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적 자의식과 지각된 통제감이사회불안과 정서에 미치는 영향

        진원화,박준호,이민규 한국청소년학회 2019 청소년학연구 Vol.26 No.12

        This study set and tested, through an experiment, a dual interaction hypothesis, which proposes that the level of public self-consciousness will have different effects on social anxiety, emo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perceived control. It was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of 2 (public self-consciousness: high/low) × 2 (perceived control: high/low). The data from a total of 75 college students was analyzed. The investigator introduced the present study as research to develop an improvement program for communicative skills to the participants of the experiment and manipulated them into high and low groups of perceived control according to their choice of presentation topics, preparation time for the presentation, and time to complete the presentation. They were then manipulated into high and low groups of public self-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that someone was watching them or a video camera was installed. After the presentation, their social anxiety was measured along with their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in the emotional, behavioral, and physical aspect. The findings show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ual interactions between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perceived control in social anxiety and negative emotions in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aspect, which supported the hypothesis. Specifically, when perceived control was low, higher public self-consciousness led to significantly higher social anxiety and negative emotions in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aspect than lower public self-consciousness. When perceived control was hi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anxiety and negative emotions in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aspect between high and low public self-consciousness. There were no significant dual interactions in heart rates and positive emo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it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proposal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본 연구는 지각된 통제감 수준에 따라 공적 자의식 수준이 사회불안, 정서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진다는 이원상호작용가설을 세워 실험을 통해 검증했다. 2(공적 자의식:고/저) × 2(지각된 통제감:고/저)의 완전무선설계였으며 대학생 75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실험참여자에게 본 연구를 의사전달능력향상프로그램 개발 연구라고 소개한 뒤 발표주제, 발표준비시간, 발표종료시간에 대한 선택 여부로 지각된 통제감 고/저 집단으로 조작했다. 그다음 타인이 지켜보고 있다는 정보 제공 여부 및 비디오카메라 설치 여부를 통해 공적 자의식 고/저 집단으로 조작했다. 이후 발표를 실시한 뒤, 정서적, 행동적, 신체적 측면의 사회불안, 긍정 및 부정정서를 측정했다. 본 연구 결과를 보면, 정서 및 행동적 측면의 사회불안, 부정적 정서에서 공적 자의식과 지각된 통제감의 이원상호작용이 유의하여 가설이 지지되었다. 구체적으로, 지각된 통제감이 낮은 경우 공적 자의식 높을 때가 낮을 때 보다 정서 및 행동적 측면의 사회불안과 부정적 정서가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에 지각된 통제감이 높은 경우 공적 자의식이 높을 때와 낮을 때의 정서 및 행동적 측면의 사회불안, 부정적 정서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심박수, 긍정정서에서 이원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장래연구방향을 논의했다.

      • KCI등재

        공적 자의식과 사회불안 간의 관계: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및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지각된 통제감의 조절효과

        진원화,박준호 한국건강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ediating effects o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social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among public self-consciousness, perceived control, and social anxiety and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social anxiety. Data of 301 Korean adults aged 18-39 years were analyzed.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Both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social self-efficacy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social anxiety (emotional, behavioral, and physical). In addition, perceived control (emotion control, control of helplessness)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social anxiety. Specifically, at a lower level of emotional control, social anxiety (physical symptoms) increased at a higher rate from a lower public self-consciousness condition to a higher public self-consciousness condition. In addition, at a lower level of control of helplessness, emotional social anxiety (social fear) increased at a higher rate from a lower public self-consciousness condition to a higher public self-consciousness condition. Thes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increasing a sense of control over social situations and internal emotions can alleviate social anxiety in both physical and emotional aspects. 본 연구는 사회적 상황에서 공적 자의식 및 지각된 통제감과 사회불안 사이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각각 살펴보고, 더불어 공적 자의식과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통제감의 조절효과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성인 남녀 30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고,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적 자의식 및 지각된 통제감과 사회불안(정서, 행동, 신체적 측면) 간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모두 유의하였다. 그리고, 공적 자의식과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통제감(감정통제, 무력감 통제)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감정통제가 낮은 경우 공적 자의식이 높아질수록 신체적 측면의 사회불안(신체불안증상)이 증가하는 기울기는 감정통제가 높은 경우에 비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무력감 통제가 낮은 경우 공적 자의식이 높아질수록 정서적 측면의 사회불안(사회적 공포)이 증가하는 기울기는 무력감 통제가 높은 경우에 비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사회적 상황과 내적 정서에 대한 통제감을 높이는 것이 신체적 및 정서적 측면의 사회불안을 각각 완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어지럼증과 통제소재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정예모,진원화,권은진,권인선,유한영,정성해 대한평형의학회 2021 Research in Vestibular Science Vol.20 No.4

        Objectives: An attention to psychological aspects can clarify the understanding and management of patients with unresolved dizziness/vertigo. Thus, we study the locus of control and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for ass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ocus of control and dizziness/vertigo in a referral-based dizziness clinic. Methods: We analyzed the dizziness-specific locus of control and self-efficacy using the modified questionnaire in 117 consecutive dizzy patients (34 males; age range, 20–74 years). In addition to the visual analogue scale-dizziness for evalua-tion of subjective dizziness, the following items were further evaluated; Korean Dizziness Handicap Inventory, Korean Beck Depression Inventory II, and Korean Beck Anxiety Inventory. According to the verification procedure proposed by Hayes,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ver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cus of control and dizziness through analysis. Results: Except the scale of emotion such as anxiety and depression, sex, age, duration of illness, and diagnosis all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dependent variables. Vestibular migraine (39.3%), vestibulopathy (15.4%), and dizziness associated with anxiety and depression (14.5%) were the most common diagnoses. On all scales, Cronbach’s α ranged from 0.72 to 0.94. In the direct effect,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had a tendency of aggravation of dizziness/vertigo, but in the indirect effect, the higher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the higher the self-efficacy, and the higher the self-efficacy, the lower the dizziness. Conclusions: In our study, we can assume that the locus of control can impart ambivalent effects on dizziness/vertigo. And the modulation of self-efficacy could be another treatment for patients with unresolved dizziness.

      • SCOPUSKCI등재

        세가지 다른 조건으로 형성시킨 비정질 실리콘에 대한 저온 열처리 결정화 기구

        이재갑,진원화,이은구,임인권,Lee, Jae-Gap,Jin, Won-Hwa,Lee, Eun-Gu,Im, In-Gwon 한국재료학회 1996 한국재료학회지 Vol.6 No.3

        세가지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시킨 비정질 실리콘(SiH4 a-Si, Si2H6 a-Si, Si+ implanted SiH4 a-Si)들에 대한 저온 결정화 기구의 차이를 고전적 이론인 Avrami 식(X=1-exptn, X=결정화 분율, t=열처리 시간, n=지수)을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Silane으로 형성된 비정질 실리콘의 결정화 과정에서는 Avrami 식에서의 n의 값이 2.0을 나타내고 있어, 결정성장이 이차원적으로 이루어지면서 핵생성률이 시간에 따라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가 있었다. Si+ 이온 주입에 의하여 형성된 비정질 실리콘의 결정화에서는 3.0의 지수 값이 얻어지고 있어, 정상상태의 핵생성과 함께 2차원적인 결정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Disilane으로 형성된 비정질 실리콘에 대한 결정화에서는 2.8의 지수값이 얻어져, 정상상태의 핵 생성이 우세하게 일어나는 2차원적인 결정성장이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TEM을 이용하여 시간에 따라 변하는 핵생성률을 조사하여, Avrami 식의 적용이 타당성 있음을 증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최종 입자의 크기가 열처리 온도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 순환식 하지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공선웅,김지선,문성장,진원화,윤태원,한미란,조영환,Kong, Sun-Woong,Kim, Ji-Sun,Moon, Seong-Jang,Jin, Won-Hwa,Yun, Tae-Won,Han, Mi-Ran,Cho, Young-Hwan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 2010 PNF and Movement Vol.8 No.2

        Purpose :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effects of a task-oriented circuit training(TOCT) for lower limb on walking ability after stroke. Methods : Twenty one chronic stroke patients participated. Participa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either TOCT group or control group(11 experimental, 10 control). All of participants were in-patients at local rehabilitation centre and had been receiving a tradi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five days a week. TOCT group have additionally undergone for four weeks, three days a week, the TOCT program but control group was not received any additional program except the tradi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The 10 m walking test (10MWT), the 2 min walking test (2MWT), the step test (ST) and the figure-8 walking test (F8WT) to measure a walking ability were carried out twice before and after training. Results : Afte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subjects of TOCT demonstrat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cores of the 10MWT, 2MWT, the ST, the F8WT. The control group had no change on the any tests. After the training, the results to improve significantly in TOCT group compared to post-test of control group were the time of 10MWT and the time and the step of curved walking of F8WT. Conclusion :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the TOCT program may become a useful strategy for enhancing walking ability in the rehabilitation of stroke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