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간경비원의 권한에 대한 연구

        최선우 한국경호경비학회 2009 시큐리티연구 Vol.- No.21

        이 연구에서는 민간경비의 정체성에 대한 기본논의를 바탕으로 그에 따른 다양한 권한영역과 관련내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민간경비원들의 권한문제는 주로 공경비인 경찰과의 관계 속에서 논의되어 왔다. 이는 민간경비원들이 수행하는 직무가 경찰과 유사한 점이 많고, 실제로 법적으로도 경찰에서 이를 규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민간경비원의 권한행사 영역은 공경비인 경찰 등과 비교해 볼 때, 몇 가지 차원에서 접근할 수 있다. 먼저, 민간경비원은 말 그대로 ‘민간인’에 불과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민간경비원은 일반시민이 갖는 권한을 행사할 수 있을 뿐이다. 여기에는 정당방위, 긴급피난, 자구행위, 현행범체포권한 등이 포함된다. 그러나 민간경비를 이용하는 사용주체의 일정한 점유권 내지 관리권 영역에서 접근한다면, 민간경비원의 권한은 다소 확대될 수 있다. 더욱이 특별법에 의해 전형적인공무수탁사인의 형태로 권한을 위임하게 될 경우 민간경비원들의 권한은 보다 확대된다. 더 나아가 민영화 등에 의한 공경비의 권한 일체를 위임했을 경우에는 민간경비원의 권한은 공경비와 거의 동일한 성격을 갖게 될 것이다. 그러나 위임 또는 위탁된 권한의 정도는 상당히 유연하다는 점이다. 그리고 주의할 것은 민간경비원의 권한행사는 본질적으로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생각건대, 민간경비원의 권한 행사의 정당성과 그 허용가능성 문제는 법적 근거뿐만 아니라 최종적으로 사법적 판단을 전제로 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민간경비의 권한행사와 관련된법원의 태도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본다. 끝으로 민간경비의 성장과 이에 따른 권한확대는 필연적으로 수많은 책임문제를 수반하게 된다고 보며, 따라서 향후 이에 대해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고 본다. In this study, I would try to observe the scopes and related matters of the authority of private security personnel based on the basic discussion about the identity of private security. Everybody knows, the problems of private personnel have been mainly discussed in the relations of the public police. Because the roles of private personnel are similar to the police, and in the perspective of the law, private security are regulated by the police. When we compared with the police, the scopes of authorities of private personnel are considered in several points. First, most private personnel are just only 'citizen', so they can exercise the authority as citizen. It can include self-defense, self-help. flagrante delicto arrest. But when discuss the authority in the scopes of a possessionary right or managemental right, the authority of private personnel can be extended somewhat. Moreover, when private personnel are delegated by the special laws, their authority are extended much more. Finally, when the whole authority are delegated by such as the privatization, private personnel authority can be nearly same to the police. But,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degrees of the delegated authority are flexible. And the exercise of the authority must be performed in the limit that not infringe the individual freedom and rights. It seems to me that the degrees of fairness in use of authorities and it's a permitted limit are set forth a premise not only the legitimate base but also judicial judgement. Therefore, the attitudes of the courts related the exercise of authority are very important. And the growth of private security and the extension of authority followed are inevitably accompany the various problems of responsibility, so it must be considered about that in many perspectives.

      • KCI등재

        인간 본성에 대한 연구

        최선우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9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5 No.3

        Humans have made unremitting efforts to explore their nature throughout the years past and present. And especially during the historical period, when disorderly issues such as war and crime prevail, there was a great deal of discourse surrounding it. Human nature means the nature of human beings. However, this is not a static but a dynamic concept. This is because living organisms, including humans, have a tendency to exercise. And it's not just moving, it's got a certain directionality. In this regard, efforts are being made to categorize human nature. As an effort to categorize human nature, it is very important that Lee Je-ma presented SaSang Psychology thought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In addition, Carl Jung's Psychoanalysis attempts this approach. The two approaches have many similarities. However, if Jung's Psychoanalysis was focused on the spirit, Lee Je-ma is based on a combination of spirit and physical elements, especially environmental factor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it. On the other hand, humans can be regarded as being born with Macrocosm's nature as Microcosm. Bu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The cosmos(Macrocosm)’s nature inevitably results from causes by the law of causality. However, humans(Microcosm) follow not only causality but also the law of finality. Unlike the cosmos, human beings are a dual organism of spirit and physical elements, which creates private desires based on their purpose. The reason for this stems from the fact that, largely, the cosmos movements are being driven by causality, but earth movements are not complete. In other words, due to the slope of the earth's axis, it runs incompletely, and this imperfection affects human nature. For this reason, confrontation and struggle in human society are bound to exist in human society. Thus, there is a difference in what each human being is aiming for, such as categorizing human nature in thought SaSang Psychology and Psychoanalysis, and as a result, conflict is bound to exist.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humans themselves will have to admit to being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make constant efforts through ‘self-moderation.’ 인간은 과거와 현재에 이르는 동안 자신의 본성(本性)을 탐구하기 위하여 끊임없는 노력을 해왔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리고 특히, 전쟁과 범죄와 같은 무질서 문제가 팽배한 역사적 시기에는 이를 둘러싼 수많은 담론이 쏟아져 나왔다고 볼 수 있다. 인간의본성이라는 것은 인간이라는 존재가 본래 가지고 있는 성향을 의미한다. 그런데, 이는‘정적(靜的)’인 것이 아니라 ‘동적(動的)’인 개념이다. 인간을 포함하여 살아 움직이는 생물체는 반드시 운동하는 경향성(傾向性)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냥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방향성(方向性)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인간의 본성을 범주화(範疇化)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인간 본성의 범주화를 위한 노력으로서 이제마(李濟馬)는 사상의학(四象醫學)에서 사상심리(四象心理)를 제시하였다는 점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또 융(C. Jung)의 정신분석에서도 이러한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양자의 접근방법은 많은 유사성을 갖는다. 다만, 융의 정신분석은 정신에 초점을 두었다면, 이제마는 정신과 육체의 결합물로서바탕을 이루고, 특히 환경적 요인이 이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한편, 인간은 하나의 소우주(小宇宙)로서 대우주의 본성을 그대로 받고 태어난 존재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양자에는 차이가 있다. 우주 본성은 인과율(因果律)에 의해서 원인에 따른 결과 필연적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인간은 인과율뿐만 아니라 목적율(目的律) 을 함께 따르고 있다. 우주와는 달리 인간은 정신과 육체라는 이원적(二元的) 조직체이기 때문에 목적율에 따른 사적인 욕망이 생기기 때문이다. 이러한 원인은 거시적으로우주 운동이 인과율에 의해 운동하고 있지만, 지구의 운동이 완전하지 못하다는 점에서비롯된다. 즉, 지구 자전축의 경사로 인해서 불완전하게 운행하고, 이러한 불완전성은인간의 본성에 영향을 준다는 점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간사회에 있어서 모순과 대립은 존재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따라서 사상심리나 정신분석에서 인간 본성을 범주화한 것 같이 각각의 인간이 지향하는 바는 차이가 날 수밖에 없고, 결과적으로 갈등은 상존할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인간 스스로가 서로 다름을 인정하고, ‘자경(自警)’을통해서 끊임없이 노력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 KCI등재

        전라북도에서 곤충 병원성 곰팡이 Zoophthora radicans (Entomophthorales: Entomophthoraceae)의 발생

        최선우,김주희,서경원,문영훈,이공준,이창규,김재수,김진호,Choi, Seonu,Kim, Juhee,Seo, Kyoungwon,Moon, Younghun,Lee, Gongjun,Lee, Changkyu,Kim, Jaesu,Kim, Jinho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6 No.2

        곤충병원성 곰팡이 Zoophthora radicans (Entomophthorales: Entomophthoraceae)가 혹명나방, 배추좀나방, 복숭아혹진딧물과 진딧물인 미분류 1종을 감염시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들은 전라북도 진안, 김제, 익산에서 수집되었고, 6월과 9월에 관찰이 가능하였다. 이 균에 감염된 혹명나방은 진안에서 수집되었고, 감염율이 46%에 달하였다. 감염된 곤충 충체로부터 균을 분리하여 Sabouraud dextrose agar with yeast extract (SDAY)를 이용하여 인공배양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20{\sim}28^{\circ}C$가 인공배양을 위한 최적온도로 판단되며, SDAY보다 SDAY supplemented with egg yolk and milk (SDAY-EM)에서 발육이 보다 양호하였다. 이 곰팡이는 자연적으로 발생함을 포장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The entomopathogenic fungus Zoophthora radicans (Entomophthorales: Entomophthoraceae) was found to infect Cnaphalocrocis medinalis, Plutella xylostella, Myzus persicae and one unidentifed species. Samples of the fungus were collected from three areas (Jinan, Gimje, and Iksan) in Jeollabuk-do, Korea. Infected insects appeared in July and September, during which time population infection rate of Z. radicans on C. medinalis reached up to 46%. Zoophthora radicans hyphal bodies are rod-like to hyphoid, and primary conidia are bullet-shaped to long ovoid. The fungus was isolated from the surfaces of larvae and cultured in Sabouraud dextrose agar with yeast extract (SDAY). The optimal temperature range for mycelial growth was $20{\sim}28^{\circ}C$. Mycelium growth on SDAY supplemented with egg yolk and milk (SDAY-EM) was higher than on SDAY alone. Zoophthora radican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controlling insect population density using naturally induced epizootics.

      • KCI등재후보

        육계에서 담수녹조류 Euglena의 첨가사료가 생산성 및 흉근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최선우,백인기,박봉선 한국가금학회 2004 韓國家禽學會誌 Vol.31 No.4

        A feeding trial was conducted with Euglena strains grown under different media. The effect of supplementation of Euglena on the performance, nutrient availability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breast muscle was studied. In experiment 1, two hundred ten hatched broiler chicks (Ross) were assigned to seven dietary treatments for 5 weeks. Each treatment consisted of 3 replications with 10 birds each. Control diet was formulated to have 22% CP and 3,150 kcal ME/kg for starter diet, 19% CP and 3,200 kcal ME/kg for finisher diet. Euglena gracilis Z. (EG) was added to control diet at the level of 0.25, 0.5, 1.0% and Euglena gracilis Z. bleached and DHA enriched (EGBD ; a strain mutated by streptomycin and cultivated in DHA enriched medium) at the level of 0.5, 1.0, 2.0% in the diet. In experiment 2, two hundred fifty hatched broiler chicks (Ross) were assigned to five dietary treatments: T1; Control, T2; T1 + Euglena gracilis Z. DHA enriched (EGD; cultivated in DHA enriched medium) 0.5%, T3; T1 + EGD 1.0%, T4; T1 + EGBD 0.5%, T5; T1 + EGBD 1.0%. The weight gain and feed consumption were measured weekly. Fatty acid composition of breast muscle was determined. In experiments 1 and 2, Euglena supplementation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weight gain, feed intake and feed conversion ratio. In experiment 1, EGBD treatments significantly increased DHA concentration but decreased concentration of linoleic acid and arachidonic acid in breast muscle. EGBD 2%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DHA concentration (14.27%) which is 3.9 times of that of the control (3.66%). In experiment 2, 1.0% EGBD treatment showed highest EPA, lignoceric acid and DHA level in breast muscle (P<0.05). Also, EGD treatments significantly increased DHA and EPA concentration. It was concluded that EGBD and EGD can be supplemented to broiler diet to produce DHA enriched broiler meat. 본 연구는 생물학적 탄산가스 고정화에 사용되는 Euglena를 단세포 단백 사료 자원으로 이용하고, DHA를 강화시킨 변종을 육계의 사료에 첨가하였을 때 그 이용성과 도체지방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시험 1에서는 갓 부화한 육계병아리(Ross) 210수를 반복당 10수씩 3반복으로 배치하였다. 처리구는 에너지 함량과 조단백 질함량이 전기에는 3,150 kcal/kg, 22%, 후기에는 3,200 kcal/kg, 19%가 되도록 한 대조구사료에 EG (Euglena gracilis Z.)를 0.25, 0.50, 1.0% 첨가한 구와 EGBD(Euglen gracilis Z. bleached and DHA enriched)를 0.5, 1.0, 2.0% 첨가한 구의 7처리구로 하였다. 시험 2에서는 육계병아리(Ross) 250수를 반복당 10수씩 5반복으로 배치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 사료에 EGD(Euglena gracilis Z. DHA enriched)를 0.5, 1.0% 첨가한 구와 EGBD를 0.5, 1.0% 첨가한 구의 5처리구로 하였다. 사양시험은 5주간 실시하였고 매주 사료섭취량과 증체량, 사료요구율 및 폐사율을 측정하였다. 사양시험종료 후 대사시험을 실시하고, 가슴살을 채취하여 지방산을 분석하였다. 시험 1의 결과를 보면, 증체량은 시험 전 기간 동안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료요구율은 대조구에 비해 Euglena 첨가구들이 좋은 경향이 있었다. 단백질의 이용율은 EG를 첨가한 구들이 EGBD를 첨가한 구들보다 높은 경향이 있었다. 가슴살 내 지방산은 linoleic acid와 arachidonic acid가 1.0%의 EG를 첨가한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EPA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EGBD를 첨가한 구들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DHA는 2.0%의 EGBD를 첨가한 구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대조구를 포함한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EGBD를 첨가한 구들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실험 2에서도 증체량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사료요구율은 시험 전 기간동안 EGBD를 첨가한 구가 유의적으로 좋았다. 가슴살의 지방산 조성의 결과를 보면 linoleic acid는 대조구가 유의하게 높았다. EPA, DHA와 lignoceric acid는 모두 1.0%의 EGBD를 첨가한 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Euglena를 첨가한 구들 모두가 대조구보다 높았으며, 그중 EGBD를 첨가한 구들이 유의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Euglena의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시험 2에선 EGBD의 첨가가 사료효율을 개선시키는 경향이 있었다. DHA를 강화시킨 Euglena인 EGD나 EGBD의 첨가는 계육 내의 DHA를 비롯한 ω-3 계열의 지방산의 수준을 높이는데, 특히 EGBD는 DHA 강화 효과가 높았다.

      • KCI등재

        산란계에서 담수녹조류 Euglena의 첨가사료가 생산성 및 계란의 품질과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최선우,백인기,박봉선,Choi S. W.,Park I. K.,Park B. S. 한국가금학회 2004 韓國家禽學會誌 Vol.31 No.4

        본 연구에서는 생물학적 탄산가스 고정화에 사용되는 Euglena를 사료자원으로 이용하고, Euglena의 DHA를 강화시켜 산란계의 사료에 첨가하여 그 이용성과 난황내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시험 1에서는 32주령의 산란계(ISA-Brown) 280수를 7처리로 나누어 처리당 4반복으로 반복당 10수씩 배치하였다. 처리구는 에너지함량과 조단백질함량이 2,750 kcal/kg과$17\%$인 대조구 사료에 EG(Euglena gracilis Z.)를 0.25, 0.50, $1.0\%$ 첨가한구와 EGBD(Euglena gracilis B bleached and DHA enriched)를 0.5, 1.0, $2.0\%$ 첨가한 구의 7처리구로 하였다. 시험 2에서는 84주령의 산란계 300수를 5처리로 나누어 처리당 5반복으로 반복당 12수씩 배치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사료에 EGBD를 $0.5\%$ 첨가한 구와 EGD(Euglena gracilis Z. DHA enriched)를 0.5, 1.0, $2.0\%$ 첨가한 구의 5처리구로 하였다. 두시험 모두 사양시험은 4주간 실시하였고, 시험기간동안 물과 사료는 자유로이 섭취케 하고 정상적인 점등관리를 실시하였다. 시험 1의 결과를 보면,c일계산란율과 산란지수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난중은 시험사료 급여결과 $1.0\%$의 EG 첨가구가 가장 무거웠으며, 대조구가 가장 가벼웠다. 난황색은 모든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EG를 첨가한 구들의 난황색이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지방산 조성을 보면 $2.0\%$ EGBD 첨가구의 DHA와 EPA의 수준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arachidonic acid의 수준은 가장 낮았다. 시험 2에서도 일계 산란율과 산란지수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난중은 $0.5\%$의 EGD를 첨가한 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를 포함한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EGD를 첨가한 구들이 높은 경향이 있었다. 지방산 조성의 결과를 보면 $2.0\%$ EGD 첨가구의 myristic acid, myristoleic acid와 pentadecanoic acid가 모두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 DHA는 $0.5\%$%의 EGBD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EGD를 첨가한 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적으로, Euglena의 첨가는 산란계의 생산성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EG의 첨가가 난황색의 개선에 효과가 있었고, EG, EGD 그리고 ECBD 모두가 난중을 높여주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Euglena의 DHA를 강화시킨, EGD나 특히 EGBD의 첨가는 난황내의 DHA를 비롯한 $\omega%-3 계열의 지방산의 수준을 높이는데 효과적이라고 사료되어진다. Feeding trials were conducted with Euglena strains grown under different media. The effect of supplementation of Euglena on the laying performance, egg quality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egg yolk was studied. In experiment I, two hundred eighty 32-wk-old ISA Brown lay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seven dietary treatments for 4 wks. Each treatment consisted of 4 replications with 10 birds each housed in two birds cages. Control diet was formulated to have $17\%$ CP and 2,750 kcal ME/kg. Euglena gracilis Z. (EG) was added to control diet at the level of 0.25, 0.5, $1.0\%$ and Euglena gracilis Z. bleached and DHA enriched (EGBD; a strain mutated by streptomycin and cultivated in DHA enriched medium) at the level of 0.5, 1.0, $2.0\%$ in the diet. In experiment 2, three hundred 84-wk-old ISA brown lay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five dietary treatments: T1; Control, T2; T1 + EGBD $0.5\%$, T3; T1 + Euglena gracilis Z. DHA enriched (EGD; cultivated in DHA enriched medium) $0.5\%$, T4; T1 + EGD $1.0\%$, T5; T1 + EGD $2.0\%$. Each treatment had 5 replication of 12 birds each housed in two birds cages. In experiments 1 and 2, Euglena suppplementat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egg production but increased egg weight and feed intake. In experiment 1, EG was more effective in increasing egg yolk color score than EGBD. Egg yolk color of EG $1\%$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score. EGBD supplementation increased DHA concentration of egg yolk. EGBD $2\%$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DHA and the lowest palmitic and stearic acids concentration in the egg yolk. In experiment 2, EGBD $0.5\%$ treatment showed highest DHA level in egg yolk (P<0.05). It was conducted that EGBD is a single cell protein source rich in DHA, that can be used to produce DHA enriched eggs.

      • KCI등재

        육계에서 담수녹조류 Euglena 첨가사료가 생산성 및 흉근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최선우,백인기,박봉선,Choi S. W.,Park I. K.,Park B. S. 한국가금학회 2004 韓國家禽學會誌 Vol.31 No.4

        본 연구는 생물학적 탄산가스 고정화에 사용되는 Euglena를 단세포 단백 사료 자원으로 이용하고, DHA를 강화시킨 변종을 육계의 사료에 첨가하였을 때 그 이용성과 도체지방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시험 1에서는 갓 부화한 육계병아리(Ross) 210수를 반복당 10수씩 3반복으로 배치하였다. 처리구는 에너지 함량과 조단백 질함량이 전기에는 3,150 kcaHg, $22\%$, 후기에는 3,200 kcal/kg, $19\%$가 되도록 한 대조구사료에 EG(Euglena gracilis Z.)를 0.25, 0.50, $1.0\%$ 첨가한 구와 EGBD(Euglen gracilis Z. bleached and DHA enriched)를 0.5, 1.0, $2.0\%$ 첨가한 구의 7처리구로 하였다. 시험 2에서는 육계병아리(Ross) 250수를 반복당 10수씩 5반복으로 배치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 사료에 EGD(Euglena gracilis Z. DHA enriched)를 0.5, $1.0\%$ 첨가한 구와 EGBD를 0.5, $1.0\%$ 첨가한 구의 5처리구로 하였다. 사양시험은 5주간 실시하였고 매주 사료섭취량과 증체량, 사료요구율 및 폐사율을 측정하였다. 사양시험종료 후 대사시험을 실시하고, 가슴살을 채취하여 지방산을 분석하였다. 시험 1의 결과를 보면, 증체량은 시험 전 기간 동안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료요구율은 대조구에 비해 Euglena 첨가구들이 좋은 경향이 있었다. 단백질의 이용율은 EG를 첨가한 구들이 EGBD를 첨가한 구들보다 높은 경향이 있었다. 가슴살 내 지방산은 linoleic acid와 arachidonic acid가 $1.0\%$의 EG를 첨가한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EPA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EGBD를 첨가한 구들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DHA는 $2.0\%$의 EGBB를 첨가한 구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대조구를 포함한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EGBD를 첨가한 구들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실험 2에서도 증체량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사료요구율은 시험 전 기간동안 EGBD를 첨가한 구가 유의적으로 좋았다. 가슴살의 지방산 조성의 결과를 보면 linoleic acid는 대조구가 유의하게 높았다. EP4 DHA와 lignoceric acid는 모두 $1.0\%$의 EGBD를 첨가한 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Euglena를 첨가한 구들 모두가 대조구보다 높았으며, 그중 EGBD를 첨가한 구들이 유의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Euglena의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시험 2에선 EGBD의 첨가가 사료효율을 개선시키는 경향.이 있었다. DHA를 강화시킨 Euglena인 EGD나 EGBD의 첨가는 계육 내의 DHA를 비롯한 $\omega$-3 계열의 지방산의 수준을 높이는데, 특히 EGBD는 DHA 강화 효과가 높았다. A feeding trial was conducted with Euglena strains grown under different media. The effect of supplementation of Euglena on the performance, nutrient availability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breast muscle was studied. In experiment I, two hundred ten hatched broiler chicks (Ross) were assigned to seven dietary treatments for 5 weeks. Each treatment consisted of 3 replications with 10 birds each. Control diet was formulated to have $22\%$ CP and 3,150 kcal ME/kg for starter diet, $19\%$ CP and 3,200 kcal ME/kg for finisher diet. Euglena gracilis Z. (EG) was added to control diet at the plevel of 0.25, 0.5, $1.0\%$ and Euglena gracilis Z. bleached and DHA enriched (EGBD; a strain mutated by streptomycin and cultivated in DHA enriched medium) at the level of 0.5, 1.0, $2.0\%$ in the diet. In experiment 2, two hundred fifty hatched broiler chicks (Ross) were assigned to five dietary treatments: T1; Control, T2; T1 + Euglena gracilis Z. DHA enriched (EGD; cultivated in DHA enriched medium) $0.5\%$, T3; T1 + EGD $1.0\%$, T4; T1 + EGBD $0.5\%$, T5; T1 + EGBD $1.0\%$. The weight gain and feed consumption were measured weekly. Fatty acid composition of breast muscle was determined. In experiments I and 2, Euglena supplementation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weight gain, feed intake and feed conversion ratio. In experiment 1, EGBD treatments significantly increased DHA concentration but decreased concentration of linoleic acid and arachidonic acid in breast muscle. EGBD 2%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DHA concentration (14.27%) which is 3.9 times of that of the control ($3.66\%$). In experiment 2, $1.0\%$ EGBD treatment showed highest EPA, lignoceric acid and DHA level in breast muscle (P<0.05). Also, EGD treatments significantly increased DHA and EPA concentration. It was concluded that EGBD and EGD can be supplemented to broiler diet to produce DHA enriched broiler meat.

      • KCI등재후보

        산란계에서 담수녹조류 Euglena의 첨가사료가 생산성 및 계란의 품질과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최선우,백인기,박봉선 한국가금학회 2004 韓國家禽學會誌 Vol.31 No.4

        Feeding trials were conducted with Euglena strains grown under different media. The effect of supplementation of Euglena on the laying performance, egg quality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egg yolk was studied. In experiment 1, two hundred eighty 32-wk-old ISA Brown lay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seven dietary treatments for 4 wks. Each treatment consisted of 4 replications with 10 birds each housed in two birds cages. Control diet was formulated to have 17% CP and 2,750 kcal ME/kg. Euglena gracilis Z. (EG) was added to control diet at the level of 0.25, 0.5, 1.0% and Euglena gracilis Z. bleached and DHA enriched (EGBD; a strain mutated by streptomycin and cultivated in DHA enriched medium) at the level of 0.5, 1.0, 2.0% in the diet. In experiment 2, three hundred 84-wk-old ISA brown lay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five dietary treatments: T1; Control, T2; T1 + EGBD 0.5%, T3; T1 + Euglena gracilis Z. DHA enriched (EGD; cultivated in DHA enriched medium) 0.5%, T4; T1 + EGD 1.0%, T5; T1 + EGD 2.0%. Each treatment had 5 replication of 12 birds each housed in two birds cages. In experiments 1 and 2, Euglena suppplementat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egg production but increased egg weight and feed intake. In experiment 1, EG was more effective in increasing egg yolk color score than EGBD. Egg yolk color of EG 1%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score. EGBD supplementation increased DHA concentration of egg yolk. EGBD 2%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DHA and the lowest palmitic and stearic acids concentration in the egg yolk. In experiment 2, EGBD 0.5% treatment showed highest DHA level in egg yolk (P<0.05). It was conducted that EGBD is a single cell protein source rich in DHA, that can be used to produce DHA enriched eggs. 본 연구에서는 생물학적 탄산가스 고정화에 사용되는 Euglena를 사료자원으로 이용하고, Euglena의 DHA를 강화시켜 산란계의 사료에 첨가하여 그 이용성과 난황내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시험 1에서는 32주령의 산란계(ISA-Brown) 280수를 7처리로 나누어 처리당 4반복으로 반복당 10수씩 배치하였다. 처리구는 에너지함량과 조단백질함량이 2,750 kcal/kg과 17%인 대조구 사료에 EG(Euglena gracilis Z.)를 0.25, 0.50, 1.0% 첨가한 구와 EGBD(Euglena gracilis Z. bleached and DHA enriched) 를 0.5, 1.0, 2.0% 첨가한 구의 7처리구로 하였다. 시험 2에서는 84주령의 산란계 300수를 5처리로 나누어 처리당 5반복으로 반복당 12수씩 배치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사료에 EGBD를 0.5% 첨가한 구와 EGD(Euglena gracilis Z. DHA enriched)를 0.5, 1.0, 2.0% 첨가한 구의 5처리구로 하였다. 두 시험 모두 사양시험은 4주간 실시하였고, 시험기간동안 물과 사료는 자유로이 섭취케 하고 정상적인 점등관리를 실시하였다. 시험 1의 결과를 보면, 일계산란율과 산란지수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난중은 시험사료 급여결과 1.0%의 EG 첨가구가 가장 무거웠으며, 대조구가 가장 가벼웠다. 난황색은 모든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EG를 첨가한 구들의 난황색이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지방산 조성을 보면 2.0% EGBD 첨가구의 DHA와 EPA의 수준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arachidonic acid의 수준은 가장 낮았다. 시험 2에서도 일계 산란율과 산란지수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난중은 0.5%의 EGD를 첨가한 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를 포함한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EGD를 첨가한 구들이 높은 경향이 있었다. 지방산 조성의 결과를 보면 2.0% EGD 첨가구의 myristic acid, myristoleic acid와 pentadecanoic acid가 모두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 DHA는 0.5%의 EGBD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EGD를 첨가한 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적으로, Euglena의 첨가는 산란계의 생산성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EG의 첨가가 난황색의 개선에 효과가 있었고, EG, EGD 그리고 EGBD 모두가 난중을 높여주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Euglena의 DHA를 강화시킨, EGD나 특히 EGBD의 첨가는 난황내의 DHA를 비롯한 -3 계열의 지방산의 수준을 높이는데 효과적이라고 사료되어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