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19 팬데믹에서의 유아교육기관 관련 이슈 분석 :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주현정(Ju, Hyun-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2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온라인 빅데이터에 나타난 유아교육기관과 관련된 키워드를 네트워크 방법 분석하여 쟁점이 되었던 이슈들을 파악하고 기록하여 추후 감염병 상황에서의 효율적 대처를 위한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Textom에서 ‘코로나19+유치원’, ‘코로나19+어린이집’ 키워드를 활용하여 2020년 1월1일부터 2020년 8월 15일까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키워드는 정제 후 빈도분석하였으며 상위 200위의 키워드를 활용하여 중심성, 커뮤니티 분석하였다. 또한, 교사와 부모 에고의 네트워크를 분석 하였다. 분석 및 시각화에는 Ucient 6와 Gephi 0.9.2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확산, 방역, 돌봄과 관련된 키워드가 높은 빈도를 나타냈으며 ‘감염과 긴급대응 이슈’, ‘지역사회 교육지원 이슈’, ‘극복 캠페인 이슈’, ‘장기 휴원 따른 이슈’, ‘점검강화 이슈’가 군집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와 부모 키워드의 에고 네트워크 분석 결과 각 에고를 중심으로 화자되었던 이슈들이 도출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감염병 상황에서의 대응에 대해 반성적 고찰하고 효율적 대처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가 감염병 상황에서 보다 유연한 대처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ssues related to early childhood institute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nd to propose the effective methods for infectious disease outbreak in near future again.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keywords including COVID-19 with kindergarten and COVID-19 with daycare center, were collected through Textom from January 1, 2020 to August 15, 2020. The gathered keywords were cleansed and analyzed in frequency. Centrality and community were analyzed with the keywords of the top 200 in frequency. The ego network of parent and teacher keywords was analyzed. Ucient 6 and Gephi 0.9.2 were employed for analysis and visualization. It is found that keywords associated with diffusion, prevention and child care showed a high frequency and centrality. There were the following five clusters: (1) infection and response of emergency, (2) educational support in local community, (3) overcoming campaigns, (4) issue due to long-term closure, and (5) reinforcement of inspect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teacher and parent ego networks, issues related to each ego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implications of these contents, effective countermeasures were discusse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for flexible plan in the infectious diseases outbreak.

      • KCI등재

        중등학교 아동학․가족학 분야의 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내용분석

        주현정(Joo, Hyun jung),박미정(Park, Mi Jeong),김승희(Kim, Seung Hee),최성연(Choi, Seong Youn),이영선(Lee, Young Sun),최예지(Choi, Ye J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1

        이 연구는 7차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이 중등학교에 적용된 2001년부터 2015 교육과정이 적용되기 시작한 2018년 3월까지 발표된 중․고등학교 아동학·가족학 분야의 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의 방법적 특징과 교수・학습 과정안의 내용을 분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분석대상은 아동학ㆍ가정학 분야의 교육프로그램 관련 학위논문과 학회지 논문으로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검색을 통해 중ㆍ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수행한 34편의 연구를 선택하였고, 연구자 6인이 협의를 통해 분석틀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발표 시기는 7차 교육과정 적용시기에 집중되어 있고, 발행기관은 한국교원대와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로 편중되어 있었다. 개발된 전체 연구의 대부분이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한 후 수업에 적용하였으며, 수업 적용에 대한 평가는 실험, 통제 집단을 두고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는 경우가 많았다. 연구대상은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한 것이 많았으며, 수업실행 규모에서는 1개교에서 실행한 연구가 많았고, 집단의 크기는 100명~200 명 미만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행한 연구가 많았다. 연구 주제는 ‘청소년기 발달 특징’과 ‘청소년기의 성과 친구 관계’에 관한 내용이 많았으며, 점차 시기별로 교육과정 변천 내용에 따라 학습 내용이 다양해져 이에 따라 연구 주제도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습 방법은 실천적 문제중심학습과 협동학습 등을 주로 활용하였 고, 교수․학습 자료는 학습 활동지와 평가 자료 등 다양한 자료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아동학·가족학 분야의 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의 기초 자료가 되고, 중등학교에서 아동학 가족학 분야의 수업과 평가를 하는 가정과교사에게 정보를 제공하여 연구물을 활용하게 하는 교량 역할을 하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in secondary school childhood and family fields, which were announced from 2001 to March 201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 of the lesson plan developed by the study.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ses related to educational programs in the fields of child studies and family studies, and by the search of theses. Then, 34 research studies were conducted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6 researchers selected the analysis framework and reached consensus. As a result, the announcement period was focused on the application period of the 7th curriculum, and the presentation institution was concentrated on the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he Korean Journa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Most of the research was applied to the lessons after develop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and the evaluation of the application of the lessons was preceded by pre-test and post-test with an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ce Development and Friendship Relationship of Adolescence , and it was found that the contents of study varied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curriculum gradually according to the perio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used various methods such as practical problem-based learning and cooperative learning, and various materials such as learning activities and evaluation materials were developed for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in the fields of child studies and family studies. It can also be used as a reference in teaching and evaluation in the field of child studies and family studies in the secondary school field.

      • KCI등재후보

        지역컨벤션산업정책에 있어서 협력적 거버넌스 형성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주현정(Hyun Jung Joo)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13 觀光硏究論叢 Vol.25 No.1

        본 연구는 지역컨벤션산업 정책환경과 거버넌스 형성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지역컨벤션산업 정책과정에서 거버넌스 형성을 촉진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산업정 책환경 조성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지역컨벤션산업정 책과 협력적 거버넌스, 거버넌스 형성의 영향요인 등에 관한 문헌검토가 이루어졌으며, 이를 토대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구성하고, 지역컨벤션산업 정책행위자를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를 통하여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컨벤션산업 정책환경 구성 요인 가운데 이해관계자역량, 제도환경, 지방정부역량 등의 요인이 거버넌스 형성에 유의 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요인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파악하기 위한 계층적 회귀분석결과, 지역이해관계자역량과 지역제도환경, 지방정부 역량 순으로 거버넌스 형성을 설명하는 중요한 설명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조절효과 분석결과, 국제회의도시 지정시 기는 지역의 일반환경과 거버넌스 형성 간의 관계에서만 완충적 조절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전반적인 영향관계에는 유의적이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지역컨벤션산업정책과정에 있어 협력적 거버넌스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거버넌스적 운영 기제 마련을 위한 지방정부의 노력과 함께 거버넌스 형성을 촉진하기 위한 환경적 조건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이해관계자의 역량배양, 정책과정 참여를 위한 제도환경마련, 지방정부역량배양 등 거버넌스 형성을 촉진하기 위한 산업정책환경 조성방안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desirable composition of policy environment of local convention industry, which promotes to form collaborative governance by analyzing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policy environment and governance formation. The literature review covered the concepts of local convention industry, collaborative governance, influential factors of governance formation. A research model was designed and hypotheses were established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and survey data were collected by local convention industry policy actors in international convention citie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execu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local stakeholders` capacity, local institutional environment, and local government capacity influenced governance formation, and the result of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found that these influential factors be important to explain the formation of collaborative governance in local convention industry policy. The study also found that a designation period of convention city did not have significant buffering interaction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environment and governance formation. As practical implications, the study suggested that an industrial political environment should be prepared in ways that local stakeholders` capacity along with local government capacity should be developed, and that an institutional environment should be established to build a collaborative governance operating system.

      • KCI등재

        빅데이터를 활용한 유아 권리에 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2011년부터 2021년을 중심으로

        주현정(Ju, Hyun-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4

        목적 본 연구는 온라인 공간의 빅데이터에서 유아 권리와 관련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고 분석하여 우리 사회의 유아 권리에 대한 주요 이슈와 담론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Textom을 활용하여 ‘유아 권리’와 관련된 텍스트를 마이닝하고 1차, 2차에 걸쳐 정제하였다. 정제한 키워드의 빈도를 분석하고 상위 200위의 키워드를 활용하여 네트워크의 기본 속성, 각 키워드의 중심성을 분석하였다. 네트워크 내 하위집단에 대해 살펴보고자 커뮤니티 분석을 하였으며, 유아 권리 담론에 영향을 미쳐온 ‘유엔아동권리협약’과 최근 유아 권리 담론에서 크게 회자 되고있는 ‘놀권리’에 대해 에고 네트워크 분석하였다. 분석에 활용한 도구는 Ucinet6와 Gephi 0.9.2이다.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네트워크를 시각화 하였으며 시각화에 활용한 도구는 Gephi 0.9.2이이다. 결과 빈도 분석결과 ‘유아교육기관’, ‘교육’, ‘부모’, ‘놀이’, ‘유아교육’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 외 법과 정책, 관련 기관, 유엔아동권리협약의 기본권 관련 키워드가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다.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을 분석한 결과 각 중심성의 상위 10위 내에 ‘유아교육기관’, ‘유아교육’, ‘교육’, ‘보장’, ‘부모’, ‘지원’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상위 30위 내에 나타난 키워드는 유아의 보편적 권리 관련 키워드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뮤니티 분석 결과 ‘법과 정책’ 군, ‘비정부기구와 유아 권리 교육’ 군, ‘지방자치단체의 지원’ 군, ‘의무이행자의 교육’ 군, ‘돌봄과 배움의 경제적 지원’ 군이 나타났다. ‘유엔아동권리협약’과 ‘놀권리’에 대한 에고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에고와의 연결강도, 에고 내트워크 내의 주요 키워드의 위치에 관한 정보가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통해 최근 10년간의 우리나라 유아 권리 보장에 대해 이해하고 발전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가 유아 권리 보장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search the keywords for children’s rights in the online, to discuss the related issue, and finally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for examining how children’s rights are upheld in our society. Methods The texts related to ‘children’s right’ were mined using Textom and refined two times. The frequency analysis of the refined keywords was conducted, and the basic feature and the centrality of the keywords were obtained through the top 200 keywords refined. A community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subgrade within the network. The ego network analysis was carried out on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and the ‘right to play’ influencing the discourse on children’s rights. The tools used in this analysis and in the visualization were Ucinet6 and Gephi 0.9.2, respectively. Results The rankings of the frequency analysis were education institu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parent, play, early childhood education, laws and policies, related institutions for early childhood, and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As a result of analyzing connection centrality, proximity centrality, and mediation centrality, early education institution for early childhood, early childhood education, education, guarantee, parents, and support were included in the top 10 for each centrality. The keywords in the top 30 were mainly related to the universal rights of children. As a result of community analysis, groups of law and policy,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and children s rights education, local government support, education for obligees, and economic support for caring and learning were categoriz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go network on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and the right to play, information on the strength of connection with the ego and the location of key keywords in the ego network was derived. Conclusions The development plans for the protection of children’s right in Korea over the past ten years were discuss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the analysis and the generated data are a valuable resource contributing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right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생의 학습 스타일에 따른 비(非)구조화된 수학문제에서의 문제해결전략 및 정당화 유형 분석

        주현정(Joo, Hyun Jung),김민경(Kim, Min Ky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hildren s problem solving strategy and mathematical justification while solving ill-structured problem based on the Learning Styles. As results, problem solving strategies and mathematical justification types showed differences among learning styles. Problem solving strategies used by the students varied according to the students information perception type and information management type. Similarly, mathematical justification used by the students varied according to their information management type. Students think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learning styles, so teachers should be interested in their learning styles and encourage various problem-solving strategies and mathematical justification types. To a great degree, solving ill-structured problems helps students to develop their mathematical literacy.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비(非)구조화된 수학문제가 주어졌을 때 학습 스타일에 따라 보이는 문제해결전략과 정당화 유형 분석을 목적으로한다. 연구 결과, 각 학습 스타일에 해당하는 학생들은 그들이 지니고 있는 정보 지 각 유형과 정보 처리 유형의 경향성과 일관되는 방식으로 사고하였다. 문제해결전략은 학생의 정보 지각 유형(구체적 경험, 추상적 경험)과 정보 처리 유형(능동적실험, 반성적 관찰)에 따라 차이점이 나타났고, 수학적 정당화 유형은 학생의 정보 처리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학생들의 폭넓은 수학적 사고를 장려하는 비구조화된 문제의 적용을 통해 학생 자신의 학습 스타일을 고려한 문제해결에 대한 후속연구가 기대된다.

      • KCI등재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관계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중학교 1학년 "가족구성원간의 의사소통" 단원을 중심으로

        주현정 ( Hyun Jung Joo ),조병은 ( Byung Eun Cho ) 대한가정학회 2010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48 No.8

        This research explored the importance of conflict resolution in communication between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A teaching and learning plan on communication using the Active listening, I-message method and no-lose conflict resolution method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teaching the ``Communication among Family Members`` unit in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and technology textbook. The experimental class of 203 students using the active listening, I message and no-lose conflict resolution method in communication was compared with a comparative class of 163 students using only the active listening and I message method, investigating the amounts of communication, conflicts, functional communication and degree of satisfaction the students perceived regarding relationships with their parents via pre and post tests.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their amounts of communication and functional communication. However, only the experimental class showed an increase in their degree of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their parents. Both groups evaluated the lesson positively.

      • KCI등재

        독일의 베를린 액티브 시니어(Active senior) 세대 학습자들의 사회참여를 위한 고등평생교육 모델의 사례를 통한 시사점

        주현정(Ju, Hyun Jung) 한독교육학회 2021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6 No.2

        평생학습사회로의 변화와 고령인구의 급속한 증가로 인해 고등평생교육의 새로운 교육대상으로 액티브시니어 세대가 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독일 대학에서 실행되고 있는 액티브시니어 세대의 사회참여를 위한 고등평생교육 사례 탐구를 통하여 한국적 상황에서 독일 대학평생교육 모델이 줄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한국의 대학평생교육 프로그램 설계와 교육방법을 위한 이론적 기초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해석학적 연구에 기반하여 문헌분석과 내용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학습자가 왜 학습하는지, 왜 학습을 거부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제시하기 위해 독일 교육학 담론에서 학습자의 학습참여 의미를 탐색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크게 네 가지 영역에서 고등평생교육의 이론과 실천을 위한 새로운 방향성과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째, 대학의 사회적 책무성과 고령사회를 위해 새로운 교육대상자들의 교육적 요구에 맞추어 학습자(수요자)중심교육으로 대학평생교육의 방향과 체계를 제도적으로 재구성해야 한다. 둘째, 학습은 세계와 상호작용으로서 학습과 사회적 행위로서 학습을 통하여 인간의 사회적 참여를 확장하는 행위방식이다. 셋째, 지속가능발전사회를 위해 도시 전체가 사회적 공존이라는 철학에 기초하여 일상생활과 연관된 교육주제(도시, 환경, 건강)를 통하여 인간 행동양식의 총체적 변화를 추구해야 한다. 넷째, 대학의 제도적 지원을 통하여 학습도시문화를 조성하고 지역사회 모든 구성원들이 공존할 수 있는 가치지향적인 교육 방향은 우리에게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change to a lifelong learning society and the rapid increase of the elderly population have led to the emergence of the active senior generation as a new educational target for higher lifelong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implications of the German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model in Korean situations through the exploration of high-lifelong education cases for social participation of the active senior generation currently conducted at German universities. Al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design and education method of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programs in Korea.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we utilize literature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methods based on hermeneutic studies. In order to present a theoretical basis for fundamental questions about why learners learn and why they refuse to learn, the meaning of learners participation in learning was explored in German pedagogical discours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new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the theory and practice of higher lifelong education in four major areas. First, for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universities and an aging society, the direction and system of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must be systematically reorganized into learner (consumer)-centered education in line with the educational needs of new subjects of education. Second, learning is an action method that expands human social participation through learning as an interaction with the world and learning as a social action. Third, for a sustainable development society, based on the philosophy that the entire city is social coexistence, it is necessary to pursue a total change in human behavior through education topics related to daily life (city, environment, health). Fourth, through institutional support from universities, the value-oriented education direction that all members of the community can coexist provides us with implications.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 온라인 플랫폼 프로젝트중심학습을 활용한 전문직 간 교육 프로그램 개발 : 보건계열 대학생을 중심으로

        주현정 ( Hyun-jung Ju ),윤보영 ( Bo-young Yoon ),천부순 ( Pu-soon Chun ),김상희 ( Sang-hee Kim ) 대한설비관리학회 2021 대한설비관리학회지 Vol.26 No.2

        Online learning has been provided to students in universities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can support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develop problem-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PE) develops healthcare students as future interprofessional team members by learning together about each others’ roles and practicing collaboration and teamwork, which can provide quality patient c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PE program utilizing online platform project-based learning. In the IPE program, participants are faculty members and students from three departments―medicine, nursing, and pharmacy. At the phase of design, we defined three core competencies―communication, collaboration, and professionalism―and course objectives, organized student groups and matched the groups with faculty members using a team-teaching model, and selected online platform project-based learning as instructional methods. At the phase of development, we developed learning processes and content for a fifteen-week-long course, including six steps: preparing, selecting, planning, executing, creating, and presenting, and evaluating. We also developed a guide for instructors and strategies for students’ team projects. For instructors to play a role facilitators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faculty development systems and resources will be needed. Future studies will need to conduct program evaluation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IPE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