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규제수단과 방식의 유형 재분류

        최병선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09 行政論叢 Vol.47 No.2

        The orthodox method of classifying types of regulation has invariably been to distinguish economic regulations from social regulations. Even if it has several merits and advantages for other purposes, it has proven inadequate for the purpose of comparing regulations with other types of policy instruments. This study thus aims at reclassifying regulatory instruments into new categories better suited to devising and selecting better regulatory options, and finds that new categories, a slightly modified version of Choi (1992), can be used irrespective of areas of regulation except in the case of price regulation. Most importantly, the adoption of the integrated classification scheme offered here would help turn attention from the erstwhile consideration of the legitimacy of economic regulation to the choice of regulatory instruments with a view to reducing their inefficiencies. 규제를 경제규제와 사회규제로 분류하는 정통적인 방식은 여러 장점이 있지만 정책수단의 비교연구에는 적합하지 않은 면이 있다. 이런 문제의식에서 이 글은 양 규제영역에서 통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규제수단과 방식의 재분류를 시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최병선(1992)의 사회규제수단의 유형화 방식을 수정한 다음, 이것이 경제규제수단의 분류방식으로도 적합성이 있는지를 검토하고 있다. 검토결과 가격규제를 제외한 여타 경제규제의 경우 적합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경제규제 영역에서의 논의와 연구의 초점이 규제 자체의 정당성 비판에 머무르지 않고, 실천적인 차원에서 좀 더 의미가 큰 규제수단과 방식의 개선으로 옮아갈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윌다브스키의 정책학

        최병선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5 行政論叢 Vol.53 No.4

        윌다브스키는 정치학자로만 알려져 있으나, 정통 행정학자(정책학자)이다. 그것도 걸출한 학자이다. 허나 국내에서의 영향력은 제한적이다. 이는 우리 학계가 “합리성” 패러다임에 경도된 탓이리라. 윌다브스키는 철두철미 점진주의자이다. 이 글은 Speaking Truth to Power를 중심으로 “윌다브스키의 정책학”을 소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의 관점에서 본 정책분석의 요체는 (정책)오차의 발견과 시정이다. 높은 이상과 목표에 집착하는 “합리성” 패러다임은 과학적 탐구를 통한 정책지식의 축적을 방해하고, 정책실패의 반복, 무모한 정책실험의 조장 등 폐해가 크다고 지적한다. 정책분석의 목적에 관해서도 “합리성” 패러다임은 시민들이 원하는 것이면 무엇이든 실현해 주어야 한다는 듯 혼동에 빠져 있지만, 정책분석은 시민들이 “실현가능한 것만이 바람직한 것이고 또 그것이 최선”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학습을 촉진하는 데 목적을 두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If not well recognized, Aaron Wildavsky, a distinguished political scientist, is also a genuine student of public administration. Notwithstanding, it is sad that he is almost wholly ignored in this country, probably because the local academic community is so steeped in what Wildavsky calls the “rationalist” paradigm. He is a “thorough” incrementalist, and it is thus no surprise that he indicts the paradigm as total nonsense. This article aims at introducing “Wildavsky’s policy science,” the main arguments of which are well provided in Speaking Truth to Power. The essence of policy analysis in his policy science consists in error recognition and correction.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ought to take the center stage if increasing our knowledge about public policies through scientific research is what policy study is all about. Here, the “rationalist” paradigm is seen to be committing a serious mistake, perversely leading people to ask wrong questions whose answers are obvious and unworthy of receiving serious analysis, as he aptly puts it: “This paradigm conveys the wrong-headed impression that all one has to do to answer a question is to ask it. Just how thoroughly available answers determine the kinds of questions asked remains unrecognized.” Pointing out that the paradigm is in confusion about the purpose of policy analysis, he contends that the main task of policy analysis is to help people perfect their preferences, that is, to learn whether what they once thought they wanted was what they now ought to have, or to learn what we ought to want in relation to what is available for obtaining it. These arguments are of the sort that never occur in the minds of students of public policy in this country in particular.

      • KCI등재

        범용 부품을 이용한 M-PHY AFE Block 개발

        최병선,오호형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 2015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Vol.14 No.2

        For the development of UFS device test system, M-PHY specifications should be matched with MIPI-standard which is analog signal protocol. In this paper, the implementation methodology and hardware structure for the M-PHY AFE (Analog Front End) Block was suggested that it can be implemented using universal components without ASIC process. The testing procedure has a jitter problem so to solve the problems we using ASIC process, normally but the ASIC process needs a lot of developing cost making the UFS device test system. In is paper, the suggestion was verified by the output signal which was compared to the MIPI-standard on the Prototype-board using universal components. The board was reduced the jitter on the condition of HS-TX and 5.824 Gbps Mode in SerDes (Serialize-deserializer). Finally, the suggestion and developed AFE block have a useful better than ASIC process on developing costs of the industrial UFS device test system.

      • KCI등재

        임부의 수면양상

        최병선,윤진상,Choi, Byeung-Sun,Yoon, Jin-Sang 대한수면의학회 1998 수면·정신생리 Vol.5 No.1

        연구배경 : 본 연구는 정상 단태 임부에서 임신 경과에 따른 수면양상의 변화 및 그 원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임신 제1 삼분기에 수면설문지를 작성한 임부를 대상으로, 임신 제2 및 제3 삼분기에도 동일한 수면 설문지를 가지고 추적조사를 하였다. 조사내용은 각 임신 시기에서의 수면 잠복기, 총 수면시간, 수면중 깨는 횟수, 각성시 회복감, 주간의 상태, 수면 자세, 수면 양상변화의 원인 등이었다. 결과 : 다음은 총 3회의 설문조사를 성실히 수행했던 26명의 임부에 대한자료분석의 결과이다. 1. 각 임신 시기와 임신전과의 비교 결과, 수면 잠복기는 임신 제1 및 제2 삼분기에서 감소하였고, 총 수면시간은 임신 제1, 제2 및 제3 삼분기에서 모두 증가하였다. 임신 제3 삼분기에는 수면 중 깨는 횟수가 증가하였고, 각성시 회복감이 감소하였다. 임신 제1, 제2 및 제3 삼분기 모두에서 주간에 피곤감과 졸리움이 증가하였다. 2. 각 임신 시기간의 비교 결과, 임신 제3 삼분기에는 수면 잠복기 및 수면중 깨는 횟수가 임신 제1 및 제2 삼분기보다 증가하였다. 또한 임신 제3 삼분 기에는 제1 및 제2 삼분기보다 각성시 회복감이 더 적었고, 주간의 졸리움도 더 심하였다. 3. 수면 자세는 임신 제1 및 제2 삼분기에 복와위 또는 앙와위를 취했던 임부도 제3 삼분기에는 모든 임부가 측와위를 취했다. 4. 수면양상변화의 원인으로서 임신제1 삼분기에는 오심과 구토, 속쓰림과 소화불량 및 빈뇨, 제2 삼분기에는 빈뇨, 태아의 움직임 및 둔부의 통증, 제3 삼분기에서는 빈뇨, 태아의 움직임, 하지의 경련과 요통순으로 많았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정상 단태임신과 관련한 수면 변화의 자료로서, 향후 임부에서 수면위생의 향상과 수면장애의 치료를 위한 기초적 자료로 활용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Objectives : The change of sleep patterns commonly occurs in association with the pregnancy.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leep habits during the course of normal pregnancy. Methods : Sleep habits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healthy women in their first trimester(TR1) of pregnancy and then the same questionnaire was repeatedly administered during their second(TR2) and third(TR3) trimesters. The following aspects were assessed : patterns of night sleep, daytime status, sleep posture, reasons for sleep alteration, and the experience of any particular parasomnias, as well as sleep problem-related treatment or medication. Data analysis was based on 26 women who maintaind good health throughout their pregnancy and completed the questionnaire three times. Results : In comparisons between each trimester and non-pregnant state, total night sleep time, daytime tiredness, and sleepines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trimesters. Sleep latenc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R1 and TR2, but not in TR3. In addition, refreshed feeling on waking the following da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 number of awakenings during night slee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R3, but not in TR1 and TR2. In comparisons between trimesters,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sleep latency, daytime sleepiness and the number of awakenings during night sleep and a significant decrease in refreshed feeling on waking the following day in TR3 compared to TR1 and TR2. Over the course of pregnancy, the rate of lateral position during sleep was gradually increased and all the pregnant women took the lateral sleeping posture in TR3. The major reasons for sleep pattern alteration were nausea, vomiting and heartburn in TR1, urinary frequency, fetal movement and ache in hips in TR2, and urinary frequency, fetal movement, cramp in legs and backache in TR3. Conclusion :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be useful for educating pregnant women about sleep hygiene. In future studies, the underlying factors and mechanisms regarding sleep patterns during pregnancy will need to be clarified.

      • KCI등재후보

        중상주의(신중상주의) 정책의 지대추구 측면에 관한 연구

        최병선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02 국제지역연구 Vol.11 No.4

        Today we are witnessing a rampant rise of neo-mercantilist policies, such as new technology-based industrial development policies and the formation of regional blocs, which differ in their manifestations but share the same ideas and predilections with old mercantilist policies in the 17-18th centuries. The lack of criticism against and concern, among academic circles, about the return, in far more sophisticated forms, of mercantilism, which had long been proven as pre-scientific and pre-analytic, is a shame, although a group of rent-seeking theorists and institutionalist scholars have recently begun to open fire against the old mercantilism, describing it as a “rent-seeking society.” Finding that the true concept of national wealth established by Adam Smith has failed to play its deserved role persistently in the controversy over the nature of (neo-)mercantilist policies, this article puts forward a set of hypothesis in an attempt to improve the power of the rent-seeking explanations. The hypotheses prove reinforcing the validity of rent-seeking explanation of mercantilist policies, while providing only indeterminate conclusion, yet new problems and research themes, for neo-mercantilist policies. This study concludes with the remark that we need to reread The Wealth of Nations, in which Smith expounded so forcibly the true nature and the causes of national wealth and condemned so strongly the mercantile system not only for its scientific falsity, but more importantly for its immorality and injustice. 오늘날 신기술·산업정책이나 지역경제블록 등 비록 표현양태는 다르고 훨씬 정교해졌지만 정책사조나 속성 면에서 17-8세기의 중상주의 정책과 다를 바 없는 신중상주의 정책이 크게 확산되고 있다. 명백한 전과학적 오류로 판명된 중상주의가 오늘날 이렇게 화려하게 부활하고 있는 것은 여간 큰 문제가 아니건만 이에 대한 문제의식은 극히 박약하다. 이 글은 최근 지대추구이론가 및 제도주의 연구자들에 의해 중상주의 정책의 공익성 대 사익성 문제가 핵심이슈로 부각된 가운데, 중상주의 정책의 연구가 국가정책의 공익성 대 사익성 문제에 대한 우리의 이해와 인식을 크게 증진시켜 줄 것이라는 기대를 갖고 출발하였다. 중상주의 연구의 계보, 특히 지대추구이론에 입각한 최근의 주장과 반론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연구자는 경제정책의 공익성 대 사익성에 관한 논의에서 당연히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해야 할 국부의 개념이 소홀히 취급되고 있는 것을 발견하고, 정책결정자가 국부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지 여부를 중심으로 3개의 가설을 세워 이를 중상주의 정책과 신중상주의 정책에 적용하고 있다. 연구결과, 이 가설은 지대추구이론에 입각한 중상주의 정책의 사익성 주장을 강력하게 보완해 준 반면, 신중상주의 정책의 경우는 단정적인 결론으로 이끌지는 못하나, 새로운 문제의식과 연구과제를 제기해 주었다.

      • KCI등재

        세계화시대의 국가간 규제(정책 및 제도)의 조화에 관한 연구

        최병선 韓國行政硏究院 2001 韓國行政硏究 Vol.10 No.4

        세계화의 진전에 따라 국가간 규제차이가 국제무역과 투자의 중대한 장애물로 부각되고 있다. WTO체제의 등장과 더불어 이 문제에 대한 논의가 OECD 등을 중심으로 계속되고 있으나 아직 어떤 뚜렷한 행동기준이나 준칙이 마련되지는 않고 있다. 이 글은 먼저 이런 시점에서 국가간 규제차이를 문제삼는 것이 과연 정당한지, 어떤 형태로든 국가간 규제의 조화나 협력이 불가피한 바, 그 추진방안으로 논의되고 있는 규제조화와 상호인정은 각기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그리고 앞으로 어떤 방식이 국가간 규제협력의 주류를 형성하게 될지를 검토하고 있다. 저자는 상호인정이 개별국가의 규제정책의 자율성 존중, 협상의 상대적 용이성, 대응성과 신축성 등 여러 측면에서 규제조화보다 유리한 점이 많아 이 방식이 주로 사용되게 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우리 나라가 이런 추세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동참할 수 있기 위해서는 현재의 규제개혁체제를 시급히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As the globalization trend accelerates, regulatory differences among countries have increasingly come to be identified as a major obstacle hindering further integration of world market. With the emergence of the WTO, debates on the necessity and mode of international regulatory cooperation are gathering heat especially at the relevant committees of the OECD. No concrete rules of regulatory conduct or principles, however, have yet been agreed upon. This paper aims at examining the legitimacy of harmonization claims, comparing the two major approaches to international regulatory cooperation--regulatory harmonization and mutual recognition, and then making predictions about which of the two methods would predominate. On the judgement that mutual recognition excels harmonization in such respects as honoring the national policy autonomy, the ease of negotiation and flexibility, and finding that many advanced countries have already chosen to follow this path, the author urges Korean government to take special notice of recent developments and to modify the guiding principles governing the current regulatory reform processes in a fashion to review and reform existing regulations with renewed and explicit concern for their potential trade impacts.

      • KCI등재

        유해류 역학서에 수록된 근대중국어 문화어휘 연구 -『譯語類解』와 『方言類釋』을 중심으로-

        최병선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3 철학·사상·문화 Vol.- No.41

        『Yeok-eoyuhae』 and 『Bang-eonyuseok』 are representative classification lexicon published in Joseon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and are important literature materials for studying the vocabulary and pronunciation of modern Chinese. In this paper, the cultural vocabulary contained in 『Yeok-eoyuhae』 and 『Bang-eonyuseok』 was divided into meanings and types, and the vocabulary and its changing aspects were identified. I also looked at the cultural image of the Qing Dynasty which was reflected in the cultural vocabulary.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can be divided as follows. First, investigation and arrangement of cultural vocabulary in 『Yeok-eoyuhae』 and 『Bang-eonyuseok』 were carried out. Cultural vocabulary was divided into food culture vocabulary, clothing culture vocabulary, residential culture vocabulary, commercial culture vocabulary, profanity culture vocabulary, etc. Second, modern Chinese cultural vocabulary classification and analysis were performed. Vocabularies of 『Yeok-eoyuhae』 and 『Bang-eonyuseok』, which are divided into categories by cultural meaning, were classified by detailed meaning, and classification and analysis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word construction method. Third, based on 『Hong-lu-mong』, I explored the cultural image of China in the Qing dynasty. By referring to the papers that studied artistic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value of 『Hong-lu-mong』, I investigated what kind of era and cultural image the corresponding cultural vocabulary reflects. Through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it is hoped that a wide range of research on the cultural vocabulary contained in 『Yeok-eoyuhae』 and 『Bang-eonyuseok』 can be conducted, and furthermore, this study can serve as a basis for making classification lexicon accessible from various perspectives. 『譯語類解』와 『方言類釋』은 17∼18세기 조선에서 간행된 대표적인 類解類 譯學書로, 近代漢語의 어휘와 어음을 연구하는 데 있어 중요한 의의를 지니는 문헌자료이다. 본고는 『譯語類解』와 『方言類釋』에 수록된 문화어휘들을 의미·종류별로 나누어 어휘 및 그 변천 양상을 확인하였고, 그리고 『紅樓夢』 문화어휘와 비교하여 어휘 사용 양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고 문화어휘에 반영된 淸代 중국 문화상 또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譯語類解』와 『方言類釋』에 수록된 문화어휘들의 조사 및 정리 작업을 진행하였다. 문화어휘들을 음식문화 어휘, 복식문화 어휘, 주거문화 어휘, 욕설문화 어휘 등으로 나누어 조사하고 정리하여 연구를 위한 기초 작업을 진행하였다. 둘째, 근대중국어 문화어휘 분류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문화적 의미별로 부류가 나누어져 있는 『譯語類解』와 『方言類釋』의 어휘들을 세부 의미별로 분류하고 또 단어 구성방식에 따라 분류 및 분석을 진행하였다. 셋째, 『紅樓夢』을 바탕으로 淸代 중국의 문화상을 알아보았다. 『紅樓夢』의 예술적 성격과 문화적 가치 등을 연구한 논문들을 참고하여 해당 문화어휘가 어떤 시대상과 문화상을 반영하는지 알아보았다. 본고의 논의를 거쳐 『譯語類解』와 『方言類釋』에 수록되어 있는 문화어휘에 대한 폭넓은 연구가 진행될 수 있기를 바라며, 나아가 향후 『譯語類解』와 『方言類釋』등의 유해류 역학서를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게 만드는 토대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지역 및 도시개발의 문제와 대책 : 그린벨트 관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Problems and Prospects of Greenbelt Menagement System in Korea )

        최병선 대한건축학회 1993 建築 Vol.37 No.2

        우리나라에서도 1960년대에 들어와 런던의 그린벨트를 모방한 서울주변 및 수도권의 그린벨트가 구상된 바 있었으나 제도적인 틀을 갖추게 된 것은 1971년부터이다. 즉 1960년대부터 이미 사회적 문제로 제기되고 있던 대도시의 과도한 성장을 억제할 목적으로 그린벨트와 같은 성격의 개발제한구역제도를 도시계획법에서 규정하게 된 것이다. 이 규정에 따라 많은 도시의 주변에 개발제한구역이 지정되었고 현재 그 면적은 전국토의 5.5%인 5,400km 에 이르고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