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국내 목조문화재에 대한 지중 흰개미 피해 및 모니터링 현황

        임익균,차현석,강원철,이상빈,한규성,Im, Ik-Gyun,Cha, Hyun-Seok,Kang, Won-Chul,Lee, Sang-Bin,Han, Gyu-Seong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21 보존과학회지 Vol.37 No.3

        본 연구에서는 전국 및 지역별 지중 흰개미 정기 모니터링 실시 기관들의 결과보고서를 바탕으로 국내 목조문화재의 지역별, 지정별 지중 흰개미 피해 및 관리 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조사 내용들을 바탕으로 GI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국 2,805건의 조사 대상 목조문화재에 대한 지중 흰개미 가해흔 및 가해 진행 현황 지도를 제작하였다. 현황 지도 제작 결과, 2018년~2019년의 기간 동안 총 486건의 목조문화재에서 지중 흰개미 가해흔이 확인되었으며, 그중 143건(약 29.4%)에서 지중 흰개미 권역 유입 및 목부재 가해가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위와 같이 조사된 피해 현황 자료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하여 Map API를 활용한 웹 플랫폼 및 웹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였다. 또한 기관별 결과보고서에서 확인된 지중 흰개미 모니터링 방안으로는 탐지견, 육안관찰, 예찰기, 극초단파 장비 등이 지중 흰개미의 유입 유무 파악 방안으로 적용되고 있으나 유입된 지중 흰개미 군체의 영역 범위를 판단할 모니터링 조사 방안은 현재 적용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지중 흰개미 군체 모니터링 조사 시, 대상 목조문화재의 가해 영역 범위 산정 등 현황 파악을 위한 염색약 처리 및 Mark-Release-Recapture법의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the status of damage by subterranean termites and their management according to the region and type of domestic wooden cultural properties were identified. This was based on the survey reports of agencies conducting regular nationwide and regional monitoring of subterranean termites. In addition,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 based on the survey contents, a map was constructed of termite infestation and its progress on 2,805 wooden cultural properties that were surveyed nationwide. Based on the map produced, a total of 486 cases of termite infestation were confirmed in wooden cultural properties during 2018-2019, of which 143 cases (approximately 29.4%) were confirmed to be owing to the invasion of termites in the ground and infestation of wood materials. A web platform and an application using a mapping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were created to increase accessibility to the investigated damage status data. The methods employed by each institution for investigating and monitoring the invasion of termites in the ground included the use of detection dogs, visual observation, installation of wood specimens made of pine, and microwave equipment.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monitoring and survey methods were not applied to determine the territorial range of the subterranean termite colonies. Accordingly, the use of dyeing and mark-release-recapture methods were deemed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such as calculating the scope of the target wooden cultural property, when monitoring subterranean termite colonies.

      • KCI등재

        전(塼)의 백화현상 규명 및 제거방안 연구 - 수원화성 백화현상을 중심으로 -

        정광용,차현석,Chung, Kwang-Yong,Cha, Hyun-Seok 한국건축역사학회 2013 건축역사연구 Vol.22 No.6

        This study progressed an investigation on the cause of the efflorescence phenomenon of bricks in Suwon Hwaseong Fortress, which is designated as a UNESCO World Heritage by using diverse scientific analyses. The samples were taken in Hwaseong and analyzed using XRD and SEM-EDS for the material identification of efflorescence. We observed under a polarizing microscope and measured absorption factors for the basic investigation for traditional bricks. As a result of material identification, soluble salt($Na_2SO_4$, $KNO_3$) and insoluble salt($CaCO_3$) were detected. There was no big difference between original bricks and repaired bricks under the polarizing microscope. However, in terms of the water absorption rate, bricks which were used for repair nowadays showed low water absorption rate(1%). In conclusion, soluble salt and insoluble salt appeared due to an effect of an air pollution and joint mortar. Soluble salt was removed in the rainy season, but insoluble salt was not removed. As a result of the efficiency and safety tests for chemicals removing efflorescence, chemical E is likely to be the suitable chemicals for the efflorescence phenomenon of traditional bricks in Suwon Hwaseong Fortress. In the future, consideration whether the use of lime is available or not should be studied through comprehensive researches including repair work, construction work and the environment factor with lime. Also, physical, chemical identifications of repairing bricks will be required.

      • IGTO 박막 트랜지스터의 채널층 두께에 따른 양성자 빔 조사의 영향

        황성현(Seong-Hyun Hwang),신민규(Min-Gyu Shin),이동호(Dong-Ho Lee),차현석(Hyun-Seok Cha),정환석(Hwan-Seok Jeong),김대환(Dae-Hwan Kim),권혁인(Hyuck-In Kwon) 대한전자공학회 2021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6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ilm thickness (t<sub>ch</sub>) on the radiation damage of indium-gallium-tin oxide (IGTO) thin films and radiation tolerance of high-mobility IGTO thin-film transistors (TFTs). The radiation tolerance of the TFTs was evaluated using a 5MeV proton beam at a fixed dose of 10<sup>13</sup> cm<sup>-2</sup>. Using t<sub>ch</sub> values of 12, 27, and 42 nm, the IGTO TFT with the 12nm thick channel layer exhibited the best electrical performance and radiation tolerance. The radiation tolerance significantly decreased as t<sub>ch</sub> increased. To elucidate the mechanism responsible for the observed phenomena,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IGTO thin films with different values of t<sub>ch</sub> were characterized by X-ray diffraction,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and atomic force microscopy before and after the proton beam irradiation

      • Angiography measurement tool의 정확성 평가 : 3D Computed Rotational Angiography와 비교

        유병천(Byeong Cheon Yoo),차현석(Hyun Seok Cha),안승원(Seung Won An),김상현(Sang Hyeon Kim),이규목(Gyu Mok Lee)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 2022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Vol.25 No.1

        목 적 : 중재적 시술에서 혈관 직경과 길이는 많은 경우 CT와 MRI 등의 검사 영상과 경험적 소견에 의해 결정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감산 영상(Digital Subtraction Image;DSA)으로 획득한 피사체의 길이를 Angiography measurement tool을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그 정확성을 평가하고 DSA 영상과 3차원 재구성 영상(3D Computed Rotational Angiography;3D CRA)에서 총경동맥 측정치를 비교함으로써 제공하는 정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본원의 연구 심의 위원회의 후향적 연구로 승인 받았으며 경동맥 스텐트 삽입술을 시행한 환자 32명의 기록을 대상으로 하였다. 1) Angiography measurement tool 의 정확성 평가를 위해 길이 100mm 유도 철사의 DSA 영상을 A와 B 두 회사의 장비로 획득하여 길이를 측정한다. 2) 경동맥 스텐트 삽입술 시행 환자 32명의 스텐트 삽입 전 총경동맥 직경을 DSA 영상과 3D CRA 영상에서 측정하여 비교한다. 결과 : 1) Angiography measurement tool을 이용하여 측정한 유도 철사 길이는 장비A에서 99.19mm~101.40mm, 평균 100.24mm , 오차범위 ±1.2 % 이다. B 장비에서는 98.89mm~101.69mm, 평균 100.25mm, 오차범위는 ±1.4 % 이다. 두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0.645) 2) 총경동맥 직경 측정치 96건의 평균은 DSA 영상에서 7.98 mm 이며 3D CRA 영상에서 8.01 mm 이다. 평균의 차이는 0.03 mm 이며 두 집단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0.091) 결론 : DSA 영상에서 Angiography measurement tool의 측정 정확도는 매우 높고, DSA 와 3D CRA 영상에서 총경동맥 직경 측정치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므로 경우에 따라 DSA 영상은 3D CRA 영상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When it is necessary to evaluate vessels by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DSA), there are no tests on its accuracy. The information of target vessels is mainly depended on CT and MRI or personal experiences. For this reasons this study will prove the angiography measurement tool’s accuracy by measuring guide wire in DSA images. Furthermore, We would like to compare DSA images of common carotid arteries diameter with 3D CRA images to investigate the similarities of two groups METHODS : It was approved as a retrospective study by the research deliberation committe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Bundang Hospital an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2 patients who underwent carotid stent. 1) To evaluate the accuracy of angiography measurement tool, we obtained guide wire images and measured lengths by angiography measurement tool 2) The diameters of common carotid artery in 32 patients who underwent carotid stent procedure were measured by three researchers by observing DSA and 3D CRA images. RESULT : 1) In the A company equipment, guidewire length was measured 99.19 mm to 101.40mm the average is 100.24mm, margin of error ±1.2 %. In the B company, measured range was 98.89 mm to 101.69mm and the average value is 100.25 mm, margin of error was ±1.4%. 2) In the DSA images, the mean of common carotid artery diameter was 7.98 mm. In the 3D CRA, images was 8.01 mm. The difference of mean was 0.03 mm, a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0.091) CONCLUSIONS : In the DSA images, angiography measurement tool showed good accuracy. And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vessel diameter and statistical values. Therefore, In some cases, DSA measurement values could replace 3D CRA images

      • 효율적인 시멘틱 질의 처리를 위한 인덱싱 기법

        김학수 ( Hak Soo Kim ),차현석 ( Hyun Seok Cha ),손진현 ( Jin Hyun So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3 No.1

        RDF는 트리플의 집합으로서 그래프 데이터 모델로 표현되며, 사용자는 RDF 그래프 모델로부터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시멘틱 질의 언어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 방식은 최악의 경우 전체 그래프 데이터 모델을 검색해야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최근의 연구에서는 시멘틱 질의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 인덱스를 사용한다. 시멘틱 질의 언어(RDQL, SPARQL)의 핵심은 RDF 트리플에 대한 패턴을 기술함으로써 원하는 트리플 정보를 검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존의 인덱스는 단일 트리플을 효율적으로 검색하는 데 초점을 둔다. 그러나, 트리플 패턴의 집합으로 질의가 표현될 경우에는 트리플 패턴 사이의 상관관계 때문에 조인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조인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인덱싱 기법을 제안한다. RDF 그래프 모델에서 유지해야 할 정보를 줄이기 위해서 RDF 그래프 모델에 존재하는 유사한 서브 그래프를 하나의 서브 그래프로 병합한다. 병합절차를 마친 여러 서브 그래프에 존재하는 모든 경로를 인덱스에 유지 함으로써 조인 비용을 제거한다.

      • KCI등재

        내장형 시스템에서 DAML - S 서비스 지원을 위한 효율적인 DAML+OIL 문서 관리 시스템

        김학수(Hag Soo Kim),정문영(Moon-young Jung),차현석(Hyun Seok Cha),손진현(Jin Hyun Son) 한국정보과학회 2005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1 No.1

        최근에 시멘틱 웹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증가함에 따라 시멘틱 웹 기반의 웹서비스인 시멘틱 웹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웹서비스는 XML 기반의 웹서비스 기술 언어인WSDL을 사용하지만 시멘틱 웹서비스에서는 DAML-S와 같은 온톨로지 언어기반의 웹서비스 기술 언어를 사용한다. 시멘틱 웹서비스에 대한 연구는 웹서비스 검색, 웹서비스 구동, 웹서비스 구성, 웹서비스 실행 모니터링 등의 관점에서 수행되고 있다. 특히, 시멘틱 웹서비스 검색은 시멘틱 웹서비스의 궁극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가장 기반이 되는 분야로 기존의 정보 검색과는 다른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즉, 시멘틱 웹 기술 언어에 적합한 저장 시스템과 검색 방법이 요구된다. 이에 부합하여 관련된 시스템이 많이 개발되고 있으나 지능로봇 응용과 같은 제한된 메모리 공간 및 디스크 공간을 가지는 임베디드 환경에서 기존의 시스템을 적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이와 관련하여, 이 논문에서는 임베디드 시스템 환경에서 시멘틱웹서비스 검색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DAML-S 서비스 지원을 위한 효율적인 DAML+OIL 문서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우리는 이 논문에서 소개한 시스템의 특성을 다른 시스템과 비교하여 기술한다. Recently, many researchers have given high attention to the semantic web services based on the semantic web technology. While existing web services use the XML-based web service description language, WSDL, semantic web services are utilizing web service description languages such as DAML-S in ontology languages. The researchers of semantic web services are generally focused on web service discovery, web service invocation, web service selection and composition, and web service execution monitoring. Especially, the semantic web service discovery as the basis to accomplish the ultimate semantic web service environment has some different properties from previous information discovery areas. He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storage system and discovery mechanism appropriate to the semantic web description languages. Even though some related systems have been developed, they are not appropriate for the embedded system environment, such as intelligent robotics, in which there are some limitations on memory disk space, and computing power. In this regard, we in the embedded system environment have developed the document management system which efficiently manages the web service documents described by DAML-S for the purpose of the semantic web service discovery, In addition, we address the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 developed in this paper, compared with the related researches.

      • 1인 가구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Home IoT 센서 시스템

        백창대(Chang-Dae Baek),김한호(Han-Ho Kim),차현석(Hyun-Seok Cha),손형민(Hyeong-Min Son),김남호(Nam-Ho Kim)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 한국정보통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25 No.1

        사회적으로 1인 가구의 증가와 Home IoT 기술의 발전에 따라 주거 환경의 편의성 개선이 중요시된다. 또한 ‘COVID-19’에 의한 실내 활동 증가에 따라 1인 가구의 주거 편리성을 위한 제품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로 그 전보다 현재 주거 환경과 상호작용이 수월해졌으며, 이에 따라 Home IoT 기술 발전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온도, 습도, 미세먼지와 같이 실내 환경 유지에 필요한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사용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가스 누출 및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 예방에 필요한 IoT 센서를 탑재하여 증가하는 실내 활동에 안전성을 향상하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The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and the development of Home IoT technology make it important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addition, the increase in indoor activities caused by COVID-19 calls for the development of products to make life more convenient for single-person households. This trend of increased indoor activity has made it easier to interact with the current residential environment than before, and as a result, the need to develop technology for Home IoT is emerging. Therefore, the Home IoT system will be developed to monitor the information needed to maintain an ideal indoor environment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and fine dust. The system will also interact with users, and propose a system that improves safety in indoor activities by equipping the home with IoT sensors for preventing safety accidents such as gas leakage and fi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