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차진우,김휘재,박영진,박노철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24 한국소음진동공학회 논문집 Vol.34 No.6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tegration of haptic feedback into ultrasound probes to achieve uniform vibrotactile rendering on the grip surface used by clinicians, while minimizing vibrations on the diagnostic surface that contacts the patient. This method enables clinicians to experience consistent vibrotactile feedback regardless of grip variation, preserving measurement accuracy and enhancing patient comfort. Frequency Response Function(FRF) techniques were employed to optimize actuator control, effectively minimizing vibrations on the diagnostic surface and achieving uniform vibrotactile rendering. To validate this approach, a prototype ultrasound probe was fabricated using 3D printing. FRF measurements were taken with a laser Doppler vibrometer, and optimized actuator control signals were applied. Results showed that vibrations on the diagnostic surface remained below the target threshold of 0.2G, while delivering uniform vibrotactile rendering in the 1G~2G range on the grip surface.
친환경농자재 개발을 위한 서양금혼초(Hypochaeris radicata L.)의 알레로패시 효과
차진우,김현철,강정환,김태근,정대천,송상철,이희선,송진영,송창길,Cha, Jin-Woo,Kim, Hyoun-Chol,Kang, Jeong-Hwan,Kim, Tae-Keun,Jung, Dae-Cheon,Song, Sang-Churl,Lee, Hee-Sean,Song, Jin-Young,Song, Chang-Khil 한국유기농업학회 2014 한국유기농업학회지 Vol.22 No.1
서양금혼초의 군락 형성에 따른 경쟁적 우세원인을 규명하고 친환경농자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생육특성과 Allelopathy 효과를 알아보았다. 서양금혼초의 생육특성은 예초지역과 비예초지역간의 묘조(苗條) 수, 지상부 직경과 화주 수를 비교한 결과 예초지역의 묘조(苗條) 수, 지상부의 직경과 화주수가 비예초지역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서양금혼초의 수용성 추출액에 대한 레드클로버(Trifolium pratense), 들묵새(Festuca myuros), 도깨비바늘(Bidens bipinnata) 등 실험식물 14종 대해 발아와 생장 실험 결과 일반적으로 수용성 추출액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검정식물의 발아율, 유식물의 뿌리털, shoot, root의 생장이 억제되었고 검정식물의 종류와 부위에 따라 억제정도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서양금혼초의 수용성 추출액에 대한 실험곰팡이의 생장에 있어서는 Pythium속, Phytophthora속은 수용성 추출액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성장이 억제되는 경향을 보인 반면, Rhizoctonia속인 경우에는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생장억제 현상이 뚜렷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서양금혼초의 예초는 서양금혼초의 Split현상을 유도하여 더 많은 영양번식과 종자번식을 일으켜 군락을 형성하고, 서양금혼초에 함유된 allelochemicals에 의해 타 식물체의 발아와 생장, 미생물의 생장 등에 관여하기 때문에 제주도내 생태계에서 경쟁적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친환경농자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군중 상황에서 정확한 다중 사람의 자세 인식을 위한 군중 자세 주석 데이터 세트의 개선
차진우,김철영,오현종,서다정,박종성,김유성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4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Vol.29 No.12
본 논문에서는 군중 상황(crowd situations)에서 다중 사람 자세 인식기(multi-person pose estimator)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인 사람 자세 주석 데이터 세트를 개선하여 공개하는 연구를 소개한다. 이를 위해 먼저, 군중 밀도가 높아서 가림(occlusion)이 많이 발생하는 군중 상황 이미지에 대해서 가능한 많은 사람의 바운딩 박스(bounding box)와 각 사람의 관절 레이블(keypoint label)을 정확하게 표시하는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주석 개선 도구(annotation refining tool)를개발하였다. 개발된 도구를 이용하여 군중 상황에서 다중 사람 자세 인식기의 성능 평가용으로많이 이용되는 기존 CrowdPose 데이터 세트의 8,000개 테스트 이미지의 사람 자세 주석을 교정하여 품질을 개선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수정된 데이터 세트가 이전 버전보다 더 많은 사람의바운딩 박스를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각 사람의 관절 레이블을 더 정확하게 표시하고 있어서 다중 사람 자세 인식기의 성능을 더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사람 포즈 주석 개선 도구와 수정된 데이터 세트는 https://github.com/InhaKMS/HuPo-AnT에서 공개될 예정이다. This paper describes refinement and release of a human pose annotation dataset, which is essential for developing multi-person pose estimators in crowd situations. To achieve this, we first developed an annotation refining tool that can be helpful to put accurate bounding box labels for many people at most and correct keypoint positions for each person in crowd situation images where many occlusions might occur since the crowd density is high. Using this tool, we enhanced the quality of the ground truth annotations for 8,000 test images from the CrowdPose dataset, which is widely used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multi-person pose estimators in crowd situations. Our analysis confirms that the performance of the multi-person pose estimator can be more accurately assessed, as the modified dataset contains more person’s bounding boxes and more accurate keypoint labels for each person than the previous version. The developed human pose annotation refining tool and the modified dataset will be publicly available at https://github.com/InhaKMS/HuPo-AnT.
모듈구조 mART 신경망을 이용한 3차원 표적 피쳐맵의 최적화
차진우,류충상,서춘원,김은수 대한전자공학회 1998 電子工學會論文誌, C Vol.c35 No.2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ART(modified ART) neural network by combining the winner neuron definition method of SOM(self-organizing map) and the real-time adaptive clustering function of ART(adaptive resonance theory) and construct it in a modular structure, for the purpose of organizing the feature maps of three dimensional targets. Being constructed in a modular structure, the proposed modular mART can effectively prevent the clusters from representing multiple classes and can be trained to organze two dimensional distortion invariant feature maps so as to recognize targets with three dimensional distortion. We also present the recognition result and self-organization perfdormance of the proposed modular mART neural network after carried out some experiments with 14 tank and fighter target models.
친환경농자재 개발을 위한 서양금혼초(Hypochaeris radicata L.)의 알레로패시 효과
차진우,김현철,강정환,김태근,정대천,송상철,이희선,송진영,송창길 한국유기농업학회 2014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2 No.1
서양금혼초의 군락 형성에 따른 경쟁적 우세원인을 규명하고 친환경농자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생육특성과 Allelopathy 효과를 알아보았다. 서양금혼초의 생육특성은 예초지역과 비예초지역간의 묘조(苗條) 수, 지상부 직경과 화주 수를 비교한 결과 예초지역의 묘조(苗條) 수, 지상부의 직경과 화주수가 비예초지역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서양금혼초의 수용성 추출액에 대한 레드클로버(Trifolium pratense), 들묵새(Festuca myuros), 도깨비바늘(Bidens bipinnata) 등 실험식물 14종 대해 발아와 생장 실험 결과 일반적으로 수용성 추출액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검정식물의 발아율, 유식물의 뿌리털, shoot, root의 생장이 억제되었고 검정식물의 종류와 부위에 따라 억제정도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서양금혼초의 수용성 추출액에 대한 실험곰팡이의 생장에 있어서는 Pythium속, Phytophthora속은 수용성 추출액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성장이 억제되는 경향을 보인 반면, Rhizoctonia속인 경우에는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생장억제 현상이 뚜렷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서양금혼초의 예초는 서양금혼초의 Split현상을 유도하여 더 많은 영양번식과 종자번식을 일으켜 군락을 형성하고, 서양금혼초에 함유된 allelochemicals에 의해 타 식물체의 발아와 생장, 미생물의 생장 등에 관여하기 때문에 제주도내 생태계에서 경쟁적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친환경농자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To evaluate the potential of Hypochoeris radicata L. for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friendly organic materials, its growth characteristics, allelopathic effects and antifungal activity was investigated.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H. radicata L. was investigated by measuring comparative number of shoot and flower, and the diameters of clones in mowing areas and non-mowing areas,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number of shoot and flower, and diameters of clones of H. radicata L. grown in mowing areas were much higher than those grown in non-mowing areas. Water extracts of H. radicata L. inhibited seed germination, and shoot, root and root hair growth of 14 test plants including Trifolium pratense, Festuca myuros, Bidens bipinnata and finally reduced heir biomass remarkably.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extract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kind and the part of tested plants. The extracts showed high antifungal activity against Pythium spp. and Phytophthora However, it showed comparably less antifungal activity against Rhizoctonia solani than Pythium spp. and Phytophthora. In conclusion, cutting H. radicata L. resulted increase of its vegetative and seed propagation and helped it to form large colony. Also it had an effect on growth of microbes and germination and growth of other plants. Therefore H. radicata L. holds the competitive dominant position in plant ecosystem in Jeju Island and it can be used as candidate of environment-friendly organic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