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기능성 의료용 속옷(Mr. poly)의 착용이 균형능력, 경추 전만각, 유산소성 운동수행력에 미치는 영향

        지무엽,송기재,오재근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19 스포츠사이언스 Vol.37 No.1

        본 연구는 인체공학적 설계와 제작으로 올바른 자세 유지와 척추 교정을 목적으로 개발된 기능성 의료용 속옷을 착용하여 전ㆍ후 간의 경추 전만각, 균형능력 및 유산소성 운동수행능력을 비교ㆍ분석함으로써 기능성 의료용 속옷 착용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남성 30명을 기능성 의료용 속옷 집단(Mr.poly), 일반운동용 압박타이즈(SIW), 통제군(Con)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연구결과 집단 간 균형능력 Stage-1 종합(p=.006), 전ㆍ후(p=.007)에서 통계적으로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경추 전만각, 최대심박수, 운동지속시간, 최대산소섭취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상체에 착용하는 기능성 의료용 속옷을 통해 균형능력이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추후 상지의 근골격계 기능부전과 체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이어져야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unctional medical underwear on balance, cervical angle and aerobic capacity. 30 healthy male in their 30~50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groups, Mr.poly group , sports underwear group, control group. The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ervical angle, aerobic capacity. The balance was significantly improve in overall score(p=.006) and AP(p=.007). The balance can be expected through functional medical underwear worn on the upper body, and further studies will be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s of musculoskeletal dysfunction and physical strength in the upper extremities.

      • KCI등재

        엘리트 수영 선수의 영법에 따른 요부 형태와 요통장애지수, 요부와 고관절의 관절 가동범위 및 등속성 근력의 차이

        지무엽(Ji, Mu-Yeop),오재근(Oh, Jae-Keun),윤진호(Yoon, Jin-Ho) 한국체육과학회 2013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2 No.6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elite swimmers style in lumbar posture and oswestry disability index, range of motion and isokinetic muscular strength of lumbar and hip joint. Career destinations seven years, the National Council of prize-winning players with freestyle(N=15), backstroke(N=8), breaststroke(N=6), butterfly(N=8), individual medley(N=9) people divided into 5 groups and the results were calculated. We measured range of motion, Lumbar posture(lateral deviation, kyphotic and lordotic angle)and isokinetic Muscular strength(60。/sec). We had investigated level of LBP of elite swimmer by using Oswestry disability index of questionnaire fomnat.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PC ver. 17.0. and One-way ANOVA was used to analyze difference among the 5 groups by swimming styles. LSD was carried out when significant difference is appeared among groups. Significant level was p<.05.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Range of motion of hip joint and lumbar had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right hip joint flexion(SLR) according to groups(p=.032). 2) Hip and trunk isokinetic muscular strength had not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wimming types. The backstroke group showed that decrease lumbar extention muscular strength and lumbar muscular ratio(1:0.9). 3) Lumbar posture had not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wimming types. But lordotic angle and kyphotic angle of all group were decreased than normal range. 4) Oswestry disability index had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wimming types(p=.032). As a resul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ROM and ODI between the groups. ROM, isokinetic strength of hip joint and lumbar, lumbar posture, ODI had associated in LBP, so coach and trainer need to physical test for prevent LBP regularly.

      • KCI등재

        엘리트 수영선수들의 요통장애지수와 요천추 시상면 정렬지표의 상관관계연구

        지무엽 ( Mu Yeop Ji ),오재근 ( Jae Keun Oh ),조성호 ( Sung Ho Jo )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14 스포츠사이언스 Vol.31 No.2

        본 연구는 엘리트 수영 선수들의 요통장애지수와 요천추 시상면 정렬지표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엘리트 수영선수들(N=43, Years=19·09±2·63, Body Weight=68·07±9·33, Height=174·55±7·87, Careers=9·39±2·92, Body Mass Index=22·23±1·66, Lean Body Mass=56·34±9·33)로 선정하였다· 요통장애지수는 Oswestry Disability Index(ODI)으로 측정하였고, 요천추 시상면 정렬지표는 요추전만각(lumbar lordosis angle, LLA), 요천추각(Lumbosacral Angle, LA), 천추경사각 (Sacral Slope, SS)를 방사선 촬영을 하여 측정하였다· 요통장애지수와 요천추 시상면 정렬지표의 상관관계는 Pearson’s 상관분석을 이용하였다· 척추상해진단을 받지 않은 엘리트 수영선수들의 요통장애지수를 분석한 결과 경증에서 중등도(11·26±8·66)의 요통을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통장애지수와 요추전만각의 상관관계는 약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099, r=-·255)· 요통장애지수와 요천추각의 상관관계는 뚜렷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12, r=-·380)· 요통장애지수와 천추경사각의 상관관계는 아주 약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570, r=-·089)·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요통장애지수와 요천추각이 가장 상관관계가 높음을 알 수 있었으며, 엘리트 수영선수들의 척추상해와 정상군의 비교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relationship between sagittal lumbosacral alignment and Oswestry disability index in elite swimmers· The subjects of study were selected as elite swimmers(N=43, years=19·09±2·63, BW=68·07±9·33, HW=174·55±7·87, careers=9·39±2·92, BMI=22·23±1·66, LBM=56·34±9·33)· Low back pain questionnaire measured by Oswestry Disability Index(ODI), sagittal lumbosacral alignment measured Lumbar Lordosis Angle(LLA), Lumbosacral Angle(LA) and Sacral Slope(SS) by X-ray’s filming·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PC ver· 19·0· and Pearson’s corelation was used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sagittal lumbosacral alignment and ODI in elite swimmers· ODI and LLA had little negative linear relationship(p=·099, r=-·255)· ODI and LA had clear negative linear relationship(p=·012, r=-·380)· ODI and SS had little negative linear relationship(p=·570, r=-·089)· In conclusion, LLA had the most relationship with ODI of elite swimmers·

      • KCI등재

        8주간 복합운동프로그램이 혈액암 환자의 신체조성, 체력, CBC, 암 관련 피로도 및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조광석,지무엽,오재근 한국웰니스학회 2017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2 No.4

        본 연구는 8주간 복합운동프로그램 실시가 혈액 암 환자들의 신체조성과 체력, 혈액세포 수, 암 관련 피로도 및 균형능력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혈액 암 진단을 받고 항암화학요법으로 치료를 종료하였거나, 조혈모세포이식술을 시행한 환자 19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신체조성(체중, 제지방량,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체력은 근력(악력, 등속성근력), 유연성(좌전굴. 어깨유연성), 심폐지구력(6분 걷기검사), 균형능력(Biodex balance), 혈액변인(적혈구, 백혈구, 헤마토크릿, 헤모글로빈, 혈소판) 그리고 암 관련 피로도(Cancer related fatigue)를 설문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8주간 주2회의 복합운동을 적용한 결과 체지방률(p=.005), 등속성 하지근력(extensors: p<.001, flexors: p=.001), 어깨 유연성(p<.001), 좌전굴(p<.001), 심폐지구력(p<.001), 균형 감각(stage 6: p=.001, stage 9: p=.008, stage 12: p=.038)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RBC(p=009), Hct(p<.001) 그리고 암 관련 피로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12). 혈액암 환자의 복합운동 적용이 체지방 감소 및 체력 향상과 함께 암관련 피로의 감소를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8 – weeks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complete blood counts, cancer-related fatigue and balance ability of blood cancer pati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from whom are diagnosed with blood cancer and treatment was terminated by chemotherapy or underwent stem cell transplantation. The selected 19 patients were measured body composition (body weight, fat mass, BMI, lean body fat percentage), physical fitness (muscle strength, isokinetic strength), flexibility (sit and reach, shoulder flexibility), cardiovascular endurance (6 minutes walking test), balance ability, CBC(RBC, WBC, Hct, Hb, Platelet) and, cancer-related fatigue was measured using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applying the combined exercise twice a week for 8 weeks are as follows. Lean body fat percentage (p=.005), isokinetic lower limb strength (extensors: p<.001, flexors: p=.001), shoulder flexibility (p<.001), sit and reach test (p<.001), cardiovascular endurance (p<.001), balance ability (stage 6: p=.001, stage 9: p =.008, stage 12: p=.038)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re were signifiant differences in RBC(p=.009), Hct(p<.001), and cancer-related fatigue(p=.012)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his result has been shown that the application of combined exercise to patients with blood cancer reduced body fat, improved physical fitness and reduced cancer-related fatigue.

      • KCI등재

        침술 적용이 지연성근통증에 미치는 영향

        오재근,지무엽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는 침술 적용이 지연성근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20대 남자 대학생 16명을 대 상으로 침술적용군(AG)과 정적스트레칭(SSG)으로 임의 배정하였다. 지연성근통증을 유발한 후 24시간, 48시간, 72 시간, 96시간 마다 중재 적용 후 관절가동범위, 고유수용성감각, 등속성근력, 자각적통증지수(VAS)를 측정하였다. 결 과는 관절가동범위, 등속성근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자각적통증지수에서 72시간(p=.010)과 96시간(p=.010) 의 통증수준에서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능동관절위치감각의 72시간(p=.043)과 96시간(p=.007), 수동 관절위치감각의 96시간(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지연성근통증이 발생했을 때 침술의 적용이 스트레칭 의 적용보다 통증감소와 고유수용성감각 회복에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upuncture on DOMS(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16 male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acupuncture group (AG) and static stretch group (SSG). The range of motion of elbow joint, proprioception of elbow joint(AJPS, PJPS), isokinetic strength, and visual analogue scale(VAS) were measured at pre and 24h, 48h, 72h, 96h after causing delayed muscle pain. The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ange of motion and isokinetic strength. The proprioception was significantly less at 72h(p=.010) and 96h(p=.010) in the AG compared to SSG. The AJPS was significantly decrease at 72h(p=.043) and 96h(p=.007) and PJPS was significantly decrease at 96h(p=.001) in the AG compared to SSG. With this results,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occurs, application of acupuncture is considered more effective than passive stretching for reducing pain and recovering proprioception.

      • KCI등재

        여자 역도선수의 월경상태에 따른 호르몬, 골밀도, 무산소성 운동능력과 등속성 근력의 차이

        최선향,지무엽,송기재,오재근,윤진호 대한산업경영학회 2021 산업융합연구 Vol.19 No.2

        이 연구는 여자 역도선수의 월경상태에 따라 정상월경(N=5)과 월경불순(N=5)으로 집단을 설정하여 호르몬, 골밀도, 무산소성 운동능력, 근력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비모수 검증 방법인 Mann whitney U-test를 실시하였으며, 모든 검증의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난소 호르몬 측정 결과 에스트라디올 (estradiol)과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골밀도 측정 결과 모든 변인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무산소성 운동능력 측정 결과 체중 당 최대파워, 평균파워, 피로지수 모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등속성 체간 근력 측정 결과 체중 당 최대회전력, 총 일량, 평균일량 모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 월경상태에 따른 집단 간 차이는 없었지만 두 집단 모두 호르몬 수치가 정상범위 내에서 낮은 경향 을 미루어 보아 오랜 기간 고강도의 훈련이 난소호르몬에 영향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되며, 추후 월경불순집단에 포함된 세부 월경상태를 다양한 집단으로 세부 분류하고 월경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질환 등이 포함된 연구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female weightlifters were classified as normal menstruation group and irregular menstruation group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hormone levels, bone mineral density, anaerobic exercise capacity and muscle strength according to the menstruation condi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Upon assessing the hormone levels of estradiol and progesterone in the luteal phase between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Upon assessing the bone mineral density of each body part of arms, legs, trunk, ribs, pelvis, spine, and total bone mineral density between groups, that of spine tended to be lower in the irregular menstruation group than the normal menstruation group,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Upon assessing the anaerobic exercise capacity between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aximum power per body weight, mean power per body weight and fatigue index. Upon assessing the isokinetic trunk muscle strength between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aximum torque per body weight, total work per body weight, and mean work per body weight. Therefore in future studies, if a variety of study subjects according to menstruation condition by weight division can be secured and reevaluation of various diseases that cause a deficit in the menstruation cycle can be carried out, then it can be useful data for the management of the athlete’s condition of female athletes.

      • KCI등재

        2021-2022시즌 한국프로농구 선수들의 부상 현황 분석

        장원봉,지무엽,송기재,윤진호,오재근 한국융합과학회 2024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3 No.2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status of musculoskeletal injuries during the 2021-2022season among 165 men players from 10 teams registered in the Korean professional basketballleague. Methods From May 10, 2021 to April 6, 2022, the injury rate, injury part, type of injury,mechanism of injury, and injury period were recorded by the qualified certified athletic trainers. Forall data,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alculated an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 The totalexposure of players (AE; athletic exposure) was 61,215, with about 3.22 injuries (3.22/1,000 (AE);95% CI = 2.77, 3.67) occurring when one player participated in training and match 1,000 times, andthe total time exposure (TE) was 5,967,720 minutes, resulting in 0.033 injuries (0.033/1,000 (TE); 95%CI = 0.028, 0.038) per 1,000 minutes of training and match. As for the injured part, lower extremityinjuries (136 cases, 69.1%) were significantly more common than upper limb injuries (22 cases,11.1%). The most common types of injury was muscle sitting (49 cases, 16.5%). The mechanism ofinjury was non-contact injuries in 132 cases (67.4%), more than contact injuries in 64 cases (32.6%). In the period of injury, 103 cases (50.5%) occurred in the off-season and 101 cases (49.5%) in theseason. Conclusion It is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training programs suitable for theKorean professional basketball league and the players' situation and exercise programs to preventinjury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프로농구리그에 등록된 10개 팀 165명의 남자선수를 대상으로 2021-2022 시즌중 근골격계 부상 현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21년 5월 10일부터 2022년 4월 6일까지 부상율, 부상부위, 부상종류, 부상원인, 부상시기를 자격을 갖춘 각 팀의 선수트레이너(ATC)들이 기록하였다. 모든자료는 SPSS Ver.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치를 산출하고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총 선수 노출(AE)은 61,215명, 선수 한 명이 훈련과 경기에 1,000번 참여 시 약 3.22번의 부상(3.22/1,000(AE); 95% CI = 2.77, 3.67)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 시간 노출(TE)은 5,967,720분, 훈련과 경기에 참여한 1,000분당 0.033번의 부상(0.033/1,000(TE); 95% CI = 0.028, 0.038)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상 부위는 하지 부상(136건, 69.1%)이 상지 부상(22건, 11.1%)보다 월등하게많이 발생하였다. 가장 많은 부상 종류는 근육 좌상(49건, 16.5%)으로 나타났다. 부상 원인은 비접촉부상이132건(67.4%)으로 접촉성 부상 64건(32.6%)보다 많이 발생했다. 부상 시기는 비시즌이 103건(50.5%),시즌 101건(49.5%) 발생하였다. 결론 한국 프로농구리그와 선수들의 실정에 맞는 훈련 프로그램과. 부상예방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침술과 스포츠 기능성 크림의 적용이 지연성 근통증 완화에 미치는 영향

        오재근,권일수,지무엽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upuncture and sports cream on the mitigation DOMS(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24 male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groups, acupuncture group(AG), sports cream group(SCG), static stretch group (SSG). The range of motion of elbow joint, proprioception of elbow joint(AJPS, PJPS), isokinetic strength, and visual analogue scale(VAS) were measured at pre and 24h, 48h, 72h, 96h after causing delayed muscle pain. The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OM, proprioception, muscle pain(VAS). At post-exercse 48H, the sports cream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acupuncture group (p=.040), at post-exercise 96h, a significantly higher muscle endurance than the static stretch group (p=.040). 본 연구는 침술과 스포츠 크림의 적용이 지연성근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20대 남자 대학생 24명을 대상으로 침술적용군(AG), 스포츠크림군(SCG), 정적스트레칭군(SSG)으로 임의 배정하였다. 지연성근통증을 유발한 후 24시간, 48시간, 72시간, 96시간 마다 중재 적용 후 관절가동범위, 고유수용성감각, 등속성근력, 자각적통증지수(VAS)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관절가동범위, 고유수용성감각, 자각적통증지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등속성 근력에서 스포츠크림군이 48h에서 침술군 보다 유의하게 높고(p=.040), 96h에서 정적스트레칭군 보다 유의하게 높은 근지구력을 나타냈다(p=.040).

      • KCI등재

        8주간의 코펜하겐 운동이 여자 엘리트 고등학교 축구 선수의 서혜부 부상 위험 요소와 방향 전환 능력에 미치는 효과

        홍예인,박한수,지무엽,오재근,윤진호 한국스포츠학회 2024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2 No.1

        요약본 연구는 8주간의 코펜하겐 운동이 서혜부의 부상 위험 요소인 고관절 내전 편심성 근력, 고관절 내전/외전 편심성 근력 및 방향 전환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진행하였다. 여자 고등학교 축구 한 팀을 하나의 군집으로 정의하는 군집표본 방식으로, 연구 대상자는 대한축구협회에 2년 이상 등록된 여자 고등학교 축구 선수로 24명을 모집하여, 코펜하겐 운동 집단(Copenhagen exercise group; CAE; n=12)과 노르딕 컬 운동 집단(Nordic curl group; NCE; n=12)으로 구분해 8주간 각각의 운동 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여자 엘리트 고등학교 축구 선수에게 8주간 코펜하겐 운동의 적용은 서혜부 부상 위험 요소인 고관절 내전 편심성 근력과 고관절 내전/외전 편심성 근력 비율이 비주축발에서 증가와 경기력 관련 요소인 방향 전환 능력이 향상된 것이 본 연구를 통해 증명하였다. 따라서 여자 엘리트 고등학교 축구 선수에게 서혜부 부상 위험 요소를 감소시키고, 방향 전환 능력을 개선시키기 위해 준비운동 프로그램에 코펜하겐 운동을 적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8 weeks of Copenhagen exercise on hip adduction eccentric strength, hip adduction/abduction eccentric strength, and change of direction ability, which are risk factors for groin injuries. This study was designed as a clus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 which a team was defined as one cluster of female high school soccer team. The recruited twenty-four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a Copenhagen exercise group(CAE; n=12) and Nordic curl exercise group(NCE; n=12), and then the intervention was applied for 8 weeks. As a result, application of the Copenhagen exercise to female elite high school soccer players for 8 weeks resulted in an increase in hip adduction eccentric strength and hip adduction/abduction eccentric strength ratio at the non doninant leg, which are risk factors for groin injury, and improved change of directio ability, a performance related factor. Therefore, the Copenhagen exercise is recommended to be included in warm-up program to reduce risk factors for groin injury as well as improve change of direction ability.

      • KCI등재

        각속도 차이에 따른 발목관절 등속성 훈련이 성인의 균형능력과 고유수용성 감각에 미치는 영향

        정대윤,윤진호,지무엽,오재근,송기재 한국웰니스학회 2017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2 No.4

        본 연구는 건강한 성인 16명을 대상으로 8주간 등속성 근력 강화군(60IEG)과 근지구력 강화군(180IEG)으로 구분하여 등속성 근력, 균형능력과 고유수용성감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각속도 60°/sec의 검사에서 두 집단 모두 배측, 저측 굴곡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1), 상호작용 효과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특히, 각속도 60°/sec의 훈련을 실시한 60IEG에서 180IEG보다 높은 근력 증가를 나타냈다. 각속도 180°/sec 검사에서 두 집단 모두 배측, 저측 굴곡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1), 상호작용 효과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특히, 180IEG에서 60IEG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지구력 증가를 나타냈으며, 안정성 지수는 60IEG과 180IEG 두 집단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p<.01). 상호작용 효과에서 180IEG가 60IEG 보다 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체중분포지수는 60IEG과 180IEG 두 집단 모두 시기 간 감소하였으며(p<.01, p<.05), 고유수용성감각 검사에서는 능동적 관절위치감각(AJPS)에서 180IEG의 관절위치감각 오차 각도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발목 관절 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시켜 준다면 신체 안정화와 균형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performed to testify the effect of ankle joint isokinetic exercise according to angular velocity on balance and proprioception. 16 healthy adul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60°/sec isokinetic training group (60IEG, n=8), 180°/sec isokinetic training group (180IEG n=8)- and they were trained for 8 weeks. In both two groups, interaction effect was shown(p<.001). As a result of post hoc test, muscle strength was increased more in 60°/sec isokinetic training group than 180°/sec isokinetic training group and endurance was more increased in 180°/sec isokinetic training group than 60°/sec isokinetic training group. Stability index decreased more decreased in 180°/sec isokinetic training group than 60°/sec isokinetic training group significantly(p=.001) and showed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s. weight distribution index values decreased in both groups(p<.01, p<.05). In proprioceptive sense pre/post exercise test between the groups, active joint position sense test(AJPS) showed significantly reduced angle position error in 180IEG(p<.05). In conclusion, ankle joint exercise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which based on these results may have effect on body stabilization and balance impr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