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In silico 예측과 전기생리학적 방법을 이용한 벼의shaker type K+ 채널 유전자의 선별

        조성호,조희재,채매화,한승윤,임석묵,김종욱,민철기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12 과학영재교육 Vol.4 No.2

        Five rice cDNAs that are most likely to encode putative voltage-gated K+ channels were selected by the in silico sequence homology and membrane topology analyses of transmembrane domains (TMs) and of a wellpreserved K+ selectivity filter (TXXTXGYG) in reference to Arabidopsis shaker type K+ channel (KAT1). The five candidate cDNAs werefurther subcloned into pSP64T vector, a Xenopus expression vector, and then in vitrotranscribed to generate cRNAs. Each cRNAs were microinjected into Xenopus oocytes, and their K+ channel conductance was measured elecrophysiologically by using two electrode voltage clamping (TEVC). Among them, one of the rice cDNAs (clone J023118D04) gave rise to K+ current with biophysical characteristics similar to those of the shaker type K+ channels. Collectively, cloning and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plant ion channels could be greatly facilitated by combining the in silico analysis and heterologous expression in Xenopus oocytes. 본 연구는 식물에 내염성을 줄 수 있는 유전자인 shaker type K+ 채널을 인코딩하는 유전자를 벼의 유전자로부터 선별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먼저, 전압의존성 K+ 채널의 공통적인 특징인 6개의 막 관통부위와 K+ 이온선택필터 보존서열 (TXXTXGYG)을 보유하는지 여부에 따라 30,778개의 벼 게놈 유전자로부터 K+ 채널을 지정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5개의 유전자를 TMHMM과 CLUSTALW를 사용하여 in silico 방식을 통해 선별하였다. 선별된 5개의 cDNA를 pSP64T Xenopus 발현 벡터에 서브클로닝한 후 in vitro 전사로 cRNA를 제작하였다. 합성된 cRNA를 개구리 난모세포에 미세 주입시킨 후 발현된 K+ 채널의 이온투과도를 two electrode voltage clamping (TEVC)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클론 J023118D04가 shaker type K+ 채널의생물리적 특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수많은 벼 유전자로부터 shaker type K+ 채널을 인코딩하는 유전자를선별하는데 in silico 예측 및 개구리 난모세포 이형발현과 전기생리학적 측정 방법의 결합이 매우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