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핀란드의 핵심역량교육 연구 동향 : 초등과학교육 중심의 분석

        채희,노석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5 교과교육학연구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of core competency education in Finland and to implicate the elementary Science core Competency Education(SCE) in Korea.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is study selected various articles and reports on core competency education in Finland. And this study was conducted by using network analysis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inland has the starting point of the future change and they set up a goal of the change in education. Second, ‘learning to learn’,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lifelong learning’ were key concepts in core competency education. Third, Subjects scrapped and replaced with ‘topic’ as country reforms its education system. Fourth, The co-occurrence matrix was established and network analysis was carried out. As a results, the network map built up with core hubs such as ‘competency’, ‘qualification’, ‘education’ and ‘communi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really need a rethinking of education and redesigning of our science education system. 본 연구는 핀란드의 핵심역량교육 연구 동향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초등학교 과학핵심역량교육(SCE)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핀란드의 핵심역량교육에 대한 다양한 논문과 보고서를 선정하여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빈도 분석과 같은 산술적인 분석방법 보다 더 심층적인 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의 과정에서 KrTitle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키워드 사이의 매트릭스를 추출하고, UcNet과 NetDraw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시각화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핀란드는 국가적인 노력을 통하여 미래 사회의 변화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 것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서 국가의 미래 발전과 학생들이 성인이 되어 미래 사회를 영위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 개혁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핀란드에서는 ‘배움중심수업(Learning to learn)’, ‘의사소통능력(Communication competence)’, ‘평생학습(Lifelong learning)’을 핵심역량교육의 중요한 요소로 설정하였다. 셋째, ‘교과목(Subject)’ 중심의 교육체제에서 ‘주제(Topic)’ 중심의 교육체제로의 교육 개혁을 실시하고 있었다. 넷째, 핀란드의 핵심역량교육에 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한 결과 ‘역량(Competency)’, ‘자격(Qualification)’, ‘교육(Education)’ 그리고 ‘의사소통(Communication)’ 등은 연결 중심성이 높은 키워드였다. 따라서 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초등학교 과학핵심역량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한다.

      • KCI등재

        인심도심상대설(人心道心相對說)과 율곡의 인심청명어도심설(人心聽命於道心說) -리기관(理氣觀)과 인심도심관(人心道心觀)의 관계를 중심으로-

        채희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2 泰東古典硏究 Vol.48 No.-

        Yulgok’s theory of ‘Li-Chi(理氣)’, ‘Xīnxìng(心性)’, ‘Rénxīn Dàoxīn(人心道心)’ is consistent. Yulgok’s Li-chi theory never violate the principle of Chu Hsi’s “Li-chi inseparable, immiscible”(‘理氣不相離, 不相雜’). In the real world, It cannot be said that Li(理) and Chi(氣) have a before and after in time and they don't separate or meet spatially. If the Yulgok’s view of the ‘Li-Chi’ is consistently maintained, the claim that the view of the ‘Rénxīn Dàoxīn face each other (人心道心相對說)’ at the age of 37 changed to a ‘theory that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énxīn and Dàoxīn(人心道心對待說)’ at the age of 47 should be reconsidered. If Sì duān(四端) and Qī qíng(七情) focuses on elucidating the structure of the Mind, the theory of “Rénxīn Dàoxīn(人心道心)” goes one step further here and focuses on the practical execution of the Mind. Yulgok’s theory of ‘Rénxīn should follow Dàoxīn(人心聽命於道心說)’ came out based on this. Here we can find the proactive and spontaneous power of the Yulgok. 율곡에게 리기론, 심성론, 인심도심론은 일관된다. 율곡의 리기관은 주희가 천명한 ‘리기불상리불상잡(理氣不相離不相雜)’의 원칙을 한 치도 벗어나지 않는다. 현실 세계에서 리와 기는 시간적으로 선(先)과 후(後)를 말할 수 없고, 공간적으로 떨어지거나 합하는 것이 없다. 율곡의 리기관이 일관되게 유지되고 있다면 율곡의 인심도심관이 37세에 상대종시설을 따르다가 47세에야 인심도심대대설로 만년정론이 확정된다는 주장은 재고되어야 한다. 이전의 사단칠정론이 심의 구조를 해명하는 데 치중했다면 율곡의 인심도심론은 여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심의 실천적 실행력에 관심을 둔다. 율곡의 ‘인심청명어도심설(人心聽命於道心說)’은 이와 같은 맥락에서 나온 것이라 생각한다. 여기에서 율곡학의 주동적이고 자발적인 힘을 찾을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실행 형태 분석

        채희인 ( Hee In Chae ),노석구 ( Suk Goo Noh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5 科學敎育硏究誌 Vol.39 No.1

        본 연구는 융합인재교육(STEAM)이 학교 현장에서 교육과정 상의 의도에 맞게 적용되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융합인재교육의 각 요소별로 교사의 실행 형태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실행형태의 요소별 체크리스트(IC Component Checklist)를 수정·보완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126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그 결과 교사의 전반적인 실행 형태를 살펴보면 이상적인 실행 형태를 가장 많이 보인 항목은 시간 운영형태(33.3%)였으며, 실행 계획의 설정(34.1%) 항목은 수용할 수 없는 실행 형태를 가장 많이 보였다. 또한 교사의 개인 변인별 실행 형태 분석 결과 직책, 교직 경력, 연수 경험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으며, 이러한 차이는 심층면담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융합인재교육의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적 믿음을 확인하고 명료화하기 위한 심층 면담 결과 평가에 대한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융합인재교육의 실행 형태를 분석하고, 융합인재교육의 평가에 대한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eachers`` Innovation Configuration(IC) on STEAM of the 2009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nd to implicate the assessment of STEAM.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by the IC component checklist of 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l(CBAM). The total number of 126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ime management(33.3%) was the most ideal IC. On the other hand, curriculum planning(34.1%) was the most unacceptable IC. Second, the results of the chi-square test showed that the IC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positions, career in education and training experiences(p<.05). Third, to explore the teacher``s epistemic beliefs on STEAM, one in-service elementary teacher who studied in a doctoral course of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participated in the study.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that the support of application and the revolution of the science curriculum and assessment should be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teachers`` IC.

      • KCI등재

        초등 과학 교과서의 안전 주의 사항 제시 실태 분석 및 실험 안전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채희인(Chae, Heein),노석구(Noh, Sukgoo)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1 교육논총 Vol.41 No.4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의 안전 주의 사항 제시 현황을 분석하고, 교사의 안전에 대한 인식과 안전 확보를 위한 지도 현황 및 학생들의 안전 의식 실태를 파악하여 탐구 활동의 안전 확보를 위한 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초등학교 3∼6학년 과학 교과서를 분석하고, 교사 65명과 학생 13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 교과서에 포함된 안전 주의 사항은 135개였으며, 안전 주의 사항을 추가로 제시할 필요가 있는 탐구 활동은 15개였다. 대부분의 교사가 맛보기와 냄새 맡기 탐구 활동을 지도한 경험이 있었으며, 안전 장비를 착용하고 학생들에게도 안전 장비 착용을 지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는 배포된 실험 안전 매뉴얼을 이해하고 있었고, 맛보기와 냄새 맡기 활동 및 일회용 플라스틱 컵에 담긴 물질에 대해서는 안전성에 대한 우려를 갖고 있었다. 학생들의 안전 의식을 분석한 결과 실험복을 착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으며, 자신에게는 안전사고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신념을 가진 경우도 다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과학 탐구 활동 중에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안전의 우려가 있는 탐구 활동의 경우 교과서에 안전 장비를 준비물로 제시하고 안전 주의 사항을 명확하게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성취기준 도달을 위해 필수적이지 않은 맛보기와 냄새 맡기 활동의 경우 삭제하고, 일회용 플라스틱 컵에 담긴 물질을 제시한 사진은 수정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safety precautions in textbooks, identify the status of teachers and students safety consciousness, and propose measures to secure safety in inquiry activities. Science textbooks from the 3rd to 6th grades of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were analyz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65 teachers and 137 student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135 safety precautions were included in the entire textbook and 15 additional inquiry activities were needed to present safety precautions. It was found that most teachers were experienced in teaching tasting and smelling inquiry activities, and that teachers wear most of the safety equipment and guide students to wear it as well. Teachers understood the experimental safety manual, and they had safety concerns about tasting and smelling activities contained in disposable plastic cups. Analysis of students insensitivity to safety revealed that there were cases where lab clothes were not worn, and that there were many cases where they believed that safety accidents would not occur. To prevent safety accidents that occur during scientific inquiry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present safety equipment as a preparation material in textbooks and safety precautions. If reach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is inessential, it is necessary to delete tasting and smelling activities and modify the photos showing substances in disposable plastic cups.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STEAM 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채희인 ( Hee In Chae ),노석구 ( Noh Suk Goo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3 科學敎育硏究誌 Vol.37 No.3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학생들이 과학을 어려워하고, 과학에 흥미가 없으며, PISA 평가에서도 과학적 소양이 하락하고 있는 현실을 개선하고자 과학 교과를 중심으로 한 STEAM 활동이 초등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6학년 실험집단 31명(남자 15, 여자 16), 비교집단 31명(남자 17, 여자 14)의 두 집단을 선정하고, 창의적 설계, 감성적 체험, 내용 통합을 고려하여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사전-사후 실험설계를 통하여 과학탐구능력(TSPS 검사지)과 과학에 대한 태도(과학과 관련된 정의적 영역 평가지)를 검사하였다. 과학탐구능력의 경우 사전검사에서 실험집단이 16.77, 비교집단이 17.81로 비교집단의 평균 점수가 높았으나, 사후검사에서 실험집단이 20.48, 비교집단이 18.00으로 실험집단의 점수가 더 높았으며, 유의미한 수준에서 실험집단의 과학탐구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p<.0.5). 과학에 대한 태도의 경우 사전검사에서 실험집단이 3.13, 비교집단이 3.43 이었으나, 사후검사에서 실험집단이 3.50, 비교집단이 3.33으로 실험집단의 점수가 더 높았으며, 유의미한 수준에서 실험 집단의 과학에 대한 태도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p<.001). 또한, STEAM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조사를 통하여 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이 STEAM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설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STEAM 활동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향상 및 과학에 대한 태도 개선에 효과가 있고, 학생들은 STEAM 활동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STEAM activities affect students``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For more accurate, we have set 31 sixth-grade students from Gyeong-gi Province as an experiment group, and another 31 as a comparative group. We developed a STEAM program based on the educational concepts: Creative Design and Emotional Touch. Through pre-post experiment design, we have introduced TSPS, and Test of Affective Aspects. For TSPS, the comparative group scored higher average grade before the process. After the process, however, the experiment group exceeded the other. The result was considerable enough to verify that the science process skills were bolstered through the STEAM programtpc.Gi), Similar result was derived regarding the science related attitude. Students in the comparative group originally showed higher degree of interest to science. When the STEAM program was carried out, the standing reverse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cience related attitude indicates the program valid(p<.001). Furthermore, when we asked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how they recognized the STEAM activity, we received positive answers: they consider the program efficient and well suited to the class environment. Conclusively, the STEAM program was proven to be effective for improving science process skills and attitude, and was perceived affirmative.

      • KCI등재

        기질변화론 연구― 호굉을 중심으로

        채희 (사)율곡학회 2017 율곡학연구 Vol.35 No.-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see Zhu Xi's qìzhì de biànhuà(氣質的變化) and discover conflicting points between the two previous studies and want to find out the cause. As a way to do this, we will examine the qìzhì de biànhuà(氣質的變化) from Zhāng Zǎi(張載, 1020∼1077) to Hu Hong(胡宏, 1105-1161), Zhu Xi(朱熹, 1130-1120). Until now, research on Zhu Xi's qìzhì de biànhuà(氣質的變化) has lacked diachronic research. Through these studies,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qìzhì de biànhuà(氣質的變化), the meaning of that of Zhu Xi will be revealed. Especially notice the role of Hu Hong who had a direct influence on Zhu Xi. Existing research focused on searching for disadvantages through Zhu Xi school lenses when evaluating Hu-Xing school.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confirm the true appearance of Hu Hong in a rich and detailed way of reading philosophical history. 본고에서는 주희의 기질변화론을 살펴보는데 있어 두 개의 선행 연구가 상치되는 점을 발견하고 그 원인을 찾아보고자 한다. 그 방법으로는 장재로부터 호굉, 주희에 이르는 기질변화설을 검토해 볼 것이다. 지금까지 주희의 기질변화에 대한 연구는 통시적인 연구가 부족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기질변화론의 역사적 맥락 속에서 주희의 그것이 가지는 의미가 드러날 것이다. 특히 주희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 호굉의 역할에 주목할 것이다. 기존의 연구는 호상학을 평가할 때 주자학의 렌즈를 통해서 그 단점을 찾는데 치중했다. 이 글에서는 철학사를 풍부하고 세밀하게 읽는 한 방법으로 호굉의 진면목을 확인하고자 한다.

      • KCI등재

        2009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와 실행 수준 분석

        채희인 ( Hee In Chae ),노석구 ( Suk Goo Noh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4 초등과학교육 Vol.3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eachers` stages of concern and levels of use on STEAM of the 2009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nd to support effectiv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teachers` stages and level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by 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l (CBAM). The total number of 113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teachers were in the stage of awareness. Second, the results of the chi-square test showed that the stag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positions, training experiences and final degrees (p<.05). Third, about half of teachers were in the level of orientation and preparation. The others were in the level of routine, integration and renewal. Fourth, the results of the chi-square test showed that the level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the categories of their gender, position, age, career in education, workplace and training experience (p<.05). Fifth,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tages of concern and levels of use (r=.59) was relatively high (p<.05).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that the support of application should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teachers` stages and lev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