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COPUSKCI등재

        PDP Rib용 Bi<sub>2</sub>O<sub>3</sub>-B<sub>2</sub>O<sub>3</sub>-ZnO계 유리의 물성과 구조

        진영훈,전영욱,이병철,류봉기,Jin, Young-Hun,Jeon, Young-Wook,Lee, Byung-Chul,Ryu, Bong-Ki 한국세라믹학회 2002 한국세라믹학회지 Vol.39 No.2

        본 연구는, PbO-base 유리계의 정보와의 비교 등을 통해 Bi-base 조성 PDP rib으로의 새로운 유리조성 설계를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이다. PbO와 유사한 밀도값 및 작업 용이성을 갖고 있는 Bi를 도입한 $Bi_2O_3-B_2O_3-ZnO$ 조성계에 대해, 연화점, 열팽창계수, 에칭성, 유전율 등의 특성측정 및 XPS로 조성에 따른 구조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Bi_2O_3$를 50∼80 wt%까지 폭넓게 첨가된 $Bi_2O_3-B_2O_3-ZnO$계 유리들은 조성에 따라 연화점이 400∼480$^{\circ}C$, 열팽창계수가 $68{\sim}72{\times}10^{-7}/^{\circ}C$, 유전상수는 13∼25으로서 동조성의 Pb-base 조성계와 유사한 물성치를 나타내었다. 특히, Bi의 함유량이 70∼65 wt%의 조성의 경우, 성분 및 물성의 미세조정 등을 통해 rib 재료의 출발조성으로서 적용가능성이 확인되었다. $Bi_2O_3$의 양이 감소함에 따라 $O_{1s}$ peak에서의 결합에너지의 증가와 반가폭(FWHM)이 감소하였는데, 이는 비가교산소의 증가에 기인하였다. This study, compared with data of PbO-base glass system is a part of new glass composition design with Bi-base composition for PDP Rib. As $Bi_2O_3-B_2O_3-ZnO$ glass composition including Bi, which have similar density value and work facility to PbO, properties of softening point,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chemical durability, dielectric constant, and structural changing by XPS were investigated. $Bi_2O_3-B_2O_3-ZnO$ glass system, added 50∼80 wt% $Bi_2O_3$ widely, were presented 400∼480$^{\circ}C$ softening temperature, $68{\sim}72{\times}10^{-7}/^{\circ}C$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and 13∼25 dielectric constant. These results were showed similar physical properties with Pb-base glass system of same composition content, application possibility as starting composition of rib material was identified through micro-control of components and physical properties. The bonding energy of $O_{1s}$ as the $Bi_2O_3$ content decreasing was increased and full width at half-maximum (FWHM) was decreased, which is caused by non-bridging oxygen increasing.

      • KCI등재

        주성분 분석 기법을 활용한 시계열 데이터 분석 및 예측 시스템

        진영훈,지세현,한군희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11

        우리는 무수히 많은 데이터 속에서 살고 있다. 다양한 데이터는 우리가 활동하는 모든 상황 속에서 만들어지 는데 빅데이터 기술을 통해 데이터의 유의미를 발굴한다. 유의미한 데이터를 발굴하기 위해 많은 노력이 진행 중이다. 본 논문은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기법으로 시계열 데이터의 추이 및 예측을 통해 인간이 더 나은 선택을 가능케 하는 분석 기법을 소개한다. 주성분 분석은 입력된 데이터를 통해 공분산을 구성하고, 데이터의 방향성을 추론할 수 있는 고유벡터와 고윳값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비슷한 방향성을 갖는 시계열 데이터 집합에서 기준 축을 구성하고, 데이터 집합을 이루는 각 시계열 데이터들의 방향성이 기준 축과 이루는 사잇각을 통해 다음 구간에 존재하게 될 데이터의 방향성을 예측한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화폐의 추이를 통해 제시한 알고리 즘의 정확도를 LSTM(Long Short-Term Memory)과 비교 검증한다. 비교/검증 결과 제안된 방법은 변동성이 큰 데이터에서 LSTM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트랜잭션과 높은 수익(112%)을 기록하였다. 이는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신호를 분석하여 예측했다는 의미로 볼 수 있으며, 보다 정확한 임계치 설정을 통해 더 나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We live in a myriad of data. Various data are created in all situations in which we work, and we discover the meaning of data through big data technology. Many efforts are underway to find meaningful data. This paper introduces an analysis technique that enables humans to make better choices through the trend and prediction of time series data as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echniqu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constructs covariance through the input data and presents eigenvectors and eigenvalues that can infer the direction of the data. The proposed method computes a reference axis in a time series data set having a similar directionality. It predicts the directionality of data in the next section through the angle between the directionality of each time series data constituting the data set and the reference axis. In this paper, we compare and verify the accuracy of the proposed algorithm with LSTM (Long Short-Term Memory) through cryptocurrency trends. As a result of comparative verification, the proposed method recorded relatively few transactions and high returns(112%) compared to LSTM in data with high volatility. It can mean that the signal was analyzed and predicted relatively accurately, and it is expected that better results can be derived through a more accurate threshold setting.

      • KCI등재

        팀기반학습이 영재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진영훈,손정우 韓國英才學會 2011 영재교육연구 Vol.21 No.3

        Team-Based Learning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gifted education, because that improve decision making, coordination and problem-solving ability through shapely team activity. So, when a program that founded on Team-Based Learning applied to gifted students, investigated the improved effect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Developed programs consisted of total 10 times and were conducted the lesson for 13student (male 3, female 10) of 4, 5th grade gifted students class in S elementary school, Sancheong-gun. The improved effect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were selected as the self-checking tool of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Due to a small number of students, nonparametric test has done with the results of before and after, it showed significantly improvements in significance level of 5%. In particular,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field of divergent thinking, critical?logical thinking. Therefore, the programs based on Team-Based Learning are effective for enhanc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gifted students, they will be used widely in the classroom to requir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r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of gifted students. 팀기반학습은 짜임새 있는 팀활동을 통해 구성원들의 의사결정능력, 조정능력, 협동심, 문제해결력을 향상시켜주기 때문에 영재교육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래서 팀기반학습에 기초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영재학생들에게 적용시켰을 때 창의적 문제 해결력의 향상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경남 산청군의 S 초등학교 4, 5학년 영재학급 학생 13명(남 3명, 여 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총 10차시 분량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향상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자기보고식 형태의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적은 학생 수로 인하여 사전사후 결과를 비모수통계처리한 결과 유의수준 5% 이내에서 유의미한 향상효과가 있었다. 특히 확산적 사고, 비판적·논리적 사고에서 크게 향상되었다. 이처럼 팀기반학습에 기초한 프로그램은 영재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효과적이므로,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필요로 하는 영재학급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 KCI등재

        무인이동체 기반 실감 콘텐츠 교육 과정 설계

        진영훈,이면재 한국사물인터넷학회 2022 한국사물인터넷학회 논문지 Vol.8 No.2

        Immersive contents is content that provides a realistic experience by maximizing the user's five senses, and includes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and mixed reality. In order to provide a sense of reality to users in immersive content, it is necessary to provide realistic visual images, hearing, and touch. However, due to the rapid change in the environment for developing immersive content, experts in training human resources are having difficulties in designing the curriculum. In this study, we propose a series of educational courses that use drones to acquire and process real-world measurement data and apply the derived data to VR, AR, and MR to help experts in training immersive content develop talent. The design of training process composes through demand survey and analysis of companies, students, and local communities. This study can be a useful resource for education experts who want to train immersive contents manpower 실 등이 이에 속한다. 실감형 콘텐츠에서 사용자에게 실재감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실제와 같은 시각적 이미지와청각, 촉감 등을 제공해야 한다. 그러나 실감형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한 급격한 환경 변화로 인해 인력 양성 교육 전문가는 교육 과정 설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감형 콘텐츠 인재 양성 전문가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드론을 활용하여 실세계 측정 데이터를 취득ㆍ가공하고, 도출된 데이터를 VR/AR/MR에 적용하는 일련의 교육 과정을 제안한다. 설계 과정은 기업과 학생, 지역 사회에 대한 수요조사와 분석을 통해 교과과정을 구성한다. 본 연구는 실감형콘텐츠 인력 양성을 시도하려는 교육 전문가에게 유익한 자료가 될 수 있다.

      • 뇌혈관계 중재적 시술 제품의 제원 비교 분석

        진영훈,김진수,임옥균,윤진호,황선문,오제선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 2012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Vol.15 No.1

        목적: 뇌혈관계 중재시술의 다양한 제품과 제원으로 인하여 시술을 시행하는 동안 시술 재료 선택에 있어서 각 제품에 대한 특성과 규격을 모두 기억하고 사용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각각의 제품에 대한 특성과 규격의 비교 차트를 통하여 시술 재료를 알기 쉽게 정리하고, 특히 시술 중 경험했던 각 제품들간의 내·외경의 규격 차이에 의한 상호간의 사용 적합 여부를 기록하고 정리하여 시술 재료의 합리적이고 신속한 선택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뇌혈관 중재에 사용되고 있는 시술 제품과 제원을 대상으로 하여 각각에 대한 특성 및 규격을 비교 분석하고 그 분석을 바탕으로 시술 중 경험했던 제품들 상호간의 사용 적합 여부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뇌혈관 중재에 사용되는 동일한 용도의 제품들을 그룹화하여 각각의 특성과 규격을 도표로 정리하고, 각 회사의 제품을 비교하여 볼 수 있는 분리형 코일의 직경과 길이를 도표화 하고, 제품 상호간의 사용 적합 여부의 비교표를 작성하였다. 결론: 이 논문은 각 제품들의 특성 및 규격을 알기 쉽도록 정리하고 제품 상호간의 적합 여부를 시술 중 경험한 실질적인 내역과 이론적 분석 내용을 서로 확인하여 그 표준을 정립하였다. 이는 시술에 관여하는 의료진에게 알기 쉽고 정확한 제품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제품 선택에 있어 보다 신속하고 객관적인 결정을 하는데 도움을 주리라 생각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