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줌(Zoom)을 활용한 비대면 실시간 한국어교육 실습 사례 연구 - 연세대학교 한국어교원양성과정의 사례를 중심으로 -

        정여훈,곽지영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2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63 No.-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and contents of how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racticum courses were prepared and operated in the non-degree course of the Institute for Training Korean Language Instructors at Yonsei University in the non-face-to-face era using Zoom. Chapter 2 discussed an overview of Institute for Training Korean Language Instructors at Yonsei University and the contents including the structur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racticum courses. Chapter 3 examines the stages of the onl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practicum courses: pre-operation stage and operation stage, and instructional method for each stage. As a result, it is suggested that the entire cours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racticum, including on-site class observations, could be conducted online non-face-to-face real time classes rather than offline classes. 본고에서는 연세대학교 한국어교사연수소에서 운영하는 비학위과정의 한국어교육 실습 교과목을 중심으로 비대면 시대의 예비 교사 교육에서 한국어교육 실습 교과목이 어떠한 방식으로 운영 가능한지 그 과정과 내용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어교원양성과정의 한국어교육 실습 내용과 구성에 대해 알아보았고, 줌(Zoom)을 활용하여 진행된 한국어교육 실습 과목의 단계를 운영 전 단계와 운영 단계로 구분하여 단계별 수업 진행 방식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이를 통해 ‘현장 강의 참관’을 포함하는 한국어교육 실습 교과목은 전면 대면 수업, 전면 비대면 실시간 수업, 블렌디드 러닝 방식 적용 수업으로 운영 가능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어두 파열음 발화의 음향적 특성 - 모국어 언어권별 VOT와 후행모음 시작점 f0의 역할

        송유진 ( Song Yu Jin ),김상우 ( Kim Sangwoo ),이석재 ( Rhee Seok-chae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18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50 No.-

        한국어 파열음은 평음, 경음, 격음의 삼중 대립을 보이며, 어두 위치에서 평음, 경음, 격음을 구별하는 주요 음향적 자질로는 성대진동 시작시간과 후행모음 시작점의 음높이가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인 모국어 화자와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발화에서 한국어 파열음의 성대진동 시작시간과 후행모음 시작점의 음높이의 역할을 모국어 언어권별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어 음성 코퍼스인 L2KSC에서 한국인 모국어 화자와 중국어권 · 일본어권 · 영어권 남성 학습자가 발화한 데이터 중 모음 /ㅏ/를 선행하는 한국어 어두 파열음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인 모국어 화자의 경우 한국어 어두 파열음 발화에서 성대진동 시작시간과 후행모음 시작점의 음높이 모두 한국어 파열음을 구별하는 역할을 하였다. 반면, 외국인 학습자의 경우에는 세 분절음을 구별하는 데 있어 성대진동 시작시간이 유의미한 역할을 하였으나, 후행모음 시작점의 음높이는 모국어 언어권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다. (연세대학교)

      • KCI등재

        헝가리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과제 -엘터대학교(ELTE) 한국학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정한 ( Han,Jeonghan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20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56 No.-

        본고의 목적은 헝가리에서 진행되고 있는 한국어교육의 현황을 자세히 소개하고 향후 개선 방향을 제안해 보는 것이다. 현재 헝가리 한국학 연구에서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곳은 국립 엘테대학교(ELTE; EÖTVÖS LORÁND UNIVERSITY)이다. 따라서 본고의 주요 연구대상도 엘테대학교 인문대학 아시아학부의 한국학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고는 엘테대학교 한국학과의 역사와 학위과정(학사, 석사, 박사), 그리고 교육과정을 연구 대상으로 한다. 이 밖에 비학위과정으로 현재 헝가리에는 세종학당, 한인학교, 그리고 사설교육기관들이 한국어교육 관련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본고는 이들 비학위과정에서 운영하는 한국어교육 현황과 문제점도 아울러 검토할 예정이다. 헝가리 한국어교육을 학위과정과 비학위과정으로 나누어서 몇 가지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지적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엘테대학교 한국학과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학사, 석사, 박사학위 과정을 막론하고 한국어나 한국문학 교육보다는 동아시아 전반에 대한 교과목과 한국 역사, 문화, 미술사, 철학사, 종교 등의 주변적인 교육과정에 비중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교육과정에서 한국학과 재학생들은 한국어와 한국문학을 독학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고, 의지가 약한 학생들은 한국학과를 졸업하고도 한국어를 구사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중도에 학업을 포기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없다. 이러한 교과목의 부적절성 이외에도 시수와 학점의 문제, 한국학 및 한국어교육을 담당할 전문가 부족, 적절한 교재 부족 등의 문제가 발견되었다. 둘째, 비학위과정의 경우, 세종학당 교재는 세종한국어를 사용하는데 1-4급은 주 1회 90분 15주에 교재의 진도를 모두 끝내고 있고, 5-8급은 2학기 코스로 운영하고 있어서 비교적 진도가 빠른 편이다. 이렇게 짧은 학습 시간에 학습량이 많을 경우 문제점은 충분한 연습이 이루어지기 어렵기 때문에 학습자의 이해와 습득의 격차가 커져서 오히려 학습자에게 부담이 될 우려가 있다. 셋째, 한국 기업에서 파견 나온 주재원 자녀를 제외한 국제결혼과 이민자로 구성된 헝가리 교민 자녀의 경우는 대부분 헝가리에서 태어나 헝가리의 교과과정을 이수하고 있다. 그런데 한인학교에서는 주재원 자녀들을 대상으로 하는 국어교육만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므로 헝가리 교민 자녀들이 주말인 토요일에 시간을 내어 하나밖에 없는 한인학교에 와도 어절 수 없이 국어교육을 수강해야 하는 실정이다. 이런 학생들의 경우는 헝가리 교육제도에서도 한인학교 교육제도에서도 외면당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in detail the current stat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Hungary and suggest future improvements. Currently, it is the National University of ELTE(EÖTVTES LORÁND) that plays the central role in the study of Korean studies in Hungary. Therefore, this paper also focus on Korean studies at ELTE University. Specifically, we aim at studying the history and degree of Korean studies at ELTE (undergraduate’s, master's, doctoral degree), and the curricula of each degree. To add, other non-graduate programs include Sejong Institute, Korean-American School and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opera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rses. Divided into degree and non-degree courses, here are some problems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in Hungary. First, the curriculum of Korean studies at ELTE University educates the Korean history, culture, art history, philosophy, religion, and other peripheral courses are more important than Korean language or Korean literature education. As a result, in this curricula, weak students are not only unable to speak Korean after graduating from Korean studies, but also sometimes give up their studies halfway through. Second, with such a large amount of learning in such a short period of time, it is difficult for sufficient practice to take place, which may increase the gap between learner's understanding and acquisition, which in turn be a burden to learners. Third, Korean schools in the region offer only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children of expatriates. Therefore, children of Korean residents in Hungary need to take time to attend the only Korean language school on Saturday. Such students are shunned both by the Hungarian education system and the Korean-American school system.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학습 동기 변화 추이와 탈동기⋅재동기 연구

        이인혜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2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68 No.-

        This study examines changes in motiv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ing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using motivation charts and retrospective interviews.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show that international students experienced demotivation between six and 18 months of living in Korea, but were remotivated in their third year of learning Korean. Newly discovered demotivation factors include advanced course topics in language institutions, difficulties adjusting to life in Korea during the early stages of studying abroad, taking online courses, and difficulties in learning two foreign languages simultaneously. Remotivation factors included communication with native speakers, improvements in learning conditions, and the use of out-of-class self-regulation strateg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ful for programs that aim to predict and alleviate the demotiva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as well as help them to remotivate. 본고는 한국 대학에서 수학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어 학습 동기의 변화 및 탈동기의 재동기화 과정을 동기 변화 차트 및 회고적 면담을 통해 살피고, 이를 통해 외국인 유학생이 한국어 학습 탈동기를 관리하여 재동기화하도록 돕기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학부 유학생들의 한국어 동기는 한국어를 학습한 지 1.5년이 된 시점에서 가장 낮았으며 2년과 3년 시점에서 가장 높았다. 이러한 시점은 1년이 언어교육원 4급 정도에 이르러 학습 부담을 느끼게 되는 시점이며, 코로나 19로 인한 상황의 영향이기도 하였다. 참여자들은 대체로 한국어를 학습한 지 3년 정도 되는 시점에서는 재동기화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본고에서 나타난 탈동기 요인은 다양하였으며, 선행 연구에서 제시하였던 학습 환경 및 학습 경험 요인 등이 나타났다. 반면 그 하위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연구되지 않았는데 본고에서는 유사 문법 등으로 인한 학습 부담, 수업 방식의 변화, 교재의 주제가 그 하위 요인으로 나타났다. 수업 및 학습 환경과 같은 상위 요인들은 한국어교육 선행 연구에서 자주 언급된 요인인 또한 학습 경험의 하위 요인인 학습 자신감 결여, 시험 불안 등도 선행 연구에서는 그 구체적인 원인 등이 밝혀지지 않았는데, 본고에서는 과거 주로 언어교육원 등을 통해 한국어를 학습한 후 학부 유학을 시작하는 것과 달리 학부 입학 후 한국어를 처음 한국어를 학습하는 방식이 한국어 학습에 대한 부담과 불안감을 주어 한국어 학습의 주요 탈동기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밝혔다. 전공 학습 요인, 학습 환경 요인 중 비대면 수업의 영향, 기타 학습 여건 중 유학 초기 적응과 휴학 역시 선행 연구에서 밝혀지지 않았던 탈동기 요인이었다. 본고에서는 재동기 요인을 의도되지 않은 재동기 요인과 학습자의 의도된 재동기 전략으로 구분하여 기술하였다. 재동기 요인에는 원어민과의 의사소통, 교사, 동료, 학습 여건의 개선, 도구적 요인, 성적 향상과 성취감, 이전 외국어 학습 경험이 나타났다. 재동기 전략으로는 수업 밖에서의 자기 조절이 가장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수업 내 자기 조절, 인지적·정의적 조정, 목표에 집중하기, 학습의 필요성 인식 등의 전략도 활용되었다. 유학생들은 스스로 원어민과의 의사소통 기회를 만들어 재동기화 하는 전략을 취하였으며 한국인이 다수 수강하는 영어 강의를 수강하는 것과 같은 자신만의 재동기화 전략을 만들어 내기도 하였다. 이러한 재동기 전략은 한국어교육 선행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것이었다. 앞으로 한국어 학습자의 동기 변화 추이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학습 과정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유학생의 학업 지속 및 학습의 질 향상을 도울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대만 내 한국어 전공자의 한국어 학습 탈동기 요인과 재동기 요인 분석 연구

        이현주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2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68 No.-

        In this study, the experiences of de-motivation and re-motivation in Korean language learning were investigated for Korean language students in Taiwan through questionnaire surveys and individual interview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dismotivation rate of Korean language majors in Taiwan is 2.21, which can be seen as relatively low. In the analysis of demotivation factors, the academic burden factor was the highest and the factor about Korean society and culture was the lowest. The average remotivation was 3.9, which was relatively high, and in the analysis by factor, the travel orientation factor was the highest and the teacher and textbook factor was the lowest. 본 연구는 대만 내 한국어 전공생을 대상으로 한국어 학습의 탈동기와 재동기의 경험 양상을 설문조사와 개별 면담을 통해 조사하고 결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만 내 한국어 전공자들의 탈동기는 2.21로 비교적 낮은 편이고, 요인별 분석에서는 학업 부담 요인이 가장 높았다. 재동기 평균은 3.9로 비교적 높았고, 여행 지향 요인이 가장 높았다. 대만 내 한국어 전공자들은 3학년 이상, 학습 기간 2년 이상, 토픽 급수를 취득자일수록 탈동기와 재동기 경험을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스페인어권 초⋅중급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주어 사용 양상 연구 - 학습자 문어 말뭉치 분석을 중심으로 -

        오세원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2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68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spect the subject usage patterns of Korean sentences appearing in the writings of beginner to intermediate Spanish-speaking Korean learners, and to find out aspects to be considered in how to teach Korean in order to educate them to produce natural written Korea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Korean learners’ written corpus, in the case of the first-person subject, the pattern of subject ellipsis in a condition where subject has no recoverability was noticeable. In the case of the thirdperson subject, it was noticeable that the same subject was omitted without understanding the stage transition in discourse. The secondperson subject was used infrequently, therefore any tendency could not be confirmed, however no special usage error was found. In order to help Spanish-speaking Korean learners to produce natural written Korean, it is necessary to enable learners to recognize the differences between Spanish and Korean that the environment in which subject ellipsis can occur in Spanish is wider than in Korean.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subject usage be taught by distinguishing the grammatical person of the subject. 본고는 스페인어권 초‧중급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자료에서 나타나는 한국어 문장의 주어 사용 양상을 확인하고, 이들이 보다 자연스러운 한국어를 생산하도록 교육하기 위해서는 어떤 부분이 교육 상황에서 강조되어야 하는지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학습자 문어 말뭉치를 살펴본 결과, 스페인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서는 1인칭 주어의 경우, 회복가능성이 없는 상태에서 주어를 생략시키는 양상이 두드러졌다. 3인칭 주어의 경우, 담화상의 무대 전환에 대한 이해 없이 동일한 주어라면 일단 생략을 시키는 양상이 두드러졌다. 2인칭 주어는 드물게 사용되어 어떤 경향을 확인할 수는 없었으나, 특별한 사용상의 오류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고는 스페인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이 보다 자연스러운 한국어 문어를 산출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 스페인어의 주어 생략 환경이 한국어의 그것보다 더 넓다는 점을 학습자들로 하여금 정확하게 인지시킬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주어의 인칭을 구별하여 주어 사용을 교육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의 언어권에 따른 차별 기능 문항 분석

        김정은 ( Jeong Eun Kim ),김미옥 ( Mi Ok Kim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1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38 No.-

        한자권과 비한자권으로 나누어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에서 차별기능문항이 있는가를 확인한 결과 전체 270문항 중 총 91문항이 차별기능 문항으로 추출되었다. 전체적으로 한자권 집단에 유리한 문항의 수가 47문항 비한자권 집단에 유리한 문항의 수가 44문항이었으며 초급에서는 한자권에 15문항, 비한자권에 11문항, 중급에서는 한자권에 17문항, 비한 자권에 14문항, 고급에서는 한자권에 15문항, 비한자권에 19문항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급에서 비한자권에 유리한 문항의 수가 더 많이 나타났는데, 이는 한자권 집단과 비한자권 집단 간의 평균 점수 차이가 고급으로 갈수록 줄어드는 것과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언어권에 따른 차별기능문항을 텍스트 유형, 문항 유형, 주제 및 소재에 따라 그 특징을 살펴보고 개별 문항들을 크게 어휘적 영향과 문화적 영향 두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문화적 영향은 다시 일상 문화의 영향, 텍스트 구조의 친숙성, 교육 경험의 영향으로 나누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논의점을 찾을 수 있었다. 첫째, 예상과 다르게 어휘의 영향이 초급에서 고급으로 갈수록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어휘의 영향으로 분류된 문항들은 대부분 지문의 내용 및 선택지의 의미를 이해하는데 한자어가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문항들이 많았다. 이는 오은희(2009)에서 밝힌 것과 같이 한자어 어휘의 의미를 정확하게 모르거나 문맥을 통해 유추하는 것이 어려운 문항에서 한자권 집단의 경우 모국어와의 음운적 유사성이나 어휘소 분석 전략 등을 사용하여 적극적으로 어휘의 의미를 유추하여 같은 수준의 비한자권 집단보다 쉽게 해당 문항의 답을 찾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차별기능문항의 원인이 문항에 포함된 한자어에 있다고 볼 수 있는 문항의 수는 초급에서 26문항 중 7문항, 중급에서 31문항 중 13문항, 고급에서 34문항 중 12문항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적 높은 수준이지만 초급에서 고급으로 갈수록 그 비율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고급에서는 비한 자권 집단에 유리한 문항이 더 많이 나타났는데, 이는 고급으로 올라갈수록 한자어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외 읽기 전략의 사용 및 개인의 배경 지식이 읽기 지문을 이해하는 데에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으로 보인다. 둘째, 문화의 영향이 차별기능문항의 원인이 되는 경우 한국어능력시험에 포함할 문화의 영역을 어디까지로 정해야 할 것인가를 명확히 해야 한다. 언어와 문화를 분리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며 특히 읽기 텍스트에서는 텍스트의 내용은 물론 텍스트의 구조에서도 문화의 영향이 나타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언어적 측면에서 학습자가 알아야 할 문화적 특징이 아니라면 그 외의 요소들은 어디까지가 한국어능력에 포함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원인으로 분류한 문항 중, 일상 문화의 영향에 포함 된 문항들의 경우 이러한 고려가 필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이 범주로 분류된 문항은 ‘우체국 표지’에 대한 한 문항이지만 이 문항이 언어능력을 측정하는 한국어능력시험의 평가영역을 벗어난 내용을 포함하고 있고 이것이 특정 집단에만 유리하다면 이 후 한국어능력시험 출제 시에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치할 필요가 있다9). 한국어능력시험은 이미 26개국이 넘는 지역에서 실시되고 있다. 따라서 한국어능력시험에 포함되어야 할 문화적 요소는 무엇이며 그 범위는 어디까지인가에 대해 명확한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existence of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DIF) in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TOPIK) reading comprehension and to analyse the peculiarity and cause of DIF. The specific questions asked in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peculiarity and cause of DIF regarding gender in TOPIK reading comprehension? Second, what are the peculiarity and cause of DIF regarding language difference (Chinese character-based language/non-Chinese character-based language) in TOPIK reading comprehension? The study`s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91 language - background DIF items in the 16th to 18th TOPIK reading comprehension. As a result of analysing language DIF that are favorable to Chinese character-using group, the effect of vocabulary and cultural element are found as a cause of DIF. Second, the effect of culture is divided into the effect of everyday life, the familiarity of text structure, and the effect of education experience. These are the evidence that cultural element shared by Chinese character - using group could be a cause of DIF. However, some discussion is required on to which extent such cultural element should be contained in TOPIK, as some cultural elements should be not be included in the measurement of Korean language competence. (Yonsei University)

      • KCI등재

        계승어로서의 한국어 계발과 유지에 대한 연구의 비판적 고찰 -호주의 상황을 중심으로-

        신성철 ( Seong Chul Shin ),정신지 ( Sin Ji Jung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15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43 No.-

        본고는 호주의 상황에서 계승어로서의 한국어가 어떻게 계발되고 유지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그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 자료를 조사하여 이를 정규 교육제도, 한인 커뮤니티, 가족, 개인의 측면으로 나누어 논의한다. 이를 위해 호주의 정규 교육제도가 계승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에게 어떤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지, 한인 커뮤니티가 어떤 한국어 사용 환경을 제공하고 계승어 계발과 유지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계승어 습득의 출발점이자 계승어 계발과 유지의 주된 장으로서의 가정의 역할과 그 양상은 무엇인지, 계승어로서의 한국어에 대한 개인의 학습동기와 정체성 형성 간에 어떤 상관성이 있는지 등에 관련된 선행 연구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비교, 논의한다. 본고는 다문화 다언어 호주 환경에서 계승어로서의 한국어 및 그 화자와 학습자에 대한 선행 연구가 부족했음을 지적하고 향후 그에 대한 관심과 연구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 KCI등재

        한국어 학습 목적에 따른 단기 한국어 교육 과정 비교 연구 -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교육 과정 사례를 중심으로 -

        정여훈 ( Jeong Yeohoon ),정희정 ( Chung Hee Jung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20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59 No.-

        This study is to examine a number of cases of short-term Korean programs for Korean learners focussing on their learning purposes in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at Yonsei University, and to suggest a model of how the curriculum of short-term Korean programs could be designed according to the learners’ learning purposes. Chapter 2 examines the definition of a short-term Korean program for Korean learners and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short-term Korean programs. In chapter 3, it is examined how the curriculum for the short-term Korean programs could be differentiated by the Korean learners’ learning purposes in terms of education goals, syllabus and teaching methods, teaching materials, assesment, and cultural activities. As a result, it is suggested that the syllabus and teaching methods should be geared to content- based language teaching and communicative approach for the short- term Korean program for the Korean learners with specific purposes. Also, the teaching materials and assessment should be designed according to the learning purposes. (Yonsei University)

      • KCI등재

        토픽 모델링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재중동포 대상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김보영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2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66 No.-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tren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targeting Korean Chinese using topic modeling and language network analysis. To this end, a total of 203 paper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on Korean Chinese were analyzed to understand research trends according to the perio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first period (2001-2012), discussions related to the use of Korean in the Chinese community including Yanbian prevailed, but in the second period (2013-2021), discussions related to Korean Chinese who are living in Korea includi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actively discussed. Secondly, the focus of the study on Korean Chinese who have settled in Korea is changing from the study of Korean Chinese living in China. In addition, while the former mainly focused on adult learners above college, the latter was diversified from the category of multicultural families to studies on various age groups such as Korean Chinese mothers, children, and teenager immigrants who are incorporated into secondary education in Korea. Thirdly, in terms of research fields, while studies on language use, current status increased, studies on learner language characteristics, learning and adaptation decreased.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studies on language development, acquisition, and language use based on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learners of Korean Chinese who have recently settled in Korea and are learning or speaking Korean for various purposes are more focused. 본 연구는 토픽 모델링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재중동포 대상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을 시기별로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1년부터 2021년까지의 재중동포 대상 한국어교육 연구 203편을 대상으로 넷마이너를 이용하여 토픽 모델링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수행하였다. 2001년부터 2012년을 1기로, 2013년-2021년을 2기로 한 시기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기에는 연변을 비롯한 재중동포 사회에서의 한국어 사용과 관련된 논의가 우세했지만 2기로 오면서 다문화 가정 자녀를 비롯한 국내 재중동포 관련 논의가 활발하게 논의되었다. 둘째, 전자가 주로 대학 이상의 성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 것에 비해 후자는 다문화 가정의 범주에서 재중동포 어머니, 아동 및 초중고 등 한국에서 공교육 과정에 편입되는 중도입국자 등 다양한 연령층에 대한 연구로 다변화되었다. 셋째, 연구 분야 면에서 언어 사용, 현황 및 실태 조사 연구에서 학습자 언어 특성, 학습 및 적응 관련 연구로 다각화되고 있다. 이를 통해 중국 현지에서의 조선어 어휘 및 문법 사용, 한국어 교육 기관 실태 조사, 한국학 교류 현황 조사 등의 연구에서 최근에는 다양한 목적으로 한국에 정착하고 한국어를 학습하거나 구사하고 있는 재중동포의 개별 학습자 특징과 성격을 고려한 언어 발달, 습득, 언어 사용 연구가 더 중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