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OLICY & ISSUES 기획특집_3 - 한국의 국가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에 나타난 유아환경교육 변화 과정과 과제

        지옥정,Ji, Ok-Jeong 환경보전협회 2012 환경정보 Vol.402 No.-

        한국 유치원 교육과정에 나타난 유아환경교육 관련 내용은 교육과정이 개정되어 갈수록 점차 내용 범위가 확대되어졌으며, 그와 비례하여 점차 환경교육 관련 내용을 교육과정 전 영역에서 다루는 것으로 발전되어 왔다. 현재 한국의 유아교육 현장은 지속기능 실천방안으로서의 녹색성장교육을 강조하면서 그 효과적 적용을 고민하는 단계에 와 있다.

      • KCI등재

        ‘프로젝트 접근법 수행을 위한 교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차이 분석

        장희선(Chang Hee-Sun),지옥정(Ji Ok-Jo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타당도 검증을 거친 지옥정?장희선(2010)의 ‘프로젝트 접근법 수행을 위한 교사 핵심 역량’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 차이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프로젝트 접근법에 관해 교육을 받고 충청권 전 지역의 유아교육기관에서 프로젝트를 지도하고 있는 교사 300명에게 지옥정 외(2010)에 근거하여 작성된 핵심 역량에 관한 설문지를 보냈으며, 이중 178명의 자료를 가지고 프로젝트 지도 기간에 따른 중요도 인식, 수행도 인식, 중요도-수행도 인식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프로젝트 지도 기간이 길수록 ‘프로젝트 중 수업일지 기록을 통한 수업 과정 분석 평가’ 역량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프로젝트 지도기간 2년 이상의 교사 집단이 전체 핵심역량에 대한 수행도 인식도 가장 높았다. 흥미로운 점은 ‘프로젝트 학습 본질에 대한 이해’, ‘프로젝트 진행과정 및 절차에 관한 지식’ ‘학습자의 내적 동기 유발‘ 역량의 경우, 1년 미만 교사 집단보다 1년 ~ 2년 미만의 교사 집단이 오히려 낮게 수행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점이다. 셋째, 전 집단에서, 15개 핵심역량에 대한 중요도 인식은 높으나 수행도 인식은 이에 미치지 못하였다. 특히 ‘교수자료 개발’ 역량의 중요도 - 수행도 인식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 교사 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nalyses the recognition of teachers for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project teaching period(less 1 year, 1 year~2 year, over 2 years) about ‘the core competency of teachers for effective applying the Project Approach’ by Okjong Ji & Heesun Chang(2010) which was done a verification of validity. For the purpose, the questionnaire based on ‘core competency’ was sent to 300 teachers in Chungchong province who had an in-service education at least 10 hours about the project approach, Among them, 178 teachers' questionnaire were analysed for the impotance recognition and the performance recognition and the gap of two recognitions according to project teaching period. The results are followings. First, the more project teaching period is long, the higher recognition about importance of ‘analysis and evaluation of teaching process through documentation of teaching diary during the project’ among the core competencies. Second, the performance recognition of over 2 years group is most high. In here, an interesting point is that the performance recognition of 1~2 year group is lower than less 1 year group to the ‘an understanding about the essence of project’ ‘a knowledge about the procedure and process of project’ ‘an arousal of intrinsic motivation of learners’ among the core competencies. Third, The score of the importance recognition of all groups totally was higher rather than the score of the performance recognition. Especially the gap of impotanc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recognition about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is most high among the 15 core competencies.

      • KCI등재

        유아교사의 녹색성장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 및 의미 탐색

        지옥정 ( Ok Jong Ji ),이희경 ( Hee Kyeong Lee ),장정애 ( Jung Ae Jang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3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녹색성장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과 그 의미를 분석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 전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657명을 대상으로 인식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그 중 16명을 대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에 대한 의미 분석 포커스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는 녹색성장과 지속가능발전 교육의 의미, 녹색성장교육 관련 정책 및 법규에 대한 인식 정도는 낮은데 비해 녹색성장교육의 필요성은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녹색성장교육의 효율적 실행을 위한 지원 요구가 높았다. 둘째, 인식의 의미와 관련하여 유아교사는 녹색성장교육의 의미를 자연보호교육 정도로 생각하거나 지속가능발전교육과 별개로 생각하는 등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결론적으로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녹색성장교육에 대한 바른 인식교육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며 더불어 녹색성장교육의 바른 현장 적용을 위한 다양한 지원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aning of awareness and awareness level of green growth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 study, 657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ed for questionnaires in all over the country by mail and personal visitation and then i6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ed for focus group interviews. The results from the study were following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level about necessity of green growt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as high, but awareness level about meaning of ESD & green growth education, laws & policy on green growth education, were relatively low. Also, they asked various supports for effective green growth education. Secondly, the mos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didn`t recognize dearly the difference of green growth education and former environmental education, Also, they didn`t know the relation of green growth education and ESD. In conclusion, first of all, in-service education about green growth education for correct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ill be required. In addition, various methods for supporting of green growt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ll be more studied further.

      • KCI등재

        ‘그’가 아닌 ‘우리’ 되기: 어린이집 원장의 초임남자교사 지원 전략

        지옥정 ( Ji Okjong ),김경숙 ( Kim Kyoung-su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5

        연구 목적은 초임남자교사 Y를 채용한 S어린이집 원장 K가 ‘그’를 ‘우리’로 세워 가는데 있어 어떤 지원전략을 사용하는지 밝히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사례연구이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5년 11월부터 2016년 7월까지이며, 원장 및 구성원 면담, 저널 및 기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으로 연구자들이 각각 분석 후 연구자간 검토와, 연구 참여자 검토를 거쳤다. 연구 결과, 시기별로 구분되는 지원 전략을 볼 수 있었다. 첫째, 채용 확정 전 시기에는 면접에 임할 수 있도록 어린이집 관계자들에게 밑 작업하기, 자신의 능력을 충분히 드러낼 수 있는 기회 주기, 둘째, 채용결정∼신학기 전 시기에는 개별화된 적응 방안 수립 및 실시하기, 오랜 내규를 깨고 만3세반으로 담임 반 배정하기, 주변 도움을 쉽게 받을 수 있는 교실로 반 배정하기, 인성 좋은 고경력 교사를 동일 연령 반에 배치하기, 부모들에게 간접 선전 및 직접 띄우기, 여아 관련 문제를 돕도록 누리과정 교사를 그 반에 고정 배치하기, 셋째, 새 학기 시작 후∼‘우리’로 인정되기까지의 기간에는 예전보다 더 높은 강도로 모든 구성원의 상호 협력과 지원 강조하기, 정서적 배려와 지원하기, 새내기 교사에게 필요한 일반적 지원 전략을 사용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what supporting strategies are performed by the daycare center director who recruited junior male teacher, and develop his carrier from ‘him’ into ‘us’, The method of study is case study. The data collecting was from November 2015 to July 2016. At that time, the interviews to the relatives were done, and journal & other related data were collected. For the data analysis, researchers analyzed data respectively, then reviewed together and finally, received the review of the research participant. For result, periodically distinctive supporting strategies were observed. First, in the period of till deciding teacher, there were strategies like advanced work to the relatives before recruiting interview procedure and providing opportunities of represent his full potential at interview. Second, in the period of between recruitment decision and new semester, providing specified development plan, assigning homeroom teacher which is rare case compare to precedents, assigning to classroom where supports are available, assigning with senior teachers with good reputation to peer class, promote male teacher to parent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assigning assistant teacher to male teacher’s class room. Third, In the period of new semester start∼accepting him as ‘us’, every members of group support such as supporting cooperation tasks, emotional support, and general supports for the beginning of his career were provided.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지향 자연친화교육에서 유아교사들이 경험한 어려움

        지옥정 ( Ji Okjong ),김경숙 ( Kim Kyoung-su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3

        연구 목적은 지속가능발전지향 자연친화교육에서 유아교사들이 경험한 어려움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사례연구이다. 연구참여자는 6개 기관의 4, 5세반 교사 8명으로 이들은 유아들과 지역사회내 공원에서 `공원의 살아있는 것` 주제로 지속가능발전지향 자연친화교육을 수행하였다. 프로젝트 기간은 2016년 3월부터 2016년 5월 초까지이며, 이 기간 중 연구자료로 수업일지 및 교사저널, 1주 1회씩 총 4회의 연구자들과 교사들 간 정기모임 기록, 연구자들과 교사들이 주고받은 이메일 등을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기술, 분류, 관련짓기의 순환적 과정을 거쳤다. 연구 결과, 교사들이 경험하는 어려움은 크게 자연에 대해 잘 알지 못해 불충분한 교육에 머무름, 자연(물) 이용과 자연 존중 간의 갈등, 생태계의 상호연결성 지도 시 혼란, 자연에 대해 교사교육 받은 것을 적용하는 것의 어려움, 지역사회와의 협조 한계와 같이 5가지로 추출되었다. 이런 결과에 기초하여 크게 3가지 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performing nature-friendly education orienting sustainable development.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case study.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eight teachers who conducted nature-friendly education orienting sustainable development on the topic of `living things in the park` located in their community with 4~5 year old children. The project period was from the end of March to the beginning of May, 2016. During this period, the teacher`s diary, journal, a total of four teacher meetings once a week, e-mails exchanged between researchers and teachers and other data were collected for this study. Data analysis has gone through the circular process of describing, classifying, and connecting. As the result,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he teachers are largely categorized in five. Those are insuffici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due to lack of knowledge about nature of teachers, conflict between nature use and natural esteem, confusing in teaching interconnectedness of ecosystem, linkage with the community during the project. Lastly, three main point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se results.

      • KCI등재

        프로젝트 접근법 수행을 위한 유아교사의 핵심역량 도출

        지옥정(Ji Ok-Jong),장희선(Chang Hee-Su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62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젝트 접근법을 효과적으로 적용하는데 필요한 교사의 핵심역량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프로젝트 수행 우수 교사 3명과 보통 교사 3명을 선정하여 행위사건면접 조사(Behavior Event Interview)를 실시한 후 질적 분석하였다. 더불어 이 교사들이 기록한 연구일지도 함께 질적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역량으로 5가지 범주안의 50가지 요인이 1차 도출되었다. 이후 초점집단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해 교사의 핵심역량으로 5가지 범주안의 15가지 요인을 최종 도출하였다. 이는 내적 특성 3요인, 태도 2요인, 지식 2요인, 수업 기술 5요인, 사회적 네트워크 2요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 extraction core competency of teachers for effective applying the Project Approa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To achieve the purpose referred, the qualitative analysis to results of Behavior Event Interview with 3 regular teachers and 3 excellent teachers who have done projects. Daily log and journals of the teachers who did projects with young children were qualitatively analysed as well. According to first result of analysis, at 50 factors in five categories were extracted in first step, and then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final 15 factors in five categories were extracted as a teaching core competency for project learning. These factors are consist of are 3 factors in internal characteristics, 2 factors in attitudes, 2 factors in knowledge, 5 factors in teaching skills and 2 factors in social network.

      • KCI등재

        유아 행복 증진을 위한 ‘행복한 우리 반’ 프로젝트에서의 교사 역량 향상에 대한 실행연구

        지옥정 ( Ji Okjong ),김경숙 ( Kim Keong-su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4

        본 연구 목적은 유아 행복 증진을 위한 ‘행복한 우리 반’ 프로젝트에서 유아교사의 역량이 어떻게 개선되었는지 밝히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유아반을 담임하는 교사 4명이었다. 연구방법은 실행연구였다. 자료 수집은 2019년 2월부터 11월까지 이루어졌고, 교사면담, 교사 일지, 교사의 반성적 저널, 프로젝트 회의 기록자료, 교사교육자료, 프로젝트 보고회 발표자료, 관련 사진이나 동영상, 연구자의 반성적 저널, 현장일지 등을 모았다. 자료 분석은 Miles와 Huberman(1984)의 질적 자료 분석방법에 따라 자료의 감환, 자료배열, 결론도출 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는 첫째, “‘행복’과 같은 추상적 주제를 유아들과 다룰 수 있는 지 걱정”: 교육내용 선정에 관한 역량 향상. 둘째, “유아들이 이럴 때 행복해 하네요!”: 학습자 이해 역량 향상. 셋째, “잘 듣고, 잘 보고, 같이 놀고”: 교수 역량 향상과 같이 변화되었다. 본 연구는 유아의 행복증진을 위한 ‘행복한 우리 반’ 프로젝트를 통해 교사의 역량이 어떻게 향상되어 나갔는지 살펴 본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teacher's competence has improved through the “happy class” project for the promotion of young children’s happines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four teachers in charge of 4-5 year olds’ class. The research method was an action study. Data collection took place from February to November 2019, through teacher interviews, teacher journals, teacher's reflective journals, project meeting records, teacher education materials, project presentation meeting presentations, and related photos or video clips, as well as researcher's reflection journals and field journals, etc. Data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by Miles and Huberman (1984).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orry whether it is possible to deal with the abstract concept of ‘happiness’ as a project topic with young children”: improving teacher’s competency in selecting educational content. Second, “young children are happy when they do this!": improving teacher’s competency on understanding of young children. Third, “listen well, watch well, and play together”: improving teacher's competency related to teaching young childre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d how to improve teacher’s competence through the “happy class” project, for the happiness of young children.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에서의 프로젝트 과정 중 소집단활동의 현황과 문제점

        지옥정(Ji Oak-Jung),최일선(Choi Il-S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에서 프로젝트 과정 중 행해진 소집단활동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는 C시 8기관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하였다. 연구 결과, 현황을 보면 첫째, 프로젝트는 한 반 전체가 같은 주제를 가지고 수행하는 형태로 나타났다. 이 과정중 소집단활동내용은 주로 교사에 의해 사전 선정되나, 프로젝트 진행 방향, 유아들의 흥미나 필요, 충원된 자원 등에 따라 일부 조정되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는 소집단활동을 협동학습으로 바람직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실제 시행하는 데는 여러 가지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유선택활동 시간 외의 소집단활동방법은 대체로 모든 유아들이 동일한 시간에 동일한 활동내용을 가지고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집단 구성 방법은 교사가 유아의 능력이나 성격을 고려하여 구성, 유아의 취향이나 흥미를 준거로 한 구성, 무작위한 구성으로 나타났으며, 활동유형 면에서는 쓰기를 강조한 언어활동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활동 진행은 정형화된 일정한 순서를 거치며, 활동 주도자는 교사의 의도와 활동의 난이도에 따라 바뀌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문제점은 내용상 유아로부터 비롯되는 문제, 교사로부터 비롯되는 문제, 구조적인 문제로 대별해 볼 수 있었고, 각 문제점들이 서로 밀접하게 맞물려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improv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situation of small group activity and its problem in the project process performed by education institutions. In this study, qualitative research has been done, and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20 teachers of 8 institutions in C cit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urns our as following: First, in the present situation of small group activity, the project is performed by a whole class with one topic. In the process, the subjects of the small group activity are generally determined by the teacher, though occasion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project process, interest of the children and supplied materials. The small group activity- except activities in free choice time- is done with the same subjects at the same time by the whole class. Second, teachers consider that a small group activity teaches cooperative learning and has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 however, they find it hard to manage. Third, small groups are arranged by the teacher, children's interest and preference, or randomly. Also attaching too much importance to writing activities causes imbalance among other activities. The process of small group activity is done following predetermined format. Also, depending on difficulties of the subject and the teacher's will, the leader of a small group is changed. Lastly, the problems of small group activities resulted from children, reachers and structures which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system originally have, and they influenced each other coincidently.

      • KCI등재

        칡과 등나무의 공생 -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부의 양육 갈등 원인 -

        지옥정(Ji, Okjong),김경숙(Kim, Kyoungsu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부의 자녀 양육 갈등 원인이 무엇인지 심층적으로 탐색해 보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삶의 경험을 이야기하는 방법인 내러티브 탐구이며, 연구 참여자는 영유아기 자녀 두 명씩을 양육하고 있는 부부2쌍으로, 연구자가 목적표집한 것이다. 자료 수집 방법은 부부 개별 면담, 두 가정 관찰, 연구자 저널 및 현장노트 등이었다. 자료 분석은 현장 텍스트 만들기, 중간연구 텍스트 만들기, 연구 텍스트 만들기, 글쓰기의 과정을 거쳤다. 이 과정은 일련의 선형과정이 아니라 순환적인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부의 양육 갈등 원인은 첫째, 부모 각각 자기 식의 사랑 고집: ‘아이문제는 양보 못해!’, 둘째, 자녀 행복에 대한 관점의 차이: ‘우리 아이가 행복했으면…’, 셋째, 양육상황 악화: ‘내가 미혼모야?’, 넷째, 사회적 담론의 영향: ‘아이 키우기는 엄마가’, 다섯째, 원가족의 문화 및 양육방식 차이: ‘우리 아버지는 안 그러셨어!’ 와 같이 5가지로 정리되었다. 이런 결과에 기초하여 크게 3가지 점을 논의하였고, 추후 연구과제로서 2가지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deeply what are the rearing conflict causes between couple who raise young children. The method of study was narrative inquiry that was telling life experiences. The study participants are two couples raising young children whom they were selected purposefully by the researchers. The data collecting method included individual interviews of two couples, the direct observation of two homes, research journal and field notes by the researchers. Data analysis went through the chronological process of making field text, making interim study text, making research text, and lastly final writing. This process was a cyclic process, not a linear processes. The study results summarized into 5 key findings of rearing conflict cause like these: First, Collapses between the different approach of love to their children: ‘I can’t yield the things about my child’. Second, the different priorities between present and future of their children: ‘I want that my child is happy’. Third, the change of their child rearing situation and context: ‘Am I a single mother?’. Forth, the influence of social discourse: ‘Child rearing is mother’s work’. Fifth the influence of different approach descended from original family of each couple member: ‘My father didn’t do like that’. Based these study results, three points were discussed and two things were suggested as following study topics.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장의 학습공동체 참여 경험의 의미

        지옥정(Ji, Okjong),김경숙(Kim, Geongsuk)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1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3 No.3

        연구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장의 학습공동체 참여 경험의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J학습공동체에 시작부터 끝까지 15년간 계속 참여한 유치원 원장 1명과 어린이집 원장 1명이다. 연구 자료는면담 자료와, 연구 참여자 저널, 연구자 저널이다. 연구방법은 내러티브 탐구 방법으로, 자료 분석을 위해현장텍스트 만들기, 중간연구텍스트 만들기, 연구텍스트 만들기의 과정을 거쳤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장의 원 운영에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둘째, 지속가능한 지역사회를 위한 협력과정에 원장들이주도적 참여를 하게 되었다. 셋째, 유아교육전문가로서 원장의 자신감과 전문적 역량이 강화되었다. 넷째, 학습공동체 원장들 간에 삶의 평생 동반자 관계가 형성되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유아교육 현장에서 아직 그 시도가 미미한 원장 학습공동체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그 참여 의미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 있다고 본다. 끝으로 추후 연구 과제를 3가지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the directo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at had participated in a learning community. The study participants consisted of one kindergarten director and one daycare center director who had been part of the J Learning Community from its inception to its end over the course of 15 years. The research data included interview transcripts and journal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 researchers. Using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data from field texts, intermediate research texts, and finally research texts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learning community brought about significant changes to institutional management for the directors. Secondly, the learning community allowed them to participate actively in a cooperative process for a sustainable community. Thirdly, the professional competencies of the directors as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and their confidence were strengthened. Lastly, the participants formed strong lifelong relationships among the members of the learning community.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re is potential and significant meaning in learning communities, which have not yet been put in place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Future research in three different aspects was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