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에서 논리적 링크 기반의 멀티캐스팅 서비스

        최수일,Choi Su-il 한국통신학회 2005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0 No.11B

        EPON망은 점대 다중점 구조를 가진 경제적인 가입자망 기술로 떠오르고 있다. 점대 다중점 구조는 하향 브로드캐스팅과 상향 점대점 종신을 제공하므로, EPON에서는 다중점 제어 프로토콜(MPCP)를 이용하여 점대점 에뮬레이션과 공유 LAN 에뮬레이션 기능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EPON망에서 OLT와 ONU사이의 논리적 링크기반의 멀티캐스팅 또는 VLAN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논리적 그룹 식별자(LGID: Logical Group Identification)를 제안한다. 논리적 그룹 식별자와 더불어 프레임 설정 및 필터링 규칙을 제안함으로써 가입자별 차별화된 방송 및 멀티캐스팅 서비스 제공 방안을 제시한다. 더불어, 논리적 링크 기반의 VLAN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동일한 OLT에 연결된 ONU들을 복수의 서브 그룹으로 분리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s (EPONs) are an emerging access network technology which has a point-to-multipoint topology. EPONs operate point-to-multipoint in the OLT-ONU direction, and point-to-point in the ONU-OLT direction. To support point-to-point emulation and shared LAM emulation, EPONs use multi-point control protocol (MPCP). The MPCP uses logical link identification (LLID) field for frame tagging and filtering between the OLT and ONUs. In this paper, I propose logical-group identification (LGID) for logical link-based multicasting or VLAN services in EPONs. Using LGID with new frame tagging and filtering rules, EPONs support differentiated multimedia broadcasting or multicasting services. Additionally, EPONs can support logical link-based VLAN services that divides ONUs into several subsets.

      • KCI등재

        생식생장기 냉수온이 벼의 Source와 Sink관련형질 및 양분호흡에 미치는 연구 I. 냉수관개가 지경과 영화의 분화 및 퇴화, 불임, 등숙에 미치는 영향

        최수일,나종성,소재돈,이만상,Choi, Su-Il,La, Jong-Seong,So, Jae-Don,Lee, Man-Sang 한국작물학회 1985 한국작물학회지 Vol.30 No.4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effect of cold water damage on some growth characters related to source and sink at reproductive growth stage in Jinan (sea level 303m). The cold water irrigation duration had irrigated 4, 8 and 12 days at panicle formation stage and reproduction division stage compared to perennial water irrigation. Cold water irrigation shortened culm length and panicle length and degree of panicle exsertion. The shortening effect appeared great at lower internodes when treated at panicle formation stage but at higher internodes when treated at reduction division stage. Cold water irrigation decreased the number of secondary branches and spikelets per panicle, and increased the number of degenerated spikelets being high degeneration when treated at panicle formation stage. Spikelet sterility and impediment of grain filling were affected by duration of cold water irrigation being great when treated at spikelet primodium differentiation stage and reduction division stage in particular. Grain weight was also reduced. Significant relationship existed between spikelets sterility, grain filling and yield. The degeneration of secondary branches and spikelets correlated with leaf area but spikelet sterility and yield with culm length, panicle length and panicle exsertion.

      • KCI등재

        신간회 결성에 끼친 『개벽』의 영향 ― 민족협동전선론의 대중적 전파와 확산을 중심으로

        崔洙逸 ( Choi Su-il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1 大東文化硏究 Vol.113 No.-

        이 글은 일제강점기 최대의 항일 대중결사였던 신간회의 결성 과정에 끼친 『개벽』의 영향력을 가시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구체적으로는 신간회 결성의 기조가 되었던 민족협동전선론의 대중적 전파와 확산이라는 차원에서 미디어 『개벽』이 기여한 바를 추론하였고, 민족협동전선체(신간회)의 前史라는 차원에서 『개벽』(개벽사)을 그 롤모델로 의미화하려 했으며, 조직 구성의 차원에서 신간회에 새겨진 『개벽』의 흔적을 추적하는 방법들을 모색코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민족협동전선론의 대중적 천명(1925.6)과 『개벽』의 폐간(1926.8) 그리고 신간회의 결성(1927.2)을 상호연관성 위에서 살피되, 『개벽』의 ‘미디어성’에 의거해 그 연속된 과정에 여론-미디어적 의상(옷)을 입혀보려 하였다. 이는 기존의 ‘신간회 연구’가 보인 조직운동 중심이라는 치우침을 보완하고, ‘『개벽』 연구’ 혹은 ‘천도교 연구’가 돌보지 못한 『개벽』의 미디어적 자율성을 보살핀다는 취지에서 비롯되었다. 신간회의 결성에 끼친 『개벽』의 영향은 담론의 차원과 조직구성의 차원 모두를 포괄하는 사안이지만, 이 글에서는 민족협동전선론의 대중적 전파와 확산이라는 전자의 차원에 논의의 무게중심을 두었다. 다만, 『개벽』의 유통 관련 인물들의 상당수가 신간회 지방조직원이었다는 사실을 적시함으로써, 또 ‘개벽사 확장기성회’ 300여 명의 명단을 확보함으로써 앞으로 수행해야 할 연구의 방향적 실마리를 남겨놓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visualize the influence of 『Gaebyeok』 in the process of organizing Singanhoe, Japanese colonial era's largest anti-Japanese public association. Specifically, it deduced the contribution of the media 『Gaebyeok』 in terms of popular spread and propagation of the national cooperation front theory, which was the basis of the formation of Singanhoe. And it tried to make 『Gaebyeok』 meaningful as its role model in terms of the previous history of the national cooperation front(Singanhoe) and also tried to find ways to follow the traces of 『Gaebyeok』 imprinted on the Singanhoe in terms of a way of organizing the association. For this, the popular declaration of the national cooperation front theory(June 1925), the discontinuance of 『Gaebyeok』(August 1925), and the formation of Singanhoe (February 1927) are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mutual relevance. At the same time, based on the mediality of 『Gaebyeok』, it tried to put on a public opinion-media costume in the continuous process. This was caused by the purpose of supplementing the bias of the organizational movement centered on the existing 'Shinganhoe research', and examining the media autonomy of 『Gaebyeok』, which was not examined by '『Gaebyeok』 study' or 'Cheondogyo study'. The influence of 『Gaebyeok』 on the formation of Shinganhoe is a matter that encompasses both the dimension of discourse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but in this paper, the emphasis is placed on the former dimension of the popular spread and propagation of the national cooperative front theory. However, by stating that many of the distribution-related persons in 『Gaebyeok』 were local members of Singanhoe, and by securing a list of about 300 members of 'Gaebyeoksa (publishing company) Expansion Foundation', it left clues as to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잡지 『신동아』와 검열의 역학-검열 현황과 검열의 명시(明示)-

        최수일 ( Choi Su Il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0 No.57

        이 글은 신문사 발행 잡지의 시대, 이른바 신문잡지시대를 개척한 『신동아』의 검열 현황에 주목하였다. 여기에는 지금까지『신동아』의 검열상이 본격 연구의 대상으로 떠오른 적이 없다는 점이 크게 작용했지만 그것이 다는 아니었다. 암시(暗示)라는 방법을 통해 이루어진 타협과 저항의 절충주의를 『신동아』의 검열상을 통해 재확인할 수 있고, 『신동아』 편집진이 도모한 검열의 현시(顯示)가 ‘보이지 않는 검열’에 대한 저항과 분투의 산물임을 드러낼 수 있기 때문이었다. 이를 통해 『신동아』가 직면한 ‘검열난(檢閱難)’의 실제에 육박할 수 있다는 점도 중요했다. 그리하여 2장에서는 『신동아』의 검열 현황을 연차별로 정리하고 분석했으며, 3장에서는 『신동아』의 검열 처리 방식을 원고검열기와 교정쇄검열기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신동아』 편집진이 맞닥뜨린 ‘검열난’의 실제상을 가시화해 보았다. 『신동아』 30호에서 벌어진 검열 파동(波動)에 대한 자세한 복기는 검열난의 실상에 다가서기 위한 장치였다. 요컨대 이 글은 『신동아』 검열상에 나타나는 절충이란, 일제의 눈치(데미지)를 보아가며 싸울 수밖에 없었던 1930년대 미디어의 숙명을 담아낸 것이며, 바로 그런 점에서 『신동아』의 의미를 되새김할 필요가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This article focused on the current status of censorship of 『Sindonga』, which pioneered the so-called newspaper magazine era in the newspaper magazine. Here, the fact that the form of censorship of 『Sindonga』 has never emerged as the subject of full-scale research has played a big role but that wasn’tall. The eclecticism between compromise and resistance achieved through the method of suggestion can be reaffirmed through the censorship form of 『Sindonga』 and the manifestation of censorship promoted by the editorial staff of 『Sindonga』 is resistant to ‘invisible censorship.’ It was because it could reveal that it was the product of the struggle. It was also important to be able to approach the reality of the ‘difficulty of censorship’ faced by 『Sindonga』 through this. Therefore, Chapter 2 summarizes and analyzes the status of censorship in 『Sindonga』 by yearly, and Chapter 3 compares and analyzes the method of censorship processing of 『Sindonga』 dividing it into the period of manuscript censorship and proofreading censorship. Through this, I tried to visualize the reality of the ‘difficulty of censorship’ encountered by 『Sindonga』’s editors. The detailed review of the censorship crisis in 『Sindonga』 No. 30 was a device for approaching the reality of the difficulty of censorship In short, this article is about that a compromise that appears in censorship is a depiction of the fate of the media in the 1930s, when they were forced to fight ov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in that sense, I tried to show that it is necessary to reflect on the meaning of 『Sindonga』.

      • 논문 : 파장분할 다중화를 이용한 이더넷 기반 수동형 가입자망

        최수일 ( Su Il Choi ) 전남대학교 전자통신기술연구소 2005 전자통신기술논문지 Vol.8 No.1

        EPON망은 중앙 기지국과 가입자들 사이에 광 액세스 라인을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는 액세스 망 기술로 떠오르고 있다. 또한, WDM-PON은 가입자망의 트래픽 병목 현상을 해결하고, 다양한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면서 고속화된 데이터 전송을 위해 가입자 당 독립 파장을 할당함으로써 가입자의 요구 대역에 제한을 받지 않으며, 보안성이 보장되는 차세대 WDM 기반 수동형 광가입자망이다. 본 논문은 이더넷 기반 수동형 가입자망의 소개 및 EPON망 제어를 위한 다중점 제어 프로토콜을 소개하고, WDM 기반 수동형 광가입자망과 WDM 다중화 기술을 소개한다. 더불어, 파장분할 다중화 및 이더넷 기반 수동형 가입 자망에서 상향 채널의 효율적인 대역할당을 위한 제어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s (EPONs) are an emerging access network technology that provide a low-cost method of deploying optical access lines between a carrier`s central office and a customer sit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PON (WDM-PON) allows individual wavelength for each subscriber, and supports QoS and security services. In this paper, multi-point control protocol(MPCP) of EPONs and multiplexing technologies of WDM-PON are introduced. And, a new control protocol to support efficient upstream channel utilization for WDM EPONs is suggested.

      • KCI등재

        『조광』을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최수일 ( Su Il Choi ) 민족문학사학회 2010 민족문학사연구 Vol.44 No.-

        잡지 『조광』은 '『개벽』시대' 이후의 매체사를 집적(集積)하는 존재이다. 또 대중성, 상업주의, 친일의 문제와 얽히니 지성사(知性史)의 과제이기도 하다. 아울러 『조광』의 문학적 면모는 본원적인 탐색을 견인하는 바가 있다. 이것이 잡지 『조광』을 연구해야 하는 까닭이다. 두 편의 선행연구는 『조광』 연구에 매체론적 관점이 필요함을 말해준다. 하나는 서지학자의 섬세한 시선과 신중한 태도가 필요함을 보여주었고, 다른 하나는 실증적 방법과 뚜렷한 목표의식이 결합했을 때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무엇보다 통독(通讀)이 매체연구의 수단이자 방법임을 각인시킨다. 연구사 검토를 통해 『조광』 연구의 방법과 주요 과제를 재정립해 보았다. 그 핵심은 다음과 같다. 『조광』의 대중성, 친일성, 상업주의 문제는 모두 실증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 특히 친일 문제는 시계열적 분석을 통해 그 구체적 실상을 점검하고 판단할 필요가 있다. 친일 여부나 시기의 문제는 그 다음이다. 위의 세 가지 키워드를 가지고 문학, 논설, 잡문, 광고, 표지 등에 접근하는 연구도 중요하다. 문학의 전모를 파악하고 그 위상 변화를 추적하는 것이 주요 과제의 하나이다. 그 토대로서 서지 관련 사항을 확정하고 원본과 영인본을 비교대조하는 작업은 필수적이다. Magazine Jogwang was the accumulation of media history after the age of Kaebyuk. Also it has connected with popularity, commercialism, pro-Japan activities. For these reasons, to deal with Jogwang is another work of studying on intellectual history Also literary aspects in Jogwang bring up a radical problem. That is the reason why we study Jogwang. Two precedent studies show that we need view mediology when we study Jogwang. One study shows the need of a bibliographer's delicate sight and prudent attitude. The other suggests the vision of mediology when clear aims are united with the actual way of proving. Rather other things, to read through is the best tool and method of studying media. By examining the precedent studies, this study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the way of studying Jogwang and its major tasks Jogwang has. The main points are as follow. Popularity, commercialism, pro-Japan activities in Jogwang are needed to examined by proving facts. Especially pro-Japan activities, we should need to study and judge the specific facts by diachronic analysis. Whether one is pro-Japan or not and when one is collaborated with Japan are not the first issue. It will be im-portant to approach the study with the three key words. It is main tasks to understand the literature generally and examine the changing status of the literature. On the basis of the task, it is necessary to check on a bibliography and compare the originals with a photographic ed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