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한국어교육학에서 제재를 중심으로 한 연구 동향과 향후 과제

        지현숙 ( Hyun Suk Jee ) 시학과 언어학회 2010 시학과 언어학 Vol.18 No.-

        This study conceptualized the term `subject matter` and discussed its statu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study also categorized and analyzed the types of subject matter in Korean textbooks, with the notion that it is the `textbook` in which the subject matter appears most explicitly because textbooks reflect the developers` views on language education. The researcher, by means of this process, reflected on the problems of previous studies on subject matter and proposed the perspective that the studies on subject matter are desired to take. The researcher proposed that the studies on subject matter, in terms of contents, orient to those aims presented below. First, the studies on subject matter which improves the literacy as a communicator of culture should be encouraged. Second, real-world approach should be adopted. Third, the choice of subject matter should be able to provide individualized guidance to each learner. Fourth, subject matter that combines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complementarily should be developed. In addition, the researcher also pointed out that it is necessary to study professionally the research methodology on subject matter with open mind to diverse methodologies, and that it is crucial to establish the concept of need analysis.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several ways: it covers the research trends so far on subject matte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categorizes and analyzes various Korean textbooks published up to date both in and out of Korea; and it proposes specific ways to improve the research methodology.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이야기 구술 능력에 관한 발달론적 연구

        지현숙(Jee Hyun-suk) 한글학회 2015 한글 Vol.- No.309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이야기 구술 담화를 대상으로 발달론적 관점에서 추출되는 특징들을 기술하고 이야기 구술 능력의 발달 양상을 실제적인 자료로 가시화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담화 자료는 초급, 중급, 고급 각 30명씩 모두 90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말하기 시험 수행을 통해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학습자는 높은 급으로 갈수록 사용 가능한 언어량이 두 배씩 증가한다. 둘째, 전반적인 이야기 구술 능력은 고급 단계에 오면 안정화된다. 셋째, 한국어 숙련도가 높아질수록 이야기의 골격을 구성하는 능력이 완성된다. 넷째, 전반적으로 모든 급이 언어사용역에 대한 지식은 가지고 있으나 묘사력이나 수사법의 구사는 미약하다. 다섯째, 중급까지는 이야기의 소통 여부를 자가 점검하는 장치들을 활용하지 못한다. 이 연구 결과는 앞으로 대표적이고 본질적인 의사소통 유형인 이야기 구술을 한국어교육 이론으로 정교화하기 위한 자원으로서 활용될 수 있고, 한국어 구어 능력 교육을 체계화하는 것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analyzing the Storytelling Discourse of Korean learners’ speaking test in terms of language development theories. In this study, the storytelling task is divided into four distinguished steps; the first step is conceptualizing content, character, event, and intention of discourse; the second step is formation of grammar and vocabulary; the third step is articulation of overt speech; the fourth step is self-monitoring of one’s own storytelling. Discourse data was collected from 90 Korean learners including 30 novice students, 30 intermediate students, and 30 advanced students. The storytelling task were performed from March 2, 2013 through February 28, 2014. The results were analyzed and compared by level. The utterance quantity increased from 40(Novice) to 72(Intermediate) to 121(Advanced). This suggests learners nearly double word capacity as they advance to the next proficiency level. Moreover, storytelling ability becomes stable with a clear frame when learners achieved Advanced level. Most learners had register knowledge, but lacked skills of using rhetoric and description. However, Advanced learners were able to selfmonitor the interactivity of storytelling relatively well. The results suggest the need to expand the teaching of storytelling, not only in speaking education, but also in culture, multi-media, and spoken grammar education. Moreover, the teaching of rhetoric, strategy, descriptive expressions and articulation of overt speech should start from novice level. Possible areas of further research and development in curriculum for teaching storytelling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구어 산출 담화에 나타난 기능 실현 양상

        지현숙 ( Hyun Suk Jee ),오지혜 ( Ji Hye Oh ),이정란 ( Jung Ran Lee ),정선화 ( Sun Hwa Jeong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14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40 No.-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40,359~383. This paper examines the contents of Korean speaking education, focusing on functions of language, and analyzes how the functions are achieved by students through the ‘planning task``and ‘description task`` performed in a real oral discourse. Based on the theory of functional grammar, 40 Korean textbooks for beginners and oral discourse uttered by 57 Korean learners of novice level were analyzed. In the ‘planning task’, 271 sentences were examined. ‘.고 싶다’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phrase,‘-아요/어요/여요’ and ‘Noun + -있어요’ were also highly frequently used phrases. In the task of description, so many grammar patterns, phrases, and expressions appeared messily,and it was often unclear which specific grammar patterns were used. This indicates that learners fail to acquire functions of language even though they understand form and meaning of language, which is a different result shown by analyzing teaching materials. Therefore, repeated practice of meaningful expressions,various and practical speaking practice, development of speaking strategies, and study based on learning materials should be suggested in class to improve learners’ speaking competence in performing functions of language.(PaiChai University, Semyung University,Ewha Womans University, Chung-Ang Universit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KSL 학습자의 문식력 향상을 위한 웹 기반 교육의 담론 -비판적 언어교육의 관점으로-

        지현숙 ( Hyun Suk Jee ) 국어교육학회 2014 國語敎育學硏究 Vol.49 No.1

        KSL 학습자는 다수언어가 한국어인 이 땅에서 살아가야 할 존재들로서 15만 명에 육박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이 주된 대상층이다. 필자는 비판적 언어교육의 입장에서 KSL 학습자의 문식력 개념을 확대시켜 중앙 정부의 다문화 정책이 행사하는 관료적 합리주의, 암암리에 강요되고 있는 기계적 순응, ‘표준화’라는 이름하에 이루어지고 있는 통제와 규율을 자각할 수 있는 능력까지 포함하였으며 현재에도 작동하고 있는 사회문화적 권력을 감지하고 이를 타개해 나가기 위한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실천력이 KSL 학습자에게 필요한 문식력이라고 보았다. 본론에서는 KSL 학습자의 문식력 향상을 위해서 읽기 쓰기 교육에서 재미있는 경험을 유도할 수 있어야 하고, 의미 중심이어야 하며, 유목적적이고 실제적이어야 함을 원리로 제시하였고 건강한 언어 자아와 확고한 정체성이 근간이 됨을 주장하였다. 문식력 교수-학습의 구체적 실천은 지금까지 개발된 적잖은 한국어교육 혹은 다문화 관련 웹 기반 콘텐츠를 재활용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하면서 결혼이주여성이 자주 이용하는 다문화센터의 인터넷 사용이 가능한 공간을 적극 활용해야 하며 청소년기의 KSL 학습자에게는 한국어교원자격을 갖춘 젊은 한국어교사가 튜터(tutor)로 관리하고 보조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비판적 언어교육관의 견지에서 이루어진 KSL 학습자의 문식력에 관한 본고의 논의가 계기가 되어 KSL 논의가 더욱 진보하고 활성화될 수 있기 바란다. The main target learners of TKSL are married immigrant women, so far nearing 15 million. Based on Critical View, I extended the concept of KSL learner`s literacy, so that it can include the learner`s ability to criticize: 1) the bureaucratic rationalism exercised by multi-cultural policy of cen-tral government; and 2) the mechanical compliance or the ‘standardiza-tion’ that has been forced covertly. In this study, I suggested several ways to improve KSL learner`s lit-eracy. First of all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should provide interest-ing learning experiences. It also should be meaning centered, purposeful, and authentic. I also argued that developing healthy language self and stable identity should base the literacy education. Married immigrant women want to improve their Korean proficiency using media, such as TV and Internet. Therefore, I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making use of the already existing web-sites for Korean learn-ers.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practical suggestions for KSL learner`s literacy education. I hope this study, which calls for refreshed attention to the web-based Korean education for improving KSL leaner`s literacy, can contribute to the diversification of TKSL for married immigrant wome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제1차 국제학술대회 ; 비판이론적 평가관에서 본 몽골 지역 한국어 교육의 활성화 방안

        지현숙 ( Hyun Suk Jee ) 국어교육학회 2012 國語敎育學硏究 Vol.45 No.-

        본 연구는 언어 평가의 다양한 견해를 고찰하고 비판적 평가관에 입각하여 몽골에서 한국어 평가의 현 주소는 어떠한가를 분석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고비중 한국어 시험 몇 가지를 채택하여 그 시험이 가진 수구성과 낮은 타당도를 비판하고 향후의 한국어 시험이 추구해야 할 바를 논의하였다. 실증주의에 대한 대안으로서 등장한 `비판이론적` 평가의 관점에서 한국어 능력 평가가 평가 그 자체로나 평가 연구의 발전을 위하여 어떠한 지향점을 가져야 할 것인가의 논의는 현존하는 한국어 숙련도 시험의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길이 된다. 이와 동시에 평가의 워시백 효과에 의하여 몽골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어 교수-학습이 활성화될 수 있는 실천 과제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몽골 지역 한국어교육이 진보를 이룩하려면 평가 연구의 이론적 기반이 확고해져야 하며,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원리들이 실천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첫째, 한국어 평가 전문가를 양성하고 전문적인 평가 연구기관을 육성하여 평가 연구의 선진화를 이루어야 한다. 둘째, 다양한 한국어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다양한 고비중 시험들이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각종 한국어 능력 시험은 각각의 시험이 추구하는 목표에 부합하는 타당한 평가 도구를 개발해야 한다. 넷째, 몽골 내 한국어 교육기관이 시행하는 교실 평가를 개선하는 것에도 깊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The present study has examined the various views of language assessment and analyzed the present state of Korean assessment in Mongolia specifically focusing on critical assessment. The study attempts to criticize the bullish tendency of high-stake Korean tests like TOPIK which has harmed the independency of Korean education, and seeks for solutions to overcome this crisis. On the basis of the above precautionary examination, the compatibility of critical theory assessment as an alternative to the present assessment of the Korean proficiency test has been discussed in the form of assessment and the effect on the theory of assessment in order to activate Korean education in Mongolia. The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key factors necessary for making progress in Korean learning and instruction in its theoretical basis and in the development and practice of the test. The following four factors were extracted from the study. Firstly, the study about the Korean assessment should be led by authorized professionals on language proficiency assessment under the supervision of a dependent research institute. Secondly, we need to try to develop a variety of high-stake tests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hirdly, depending on the purpose of each test, valid and adequate assessment tools must be created. Lastly, we need diverse low-stakes tests for: performance test, authentic test, colleague test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