기 위한 시도이다. 삶의 근원적 고뇌는 이성적 존재인 인간이 부조리하고 비이성적인 세계에 내던져짐으로 해서 야기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트라우마에서 벗어나지 못하며, 삶의 유한함에 절망하고, 실존적 불안에서 안식에 이르지 못하는, 나아가 사회적 존재로서 인정받아야 한다는 강박 등 고뇌의 계기들은 또한 부조리하고 납득할 수 없는 운명에 의한 불행으로 이어져 우리를 더욱 절망하게 한다. 이러한 고뇌를 이겨내기 위한 출발점을 괴테문학에서 찾고자 하는 것이 이 글의 목표이다. 괴테에게 고뇌란 존재의 기본조건이다. 따라서 ‘나는 고뇌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는 명제가 성립한다. 고뇌란 우리가 피할 수 없는 삶의 조건이기에 고뇌에 대한 성찰 또한 필수적이다. 이별이란 트라우마는 이별은 피할 수 없다는 사랑의 법칙성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이별보다 더한 사랑의 가치를 놓치지 않으려는 태도로 극복가능하다. 안식에 들 수 없는 불안한 존재인 우리의 숙명적 고뇌는 이를 성찰하는 또 다른 능력으로 보상된다. 삶의 유한성은 예술을 통해 시간성, 덧없음을 극복한다. 사회적 존재에게 필요한 체념은 강요에 의한 자아상실이나 자기희생을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체념을 통해서만이 우리는 사회적 존재로 거듭날 수 있으며 나아가 부조리한 운명과 화해할 수 있다. 이러한 괴테의 메시지는 우리가 지혜로운 존재로 나아가는 첫걸음을 내딛게 한다.

      • KCI등재

        모델빌더 기반 하천망의 DEM 각인 및 추출 툴 개발

        최승수,김동수,유호준,Choi, Seungsoo,Kim, Dongsu,You, Hojun 한국수자원학회 2019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2 No.8

        Geospatial information for river network and watershed boundary have played a fundamental roles in terms of river management, planning and design, hydrological and hydraulic analysis. Irrespective of their importance, the lack of punctual update and improper maintenance in currently available river-related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s has revealed inconsistency issues between individual systems and spatial inaccuracy with regard to reflecting dynamically transferring riverine geography. Given that digital elevation models (DEMs) of high spatial resolution enabling to reproduce precise river network are only available adjacent to national rivers, DEMs with poor spatial resolution lead to generate unreliable river network information and thereby reduce their extensible applicabilities. This study first of all evaluated published spatial information available in Korea with respect to their spatial accuracy and consistency, and also provides a methodology and tool to modify existing low resolution of DEMs by means of striation of conventional or digitized river network to replicate input river network in various degree of further delineation. The tool named FSND was designed to be operated in ArcGIS ModelBuilder which ensures to automatically simulate river network striation to DEMs and delineation with different flow accumulation threshold. The FNSD was successfully validated in Seom River basin to identify its replication of given river network manually digitized based on recent aerial photograph in conjunction with a DEM with 30 meter spatial resolution. With the derived accuracy of reproducibility, substantiation of a various order of river network and watershed boundary from the striated DEM posed tangible possibility for highly extending DEMs with low resolution to be capable of producing reliable riverine spatial information subsequently. 하천망과 유역 등 하천 네트워크 관련 공간자료는 각종 하천관리, 하천계획 및 설계, 수리수문학적 해석 등의 근간을 이루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기존 RIMGIS 등에서 제공하는 하천정보도 현행화 및 적절한 관리 부족으로 공간정보시스템간 불일치와 실제 하천지형과 이격이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고해상도 수치지형도(DEM)이 국가하천 주변 등 일부 지역에서만 제공되어, 저해상도 DEM으로부터 추출된 하천네트워크 정보의 신뢰도가 낮고 가용한 기수립 하천네트워크 정보와의 불일치는 DEM 기반 다양한 하천정보 추출 및 탄력적 활용을 저하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국내 하천공간정보시스템이 제공하는 하천망 정보의 공간정확도, 정보체계간 일치성 등을 평가하고, 낮은 해상도의 DEM에 기수립된 하천망을 DEM에 강제로 각인시키는 방법으로 DEM을 개선하여 추후 하천망 혹은 유역 추출 시 기수립 하천망 혹은 유역대로 재현이 가능하게 하여 하천분야에 DEM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론과 소프트웨어(Forced river Network Striation and Delineation tool: FNSD)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개발된 FNSD는 ArcGIS의 ModelBuilder에서 순차적으로 관련 모듈을 연계시켜 자동화되도록 설계되었고, 한강수계의 섬강 유역에 시범 적용되었으며 항공사진 정보를 기반으로 수작업을 통해 도출된 하천망을 기수립 하천망으로 간주하여 30 m 저해상도 DEM에 각인시켜 하천망을 재추출한 후 주어진 기수립 하천망과 비교하여 재현 정확도를 검토하였다. 섬강유역에 적용한 결과 FNSD는 기수립 하천망을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검증결과는 각인된 DEM이 다양한 차수의 하천망 및 유역을 신뢰성 있게 재현할 수 있어 저해상도 DEM의 하천활용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