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로젝트 접근법 수행을 위한 교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차이 분석

        장희선(Chang Hee-Sun),지옥정(Ji Ok-Jo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타당도 검증을 거친 지옥정?장희선(2010)의 ‘프로젝트 접근법 수행을 위한 교사 핵심 역량’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 차이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프로젝트 접근법에 관해 교육을 받고 충청권 전 지역의 유아교육기관에서 프로젝트를 지도하고 있는 교사 300명에게 지옥정 외(2010)에 근거하여 작성된 핵심 역량에 관한 설문지를 보냈으며, 이중 178명의 자료를 가지고 프로젝트 지도 기간에 따른 중요도 인식, 수행도 인식, 중요도-수행도 인식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프로젝트 지도 기간이 길수록 ‘프로젝트 중 수업일지 기록을 통한 수업 과정 분석 평가’ 역량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프로젝트 지도기간 2년 이상의 교사 집단이 전체 핵심역량에 대한 수행도 인식도 가장 높았다. 흥미로운 점은 ‘프로젝트 학습 본질에 대한 이해’, ‘프로젝트 진행과정 및 절차에 관한 지식’ ‘학습자의 내적 동기 유발‘ 역량의 경우, 1년 미만 교사 집단보다 1년 ~ 2년 미만의 교사 집단이 오히려 낮게 수행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점이다. 셋째, 전 집단에서, 15개 핵심역량에 대한 중요도 인식은 높으나 수행도 인식은 이에 미치지 못하였다. 특히 ‘교수자료 개발’ 역량의 중요도 - 수행도 인식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 교사 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nalyses the recognition of teachers for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project teaching period(less 1 year, 1 year~2 year, over 2 years) about ‘the core competency of teachers for effective applying the Project Approach’ by Okjong Ji & Heesun Chang(2010) which was done a verification of validity. For the purpose, the questionnaire based on ‘core competency’ was sent to 300 teachers in Chungchong province who had an in-service education at least 10 hours about the project approach, Among them, 178 teachers' questionnaire were analysed for the impotance recognition and the performance recognition and the gap of two recognitions according to project teaching period. The results are followings. First, the more project teaching period is long, the higher recognition about importance of ‘analysis and evaluation of teaching process through documentation of teaching diary during the project’ among the core competencies. Second, the performance recognition of over 2 years group is most high. In here, an interesting point is that the performance recognition of 1~2 year group is lower than less 1 year group to the ‘an understanding about the essence of project’ ‘a knowledge about the procedure and process of project’ ‘an arousal of intrinsic motivation of learners’ among the core competencies. Third, The score of the importance recognition of all groups totally was higher rather than the score of the performance recognition. Especially the gap of impotanc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recognition about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is most high among the 15 core competencies.

      • KCI등재

        프로젝트 접근법 수행을 위한 유아교사의 핵심역량 도출

        지옥정(Ji Ok-Jong),장희선(Chang Hee-Su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62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젝트 접근법을 효과적으로 적용하는데 필요한 교사의 핵심역량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프로젝트 수행 우수 교사 3명과 보통 교사 3명을 선정하여 행위사건면접 조사(Behavior Event Interview)를 실시한 후 질적 분석하였다. 더불어 이 교사들이 기록한 연구일지도 함께 질적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역량으로 5가지 범주안의 50가지 요인이 1차 도출되었다. 이후 초점집단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해 교사의 핵심역량으로 5가지 범주안의 15가지 요인을 최종 도출하였다. 이는 내적 특성 3요인, 태도 2요인, 지식 2요인, 수업 기술 5요인, 사회적 네트워크 2요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 extraction core competency of teachers for effective applying the Project Approa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To achieve the purpose referred, the qualitative analysis to results of Behavior Event Interview with 3 regular teachers and 3 excellent teachers who have done projects. Daily log and journals of the teachers who did projects with young children were qualitatively analysed as well. According to first result of analysis, at 50 factors in five categories were extracted in first step, and then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final 15 factors in five categories were extracted as a teaching core competency for project learning. These factors are consist of are 3 factors in internal characteristics, 2 factors in attitudes, 2 factors in knowledge, 5 factors in teaching skills and 2 factors in social network.

      • KCI등재

        유아교사의 녹색성장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 및 의미 탐색

        지옥정 ( Ok Jong Ji ),이희경 ( Hee Kyeong Lee ),장정애 ( Jung Ae Jang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3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녹색성장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과 그 의미를 분석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 전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657명을 대상으로 인식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그 중 16명을 대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에 대한 의미 분석 포커스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는 녹색성장과 지속가능발전 교육의 의미, 녹색성장교육 관련 정책 및 법규에 대한 인식 정도는 낮은데 비해 녹색성장교육의 필요성은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녹색성장교육의 효율적 실행을 위한 지원 요구가 높았다. 둘째, 인식의 의미와 관련하여 유아교사는 녹색성장교육의 의미를 자연보호교육 정도로 생각하거나 지속가능발전교육과 별개로 생각하는 등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결론적으로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녹색성장교육에 대한 바른 인식교육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며 더불어 녹색성장교육의 바른 현장 적용을 위한 다양한 지원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aning of awareness and awareness level of green growth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 study, 657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ed for questionnaires in all over the country by mail and personal visitation and then i6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ed for focus group interviews. The results from the study were following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level about necessity of green growt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as high, but awareness level about meaning of ESD & green growth education, laws & policy on green growth education, were relatively low. Also, they asked various supports for effective green growth education. Secondly, the mos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didn`t recognize dearly the difference of green growth education and former environmental education, Also, they didn`t know the relation of green growth education and ESD. In conclusion, first of all, in-service education about green growth education for correct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ill be required. In addition, various methods for supporting of green growt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ll be more studied further.

      • KCI등재

        ‘지속가능성을 위한 유아교육’ 사례로서의 ‘무심천 프로젝트’에 나타난 유아들의 지역사회 참여 내용 분석

        지옥정(Ji, Ok-Jo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6

        연구 목적은 ‘지속가능성을 위한 유아교육’ 사례로서의 ‘무심천’ 프로젝트에 나타난 유아들의 지역사회 참여 내용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으로 연구자는 프로젝트를 수행한 교사의 수업 일지와 연구일기를 중심으로 하여 지역사회 참여 내용과 그 수준을 정리한 후, 교사들과의 면담을 통해 확인 과정을 거치는 질적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는 관련 전문가 1인에 의한 타당성 검증을 거쳤다. 연구결과로서, 유아들의 지역사회 참여 내용은 ‘지역사회에 대해 조사하기’에서부터 ‘캠페인하기’까지 5가지로 나타났으며, 이때 참여 수준은 Hart(1992)의 참여 사다리에 비추어 볼 때 ‘할당된 것을 하는, 그러나 알고 참여하는 단계’에서부터 ‘유아(들)가 주도하고 이끌어가는 단계’까지 나타났다. 이런 연구결과를 통해 지속가능성 관점에서 유아들도 지역사회 문제에 관심 갖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는 점과,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참여하도록 하 는 것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at were the contents and types of young children’s community participation in the ‘Musim stream project’ as a cas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Sustainability’. As a study method, qualitative analysis was used. For this, at first, the researcher analyzed daily logs and study diaries from the teacher who was in charge of the project for picking out the contents and types of children’s community participation. Next, the analysis results by the researcher were checked over through face to face meetings with the teachers in order to be a more reliable analysis, And finally, the analysis results went through validity check by a leading scholar in this area. In the study results, the community participation of the children were found out five contents of participation from ‘investigation about the community’ to ‘campaigning’. In these participations, there were types from ‘assigned, but informed’ to ‘child initiated and child directed’ by Hart’s ladder of participation(1992). Seeing these study results, the researcher could conclude that teachers need to guide young children to have an interest in community issues and it is possible that even young children can contribute to the solution of the community problems.

      • 미세먼지 상황이 가져온 유아 교사들의 업무 변화

        지옥정(Ji, Ok-Jong),김경숙(Kim, Gyoung-Suk)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8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8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미세먼지로 인해 유아교사들의 업무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질적 내용분석이다. 연구참여자는 충북 C시의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 교사 58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미세먼지와 관련된 교사들의 에피소드 기록지, 집단면담, 기타자료연구자 저널 등이다. 자료분석은 연구문제 제기 및 표본추출 준비과정, 표본추출, 코딩 및 분석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로 나타난 유아교사들의 변화된 업무 범주는 이중 교육계획안 작성, 일과 운영 중 시 고려해야 할 변수 증가, 유아 개별 돌봄의 강화, 부모와의 연계 및 협력 내용 변화, 교육환경 구성 및 관리 업무 증가의 5가지이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네 가지 점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hanges in the work of early childhood teacher due to the particulate matter situation. The research method was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search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58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re working at 5 kindergarten & 3 childcare center in Chungbuk, C city. The collected data included episode records of the teachers related to particulate matter, group interviews with 16 representative teachers in 8 institutions, other materials and researcher journal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research questioning & preparation for sample extraction, sample extraction, then coding and analysis. As the study result, the changes of teachers" work were grasped 5 categories as like construction of the education plan in duplicate, increasing variables to consider for daily operation, strengthening individual care for young children, changing contents of connection & cooperation with parents, increasing educational environment configuration and management work. Based on these results, four discussions were made.

      • KCI등재

        유아교사의 환경교육 경험, 환경지식, 환경친화적 태도가 환경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지옥정(Ok Jong Ji),조부경(Boo-Kyung Cho),서윤희(Yoon Hee Seo)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6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환경교수효능감이 환경교육 경험, 환경지식 및 환경친화적 태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이들 변인의 환경교수효능감에 대한 설명력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 지역 어린이집 및 유치원 교사 325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환경교수효능감은 중간 점수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환경교육 경험은 중간 점수보다 낮은 수준, 환경지식과 환경친화적 태도는 중간 점수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환경교수효능감은 환경친화적 태도, 유년기 환경경험, 현직교사시기 환경경험, 예비교사시기 환경경험 순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환경지식은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유아교사의 환경교수효능감에 대한 설명력은 환경친화적 태도, 예비교사시기 환경경험, 유년기 환경경험 순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ing efficacy beliefs and their experie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environmental knowledge and pro- environmental attitude and the explanation power of variables to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ing efficacy beliefs. For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325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hungBuk area. Data were obtained through the questionnaire and analyzed by SPSS. As the results, firstly, the level of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ing efficacy beliefs of the subjects was normal level, their experie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was lower level than normal, and their environmental knowledge and pro-environmental attitude was higher level than normal. Secondly,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ing efficacy beliefs of the subjects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pro-environmental attitude, the environmental experience of their childhood, the environmental experience as in-service teacher and the environmental experience during pre-service teacher period in order of meaning. Thirdly, the explanation power of variables to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ing efficacy beliefs was revealed in order of the pro-environmental attitude, the environmental experience as pre-service teacher, and the environmental experience of childhood.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공원 프로젝트’ 중 유아들의 공원에 대한 인식 변화 분석

        지옥정(Ji, Ok-Jo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3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공원’ 프로젝트 중 유아들의 공원에 대한 인식 변화과정을 파악하는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3개 유치원 5세반에서 각각 2013년 3월 말부터 5월 초까지 공원 프로젝트가 시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본 연구자와 3명의 유치원 교사, 그리고 3반의 5세반 유아들이었다. 자료 수집은 교사의 프로젝트에 대한 수업일지 및 연구일기, 연구자와 프로젝트를 진행한 3명의 교사와 프로젝트 중 매주 1회씩의 만남 기록, 공원 프로젝트 중 유아의 글이나 그림 등을 모은 포트폴리오 등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 자료들을 가지고 각 유아에 대한 사례 내 분석 후, 다시 사례 간 분석을 하는 질적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유아들의 공원에 대한 인식은 1단계인 ‘김밥 먹는 곳’ 정도의 단순 인식이나 ‘대형 놀이기구를 타는 곳’과 같은 부정확한 인식 단계에서부터 5단계인 ‘사랑으로 돌보고 관리해야 하는 공공장소’와 같이 지역사회 주민의식을 가지고 공원을 대하는 것으로 변화되었다. 이런 결과에 기초하여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적용 방안과 관련하여 세 가지 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the awareness of young children about the park was changed during the ‘park project’ for ESD. For the purpose, the park project was performed in the 5-year-old class of three kindergarten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the researcher, the 5-year-old class children and three teachers of the kindergartens. In the case of the children, three children among 5-year-old class were selected as proof of the change process of children’s awareness about the park with related materials. The children’s age was in the middle of 5 year old class of each kindergarten.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 teachers" daily log and study diary, the meeting recordings of the researcher and the three teachers, and the children’s portfolio during the park project. With all this data, as a qualitative analysis, intra analysis was first performed and then inter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the young children’s awareness about the park was changed from very simple level like ‘the park is for eating snack’ or incorrect awareness like ‘for the enjoying place that can play with big play apparatus’ in stage 1 to the high level like ‘we should take care of the park with love’ as a community member in stage 5. Based on the study result, three points were discussed related to the method of application of ESD in early childhood.

      • KCI등재

        호주 퀸즐랜드 주 Bunyaville 환경교육센터의 유아환경교육 프로그램 고찰

        지옥정(JI, Ok-Jo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1

        연구 목적은 호주 퀸즐랜드 주 번야빌(bunyavilie) 환경교육센터의 유아환경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이스터 빌비 모험(Easter Bilby Adventure)’을 중심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자료 수집은 문서 자료와 함께 환경교육센터 교장 및 프로그램 관계자 면담, 환경교육센터의 ‘이스터 빌비 모험’과 같은 유아환경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자 참여관찰 등을 통해 다각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이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환경교육센터의 자연적?물리적 환경 특성이 유아환경교육 프로그램에 미친 영향은 ‘센터가 위치한 자연적ㆍ물리적 환경이 프로그램의 내용 구성에 직접 반영되어 있음’을 포함한 4가지로 정리되었다. 둘째, 이스터 빌비모험’ 프로그램의 특성은 ‘어린이의 발달 특성을 고려한 놀이중심’에서부터 ‘유아들의 안전을 위한 다양한 장치’까지 6가지로 정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al educational program for young children of Bunyaville Environmental Education Center focused on ‘Easter Bilby Adventure’. For the study, materials were collected by several ways such as printing materials, interviews with the principals and the relatives with the program, and researcher"s participant observation abou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like ‘Easter Bilby Adventure’. Then a qualitative analysis was done comprehensively with all the materials. The result of the study about the influences of na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enter to the programs for young children was sorted out into four points including ‘the natur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Bunyaville Environmental Education Center were directly reflected in the contents of the program". As the second result of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ster Bilby Adventure’ were found out 6 things. Those were from ‘play focused considering children’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to ‘various devices for children"s safety’.

      • KCI등재

        유치원과 유아환경교육센터의 협력과정에 참여한 유아 및 교사의 경험

        지옥정(Ji, Ok-Jong),조부경(Cho, Boo-kyu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5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유치원과 유아환경교육센터가 협력하면서 유아환경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과정에 참여한 유치원의 유아와 교사의 경험이 어떠한 지 밝히는 것이다. 자료 수집은 질적 연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교사일지와 저널, 면담, 이메일과 전화통화, 유아관찰 및 연구자 저널수집 등 다면적으로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교사와 유아 별로 통합하고 영역, 하위영역별 범주화 및 해석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유아는 ‘활동 주제인 황새에 대한 높은 내적 동기 유발상태에서 센터의 활동참여’, ‘센터의 추가적 지원을 통한 활동 주제에 대한 확장된 탐구’, ‘환경문제 인식에 기초한 지역사회참여 의지 발현’, ‘활동 주제인 황새 돕기 기금 마련에 적극적 동참’ 등의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경험으로는 ‘협력과정 초기에는 자신의 역할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인한 부담감’, 이후 협력과정 중 점차 ‘프로그램 주제에 대한 몰입과 협력자로서의 역할’, ‘센터 프로그램에 대한 비평적 의견제안 및 전문가로서의 성장’, ‘지역사회 참여방안 모색 및 실천’으로 드러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xperiences of the young children and teacher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collaboration process between environmental education center and kindergarten. Data collected by teacher"s journal,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observations during the collaboration procedure between two educational institut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thematic approach by involved teachers and researchers. As a results, we found as follow: For young children, they have had strong motives about ‘stork’ that is theme of the activity before attending the center"s program and have extended inquiries about stork through extra support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center. These experiences made young children have self-motivation to involve their community based on the recognition of environmental problems and organize fund-raising for stork as an active participant. For teachers, they felt the burden by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ir role as a teacher in the beginning stage of collaboration. After involving the collaboration, however, they engaged in making decisions on the topic for a program as a collaborator. They also showed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by suggesting critical views for center"s programs and ways of involving in local community.

      • KCI등재

        5세 누리과정 유치원 교사용 지도서와 어린이집 프로그램에 나타난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물교육 활동내용 분석

        지옥정 ( Ok Jong Ji ),허미화 ( Mi Hwa Huh ),백은주 ( Eun Joo Baik ),정미라 ( Mi Ra Chui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6

        유아기의 물교육은 지속가능발전의 관점에 기초하여 체계적으로 실행되어야 한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5세 누리과정에 의한 유치원·어린이집 교사용 지도서에서 다루고 있는 물 관련 활동 내용을 지속가능발전의 상호보완적 요소인 ``환경·경제·사회``의 측면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대상은 5세 누리과정 ``유치원 교사용 지도서`` 11권과 ``어린이집 프로그램`` 4권(12주제)이다. 이를 위해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물교육 활동내용의 10가지 분석기준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물교육 활동은 ``물활동 내용 분석 기준``에 비추어 볼 때 단순히 ``환경``적 차원에서 ``물의 특성``을 탐색하는 활동에 편중되어 있었다. 둘째, 물활동 내용의 과반수 정도가 ``자연탐구`` 영역에서의 ``물의 특성``에 국한되어 있었다. 셋째, 물활동은 ``이야기나누기`` ``과학영역``, ``실외놀이``의 몇 가지 활동영역(영역)에서 주로 다루어지고 있었다. 따라서 유아기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물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5개 주요영역을 고루 포함시키고 다양한 활동유형을 활용하여서 ``환경·경제·사회``의 세 측면을 통합할 수 있는 물교육의 방향과 활동내용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We, researchers, think that an education of water in early childhood should be systematically executed on the basis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perspectiv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water-related activities introduced in the manuals of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 teachers, which are prepared by the five year old age Nuri Curriculum, from the aspects of an environment, an economy, and a society which are mutually complemental factor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ntends to suggest a direction and contents of water activiti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hich will be executed in a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were eleven books of ``the manual for kindergarten teachers`` and four books (twelve themes) of ``the program for child-care center``, which are prepared by the five year old age Nuri Curriculum. For the research, a frequency and a percentage are calculated on the ten analysis criterion basis of water-related activitie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water activities put too much emphasis on activities of questing ``water characteristics`` in a simply ``environmental`` dimension from the analysis frame viewpoint of water activity contents. Second, about a half of water activities contents are limited to ``water characteristics`` in the field of ``nature exploration``. Third, water activities are handled in a few areas such as ``the story talking``, ``the science area`` or ``the outdoor play``. Therefore, in order to drive for the water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e need to seek for the direction and activity contents of water education, which are able to integrate three aspects of an environment, an economy and a society, while including five main domains and utilizing various kinds of activity typ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