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북서태평양에서 열대 저기압 발생빈도의 십년간 변동 특성

        최기선,김백조,이성로,박종길,Choi. Ki-Seon,Kim. Baek-Jo,Lee. Seong-Lo,Park. Jong-Kil 한국방재학회 2009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9 No.6

        본 연구에서는 북서태평양상의 기후학적 평균 열대 저기압 발생 자료를 이용하여 이 해역의 북서구역과 남동구역에서의 열대 저기압 발생빈도의 시간변화에서 십년간 변동성을 보이고 반대 위상으로 존재함을 밝혔다. 열대 저기압 발생빈도는 북서구역에서 1980년대 중반 이후부터 최근까지(1986-2005) 증가하는 반면에, 남동구역에서 1951년부터 1970년대 초반(1951-1970)까지 높게 나타났다. 1986-2005년과 1951-1970년 사이의 차이점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i) 연직바람시어와 해수면 온도의 경우, 1986-2005년 동안에는 북서구역에서, 1951-1970년의 기간에는 남동구역에서 음의 연직시어와 양의 해수면 온도 아노말리를 나타내고 있었다. ii) 열대 저기압 이동빈도를 분석해 본 결과, 북서구역에서 발생한 열대 저기압들 중에서 1986~2005년 동안에는 주로 남중국해에 영향을 주는 빈도가 높았던 반면, 1951-1970년 동안에는 필리핀 동쪽 해상으로부터 동중국해를 지나 한국 및 일본을 통과하는 빈도가 높았다. 남동구역에서 발생한 열대 저기압들의 경우에 대략 <TEX>$150^{\circ}E$</TEX>를 기준으로 이동빈도의 공간분포가 동서로 나눠질 수 있다. 1951-1970년 동안의 열대 저기압들은 150oE의 서쪽에서, 1986-2005년 동안의 열대 저기압들은 <TEX>$150^{\circ}E$</TEX>의 동쪽에서 주로 이동하는 특성을 보였다. 특히, 1951-1970년 동안에 발생한 열대 저기압들은 필리핀의 동쪽 해상으로부터 남중국해 및 남중국 방향으로 이동하는 빈도가 높았다. iii) 두 기간 사이에 열대 저기압 이동빈도의 이러한 차이는 500 hPa 아노말리 기압패턴에 그 원인이 있다. 특히 1951-1970년 동안에는 동아시아 대륙에 저기압성 순환의 아노말리가 형성되어 필리핀 동쪽해상으로부터 동아시아 해안을 따라 남풍 아노말리가 강화되었다. 이 남풍 아노말리는 열대 저기압이 필리핀 동쪽해상으로부터 동아시아 해안을 따라 이동하기 쉽게 하는 지향류의 역할을 하였다. This study has found that there is a reverse phase with interdecadal variation in temporal variations of tropical cyclone (TC) genesis frequency (TCGF) between Northwest sector and Southeast sector, based on climatological mean tropical cyclone genesis location over the western North Pacific. The TCGF in the Northwest sector has been increased since the mid 1980s (1986-2005), while TCGF in the Southeast sector was higher until the early 1970s (1951-1970). The analysis of a difference between 1986-2005 and 1951-1970 showed results as follows: i) Through the analysis of vertical wind shear (VWS) and sea surface temperature (SST), less VWS and higher SST in the former (latter) period was located in the Northwest (Southeast) sector. ii) In the analysis of TC passage frequency (TCPF), TCs occurred in the Northwest sector frequently passed from east sea of the Philippines, through East China Sea, to Korea and Japan in the latter period, while TCs in the former period frequently has a lot of influences on South China Sea (SCS). In the case of TCs occurred in the Southeast sector, TCs in the west (east), based on <TEX>$150^{\circ}E$</TEX> had a high passage frequency in the latter (former) period. In particular, TCs during the latter period frequently moved toward from the east sea of the Philippines to SCS and southern China. iii) This difference of TCPF between the two periods was characterized by 500 hPa anomalous pressure pattern. Particularly, anomalous cyclonic circulation strengthened over the East Asian continent caused anomalous southerlies along the East Asian coast line from the east sea of the Philippines to be predominate. These anomalous winds served as steering flows that TC can easily move toward same regions.

      • KCI등재

        순환(循環)굵은/잔골재(骨材)를 사용한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특성(特性)

        최기선,유영찬,김긍환,이도헌,Choi, Ki-Sun,You, Young-Chan,Kim, Keung-Hwan,Lee, Do-Heun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9 資源 리싸이클링 Vol.18 No.3

        본 연구는 순환잔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굳지 않은 콘크리트 특성을 파악하고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품질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순환굵은골재 및 순환잔골재의 치환율을 조합하여 설계압축강도 30MPa의 콘크리트를 제작하였으며, 공기량 및 슬럼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공기량 및 슬럼프 경시변화를 통하여 순환잔골재의 재료적 특성이 콘크리트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으며, 골재의 흡수율 차에 따른 품질성능 저하를 고려할 수 있도록 현장 도착 슬럼프를 기준으로 전체 배합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품질관리 방안을 제시하도록 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골재 종류(천연, 순환)에 따른 표면수 보정을 통해 1시간 후 현장도착 슬럼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콘크리트를 배합하였다. 순환골재의 사용에 따른 압축강도의 저하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표면수 보정을 통한 전체 배합수의 관리를 통하여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품질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perties of fresh concrete with recycled coarse and fine aggregates. Four different kinds of aggregate with natural, recycled aggregates were prepared. The concrete mixtures were produced with test parameters of replacement ratio of recycled aggregate. The properties of the fresh concrete were measured by means of slump and air content according to elapsed time. Quality control method to maintain the constant total mixing water for recycled aggregate concrete was suggested. The all concrete mixtures were produced with approximately the same slump on the job site after an hour. Test results indicated that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with constant slump is not affected by the replacement ratio of recycled aggregate. Also the practical way for the quality control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is to maintain the constant total mixing water.

      • KCI등재

        NN-TWI를 이용한 사천시 삼천포계통 단기 물 수요예측

        최기선(Gee-seon Choi),최영환(Young-Hwan Choi),최성국(Sung-Koog Choi),이상수(Sang-Soo Lee),전명근(Myung-Geun Chun) 한국정보기술학회 2009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7 No.5

        In this paper, we develop daily and hourly water demand forecasting model using NN and TWI for Sachon city. First, we build daily water demand model by neural networks with two input factors such as climate factor and past water demand data select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then hourly water demand forecasting model is computed by multiplying the predicted value from a daily water demand forecasting model with TWI(Time Weight Index) which was calculated by considering four representative months during one year.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proposed daily water demand forecasting model shows better performance than linear ARIMA model. Also, hourly water demand forecasting model is superior to conventional method based on time cycle. From theses results, more exact water demand forecasting for Sachon city will contribute for promoting more stable facility operation.

      • 전문용어의 정비

        최기선(Key-Sun Choi),박정원(Jeong-Won Park)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 2007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2007 No.10

        전문용어의 정비, 기초 데이터 구축 및 관리, 전문용어의 구축 과정의 표준화 방안, 전문용어 정비의 심의에 대해서 알아 보고자 한다. 전문용어의 정의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고, 전문용어 정비를 위한 공정도를 소개하며, 전문용어 정비 순서와 절차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기초 데이터 구축 및 관리 과정에서 어떤 방법으로 기초 데이터를 구축하게 되었으며, 어떠한 절차에 따라 DB화 및 심의를 위한 준비를 하게 되는지를 보고하고자 한다. 또한 전문용어의 정비를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몇 가지 문제점에 대해서 알아 보고, 표준화 방안을 제시하며, 마지막으로 전문용어 정비를 위한 심의 지침을 제시하고자 한다. 심의 지침은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된 권장안을 바탕으로 전문용어의 정비를 위한 기준에 맞게 만들어졌다. 이 논문에서는 전문용어의 정비를 위한 전반적인 절차와 내용 그리고 심의에 대해 기준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 KCI등재

        정수장 운영효율 향상을 위한 ELM 기반 단기 물 수요 예측

        최기선(Gee-Seon Choi),이동훈(Dong-Hoon Lee),김성환(Sung-Hwan Kim),이경우(Kyung-Woo Lee),전명근(Myung-Geun Chun)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9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23 No.9

        본 논문에서는 단기 물 수요 예측에 대한 모델구현을 위해 MLP의 과도학습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빠른 학습이 가능한 ELM 기반 단기 물 수요 예측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시된 알고리즘의 검증을 위해 2007년도와 2008년도 충남지역 광역상수도인 A정수장에서 취득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알고리즘 구현의 정확도 분석에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MLP모델은 MAPE가 5.82[%]인 반면, 제안된 방법인 ELM 기반 모델은 5.61[%]로 성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MLP모델은 학습에 소요된 시간이 7.57초인 반면, ELM 기반 모델은 0.09초로 빠른 학습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제안된 ELM 기반 알고리즘은 정수장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단기 물 수요 예측에 활용할 수 있음을 보였다. In this paper, we develop an ELM(Extreme Learning Machine) based short-term water demand prediction algorithm which solves overfitting problem of MLP(Multi Layer Perceptron) and has quick training time. To show effectiveness of proposed method, we analyzed time series data collected in A water treatment plant at Chung-Nam province during 2007~2008 years and used the selected data for the verification of developed algorithm.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MLP model showed 5.82[%], but the proposed ELM based model showed 5.61[%] with respect to MAPE, respectively. Also, MLP model needed 7.57s training time, but ELM based model was 0.09s. Therefore, the proposed ELM based short-term water demand prediction model can be used to operate the water treatment plant effectively.

      • KCI등재

        구조보강용 FRP 함침ㆍ접착수지의 사용가능시간 분석

        최기선 ( Choi Ki-sun ),유영찬 ( You Young-chan ),김긍환 ( Kim Keung-hwan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08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12 No.3

        FRP 복합체의 함침ㆍ접착에 사용되는 에폭시 수지와 같은 2액형 접착제는 두 성분을 상호 혼합함으로써 경화반응이 시작되며,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접착제의 점도와 온도가 급격히 증가된다. 이와 같이 접착제의 점도가 증가되면 작업성과 접착력이 저하되므로, 현장에서의 작업은 시공연도(workability)가 유지되는 한계, 소위「사용가능시간(pot life)」이내에 완료되어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보강용 FRP 복합체의 함침ㆍ접착에 사용되는 에폭시 수지의 사용가능시간을 평가하기 위하여 기존에 제안되고 있는 점도변화법 및 발열온도상승법의 적합성을 검증하고, 실험결과의 비교ㆍ분석을 통하여 구조용 접착제의 사용가능시간을 보다 합리적으로 산정할 수 있는 시험방법 및 평가기준을 제안하였다. Pot life of two-component adhesives such as epoxy resin used in saturating FRP composite is defined as a certain time periods which can guarantee the bond performance and workability of epoxy resin. Therefore, adhesion procedure in strengthening RC members should be completed before chemical hardening is going on at job site. It has been known that there are two types of test method to evaluate the pot life of structural adhesive based on apparent viscosity or temperature change. This study is to verify the test methods how to assess pot life of structural adhesive for FRP composites by means of changing in apparent viscosity and means of exothermic reaction temperature proposed in existing test standards. Results of each test method were compared and analyzed, and reasonable test and evaluation method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