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취약계층의 보건⋅의료⋅복지 통합서비스 이용 경험: 301네트워크 사업을 중심으로

        최권호,김민아,이상우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22 사회복지연구 Vol.53 No.3

        Medical and health care services should be available in the community to patients who are vulnerable socially and financially to manage chronic illness and improve their health.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and life changes of users who received services through the 「Health, Medical, and Welfare 301 Network」, which was implemented from 2019 to 2020 as an integrated case management service in hospit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1 users of the 301 network. Thematic analysis yielded 12 subthemes within 3 overarching themes.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y had not received the necessary support in the vicious cycle of poverty and disease before using the service, but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mproved since they used services that integrally solved complex problems. This study provided implications for promoting collaboration between health and welfare and addressing a blind spot in health settings for the vulnerable populations.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의 만성적 질환 관리와 건강 증진을 위해서는 이들이 살아가는 지역 내에서 의료 및 건강돌봄서비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병원 기반의 보건복지 통합적 사례관리 서비스로서 2019년부터 2020 년까지 실시된 「보건⋅의료⋅복지 301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은 이용자들의 경험과 삶의 변화를 이해하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301네트워크 사업 이용자 11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주제 분석을 실시한 결과 3 개의 대주제 내에서 12개의 소주제가 도출되었다. 빈곤과 질병의 악순환에서 필요한 지원을 받지 못하였던 연구참여자들은 복합적인 어려움을 통합적으로 해결하는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건강 관련 삶의 질이 개선되었음을보고하였다. 이를 토대로 보건의료와 복지 간 협력과 취약계층의 의료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소아암 경험자 및 보호자의 취약성과 치료궤적 기반 심리사회적 서비스 요구

        최권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保健社會硏究 Vol.38 No.2

        생애 초기의 소아암 경험은 이후 생애 전반에 걸쳐 경험자와 가족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기에 이들을 위한 심리사회적 서비스가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아암 경험자와 보호자의 부적응과 관련된 취약성은 무엇이며, 치료 궤적에 따른 심리사회적 서비스 요구는 무엇인지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치료가 종료된 소아암 경험자 10명과 보호자 10명을 대상으로 4개 집단을 구성하여 초점집단토론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개인과 가족의 취약성으로 ①가족 지지체계의 부족, ②개인 낙관성의 부족, ③질병 특성 등이 도출되었으며, 외상 초기에는 ①정보제공 서비스가, 치료 진행단계에서는 ②가족지원 서비스, ③내실화된 경제적 지원, ④심리정서적 지지 서비스, ⑤병실생활 지원 서비스가, 장기적 관리단계에서는 ⑥체계적 교육지원과 ⑦대안교육체계 도입 등의 서비스 필요성 관련 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소아암 경험자와 가족을 위한 심리사회적 서비스 개발을 위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Psychosocial service is critical in cancer treatment because childhood cancer experience affects not only the childhood cancer survivors but also their caregivers throughout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vulnerabilities related to psychosocial maladjustment of childhood cancer survivors and their caregivers, and psychosocial services needs based on the cancer trajectory. Focus group discussions were conducted with 4 groups of 10 childhood cancer survivors and 10 caregivers. Thematic analysis revealed 3 vulnerabilities and 7 psychosocial service needs. Three vulnerabilities are (1)lack of family support, (2)lack of optimism, and (3)cancer characteristics. (1) Informative support is required at the peri-trauma stage; (2)family support, (3)financial support, (4)psycho-emotional support, and (5)hospitalization support are required at the ongoing stage; and (6)educational support and (7) alternative educational system are required at the long-term follow up stag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the development of psychosocial services for the childhood cancer survivors and caregivers were suggested.

      • KCI우수등재
      • 光陽의 古代 ‘治所城’과 馬老山城

        최권호 한국성곽학회 2022 한국성곽학보 Vol.27 No.-

        광양 마로산성은 6세기대 백제에 의해 축성된 산성으로 지금까지 총 5차례의 발굴조사 를 통해 산성 내·외부에 대한 전면적인 조사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다종·다양한 유구와 유물이 확인되었고, 특히 광양의 백제때 지명인 ‘馬老’와 치소·관청을 상징하는 ‘官’이 결 합된 ‘馬老官’명 기와가 출토되면서 이 지역의 고대 治所城으로 비정되어 왔다. 이 연구는 마로산성의 발굴성과를 검토하여 고대 사회 치소성의 개념을 고고학적으로 접 근한 것이다. 이를 위해 마로산성 내부시설의 입지, 규모, 출토유물 등의 집중 분석하여 상 관관계를 검토하였고,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관아·군사·저장·제의 관련 시설의 존재이다. 이러한 시설들은 치소성으로서 반드시 갖추어야 할 필수 시설인데 행정의 핵심시설인 東軒은 Ⅱ-4호건물지, 외부 경계와 조망을 위한 將臺는 Ⅱ-1호건물지, 지배계급의 생활 공간인 內衙는 Ⅰ-2호건물지, 조세와 관련된 창고 시설은 Ⅱ-2호,Ⅱ-3호 건물지로 판단된다. 둘째, 祭場으로서의 기능이다. 마로산성에서는 집수시설과 수혈유구 등을 통해 진단구, 공헌물로 볼 수 있는 특정 종류의 유물들이 반복적으로 출토되고 있어 마로현의 제장으로서 기능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상위 계층의 신분표상품의 존재이다. 마로산성에서는 금동과대, 금동투조장식, 중 국제 자기, 동경, 벼루 등 다양한 신분표상품들이 다수 출토되었다. 이러한 신분표상품들이 집중되고 있는 점은 마로산성이 마로현의 치소성으로서 활용되었음을 방증하는 것이다. 넷째, ‘馬老官’名 명문와의 존재이다. ‘마로관’명 기와는 광양의 백제때 지명과 행정치소 인 관이 복합된 기와로서 마로산성이 마로현의 치소성이었음을 보여주는 가장 확실한 자료 이다. Maro Mountain Fortress(Maro sanseong?馬老山城) in Gwangyang, built in the sixth-century Baekje, has revealed its complete interior and exterior appearance during a total of five excavation surveys. Among the various artifacts and features discovered during the excavation process, the “Marogwan” 馬老官 (the office of Maro) roof tiles engraved with “Maro” 馬老, the ancient name of Gwangyang during the Baekje period, and “gwan” 官 meaning an administrative office, led scholars to identify the fortress as the ancient governing stronghold(chisoseong?治所城) of the region. Based on the findings from Maro Mountain Fortress, this study attempts an archaeological approach to the concept of governing stronghold in early society. For this goal, this article closely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ocation, size, and artifacts of the internal facilities of Maro Mountain Fortress,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drawn as a result. First, Maro Mountain Fortress was equipped with the facilities for government administration, military, storage, and sacrificial rites that were essential infrastructures for a governing stronghold: Building site no. II-4 is identified as an east pavilion(dongheon?東軒), a key administrative facility; building site no. II-1 as a command post(jangdae?將臺) for watchkeeping and lookout; building site no. I-2 as an inner court(nae'a?內 衙), living space for ruling elites; building site nos. II-2 and II-3 as warehouse facilities for taxation. Second, the fortress served as a sacrificial center of the region. The various artifacts identified as ground-quelling goods (jindangu?鎭壇具) and sacrificial offerings, found in the remains of the water supply facilities and the vertical pits, reveal the religious function of this stronghold in Maro prefecture. Third, many prestige goods for the upper classes, such as gilt-bronze belts, open-worked gilt-bronze ornaments, Chinese porcelains, bronze mirrors, and ink stones, were found in the fortress. The discovery of these prestige goods shows that Maro Mountain Fortress served as the administrative center of Maro prefecture. Finally, the “Marogwan” engraved roof tiles testify most strongly to the character of the fortress. The tile engraved with the old Baekje-period name of Gwangyang and the term meaning administrative office should be irrefutable proof that the Maro Mountain Fortress was the governing stronghold of the Maro prefecture.

      • KCI등재

        근대 일본에서 발행된 조선지도 속의 녹둔도

        최권호,박경진,박준형 백산학회 2022 白山學報 Vol.- No.122

        This article aims to clarify the topography and the place names of Korean villages in Nokdun Island on the maps of Joseon published in modern Japan. Nokdun Island appears as either an island in the sea or at the river estuary or as a connected part of a river delta. The maps of the late Joseon Dynasty followed these identifications of Nokdun Island after a while. Due to the lack of geographical information from direct surveys, maps of Joseon were published in Japan by copying or re-editing existing Joseon or foreign maps. Therefore, different forms of Nokdun Island were mixed in Japan’s Joseon maps according to the different original Joseon maps used by map editors. The Imperial Japanese Army General Staff Office established the Temporary Department of Survey and Mapping (Rinji sokuto bu 臨時測図部), producing a map of the Korean Peninsula on a scale of 1/50,000 in 1895 and the Map of the Vicinity of the Rajin Fortress (Rajin yosai kinbō to 羅 津要塞近傍図) on a scale of 1/20,000 from 1896 to 1898. In 1926, the department published the Joseon Transportation Map (Chōsen kyōkō to 朝鮮交通図), but as the map editors deliberately omitted important geographical information at the mouth of the Duman(Tumen) River in North Hamgyeong Province, information on the central and northern regions of Nokdundo Island was still missing on the map. It was in 1938 that Japan secured complete geographic information on Nokdun Island when the General Staff Office produced the Map of Manchuria on a Scale of 100 Thousandth (Manshū jūman bun ichi to 満洲十万分一図) to advance to Manchuria and Siberia. These maps marked the names of villages of Koreans who settled on Nokdun Island since the modern era. The island, incorporated into Russia by the Treaty of Beijing in 1860, consisted of Podgornaya(Подгорная) and Krasnoe Selo (Красное Cело, Nokpyeong in Korean) in administrative districts. The place names such as “城基”(Senki, Shōki, Seonggi, Seongteo) and “城場”(Chanto, Shōchō, Seongjang, Jangteo) suggest the historical fact that there were fortress sites on the island. These place names presumed to refer to the same place as Nongbo 農堡 where Chungmugong Yi Sun-shin’s Battle of Nokdun Island took place. 이 논문은 근대 일본에서 발행된 조선지도에 수록된 녹둔도의 지형과 한인마을 지명을 분석한것이다. 메이지유신~청일전쟁기 발행된 조선지도 중에 녹둔도는 海島ㆍ河口島ㆍ三角洲 또는 連陸化된형태로 나타난다. 이런 양상은 이미 조선후기 지도에 시차를 두고 나타났던 것이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직접 조사한 정보의 부족으로 재래의 조선지도를 복제하거나 외국지도를 참고하여 재편집한 형태로 지도가 발행되었다. 따라서 편집자가 저본으로 삼은 조선지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표현된 녹둔도가 비슷한 시기에 착종되어 나타나게 되었다. 일본 참모본부는 청일전쟁 이후 臨時測圖部를 설치하여 1895년부터 한반도에 대한 1/50,000 지도를 제작하기 시작했고 1906~8년에는 1/20,000 <羅津要塞近傍圖>를 제작하였다. 이어서1926년에 두만강하구의 함경북도 일대에 대해 중요한 지리정보를 삭제한 채 <조선교통도>라는 이름으로 발행하였으나 이 역시 녹둔도 중북부지역에 대한 정보가 누락되었다. 이후 참모본부에서는 1938년 만주와 시베리아 진출을 위해 <滿洲十萬分一圖>를 제작하면서 녹둔도에 대한 온전한 지리정보를 확보하게 되었다. 이들 지도에는 근대 이후 녹둔도에 정착한 한인마을의 지명이 표기되어 있다. 1860년 베이징조약으로 러시아로 편입된 녹둔도는 행정구역상 포드고르나야(Podgornaia)와 크라스노예 셀로(Krasnoe Selo)[鹿坪]로 구분되었다. 지명 중 城基[성터]ㆍ城場[장터]는 녹둔도에 성터가 있었다는 역사적 경험이 지명으로 정착된 것이었다. 충무공 이순신의 녹둔도전투가 벌어졌던 農堡는바로 성기[성장]에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