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대구ㆍ경북지역민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김명하(Kim Myeong-Ha),윤순갑(Yoon Soon-Gap)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07 동서사상 Vol.3 No.-

        정체성에 관한 논의는 항상 상대적이다. 왜냐하면 정체성은 사회적 접촉과 관계 속에서 비로소 현실화되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대구ㆍ경북지역 주민들의 의식과 정체성에 관한 논의도 타 지역, 타인들과의 접촉에서 상대적 차이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비로소 드러나게 되는 것이다. 역사적으로 대구ㆍ경북지역은 교통의 중심지로서, 인구의 밀집지역으로서 다양한 교통로와 통신망, 인구이동의 양상이 정체성 형성에 많은 영향을 받아왔을 것이다. 특히 분지라는 지형적인 특성과 함께 기후적인 여건도 대구ㆍ경북인의 기질과 의식형성에 많은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유달리 다른 지역에 비해 전통적인 것에 대하여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대구ㆍ경북지역은 오랜 역사적, 문화적인 전통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런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은 '대구 경북적인 것'을 결정하는 근원적인 작용을 할 것이며, 대구ㆍ경북적인 이미지와 지역민의 자화상의 고찰은 대구ㆍ경북지역민의 정체성 연구의 일환이라 하겠다. 그런 의미에서 본 대구ㆍ경북지역의 이미지는, 물론 전체적인 의견은 분산되어 있으나, 그래도 대구ㆍ경북은 교육도시와 관광도시로서의 이미지가 압도적이다. 다음으로 대구ㆍ경북지역 주민들의 자화상을 살펴보면 보수적인 이념과 애향심이 많다는데 동의하는 것 같다. 둘째는 전통과 의리를 중시하는 강직한 성격이다. 셋째로, 배타적인 성격을 들 수 있는데, 해방이후 서구적인 문화와 질서가 편입된 지도 많은 시간이 지났지만, 아직도 이러한 배타성은 여전히 대구ㆍ경북의 나쁜 기질로 남아있음은 자타가 공인하고 있는 터이다. 지방자치의 실현을 통한 이른바 지방화시대를 맞은 지도 벌써 10수년이 지난 즈음, 대부분의 지방정부는 주도적으로 지역의 이미지와 정체성의 확립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사실 정체성은 과거 역사의 궤적위에서 쌓인 퇴적물과 같은 것이지만, 동시에 미래를 위해 적극적으로 투사하는 능동적인 창조의 대상이기도 하다. 그런 의미에서 대구ㆍ경북지역민들의 삶에 있어서 적극적인 자세와 애향심, 그리고 의리를 중시하는 자세는 대구ㆍ경북이 새로운 이미지를 정립하는데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것이다. 물론 개방화의 시대에 걸맞지 않는 보수성과 배타적인 사고는 하루빨리 변화시켜야 할 대구ㆍ경북인의 기질일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dentity of Daegu-Kyungpook local resident. For the purpose of this, this research theoretically argued about a meaning of identity, a process of its formation. And we looked about the gographical features, historical background of Daegu-Kyungpook area. On the foundation of this study, we studied about Daegu-Kyungpook area' image and its local resident's self-portrait. For this study, we utilized past empirical researches. In this study, we became clear that Daegu-Kyungpook local resident's self-portrait is a conservative view and love of their province, a moral courage and an unfriendly attitude. Among these dispositions, the bad elements that Daegu-Kyungpook local residents have had to be excluded. In a wide meaning, the study of regional identity and image and its' development are related to each other. More, for a regional development, we have to empathesize the sense of justice, the positive attitude and the love of their province in the Daegu-Kyungpook area.

      • 핀란드 국립대학의 의사결정과 재정회계구조에 대한 소고

        김태호(Taeho Kim)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6 동서인문 Vol.0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본질인 교육과 연구가 원활히 수행될 수 있도록 국가 권력은 대학의 자율을 구속하는 것이 아닌 보존하는 것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것을 주장하는 것이다. 자율적 의사결정과 독립된 재정회계구조가 보장되지 않는 국내 국립대학의 현실에 대한 문제제기와 현실적 대안 제시를 위해 핀란드 국립대학의 의사결정 및 재정회계구조를 헬싱키대학의 경우를 중심으로 비교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 사항을 확인하였다. 첫째, 국내 국립대학의 경우와 달리 헬싱키대학의 의사결정구조는 총장 1인이나 특정 기구에 의해 독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도록 대학내 설치된 여러 의사결정기구에 분산되어 이루어진다. 둘째, 헬싱키대학은 재정의 대부분을 정부의 지원과 대학이 보유한 자산의 운용 수익을 통해 충당하는데, 어떠한 경우에도 정부가 재정지원을 미끼로 대학 운영에 직접 개입하지 않는다. 셋째, 핀란드의 모든 대학은 매년 대학 평가를 받는데 이때 정부는 평가가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을 하고, 평가결과를 대학 간 등급을 매기거나, 대학을 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국립대학이 교육과 연구의 목적을 수행할 수 있도록 대학의 자율성이 보장되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im that autonomous rights of Korean national universities should be ensured in any circumstances, so they may successfully carry out their educational and research goals. For its purpose, this study compares the governance and finance structures of Korean national universities with those of Finland universities. The comparative analysis of public universities in Finland and Korea has revealed the followings: First, unlike that of national universities in Korea, the governance structure of national universities in Finland is distributed to internal boards and committees such as the board or the university collegium, not to the particular personnel like a rector only. Second, for universities in Finland, the financial resources come mostly from the government, as well as from profits of university properties, yet the government does not regulate the universities under their supervision at all. Third, all universities in Finland are evaluated primarily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nd improving their educational and research qualities, not for the sake of rating among the universities. Based on this study, we may suggest that we need to ensure the autonomous rights of Korean national universities so that they may continuously function as a higher education system.

      • 사회주의 시장경제 속의 北京大學

        이영옥(Lee, Young-Ok)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6 동서인문 Vol.0 No.6

        현재 한국의 지역 국립대는 위상의 하락, 학생들의 변화 그리고 재정여건의 악화 등 문제들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의 대학들이 변화하고 발전해온 과정을 살펴보는 것은 한국의 지역 국립대의 미래를 위해 도움을 줄 수 있는 일이다. 이글은 중국 대학에 대한 기존 연구를 활용하여, 北京大學을 중심으로 중국 대학의 전반적인 상황을 살펴보았다. 먼저 중화인민공화국 이전까지 北京大學의 탄생과 발전 과정을 서술하고, 다음으로 사회주의 계획경제를 거쳐 사회주의 시장경제에 이르는 과정에서 어떻게 변화에 적응하였는지 분석하였다. 1898년 京師大學堂으로 시작한 北京大學은 蔡元培 총장 부임 이전까지 관료를 꿈꾸는 사람들이 모이는 곳이었다. 蔡元培 총장 이후 北京大學은 중국의 사상과 정치를 선도하는 곳으로 변모하게 되었다. 하지만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과 사회주의 계획경제 아래에서 北京大學은 국가의 정책을 그대로 따르는 곳으로 바뀌었다. 그 과정에서 대학의 실질적인 책임자는 공산당이 임명하는 당서기가 되었고, 총장을 비롯한 행정직원들은 당서기가 이끄는 관료기구의 지시를 따랐다. 1978년 개혁개방정책을 실시하면서 중국의 대학들은 예외 없이 사회주의 시장경제가 가져온 경쟁에 휩쓸리고 있다. 국가는 대학에 대한 재정지원을 줄이면서도 통제력을 유지하고 있다. 중국의 대학이 지난 한 세대 동안 양적인 측면에서 비약적으로 발전하였는데, 그 발전을 지속하고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해서는 대학이 자율성을 갖고 시대를 앞서가야 한다. Beijing University was founded as the Imperial University of Peking in 1898. It was a place in which only public office-seekers came in flocked during the late Qing and early Republic China. Going through the New Culture Movement and May Fourth Movement, it became a center for progressive thought. People’s Republic of China had made two Periods in the history of Beijing University. It can be divided into Socialist Planned Economy and Socialist Market Economy Period. In the First Period, Beijing University experienced short time development, but it could not provide any normal education after the Great Cultural Revolution started. In the Second Period, the Communist Party of China(CCP) demanded it to set out reform entirely. Beijing University reformed the old system which included merging departments, performance-related pay system, cuts in university funds. It was in the middle of market economy and should struggle to live. The Reform made a result, it could maintain organization in spite of the cuts in university funds. Professors are making an effort to show their abilities. However, there was an unchanged thing. Beijing University is controlled by the lower committee of the CCP, and just has a small amount of autonomy. It is running after the policy of government. University should not be the group to run after the time or government, but the one to lead it.

      • 대학의 기능 전환과 ‘도쿄대학 비전 2020’

        조관자(Jo, Gwan-ja)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6 동서인문 Vol.0 No.6

        본고는 일본 도쿄대학의 역사와 국립대학의 현황을 개괄한 후, 도쿄대학의 법인화(2004) 과정을 소개한다. 도쿄대학의 사례는 시대적 변화에 임하는 대학의 본분과 자세, 사회적 기능에 대해 재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2002년 이후 법인화에 대한 많은 우려와 비판 속에서, 2003년 3월에 ‘도쿄대학헌장’이 제정되었다. 그 헌장은 법인화 과정에서 외풍에 흔들리지 않도록 대학의 이념을 재확립하고, 자치를 위한 운영지침을 상세하게 제시한 것이다. 현 총장인 고노카미 마코토는 경쟁력을 압박하는 시대적 추세를 받아들이면서도 ‘다양성의 협창’이란 공존의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도쿄대학은 연구주제의 복합적 구성과 관련 연구자 고용을 통해 첨단연구 분야와 경쟁력이 약한 인문사회과학 분야의 학제적 융합연구를 강조해 오고 있다. 현재 86개의 국립대학을 유지하고 있는 일본에서 국립대학의 축소는 불가피해 보이며, 인터넷의 지식공간 창출로 대학의 인문학적 기반도 약화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 대응하기 위해 일본 문부과학성도 지역 내 대학 간 연계, 문리융합 및 학제 간 연계, 국제 협력 강화를 중시하면서 새로운 통합과 재편성을 유도하고 있다. 그동안의 대학개혁이 과도한 경쟁구도를 만들어 내고 있었다면, 이제 경쟁과 공생이 융합하는 새로운 질서가 창출되어야 할 것이다. 도쿄대학의 개혁에서 그러한 가능성을 향한 노력이 엿보인다. After summarizing the history of Tokyo University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national university, this study introduces the process of its incorporation in 2004. Tokyo University’s case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consider a university’s duty, stance, and social function to meet the demands of the times. Despite many concerns and criticism about the incorporation in 2002, the Charter of Tokyo University was established in March, 2003. In order not to be affected by outside pressures during its incorporation process, the Charter re-established the University’s philosophy and formulated guidelines for its autonomy. In addition, Gonokami Makoto, current university president, has suggested a new method of co-existence called “Collaborative Creation of Diversity”, while still accepting the contemporary trend that has put pressure on the university’s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okyo University has emphasized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between a leading-edge research area and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reas, which are less competitive, through combining research subjects and hiring related researchers. Due to the fact that 86 national universities exist in Japan, reducing the number of universities cannot be avoided. Additionally, the foundation on which many university’s humanities are based has already been weaken through the creation of knowledge spaces on the Internet. In dealing with these situations, the Japanese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advises national universities to have new types of integration and reorganization, putting stress on the following: the link between local universities, the convergence of humanities and science, interdisciplinary linking, and enforcement on international cooperation. Therefore, it’s time to create a new system which merges competition and symbiosis, while remembering that the university’s reformation in the past had caused an excessive competitive composition. That possibility can be illustrated through Tokyo university’s efforts on reformation.

      • 대학의 자유와 자율에 대한 성찰

        이용재(Yong-Jae Lee)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6 동서인문 Vol.0 No.6

        대학에서의 학문의 자유와 자율성은 대학 존립의 기반이다. 선진국의 대학들은 이러한 학문의 자유와 대학운영의 자율을 토대로 세계적인 인재를 양성하고 학문 발달에 기여하고 있다. 반면, 한국에서는 정부의 늘어나는 행정·재정적 압박으로 이러한 학문의 자유와 대학의 자율이 훼손되고 있다. 그러므로 대학 본연의 학문, 교육, 봉사의 기능이 왜곡되고 있다. 이 연구는 국립대의 자유와 자율성 확립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부산대학에서의 자율성 수호 과정과 프랑스 파리대학사례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국립대학에서의 학문의 자유를 지키고, 대학의 자율성을 키우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academic freedom and university autonomy is the foundation of university existence. The universities of advanced countries nurture global talents and contribute to academic development based on academic freedom and university autonomy. On the other hand, the academic freedom and autonomy of national universities are being damaged by the increasing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pressure of government in Korea. Therefore, the essential functions of study, education and services of universities are being distorted. This study has been done to seek for the ways to establish the academic freedom and the autonomy of national universities in Korea. For this purpose, the history of protecting autonomy of university in Pusan National University was examined, and the case of Paris Universities was also looked into as a case study. As a conclusion, the ways to protect academic freedom and raise the autonomy of national universities in Korea are suggested.

      • 지구적 자본주의와 대학개혁의 이념

        윤지관(Jikwan Yoon)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6 동서인문 Vol.0 No.6

        이 논문은 지구적 자본주의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미국 대학이 어떻게 대응해왔는지를 미국의 대표적인 대학인 하버드대의 경우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하버드대학은 미국의 근대화가 진행되고 자본주의가 발전하는 중요한 국면마다 근본적인 개혁을 통해 사회적 요구에 부응해왔다. 산업화가 본격화된 남북전쟁 이후 산업화시대인 19세기 후반에는 전통적인 칼리지 형태를 탈피하여 연구대학으로의 전환을 주도함으로써 미국사회가 필요로 하는 학문적 기술적 원천을 제공하였다. 고등교육이 대중화되고 미국의 세계적 헤게모니가 형성되던 시기인 20세기 전반에는 능력주의를 토대로 한 대학개혁을 진행하여 하버드대학에서 신분적 지역적 특권을 줄여나갔으며, 20세기 후반에는 1960년대의 사회운동의 요구를 반영하여 각종 차별철폐 등 대학의 민주주의를 정착시켰다. 이와 같은 하버드 대학의 지속적인 자기혁신은 자본주의체제의 발전과정에서 대학이 이에 부응하는 도구로 재편되는 과정이지만, 이 과정에서 근대대학의 본령이라고 할 이념적 지향으로서의 빌둥의 기획이 여전히 관철되고 있는 이중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is essay proposes to elucidate how Harvard University has reformed itself in response to America’s development as a modern society and to the formation of global capitalism in the world. The reformation in the history of Harvard University has three phases. In the late 19th century when America started to enter an industrialized stage of society, Harvard transformed itself from ‘college’ to ‘university’ and led the establishment of research universities in America. In the early 20th century when higher education became massified and American hegemony in the world system was introduced, Harvard reformed itself on the basis of meritocracy to eliminate or reduce traditional privileges. In the late 20th century, Harvard institutionalized the spirit of the 1960s social movements into the university and enhanced academic democracy and diversity. Though there is no denying that such continual renovation of the university system represented its adaptation to the different stages of global capitalism, it should be noted that it also accompanied a project of Bildung, the essence of modern idea of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