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나리오 기반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북한지역 반격 시 물자수송 능력 분석방법 연구

        최병권,정석재,Choi, Byung Kwon,Jeong, Suk Jae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17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20 No.2

        The Material Transportation Capability Analysis Method in North Korea includes adversary's activities such as destruction of bridge which is one kind of choke points in the road network and surprise attack against resupply march unit. Also, the amount of damage on choke points in the road network and repair time depending on repair unit commitment must be reflected. In this study, a scenario encompassing plausible resupply transportation circumstances while counterattacking into NK will be established. Then, based on such scenario, a simulation model will be established and the result of simulation will be compared to the results of numeric example which has been used in the ROK Army. We demonstrate, through a certain Corps operation area, that the Scenario-based Simulation Model results predict the performance of resupply operation very well. Therefore, it makes sustainment planners and commanders do activities which is suitable for battlefield and should be used in the real situation. It is also a stochastic model.

      • 발치 중에 발생한 성문하 이물 1례

        최병권,김기식,권오성,서재범,이종빈,Choi, Byoung-Kwon,Kim, Ki-Sik,Kwon, O-Sung,Seo, Jae-Bum,Lee, Jong-Bin 대한기관식도과학회 2004 大韓氣管食道科學會誌 Vol.10 No.2

        The lodgement of foreign material in the larynx is potentially life thereatening as complete obstruction of this region does not leave the individual with a viable airway. In the literature review, laryngeal foreign bodies accounted for about $3\%$ of the whole foreign bodies in the air passage. This report describes a rare case of laryngeal obstruction by subglottic foreign body(tooth) occurred during tooth extraction, in which repeated Heimlich maneuver failed to expel the foreign body and aggravated airway obstruction.

      • KCI등재

        분광 영역 모드록킹 레이저를 이용한 공진형 광섬유 격자 센서

        최병권,전민용,Choi, Byeong Kwon,Jeon, Min Yong 한국광학회 2012 한국광학회지 Vol.23 No.5

        We report a resonance fiber Bragg sensor interrogation based on a Fourier domain mode-locking (FDML) laser. The FDML laser is constructed based on a conventional ring laser cavity configuration with fiber Fabry-Perot tunable filter (FFP-TF). There are two sensor parts which are composed with two FBGs inside the laser cavity. Each sensor part provides a separate laser cavity for the FDML laser. The resonance frequencies of the laser cavities are 46.687 kHz and 44.340 kHz, respectively. We applied a static and a dynamic strain on the FBG sensor system. The slope coefficients of the measured relative wavelength shift and relative time interval from the static strain are found to be $0.61pm/{\mu}{\epsilon}$ and $0.8ns/{\mu}{\epsilon}$, respectively. 본 논문은 분광 영역 모드록킹(Fourier domain mode-locking: FDML) 레이저를 기반으로 공진형 광섬유 격자 센서를 구현한 결과를 보고한다. FDML 레이저는 파브리-페롯 가변 필터를 이용하여 링 형태로 구성하며, 레이저 공진기 안에 광섬유 격자 2개를 한 쌍으로 하여 센서부 2개를 삽입한 구조이다. 광섬유 격자는 반사 거울 역할을 하며, 광섬유 격자의 위치에 따라 독립된 FDML 레이저 공진기를 구성한다. 각각 센서부의 공진 주파수는 46.687 kHz 와 44.340 kHz이다. FBG 센서 시스템에 정적 및 동적 스트레인을 가하였으며, 정적 스트레인에 대해 파장 영역과 시간 영역에서 측정된 스트레인에 대한 변화율은 각각 $0.61pm/{\mu}{\epsilon}$, $0.8ns/{\mu}{\epsilon}$ 이다.

      • KCI등재

        폴리머 도파로 브라그 격자를 이용한 단일 파장 가변 광섬유 레이저의 출력 특성 연구

        최병권,변종현,서준규,이학규,전민용,Choi, Byeong Kwon,Byun, Jong Hyun,Seo, Jun Gyu,Lee, Hak Kyu,Jeon, Min Yong 한국광학회 2015 한국광학회지 Vol.26 No.6

        본 논문은 폴리머 광 도파로 기반의 브라그 격자(Polymer waveguide Bragg grating: PWBG) 파장 필터를 광섬유 레이저 공진기 내부에 삽입하여 단일 파장 가변 레이저를 구현하고, 주위 온도 및 공진기 내부의 편광 상태의 변화에 대한 출력 특성을 연구한 결과에 대해 보고한다. 레이저 공진기 내부에 있는 PWBG 파장 필터에 0 mW에서 100 mW의 전력을 인가해 주었을 때 레이저에서 발진하는 파장은 1548.24 nm에서 1531.95 nm까지 약 16.29 nm를 가변할 수 있었으며, 이 때 slope efficiency는 약 -0.16 nm/mW였다. 레이저 공진기 안의 편광을 적절하게 조절하면 모든 파장 가변 범위에서 35 dB 이상의 SMSR(side mode suppression ratio)을 얻을 수 있었다. 레이저 공진기 외부의 온도가 변화하면 발진하는 파장이 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PWBG 파장 필터를 이용하여 안정된 파장 가변 레이저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PWBG 파장 필터의 온도 안정화가 필요하며, 또한 편광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레이저 공진기를 편광유지 광섬유로 구성해야 한다. We report the characteristics of a single-wavelength-tunable fiber laser using a polymer waveguide Bragg grating (PWBG) wavelength filter. The output of the laser depends on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and polarization states in the laser cavity. Wavelength tuning can be achieved, about 16.29 nm from 1548.24 nm to 1531.95 nm, according to the electric power applied to the PWBG wavelength filter. The achieved efficiency slope is about -0.16 nm/mW. A side-mode suppression ratio (SMSR) of more than 35 dB can be obtained by adjusting the polarization state in the laser cavity. A stable wavelength-tunable fiber laser can be achieved using the PWBG wavelength filter with a TEC module and a polarization-maintaining fiber.

      • KCI등재

        부하가 인식하는 상사의 피드백 추구행동과 리더십 효과성의 관계

        최병권(Choi, Byoung Kwon),전재욱(Chun, Jae Uk),원지현(Won, Ji Hyun),문형구(Moon, Hyoung Koo) 한국인사관리학회 2012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6 No.2

        피드백 추구행동에 대한 그 간의 연구들은 주로 부하의 상사로부터의 피드백 추구행동에 편중되어 이루어진 반면, 상사의 부하로부터의 피드백 추구행동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피드백은 비단 부하뿐만 아니라 상사의 효과성에도 매우 중요한 요인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상사의 피드백 추구행동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피드백 추구행동의 선행연구들은 주로 질문을 중심으로 한 피드백 추구행동의 방식에 초점을 많이 두어온 반면, 피드백의 내용(긍정피드백, 부정피드백)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추구하는 피드백의 내용에 따라서 피드백의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피드백의 내용 역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연구영역이라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피드백의 내용에 초점을 두고 상사의 부하로부터의 피드백 추구행동에 대한 부하의 인식이 상사의 리더십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관계에서 부하가 인지하는 상사-부하간의 교환관계의 질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134명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분석 결과, 상사의 리더십 효과성에 대하여 상사의 긍정피드백 추구행동은 부의 영향(-)을, 상사의 부정피드백 추구행동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사-부하 교환관계의 질의 조절효과와 관련해서, 부하가 인식하는 상사와의 교환관계의 질이 낮은 경우에 비해서 높을 때, 부정피드백 추구행동이 리더십 효과성에 미치는 정의 영향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사의 긍정피드백 추구행동이 리더십 효과성에 미치는 부의 영향 역시, 상사와 부하간의 교환관계의 질이 높을 때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상사의 부하로부터의 피드백 추구행동 및 피드백의 내용을 다룸으로써, 기존의 부하 중심의 피드백 추구행동의 연구영역을 확대하였다는 점에서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실무적인 측면에서, 본 연구는 상사가 부하로부터 부정피드백을 적극 추구하는 것이 리더십 효과성의 향상에 중요하며, 특히 상사가 부하로부터 피드백을 추구할 경우, 상사-부하 교환관계에 대한 부하의 인식을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Considering that feedback can be a vital resources for improving an individual’ performance, many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examining the mechanism of feedback-seeking behavior have been conducted. However, the majority of previous studies have primarily focused on follower’s feedback-seeking from his/her supervisor. As a result, studies on leader’s feedback-seeking behavior from follower are very scarce. In this resp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feedback-seeking behavior and leadership effectiveness. Specifically, we examined the effect of leader’s positive and negative feedback-seeking behavior perceived by followers on leader effectiveness. We also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follower’s perception of the quality of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The hypotheses were tested with a sample of 134 Korean employees. The results showed that, while follower’s perception of leader’s positive feedback-seeking behavior was negatively related, leader’s negative feedback-seeking behavior was positively related to leadership effectiveness. We also found a moderating effect of the quality of leader-member exchange. As expect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negative feedback-seeking and leadership effectiveness was stronger for follower with high quality of leader-member exchange. However, contrary to hypothesis,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positive feedback-seeking and leadership effectiveness was also stronger for follower with high quality of leader-member exchange. Our study has extended the leader’s feedback-seeking behavior literature through feedback type which has been somewhat neglected. Additionally, our study suggested that leader should seek negative feedback from follower to improve leadership effectiveness and also pay a careful attention to follower’s perception of leader-member exchange. We summarized the limitations and suggested some agenda for future research related to leader’s feedback-seeking behavior.

      • KCI등재

        절단곡류 형성에 관한 연구

        최병권(Choi Byoung Gwon) 한국사진지리학회 1996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4 No.1

        Through the analysis of meander cut-off in Pyoungchang river, Choyang river, Song stream, Golji stream - the upper streams of Namhan river, I have come to the conclusions: these are; 1. The meander cut-off has been formed as the old bend has been advanced more deeply in plane form and has a difference of alitude between the old bend and current bend. 2. In the convex slope of meander cut-off, the talus been formed generally so I thought it has been considerably changed into before the cut-off of the bend. 3. It can be thought that the formation of meander cut-off has been relaed to the topographic, hydrolic, geologic factors synthetically.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변화지향 OCB가 상사평가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상사의 변화지향 OCB 역할 인식의 조절효과

        최병권(Byoung Kwon Choi) 한국인사조직학회 2016 인사조직연구 Vol.24 No.4

        경영환경이 빠르게 변화하면서 전략, 제품․서비스, 조직운영 방식을 새로운 방향으로 유연하게 변화시키는 노력은 기업의 경쟁력 확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구성원이 업무 자체는 물론 업무수행 방식, 제품․서비스 등의 측면에서 변화 기회를 발굴하고 실행하는 적극적이고 건설적인 행동을 의미하는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변화지향 OCB)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변화지향 OCB는 조직이 공식적으로 부여한 역할 내행동을 벗어난 역할 외 행동의 한 유형으로서 선행연구들은 구성원의 변화지향 OCB는 조직효과성 향상은 구성원 개인차원에서도 상사로부터 높은 성과평가를 받는 등 긍정적 결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는 관점을 취해 왔다. 그러나 그 간의 선행연구들을 보면, 변화지향 OCB의 선행변수를 찾는 연구는 비교적 많이 이루어진 반면, 변화지향 OCB가 실제 상사평가 등구성원에게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는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또한, 최근에는 변화지향 OCB가 직무스트레스를 높일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는 등 변화지향 OCB의 부정적 결과변수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으나, 이들 간의 관계를 다룬 연구 역시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변화지향 OCB가 긍정적 측면에서 상사평가와 부정적 측면에서 직무 스트레스라는 개인 차원의 결과변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상사가 변화지향 OCB를 역할 내 행동으로 인식하는가를 의미하는 상사의 변화지향 OCB 역할 인식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성원과 직속상사로 구성된 225쌍으로부터 설문조사에 의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가설에서 예상한 바와 같이 구성원의 변화지향 OCB는 상사평가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가설 1), 변화지향 OCB는 구성원의 직무스트레스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가설 2). 상사의 변화지향 OCB 역할 인식의 조절효과와 관련해서 보면, 변화지향 OCB와 상사평가및 직무스트레스간의 정의 관계는 상사가 변화지향 OCB를 역할 외 행동으로 인식할 때보다 역할 내 행동으로 인식할 때에 더욱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가설 3, 가설 4). 본 연구는 구성원의 변화지향 OCB가 상사로부터 높은 성과평가를 이끌어 내는 데에 도움을 주지만 동시에 직무스트레스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밝힘으로써, 변화지향 OCB가 구성원에게 긍정과 부정의 결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변화지향 OCB가 구성원에게 미치는 영향은 상사가 OCB를 역할 내 행동으로 인식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있다는 점을 밝힘으로써 향후 변화지향 OCB를 포함한 OCB 연구들이 OCB와 결과변수간의 관계를 연구함에 있어서 상사의 OCB 역할 인식이라는 요소를 중요한 상황요인으로서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변화지향 OCB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In today’s fast-paced business environment, organizational efforts to change their strategy, product/service, and work practices to respond to the environment and improve performance are becoming important constituents of competitive advantage. In this regard, employees’ change-oriented OCB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hich is defined as proactive and constructive behavior aimed at identifying and implementing changes with respect to works, products, services, and work processes, has received much attention in the OCB literature. Although change-oriented OCB is a kind of extra-role behavior beyond formal requirements from an organization, researchers have generally agreed that change- oriented OCB not only enhance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ut also provides positive consequences, such as higher supervisory performance evaluation, to employees. However, there have been lots of attempts to identify predictors of change- oriented OCB;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oriented OCB and supervisory evaluation. In addition, recently, while some researchers have proposed that OCB may increase job stress, recent researchers have focused their attention on the negative consequence of OCB.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addr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 oriented OCB and job stress. Considering these lack of empirical studies, the current study tried to investigate how an employee’s change-oriented OCB influences supervisory evaluation and job stress and how a supervisor’s OCB perception, which is the degree to which a supervisor perceives OCB as in-role behavior, influences on these relationships. Data were collected from 225 employees and their supervisors’ dyads through survey, and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The results showed that, whereas employees’ change-oriented OCB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upervisory evaluation (Hypothesis 1), it also increased employees’ job stress (Hypothesis 2). Regarding the moderating effect of a supervisor’s OCB perception, it was found that positive influences of change-oriented OCB on supervisory evaluation and job stress were stronger when supervisors perceived change-oriented OCB as in-role behavior rather than extra-role behavior (Hypothesis 3 and 4). The current study has contributed toward deepening the understanding that change-oriented OCB can provide not only positive (higher performance evaluation from supervisor) but also negative consequence (increased job stress) to employees.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future research, which addre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OCB and its consequences, needs to consider supervisor’s OCB role perception as an important boundary condition. The practical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 KCI등재

        직장가정갈등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경력몰입 및 성실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병권(Byoung Kwon Choi),김기태(Kitae Kim),김동현(Dong Hyun Kim) 한국인사조직학회 2017 인사조직연구 Vol.25 No.1

        직장과 가정간의 조화로운 균형 유지는 구성원의 직장 및 개인 삶에 대한 만족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많은 구성원들은 직장과 가정에서 요구되는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기 힘든 상황으로 인해 발생하는 직장가정갈등을 경험하고 있다. 그간 선행연구들은 이러한 직장가정갈등이 구성원에게 미치는 부정적 결과로서 직무소진에 대해 연구해 왔으나, 주로 직장가정갈등을 단일차원으로 접근한 반면 다차원(시간기반갈등, 긴장기반갈등, 행동기반갈등)으로 접근하여 직장가정갈등이 직무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는 데에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부족하였다. 또한, 그 간의 선행연구들은 직장가정갈등이 구성원에게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규명하는 데 많은 관심을 두어 왔으나, 직장가정갈등의 부정적 효과를 강화 또는 완화시키는 조절변수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원고갈이론에 기반하여 기질 및 성격등 구성원 개인 특성이 일종의 심리적 자원으로서 직장가정갈등에 대한 대응 방식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관점 하에, 세 차원의 직장가정갈등이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경력몰입 및 성실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직장가정갈등의 하위차원인 시간기반갈등, 긴장기반갈등, 그리고 행동기반갈등은 직무 소진과 정의 관계를 보이지만, 이러한 직장가정갈등과 직무소진간의 정의 관계는 경력 몰입이 높을수록 강해지는 반면, 성실성이 높을수록 약해질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국내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시간기반갈등과 긴장기반갈등은 직무소진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행동기반갈등은 직무소진과 유의한 정의 관계를 갖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몰입의 조절효과의 경우, 시간기반갈등 및 긴장기반갈등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정의 영향은 가설에서 설정한 바와 같이 경력몰입이 높은 구성원들에게서 상대적으로 더 강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성실성의 조절효과의 경우, 가설과는 달리 시간기반갈등 및 긴장기반 갈등과 직무소진간의 정의 관계는 성실성이 높은 구성원들에게서 상대적으로 더 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구성원 개인 특성이 직장가정갈등의 직무소진에 대한 부정적 효과를 강화․완화 시킬 수 있는 자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을 규명하고, 직장가정 갈등의 다양한 하위차원이 국내 직장인들에게서 어떠한 방식으로 나타나는지를 살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실무적 측면에서 본 연구 결과는 조직은 경력몰입과 성실성이 높은 구성원이 직장가정갈등으로 인해 직무소진을 더 강하게 경험할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이들을 배려하는 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안하고 있다. Work and life balance is important for enhancing employees’ satisfaction with organizational as well as personal life; however, in reality, a majority of employees have suffered from an imbalance between work and life. In other words, many employees have experienced work-family conflict which is driven by a situation requiring incompatible roles in work and family, and they have thus felt tensions and/or stress. To verify the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in an organization, previous studies have paid much attention on what negative consequences work-family conflict brings to employees; however, there are relatively few examinations of the moderating variables that strengthen or weaken the negative influence of work-family conflict. In this regard, from a perspective that views an individual’s disposition and personality as psychological resourc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oderating effects of career commitment (as a disposition) and conscientiousness (as a Big Five persona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job burnout. In addition, although recent research has considered a work-family conflict as multidimensional (time-based, strain-based, and behavior-based conflict), rather than a single construct, little research with a sample of Korean employees has been attempted to examine the unique influence of each dimension of a work-family conflict on job burnout. Hence, this study tries to determine how three dimensions of work-family conflict are related to job burnout, and these relationships are influenced by career commitment and consciousness. Specifically, based on resource drain theory, self-identity theory, and Big Five personality theory, we hypothesized that time-based, strain-based, and behavior-based conflict would be positively related to job burnout, and these positive relationships would be stronger for employees with a high level of career commitment and weaker for those with high level of conscientiousness. Data were collected from 93 Korean employees through a self-reported survey, and hypotheses were test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whereas time-based and strain-based conflict were positively related to job burnout, behavior-based conflict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job burnout. Regarding career commitment, as expected, th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time-based and strain-based conflict were stronger for employees with a high level of career commitment. However, in contrast to our expectation, employees with high rather than low levels of conscientiousness showed high levels of stress when they perceived high time-based and strain-based conflict. This study has theoretical implications in that we verified that an individual’s disposition and personality can play roles of kinds of resources that affect the negative influences of work-family conflict on job burnout. In practical aspects, we suggest that organizations need to have policies and/or care in order for employees with high career commitment and conscientiousness not to feel job burnout when they experience work and family conflict; if otherwise, they might leave organizations or exhibit lower performance in the long run. We discuss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delineated some agenda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Cu 첨가된 Zr-Nb계 합금에서 열처리조건이 미세조직과 내식성에 미치는 영향

        최병권 ( Byung Kwon Choi ),백종혁 ( Jong Hyuk Baek ),정용환 ( Yong Hwan Jeong ) 한국열처리공학회 2004 熱處理工學會誌 Vol.17 No.4

        N/A The effects of the cooling and annealing conditions on the microstructures and corrosion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for the Cu-contained Zr-Nb alloy (Zr-1.1Nb-0.07Cu). After annealing at 1050℃ for 15 min, the specimens were cooled by three methods of water quenching, air cooling, and furnace cooling. Widmanstatten structures were developed in both air- and furnace-cooled specimens, and the Widmanstatten plate width of the furnace-cooled specimens was wider than that of the air-cooled ones. The weight gain in the furnace-cooling case was higher than that in the air-cooling case. This could be the reason why the diffusion time was more enough during the furnace cooling than the air cooling. The oxide of the furnace-cooled specimen was nonunformly formed just beneath the Widmanstatten plate boundaries, where ß_(Zr) phases were exised concentrately. Compared with the 640℃ annealing after the water quenching, the 570℃ annealing could make the ß_(Nb) phases and a concomitant reduction of the Nb in the matrix, and then it could improve the corrosion resistance with the increase of the annealing time. It would be concluded that the corrosion resistance of the Zr-1.1 Nb-0.07Cu was good when the Nb concentration in the matrix was reached at an equilibrium level and then the ß_(Nb) phase was form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