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창동 영화 <시>의 매체성 연구

        진수미(Chin Su-mee) 한국영화학회 2016 영화연구 Vol.0 No.70

        본 논문은 매체미학의 관점에서 영화 <시>(2010, 이창동)에 접근했다. <시>는 언어매체인 시 예술이 지닌 감각성을 영화매체에 적극 수용함으로써, 인접예술을 매개로 한 독특한 예술적 성취를 이루었다. 이는 미자의 타자 지향적 행위와 시창작 과정을 통합시킴으로써 이룬 영화의 주제적 성취와 동궤의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 과정을 시와 관련된 언어 행위의 시각 우위의 재현과 청각 우위의 재현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시각 우위의 재현에서는 노트에 기록된 미자의 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 시각화의 과정에서 그 시작 메모가 미자가 수기(手記)를 한, 필사의 결과라는 사실은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고 인쇄물과 유사하게 취급된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매체 연구에서 기계처리를 거친 활자는 공간 폐쇄와 정신의 사물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간주된다. 그럼에도 문자-활자의 유용성은 부인할 수 없는 분명한 사실인데, 그것은 공간 속에 고정된 채 남아있는 문자가, 사라지는 청각에 비해 정보 전달 면에서 유리한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시>에서 미자의 메모가 영화의 소제목처럼 이어지는 사건을 설명하는 통합적 기능을 수행한다는 사실에서 이러한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청각 우위의 재현에서 대표적인 장면은 시낭송회, 그리고 미자와 희진이 차례로 시를 낭송하는 마지막 시퀀스이다. 시낭송회에서 관객이 시각화된 청각을 경험했다면, 마지막 시퀀스에서는 아쿠스마틱 사운드를 경험하게 된다. 이 장면은 시를 읽는 인물이 화면에 나타나지 않으면서 영상이 시간과 공간 안을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뮤직 비디오와 같은 방식으로 전개된다. 극화와 거리를 둔 이러한 재현은 <시>의 마지막 시퀀스를 헤테로토피아의 제시로 이끌고 있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필자는 영화 <시>가 독립과 분할의 감각을 중시하는 시각의 특성보다 통합적이고 관계지향적인 청각을 보다 높은 가치로 상정하고 있으며, 언어매체의 재현을 통해서 이를 드러냈다고 본다. This thesis accesses <Poetry>(2010, Lee, Chang-dong) from the perspective of media aesthetics. <Poetry> applies sentience of poetic art as linguistic media, to film art, so gets special artistic achievement carried by adjacent art. This is as same as achievement in terms of the film’s subject reached by combining an other-oriented moral act of Mi-ja with process of poetic creation. This thesis examines it by dividing this process into representation of visual superiority and representation of audible superiority of language act related to poetry. In representation of visual superiority, the researcher focuses on poetry of Mi-ja written in a note. In this process of visualization, the researcher can discover that the fact that the poetic memo is a result of handwritten by Mi-ja is not underlined and is treated as printed matter. In a media study, it is regarded that type going through machine processing shows inclination of spatial closure and mental verdinglichung. However, usefulness of script-text is also an undeniable fact. This is because letter remaining by being fixed in space is better than disappearing hearing in terms of information delivery. This characteristic can be confirmed in the fact that the memo of Mi-ja plays an integrated role to explain subsequent events as a subheading in <Poetry>. Representative scenes in representation of audible superiority are poetry reading and the last sequence that Mi-ja and Hee-jin recite a poem in order. If audience experiences visualized hearing in poetry reading, audience experiences acousmatique sound in the last sequence. This is because characters reciting a poem does not appear on the screen. This scene is developed by a method as music video that a picture roams freely in time and space. This representation keeping at arm’s length with dramatization leads audience to heterotopia space time in the last sequence. Based on this analysis, the researcher thinks that the film <Poetry> supposes that integrated and relation-oriented audible culture is highly valuable than visual culture laying stress on sense of independence and division, and shows this through representation of linguistic media.

      • KCI등재

        자기반영성의 영화로서 〈전우치〉

        진수미(Chin, Su-Mee)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7 씨네포럼 Vol.0 No.26

        〈전우치〉는 발생론적 차원에서 영화 매체를 사유하게 하는 자기반영성의 영화이다. 이러한 결론을 도출하기 전에, 본고에서는 이미지와 실재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 〈전우치〉의 매체 재현을 살펴보고, 이에 근거하여, 인물과 서사 분석을 시도하였다. 〈전우치〉는 플루서가 규정한 마술적 상상력에 의한 (전통) 그림, 비판적 글쓰기를 가능케 한 문자 텍스트, 기술 상상력에 의한 전자그림의 세계를 복합적으로 재현한 영화이다. (전통) 그림의 세계는 이미지와 실재의 마술적 동일시에서 출발하였으며, 〈전우치〉는 족자와 서구 회화를 통해 이를 재현하였다. 문자 텍스트 세계에서는 이미지와 실재의 유사성에 근거한 재현이 이루어졌으며, 〈전우치〉는 이를 청동 검과 경이 그려진 화첩으로 재현하였다. 전자그림 세계에서는 이미지와 실재의 위계가 무의미해지고 이미지가 파생실재로서 지위를 얻는 시뮬라크르 사회가 펼쳐진다. 〈전우치〉는 광고 이미지를 통해 이러한 세계를 보여준다. 〈전우치〉의 인물 역시 매체 현상을 이해하는 방식에 따라 분석할 수 있다. 천관이 이미지와 실재의 위계를 생활과 신념으로 받아들이는 전통적 사유의 소유자라면, 우치와 화담은 실재와 이미지를 구별하는 기준을 인정하지 않는 시뮬라크르 세계에 속한다. 그러나 우치와 화담은 전자그림의 세계에 대처하는 테제와 안티테제적 인물이라는 점에서 구별되는 존재이다. 우치가 점으로 흩어진 세계를 빚어내는 다양한 가능성을 신뢰하고 유희하는 인물이라면, 화담은 허무의 세계에 침윤된 인물로 나타난다. 영화에서는 이미지와 실재의 관계를 탐색하는 시도 자체를 자기반영성의 범주로 본다. 〈전우치〉는 위의 재현과 더불어, 동일 장소를 다르게 포착한 이미지를 통해 영화의 탄생 과정을 시각화한 영화이다. 우치가 도술로 만들어낸 바다와 인경이 꿈의 장소로 간직하고 있던 바다 사진, 공간적 체험을 인물에게 허용하는 바다의 재현으로 인간의 상상, 사진적 재현, 영화적 재현의 단계를 제시한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전우치〉는 이미지 차원에서 영화의 탄생을 사유한 자기반영성의 영화이다. Jeon Woo‐chi: The Taoist Wizard(Choi, Dong‐hoon, 2009) is a film of self‐reflexivity that makes people think of a medium of film in the genetic aspect. Before drawing this conclusion, this paper examined the media reproduction of 〈Jeon Woo‐chi: The Taoist Wizard〉 focusing on the relation between image and reality, and then attempted to analyze its characters and narration. 〈Jeon Woo‐chi: The Taoist Wizard〉 is a film that has complexly reproduced the world of ‘(traditional) picture’ by magical imagination, ‘text’ that made it possible of critical writing, and ‘technological image’ by technical imagination, defined by Flusser. Also, the characters of 〈Jeon Woo‐chi: The Taoist Wizard〉 could be analyzed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 of understanding the media phenomenon. Cheon‐gwan has a traditional thinking that accepts the hierarchy of image and reality as his living and belief while Woo‐chi and Hwa‐dam belong to the world of simulacre that does not recognize the standard to distinguish image from reality. However, Woo‐chi and Hwa‐dam are different to each other as their attitude toward the world of technological image shows these and anti‐these. Woo‐chi is a character that trusts and plays diverse possibilities that create the world of scattered dots while Hwa‐dam is a character who soaks into the world of futility. In film, the attempt itself to explore the relation between image and reality is viewed as a category of self‐reflexivity. On top of the reproduction above, 〈Jeon Woo‐chi: The Taoist Wizard〉 is a film visualizing the birth process of film through images that have differently captured the same place. In this aspect, 〈Jeon Woochi: The Taoist Wizard〉 is a film of self‐reflexivity that thinks of the birth of film in the aspect of image.

      • KCI등재

        〈북촌방향〉에 재현된 거짓의 역량

        진수미(Chin, Su Mee)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4 씨네포럼 Vol.0 No.18

        본 논문은 홍상수의 <북촌방향>을 거짓의 역량이라는 관점에서 읽음으로써 이야기의 신묘한 근원을 찾고자 했다. 이 영화는 공간과 상황의 반복을 통해 한 극점에서 다른 극점으로 움직이는 ‘거짓 운동(faux mouvements)’으로 구축된 영화이다. 들뢰즈는 니체의 진리관에 영감을 받아 거짓의 역량을 영화와 삶의 역량으로 제시했다. 영화에서 거짓의 역량은 잠재태 이미지를 산출하는 힘으로 규정된다. 따라서 필자는 <북촌방향>의 해석 가능성을 최대화하고 텍스트가 거짓의 역량을 발산하는 지점에 주목했다. 그 질문과 답은 4시지로 정리된다. 첫째, 북촌-장소를 지시하는 공간지시물은 미메시스를 강화하는가? <북촌방향>에 나오는 공간지시물의 재현은 반복적으로 시청각 표지를 삽입함으로써 전체적으로 공간을 뚜렷하게 지시하는 것 같은 인상을 주지만, 결정적 사건이 일어나는 장소를 모호하게 만듦으로써 비실재성을 역으로 강화한다. 둘째, 여배우는 왜 북촌을 배회하는 것이며, 그녀는 누구인가? 여배우는 감정과 정보가 축적되는 축을 대표하며, 관객이 경험하는 시간의 일방향성을 보증하는 인물이다. 따라서 그녀는 <북촌방향>에서 이미지의 선후를 가늠할 수 있는, 즉 시간적 진위를 판단할 수 있는 하나의 척도가 된다. 다시 말해 여배우는 진리언표적 세계에 속하는 인물이다. 셋째, 소설의 여주인 예전과 닮은 이는 누구인가? 예전과 닮은꼴 인물을 찾는 문제는 <북촌방향>에서 쉽게 해명되지 않았던 인왕산 숏에 하나의 답을 제공해준다. 본고에서는 정독도서관에서 언급되었던 여인X와 관련된 이미지로 해당 숏을 이해했고 이를 바깥이 영화 전체를 지시하는 현상의 일환으로 보았다. 그리고 자유간접화법을 통해 이미지의 총체화가 불가능해지는 상황을 설명했다. 넷째, 성준은 언제 영호와 통화에 성공했는가? <북촌방향>은 성준이 영호와 통화에 실패하는 대목(에피소드A)에서 출발한다. 이때의 실패는 하나의 이야기 계열을 만드는데, 이 장면과 동일한 장소에서 통화에 성공하는 사건(에피소드E)을 통해 성준은 전혀 다른 계열의 이야기를 생성하게 된다. 이 분기점을 통해 텍스트의 시공간을 일관된 하나(un tout)로 연결하는 총체화가 불가능하며 세계와 인간의 통일성이 소멸되어버린 이미지로서의 영화를 인식하게 된다. 들뢰즈는 “현대적 사실이란 더 이상 세계에 대한 믿음을 갖고 있지 않다는 것”이라고 말한다. 현대영화의 시공간 이미지는 이 사실을 보증하는 쪽을 향해 뭉치고 흩어진다. 이는 영화를 기존 세계의 반영이 아니라 새로운 세계의 창조로 여기게 한다. 거짓의 역량은 우리의 삶과 예술의 기본 원리가 되었다. This paper tried to search for the mysterious origin of a ‘recit’, by reading Hong Sang-soo"s film The Day He Arrives(2011) from the perspective of ‘puissance du faux’ by Deleuze. Hong"s film is constructed as the faux mouvements replaced from one point of pole to another point of pole through the repititions of spaces and situations. Deleuze proposed a ‘puissance du faux’ is the power of life and cinema that was inspired by Nietzsche"s view of truth. In cinema, a "puissance du faux" is defined by the capacity to produce virtual images. Therefore, I took note of points released ‘puissance du faux’ and maximized possibilities of the interpretation. It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oad-signs in the film do not strengthen mimesis effect. Their frequent appearances are just the trick of Hong. Second, the person looks like ‘Ye-joen(by Bo-kyung Kim)’ is an external character in film. Hereby the film is reached a modernity of cinema in which proved that ‘An entirety becomes a exterior’. Third, the actress(by Su-min Park) is a being like a bad dream that follows around ‘narration falsifiante’. Finally, the cellphone of Young-ho(by Sang-jung Kim) can be the beginning to read that the episodes A~D and E belong to two separate time-space lines. Like this, The Day He Arrives embraces diverse time-spaces that moved in various directions. A free indirect narration also shows an impossibly difficult situation to totalize images. Images in modern cinema meet and part toward the fact we lost our faith in the world. Cinema is no longer a reflection of the world, but a creation of new time-space. The ‘puissance du faux’ is a principle that make up our life and Art.

      • KCI등재

        논문 : 김춘수 초기 시의 역사 인식 문제

        진수미 ( Su Mee Chi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1 민족문학사연구 Vol.45 No.-

        본고는 김춘수의 초기 시에 나타난 역사 인식 문제를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역사적 사건을 다룬 김춘수의 초기의 작품들을 면밀히 검토하고자 했다. 하지만 동원된 자료의 한계 등으로 초기 시세계의 역사인식 문제를 새로이 제기하는 선에서 멈추고 말았다. 이를 정리하자면, 김춘수의 초기 시세계는 후기의 언급이 소급 적용될 수 있을 정도로 일관적이지 않다는 것으로 요약될 수 있다. 따라서 후기의 언급에서 거리를 둔 방식으로 그의 문학관과 역사관을 재검토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Kim Chun-soo`s historical awareness found in his early poems. For this purpose, it examines the poems in which he tackles historical events. But the result of study is limited to suggestion of new standpoint on historical awareness, due to limit of meterials for study. In summary, view of history in Kim Chun-soo`s early works is inconsistent with those of latter period. Therefore, it requires that Kim Chun-soo`s historical awareness is subject to reexamine Kim Chun-soo`s literary theory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keeping its distance from utterances of latter period.

      • KCI등재

        한국시와 시적 아나키

        진수미(Chin Su-mee) 우리말글학회 2008 우리말 글 Vol.42 No.-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aesthetic principles of Korean poetry through the notion of poetic anarchy by which the concepts of Politics and Science & Information Theory is applied to Poetics. Poetic anarchy refuses to organize poetic words centered on single senses, thereby denoting the aesthetic state of entropy that represents a positive affirmation of disorder and chaos. The aspect of Poetic anarchy in Korean poetry is found in Yi Sang's poetry. It becomes to be concretized, in terms of theory, by Chun-soo Kim's nonsense poetics. Those poems which exercise poetic anarchy engage in a positive accumulation of redundant senses (or sense information) and undergo their self-organization. This tendency is not difficult to observe in Korean Contemporary Poetry. It is illustrated in this article with special reference to Su-myong Lee and Jae-hak Jung.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스웨덴의 노동조합과 노사관계

        진수미 慶北大學校 社會科學大學 1999 社會科學 Vol.11 No.-

        높은 노동조합 조직율, 통합적 노동조합의 성격, 중앙집권적 단체교섭을 바탕으로 한 자율적이며 진보적인 노사관계를 특징으로 하는 스웨덴 모델이 어떤 역사적 과정을 거쳐 형성되었는지, 노동조합의 조직구조와 주요정책은 어떤 내용을 갖추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안정되고 진보적인 노사관계의 형성에 작용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찾아보려는 글이다. 스웨덴 노동조합의 성격과 노사관계의 제도화는 1930년대말에서 1960년대에 걸쳐 형성되고 정착되었다. 산업화 초기부터 사회주의적 지향성을 지닌 노동운동과 정치적 활동이 산별노조주의원리와 노동계급의 내부적 분화를 고도로 억제한 통합적 노동조합을 형성하는 토대가 되었다. 또한 사회주의적 지향성을 꾸준히, 그러나 실용주의적으로 접근한 사회민주당이 같은 시기에 집권을 하여 노사관계를 진보적이며 민주적으로 형성시키는데 기여하였다. 70년대 이후 중앙집권적 교섭제도가 느슨한 형태로 분권화되고 개별기업과 작업현장의 요구를 수용하는 형태로 변화하지만, 그것은 노동계급을 분화시키기 보다는 작업현장으로부터 거시경제정책에 이르기까지 모든 수준의 노사관계에 민주적 성격을 정착시키는 형태로 구조화되어 오히려 산업민주주의의 실현을 좀더 포괄적인 것으로 만들었다. 무엇보다도 스웨덴 모델의 힘은 노·사·정 모두의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실용적인 접근과 실험정신, 꾸준한 실천적 노력이 결합한 국가적 합의의 산물이다. The Swedish model of Industrial Relations is characterized by stable and corporatistic nature based on organization rate of union, integrative-unified union structure, centralized national bargaining system. This paper traces the deployment of labor union organization and contestation between the Labor and the Capital. By so doing, it tries to find out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democratization industrial relations. Institutionalization of Swedish industrial relations has been formed during late 1930s through 60s as an outcome of the socialistically oriented but with pragmatic approach taken by the Social Democrats and the Labor Union. They have close working relationship both in pursuing the industrial democratization goal and in taking socially responsible attitude and pragmatic approach. Also, from the humanization of work organization through the hierarchical nature of industrial organization to macro level economic and labor policy. It can be learned, most of all, that the empowerment of labor against the Capital in capitalist society can not be realized unless the coherent and integrative labor organization as well as the realistic but long-sighted policies and strategies and continuous efforts toward industrial democracy. Also we have to acknowledge that government's role to enhance not only the national economic efficiency but also the democratic industrial relations is paramount.

      • Parson's Institutional Analysis of Economics : The Social Control of Economics 經濟行爲에 對한 社會的 統制

        Chin, Soo-Mi 慶北大學校 1984 論文集 Vol.37 No.-

        本稿는 Parsons의 經濟行爲에 대한 社會學的 分析을 批判的으로 검토하여 古典經濟學者들의 폐쇄적인 理論들을 發展的으로 擴大한 그의 공헌과 아울러 취약점을 밝혀보고자 한 글이다. Parsons는 노동의 수요와 공급, 경제교환행위, 임금등과 같은 經濟現象을 오직 經濟內的인 要因-生産의(또한 분배) 四要素등-과 公理的인 動機(utilitarian motivation)性등으로만 說明하고 있는 古典經濟學者들의 公理模型을 지양하고, 노동행위의 社會的·制度的인 구속성을 그의 '行爲의 一般理論模型'과 '機能의 4 Paradigm'의 boundary processes의 分析을 통해 밝히고 있다. 經濟現象·經濟의 여러 이슈에 대한 機能的인 分析틀을 紹介하고, '公理的·經濟的 人間本性'이라는 경제학자들의 단순한 기본가정에 대하여 價値指向的인 人間性과 社會構造의 영향력을 '統制의 위계'라는 개념을 통해 밝혀냈다. 또한 한 社會現象(經濟現象을 포함한)을 결정하는 多要因(multifactors)的인 因果關係的 說明을 試圖함으로써 경제행위에 대한 보다 一般化된 이론틀을 상정하는데 공헌했다. 그러나 Parsons는 경제행위를 사회구조적·제도적 맥락이라는 차원에서 파악했지만, 제3의 국면, 즉 경제행위의 준거틀을 구속하는 '사회계층체계'라는 차원까지는 밝혀내지 못한 취약점을 드러내고 있다. 또한, 그의 '機能的 行爲理論 모형'의 경제행위에 대한 지나치게 직선적인 적용은, 社會의 構造的 變化와 그에 따른 경제행위의 變化등에 대해서는 그 說得力을 상실하고 있음도 지적할 수 있다. 그의 經濟發展 및 變化에 대한 자세한 論議는 제한된 지면으로 後稿를 기약하고 本稿에서는 다루지 않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