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를 보는 근대적 시선의 형성 - ‘낙원제주’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진종헌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23 문화 역사 지리 Vol.35 No.1

        The way of seeing Jejudo before the modern era during the Joseon Dynasty can be summarized as ‘the aesthetics of scenic landscapes, the barrenness of the climate, and the vulgarity of customs’.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a new way of seeing Jejudo’—the discourse of ‘Paradise Jeju’—appeared, replacing the Ten Scenes of Yeongju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forming the basis for the symbolic landscape of Jeju Island until the late 20th century. This was a process in which the industrial potential of Jeju’s climate and resources were re-evaluated in the context of capitalism and industrialization. The image of Jeju’s scenery as an exotic tourist attraction continued even after the liberation. However, the development of Jejudo has been understood as a history of hardships for Jeju residents who overcame a barren environment. According to Confucian scholars on the mainland during the Joseon Dynasty, Jejudo was a barren land, and this was the cause of the Jeju people’s poverty. The discourse of Paradise Jeju coined by Japan can be seen as a complete reversal of the climate determinism-the theory of 風土 of the Joseon Dynasty, and as a colonial project as well as a modern perspective as a new ‘invention’. Paradise Jeju discourse serves as a link between endemic environmentalist thoughts on Jeju in the Joseon Dynasty and contemporary romantic perspectives on Jeju, which can also be an important reference for contemplating a new vision for the development of Jeju in the 21st century and the formation of Jeju identity. 근대이전 조선시대에 제주를 보는 방식은 ‘풍경(경관)의 심미성, 풍토의 척박함, 풍속의 소박함’으로 요약할 수있다. 일제강점기에 제주를 보는 새로운 시선—낙원제주담론—이 출현하여, 조선시대 영주십경을 대체하고 20세기후반까지 ‘파라다이스 제주’ 상징경관의 기초를 형성했다. 이는 자본주의와 산업화의 맥락에서 제주도의 풍토와 자원이 가진 산업적 가능성과 잠재력이 재평가되는 과정이었다. 이국적인 관광매력지로서의 제주경관의 이미지는 해방 이후에도 지속되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제주의 발전은 척박한 환경을 극복한 제주민들의 고난의 역사로 이해되어 왔다. 조선시대 ‘육지’ 유학자들이 제주에 대해 가지고 있었던 풍토적 사고에 의하면 제주는 척박한 땅이었고이는 제주인들의 빈곤의 원인이었다. 표면적으로 일제강점기 일본에 의해 주조(鑄造)된 낙원제주의 관점은 조선시대 기후결정론-풍토론의 완전한 전도이며, 식민주의적 기획이자 새로운 ‘발명’으로서의 근대적 시각인 것으로 보일수 있다. 낙원제주담론은, 조선시대 제주도에 대한 풍토적 사고와 제주도를 보는 당대의 낭만주의적 시각-‘제주 헤테로토피아’-사이에 연결고리로 역할하고 있으며, 이는 또한 21세기 제주발전과 제주정체성 형성의 새로운 비전을 고민하는데 중요한 참고가 될 수 있다.

      • KCI등재

        순천만 국가정원을 향한 문화지리학의 시선

        진종헌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7 南道文化硏究 Vol.0 No.32

        비판적 문화지리학의 관점에서 순천만 국가정원은 세 가지 키워드를 통해 해석할 수 있다. 순천만 국가정원은 상징경관이고, 공적 공간이며, ‘진정한’ 장소를 지향한다. 상징 경관으로서의 순천만 국가정원은 나라별정원에서 그 의미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정 원은 아름답고 조화로운 풍경을 넘어서, 특정한 역사시기와 지역 및 국가의 문화적 정체 성을 표현해 왔다는 의미에서 상징경관으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순천만 국가정원은 공적 공간으로서 공공의 이익증진에 기여함을 목표로 한다. 국가정원은 공원이나 광장과 같은 누구에게나 개방되어 있는 전형적인 공적 공간은 아니지만, ‘인간이 자연을 이해하 고 문화의 한 부분으로 포섭해 온 긴 역사’에 대해 배우고, 감상하고 체험하는 공간이다. 그리고 순천만국가정원은, Relph의 관점에서 보자면 진정하게 만들어진 장소와는 거리 가 멀고, 오히려 디즈니화된 가짜 장소에 가깝다. 그러나 국가정원은 순천이라는 장소의 내향적이고 고유한 역사에 기반해 고유의 전통과 문화 및 환경을 단순히 계승하는 것을넘어서 세계-국가-지역의 중첩된 장소스케일의 상호작용에 의해 초국적 문화의 일부로 서 순천의 새로운 장소정체성을 만들어 나가는 매개체 즉, 일종의 상징경관이다.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can be understood through three key words from the view of cultural geography. The Garden is symbolic landscape, public space, and reaches forward to ‘authentic’ place.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as symbolic landscape is well shown in the section of ‘The Gardens by Countries’.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is symbolic landscape in that it has represented cultural identity of a certain region or state and of a certain historical period beyond beautiful and harmonious scenery. The Garden as public space intends to promote the public good (or interest). Though the Garden is not a typical public space as a square or public park (open to anybody), it is definitely a space in history. During this historical space we can learn, appreciate, and experience a virtue of nature, and eventually embrace nature as a part of culture. The Garden is far from an “authentic place” from the perspective of Edward Relph. However,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plays a significant role as a medium through which a new identity of Suncheon is constructed (part and nexus of changing transnational network of culture). This is based on interactions among various spatial scales like ‘global-national-local’. This is true rather than simply inheriting the traditional culture and natural resources based on an introverted history of a place. All of these features make the Garden a symbolic landscape.

      • KCI등재

        공단입지가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에 대한 주민의식연구 - 서산시 대산읍을 사례로 -

        진종헌,정석호 국토지리학회 2012 국토지리학회지 Vol.46 No.4

        The paper critically examines how location of industrial complex had an impact on Daesan community. Especially the author focuses on the residents's opinions survey on the ongoing industrialization of Deasan region rather than official data analysis and quantitative methods. According to the survey analysis, first, residents in Deasan-up seriously recognize the negative impact, particularly environmental pollution, on the region of industrial complex as well as positive effects. Second, respondents?opinions were shown differently according to its residential areas. Third, as many firms have been located and population were migrated into the region, the demographic composition of the community became diversified. Therefore, respondents?opinion were also differentiated by job classification, which implies the dissolution of the homogeneity of the local community. 본 연구는 농촌지역에 공업단지가 입지함으로써 지역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장기간에 걸쳐 진행된 공업화에 의해 나타난 지역의 변화를 주민들이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가를 설문조사분석을 통해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대산읍의 주민들은 지난 20여 년간 공단의 입지에 따른 긍정적 효과뿐만 아니라 부정적 영향, 대표적으로 환경문제에 대해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다. 특히 지역에 오래 거주한 농수산업 중심의 고령층 원주민들이 공단입지에 따른 환경파괴에 가장 비판적 인식을 갖고 있는 집단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민들의 반응은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공단과 지리적으로 인접한 독곶리 등에서 비판적인 견해가 많이 나타난 반면에 공단에서 멀어질수록 긍정적인 견해가 많아졌다. 셋째, 기업이 입주하고 외지에서 인구가 유입되면서 지역사회의 인구구성도 다양해졌다. 지역문제와 지역발전방향에 대한 주민들의 견해도 직업별로 상이하게 나타나 지역사회의 동질성이 해체되어가고 있음을 말해 준다.

      • 지속가능한 생태문화도시의 방향설정 및 추진방안

        진종헌,최희선,신지영,정문수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8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08 No.03

        본 연구는 도시 및 지역의 발전과정에서 생태적 가치와 문화적 가치의 내적인 융합을 성취하기 위해 지속가능한 생태적 문화의 형성에 기초한「생태문화도시」를 하나의 대안적인 비전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생태문화도시의 관점은 물리적으로 조성된 생태도시에 단지 문화의 외피를 입히는 것이 아니라, 생태도시의 가치·철학·과정이 사람들의 일상생활 속에서 하나의 삶의 양식으로 - 문화의식과 문화체계로 -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다. 즉, 생태적 문화의 부재가 생태도시형성을 가로막는 큰 장애물 중의 하나라는 생각에서 새로운 생태도시를 만들기보다는 기존의 도시 및 지역이 어떻게 생태적이고 문화적인 도시로 나아갈 수 있는가에 연구의 초점을 두고자 하였다. 이러한 배경에 따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목적을 설정하였다. 첫째, 논의의 근거를 제공하기 위해 생태문화도시를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개념적 구성요소를 제안함으로써, 평가를 위한 분석틀을 제시하려 하였다. 둘째, 생태문화도시의 관점에서 생태도시 및 문화도시와 관련된 정부의 기존정책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생태문화도시비전의 성취를 위해 필요한 정책적·제도적 방향성을 제공하려 하였다. 셋째, 해외 사례연구 및 국내 세 지역에 대한 심층적 사례연구를 통해서, 한국의 사회적 조건에 적합한 생태문화도시(화)전략 형성의 구체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전반을 통하여 생태도시를 지속가능하게 하는 도시 및 지역차원의 적절한 주민 참여 및 거버넌스 체제의 형성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 생태도시를 일종의 문화경관으로 바라보는 구체적 관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먼저 간명한 방식으로 생태문화도시를 조작적으로 정의하기 위해 환경·문화·지역(공간)의 세 가지 축을 설정하였으며, 생태문화도시를 위 세 요소의 교집합으로 정의하였다. 이 같은 조작적 정의에 기반에 두고, 도시 및 지역의 구체적 분석을 위해 지속가능성과 문화경관 및 ’주민참여 및 거버넌스’라는 생태문화도시의 개념적 구성요소를 파악하였다. 둘째, 세 지역에 대한 심층적 사례연구를 통해, 유형별로 생태문화도시 발전과정의 특성을 비교하고 함의점을 도출하였다. 성미산마을은 도시공동체모형의 사례로 제시될 수 있으며, 지역 내 기초역량이 충분히 성숙해 있을 경우에, 민관협력 또한 성공적으로 진척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진안군은 농촌모형으로서 지역주민들의 역량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에 행정조직의 역할이 어떠해야 하는지를 보여주고 있으며, 지역 내에 특수한 자원이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 낙후지역 및 농산촌에 적용 가능한 모델이다. 철암동은 쇠퇴지역모형으로서 특수한 문화경관자원과 열악한 내부역량이라는 조건하에서 전문가의 주도적 역할을 정부·지자체가 어떻게 지원할 것인가라는 과제를 제시하였다. 셋째, 향후 생태문화도시정책의 기본원칙과 정책방향을 제안하였다. 생태문화도시 정책의 추진을 위한 기본원칙으로 <생태도시의 문화적 착근>이라는 개념의 정립, <개발주의 도시정책에 대한 성찰>을 통한 인식의 전환, <도시 및 지역성에 대한 총체적 접근>을 통한 지역성의 인식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정책의 기본방향으로서, <계획과 참여의 조화> <하드웨어정책과 소프트웨어정책의 통합> 및 <다스케

      • KCI등재

        제주의 상징경관으로서의 영주십경의 형성과 변화 - 제주를 보는 새로운 방식 -

        진종헌 국토지리학회 2021 국토지리학회지 Vol.55 No.1

        The research examines the construction and transformation of Youngju-Sipkyoung, a series of symbolic images that has been used in Jeju Tourism. Youngju-Sipkyoung is well-known through 「Youngju- Sipkyoungsi」, work of maegye Lee Han-Woo, Confucian scholar, native of Jeju island. The ten symbolic scenery of Jeju, representing nature and culture of the island, had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modern tourism of Jeju for some time especially in the late 20th century. The purpose of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paper examines the way Youngju-Sipkyoung, originated from 『Tamra-Sipkyoungdo』 produced in the early 18th century, had evolved into ‘a new way of seeing’ the culture and nature of Jeju island of Confucian scholars in 19th century. Second, the paper also examines how the construction of modern, developmental, scientific, aesthetic vision of Jeju island in the early 20th century had significantly undermined the cultural importance of Youngju-Sipkyoung. 이 논문은 제주관광의 관례적이고 전통적인 이미지인 영주십경의 형성과 변화에 대한 문화지리학적 연구이다. 영주십경은 19세기 중반 제주의 유학자 이한우가 지은 「영주십경시」에서 비롯되었다. 제주의 자연과 문화를 대표하는 10개의 상징경관은 현대에 들어와서도 계속 영향력을 발휘해서 20세기 후반 제주관광에서 주요관광지로 추천되었다. 본 연구는 첫째, 조선시대에 영주십경은 18세기 초반의 『탐라십경도』에서 연원했으나, 경승지에 대한 찬미에 머물지 않고 점차 제주의 자연과 문화를 전체적으로 대표하는 상징경관의 지위로 진화하는 과정을 탐구한다. 즉, 영주십경은 19세기 유학자들이 제주의 자연과 문화를 보는 새로운 방식(a new way of seeing)으로 자리잡았다. 둘째, 19세기말과 일제강점기에 영주십경의 문화적 중요성이 약화되고 제주를 바라보는 새로운 개발주의적, 제국주의적, 과학적, 미학적 시각이 출현하는 과정을 탐구한다.

      • KCI등재

        칸트의 『자연지리학』에 대한 시론적 연구 - 환경론을 중심으로 -

        진종헌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23 문화 역사 지리 Vol.35 No.2

        최근 코스모폴리타니즘의 논의와 함께 칸트의 지리학에 대한 관심이 서서히 커지고 있다. 지리학사에서는이미 오래전부터 칸트의 공간개념이 중요하게 다루어졌지만, 정작 칸트가 생전에 열성적으로 진행했던 지리학강의와 사후에 편집된 『자연지리학』의 내용에 대한 논의는 많지 않았다. 그리하여 다음 몇 가지 관점에서 칸트지리학에 대한 재고찰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첫째, 본 연구는 데이비드 하비의 칸트지리학의 ‘진부함’에 대한 비판을 사례로 그 의미를 해석하였다. 하비의 ‘지리적 인종주의’ 비판은 칸트비판철학에 대한 인류학적, 사회학적 인종주의 비판중심에서 확장하여 지리학적 관점을 적극적으로 검토하는 의미가 있다. 둘째, 칸트의 『자연지리학』 과 『실용적 관점에서 본 인류학』을 인종과 민족집단의 차이에 대한 설명을 중심으로 비교검토하였다. 지리학과인류학은 같이 ‘세계에 대한 지식’으로 간주되었으나, 지리학을 전과학적 상태로부터 발전시켜 칸트사상체계 내에 배치하는 것은 성공적이지 않았다. 셋째, 칸트의 지리학은 자연신학의 체계와 설계론의 개념에서 벗어나고자했다. 넷째, 칸트 지리학과 인류학의 모순은 계몽주의 철학에 내재한 지리환경론적인 유럽중심주의와 해방적 가능성으로서의 코스모폴리타니즘간의 긴장 속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With the recent discussion of cosmopolitanism, interest in Kant’s geography is gradually growing. In the history of geography, Kant’s concept of space has been treated as important since a long time ago, but there were not many discussions about the contents of his Physical Geography (Physische Geographie) lectures and edited posthumously edited textbook. Therefore, the direction of reconsideration of Kant’s geography was suggested from the following several points of view. First, this study interpreted the meaning of David Harvey’s critique of Kant’s geography as an example. Harvey’s criticism of ‘geographical racism’ is meaningful in that it actively examines the geographical perspective as well as the anthropological and sociological criticism of Kant’s critical philosophy. Second, Kant’s Physical Geography and Anthropology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Anthropologie in Pragmatischer Hinsicht) were compared and reviewed focusing on the explanation of the differences between races and ethnic groups. Kant’s geography sought to break away from the system of natural theology and the concept of design theory. Fourth, the contradiction between Kant’s geography and anthropology needs to be understood within the tension between the geo-environmental Eurocentrism inherent in Enlightenment philosophy and Cosmopolitanism as a liberating possi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