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 명의 구보와 都市 散策者 스토리텔링 -朴泰遠, 崔仁勳, 주인석의 小說을 중심으로-

        주지영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1

        In this article, we decided to set up storytelling for urban walkers based on three novels: on Novelist Mr. Gubo’s Day by Park Tae-Won, Choi In-Hoon, Joo In-Seok. To this end, we used the motif concept to extract common motifs and discriminatory motifs from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three works, and put forward a storytelling strategy that can be used to create them. Based on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ree works, the common motif of urban walker novels can be arranged in four ways. First, all three 'Gubo' are novelists and live without a fixed job. Second, all three 'Gubo' depart from their homes, take a walk in downtown Seoul, and come home again. Third, all three ‘Gubo’ think about the object, observing a certain place or meeting a particular person while taking a walk in the city. Fourth, the memory of the past is inserted in the form of a sketch or a recall. Distinct motifs that separate the three works include a temporal background, spatial background, walking path, and urban landscape. In particular, the memory recall space can be drawn as a positive space or a negative space compared to Seoul. The question of how to mean each space is closely related to the consciousness of the question of the age in which the creator belongs, so each space should be meant based on it. 주지영, 2019, 세 명의 구보와 도시 산책자 스토리텔링, 어문연구, 181 : 231~256 이 글에서는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최인훈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 주인석의 소설가 구보씨의 하루 의 세 작품을 대상으로 도시 산책자 스토리텔링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모티프 개념을 활용하여 세 작품의 서사 구조에서 공통된 모티프와 변별적 모티프를 추출하고, 이를 창작에 활용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 전략을 제시하였다. 도시 산책자(都市 散策者) 소설의 공통 모티프는 일정한 직업이 없는 소설가 구보, ‘집-서울 도심 산책-귀가’의 경로, 특정 장소와 특정 인물 등에 대한 사유, 과거 기억의 삽입 등의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변별적 모티프는 각 작품의 대비를 통해 드러난다. 인물이 도시를 산책하는 과정에서 각 작품마다 그 시대의 최첨단적인 삶과 풍속을 표상하는 도시 장소가 변별성을 갖는 것으로 드러나며, 각 작품의 문제의식과 주제의식에 따라 회상의 공간이 변별성을 드러낸다. 특히 과거 회상의 공간은 당대를 바라보는 창작자의 문제의식과 밀접하게 연관되는 것이므로, 창작자의 의도와 주제의식에 바탕을 두고 회상의 공간을 의미화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임플란트주위질환의 유병율, 진단, 치료 그리고 한계

        주지영 대한치과의사협회 2022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60 No.8

        Peri-implant diseases are prevalent with a weighted mean prevalence rate of 43% across Europe and 22% across South and North America. Although the main etiologic agent is bacterial biofilm, various factors influence the initiation and progression of the disease. Unfortunately, the treatment of peri-implant diseases is at best favorable in the short term with a high rate of persistent inflammation and recurrence. Therefore, it is sensible to consider and control all potential factors that may predispose an implant to peri-implant tissue inflammation in an attempt to avoid the disease. If periodic maintenance treatment is not performed, there is a high probability of recurrence of the disease and can lead to the loss of the implant.

      • PMMA-co-PMAAM 공중합체 합성 및 열적 특성

        주지영,배상복,박동협 한국공업화학회 2015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5 No.0

        고출력 LED 광원을 활용하여 시각적 효과를 높이고 에너지 절감을 유도하는 조명기기 및 전광판 관련 기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LED 조명장치의 높은 휘도, 좁은 배광분포, 시각적 비대칭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빛을 넓은 각도로 확산 시키는 PMMA 또는 PC 소재를 광확산 렌즈를 널리 사용하고 있으나, LED 모듈 내부의 온도상승(100°C 이상)에 의한 렌즈의 황변현상, 광투과율 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렌즈 소재의 고내열, 광투과율을 높이기 위해PMMA-co-PMAAM 공중합체를 도입하였으며, MAAM 함량을 변화시켜hydrogen bonding 결합력 차이에 따른 내열성 및 광학 특성을 측정하였다.

      • KCI등재

        방현석 「존재의 형식」에 나타난 주체와 타자의 관계와 윤리

        주지영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8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60

        Bang Hyeon-seok's novel " The Form of Being " contains the answers that novels that extend their space territory to overseas. This novel explored how to treat Asian countries, establish relationships between characters, and solve Korean social problems. To this end, this novel presented three characters. First, the subject tend to look at the object in a violent-assimilate. They define Vietnam as the object that should be suppressed and controlled, and they try to assimilate it with the exclusive use of theirs own interests. Second, the subject tend to look at the object in a empathy. In this case, the person who respects the language and culture of Vietnam can empathize with the object and communicate emotionally. Third, the subject tend to look at the object in a having a conversation. In this case, the relationship between a person and a person does not control and suppress the object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subject but on responsibility and consideration for the object. Finally, it is an interactive relationship. In this attitude, we can see the appearance of a new ethical subject that can not exist without the object. As a result, it emphasized that Vietnam and Korea should be able to respect each other as the valuable object. And people who realize and practice other people's ethics can be a new ethical subjects. 방현석의 「존재의 형식」은 해외로 영역을 확장하는 소설이 어떠한 방향성을 갖춰야 하는가에 대한 분명한 문제의식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특히 아시아 국가를 대하는 태도와 관계 설정에 대한 고민, 그리고 한국사회의 문제점에 대한 깨달음, 그 해결 방안에 대한 모색이라는 내용을 담아내고 있다는 점에서 이 작품은 아시아로 영역을 확장하는 내적 필연성을 갖추고 있다. 이 글은 이러한 측면을 염두에 두고 작품에 나타나는 주체와 타자와의 관계 양상에 따라 작품 속 인물들을 세 가지 인물형으로 분류하고 그 특징과 의의를 고찰하였다. 먼저 타자를 지배하고 억압하는 폭력적-동화적 타자관에 해당하는 인물형이다. 이들은 베트남을 억압하고 지배해야 할 타자로 규정하고, 자국의 이익과 자문화 중심주의의 입장에서 베트남을 전유하고 동화시키려 한다. 다음으로 타자와의 공감과 연민의 감정을 가지고 베트남이라는 타자와 관계를 맺는 공감적 타자관에 해당하는 인물형이다. 이들을 통해 베트남의 언어와 문화를 존중하면서 그 언어와 문화에 공감하고 정서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주체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타자를 배려하는 대화적 타자관에 해당하는 인물형이다. 이들의 경우, 인물과 인물 사이의 관계가 주체의 자기동일성에 입각해 타자를 지배하고 억압하는 것이 아니라, 타자에 대한 책임감과 배려에 근거하여 사유하고 행동하는 태도를 보여준다. 이러한 태도에서 타자 없이는 ‘나’가 있을 수 없다는 새로운 윤리적 주체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작품은 타자의 윤리를 실천하는 베트남인 ‘레지투이’를 통해 한국인 주체가 베트남을 전유하거나 동화시키는 대상으로 타자화하는 것을 비판한다. 그 결과 이 작품은 베트남과 한국이 서로를 소중한 타자로 배려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가져야 함을 강조한다. 나아가, ‘타자의 윤리’에 대해 깨닫고 그것을 실천하는 인물들을 통해 아시아로 영역을 확장하는 한국소설이 지향해야 할 새로운 윤리적 주체의 모습을 그려내고 있다.

      • KCI등재

        <新增東國輿地勝覽> 慶州府 題詠詩에 나타난 古都의 심상

        주지영 동아시아고대학회 2019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6

        Gyeongju is referred to as ‘Capital of 1,000 Years’ and it’s the representative ancient capital of Korea. From 57 B.C when Silla Dynasty was founded to 935 when Silla Dynasty collapsed, Gyeongju served as the capital for 992 years. As Gyeongju was the ancient capital for a long time, Gyeongju allows exploration on image of ancient capital found in the literature. Through Gyeongju, one can explore how ancient capital was experienced, emotions brought by ancient capital, and how ancient capital is interpreted. Especially, Chinese poem literature based upon Seokyung (literature on natural scenery) and Seojung (lyrics about emotion) can be the first clue. Joseon Dynasty’s representative human geography 『Sinjeung Dongguk Yeoji Seungnam(Revised and Augmented Version of the Survey of the National Geography of Korea)』’s Gyeongju Section includes Chinese poetry more than other regions. This shows that Gyeongju had rich literary significance at that time. In regard to titles of Chinese poems in Gyeongju regions, they have clear tendency to express Gyeongju has the region with rich ancient remains. However, when taking a closer look into the poems, the image of Gyeongju as ancient capital is not fragmentary. First, Gyeongju is described as a region of national culture with long history. Also, Gyoengju is recited as a space of sorrow with feeling of decline and fall. Meanwhile, Gyeongju is also described as a space for looking back at one’s life by enjoying historical remains and natural scenery together. In Chinese poems, Gyeongju is accepted and described in various ways and they show the multiple aspects of ancient capital. 경주는 ‘천 년의 수도’로 지칭되는, 한국의 대표적인 고도(古都)이다. 신라가 건국된 기원전 57년부터 멸망을 맞은 935년까지 경주는 992년 동안 수도로 기능했다. 오래 전에, 오랜 기간 수도였다는 경주의 특성은 문학에 나타난 고도의 심상에 대한 탐구를 가능하게 한다. 경주라는 도시를 통해 고도가 어떻게 체험되는지, 어떠한 감정을 불러일으키는지, 어떻게 해석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서경(敍景)과 서정(敍情)을 골자로 하는 한시 문학은 그 우선적 실마리가 될 수 있다. 조선의 대표적 인문지리지인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경주부에는 다른 지역에 비해 많은 양의 한시가 수록되어 있다. 이는 당시 경주가 문학적으로 풍부한 의미를 지니고 있었음을 방증한다. 경주 지역의 한시를 모아둔 제영 항목에서 표제 부분을 보면, 경주를 과거의 유물로 점철된 지역으로 표현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그런데, 시의 내용들을 좀 더 면밀히 살피면 고도 경주의 심상이 단편적이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된다. 먼저, 경주는 유구한 역사를 품은 민족 문화의 지역으로 그려진다. 또한, 쇠망과 쇠락의 분위기가 흐르는 애상의 공간으로 읊어지기도 한다. 한편, 인간 역사의 산물과 자연의 형상을 함께 바라보며 삶을 성찰하게 하는 공간으로 드러나기도 한다. 한시 속에서 경주는 다양하게 받아들여지고 표현되며 고도의 다면적 심상을 보여준다.

      • KCI등재

        ‘신화’와 ‘전설’ 콘텐츠의 소설적 변용과 의미화 전략 -이청준의 『신화를 삼킨 섬』을 중심으로

        주지영 구보학회 2018 구보학보 Vol.0 No.19

        This article contains analysis of transformation and signification on the contents of myth and legend in novel The Island Swallowing a Myth. This novel was composed with combinations of narrative story that involves the myths of shamanism and legend. This novel composed with prolog, narrative 1~18, epilogue. The prolog and epilogue informed of the legend of ‘Agijangsu’ an oral tradition narrative story that meaning of baby general known only in Jeju Island. The narrative 1~18 informed of the myths in Jeju Island. The myths have showed shamanistic-songs three times shaman’s rites ‘Gut’ that is ‘Bamdangshin Bonpoori’, ‘Chogam-je Bonpoori’, ‘Baridegi’. The character types generally known of the folktale of ‘Agijangsu’ replaced with characters of the main narrative by similarity. As a result, the types of characters are opposed to those of rulers and subjects, perpetrators and victims, and ethical terms of good and evil. But this aspect is overturned by the story of Jeju's ‘Agijangsu’ that composed with ‘savior’, ‘bogus savior’, the third people who believed in the common destiny of the survival unit. In This novel, the Jeju Myth is presented as an alternative to preventing innocent sacrifices caused by power groups conflicts. It is the world of Jeju mythology where God, man, nature, earth, world and earth are united and live together. Through this fictional transformation of the contents of mythology and legend, this novel would solve the problems of the Jeju islanders, taking issue with the painful lives of those who are sacrificed for the group of seeking power in the real world. One way to solve such problems is to shape the soul of the Korean people inherent in that Jeju Island's collective unconscious through Jeju myths and legends. 이 글은 『신화를 삼킨 섬』에는 신화와 전설을 비롯한 각종 설화가 작품 서사 전개과정에서, 또 주제형성 과정에서 중요 요소로 작동하고 있다고 보고, 이 작품에서 신화와 전설이 어떻게 소설적으로 변용되고 의미화 되는지에 주목하였다. 이 작품은 프롤로그와 에필로그에 ‘아기장수 설화’가 전반부와 후반부로 나뉘어 배치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 ‘1~18’까지의 번호를 단 서사가 전개되고 있는데 그 서사 속에 제주 아기장수 설화와 제주 서사무가가 제시되고 있다. 전설에 해당하는 아기장수 설화는 한국에서 기록, 전승되는 보편적인 아기장수 설화와 제주도에서만 알려진 아기장수 설화가 대비되고 있다. 한편 신화에 해당하는 제주도 서사무가는 서사 내에서 세 번에 걸쳐 벌어지는 굿판에서 굿 제차의 형태로 구술성이 강조되어 제시되는데, 뱀당신 본풀이, 초감제 본풀이, 그리고 바리데기 무가까지 세 서사무가를 통해 제주 신화가 제시되고 있다. 일반적인 아기장수 설화의 인물 유형은 유사성에 의한 대체에 의해 중심 서사에서 일어나는 대립 구조 속의 인물들에 연결되면서 지배자와 피지배자, 가해자와 피해자, 선과 악의 윤리적 양항을 대립시키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측면은 제주도 아기장수 설화를 통해 전복된다. 곧 제주 섬사람들은 김통정, 김방경 모두 아기장수 설화에 나오는 ‘가짜 구세주’일 뿐이라 믿으면서, 권력의 그 어느 편에도 서지 않고 제3의 도민층으로 살면서 자신들을 ‘생존단위의 공동운명체의 백성’으로 여긴다. 이러한 섬사람들의 지향점을 이끌어내는 것이 중심 서사에 제시된 세 가지 서사무가와 관련된 신화와 그 신화를 구현하는 심방들이다. 이 작품에서 제주 서사무가에 바탕을 둔 제주 신화는 권력 집단의 대립과 그 대립에 의한 무고한 희생을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신과 인간과 자연, 이승과 저승, 내세와 현세가 하나가 되어 함께 어우러져 사는 제주 신화의 세계가 바로 그것이다. 신화와 전설이라는 콘텐츠의 이러한 소설적 변용을 통해, 이 작품은 현실의 경험세계에서 권력을 추구하는 집단과 그 집단에 희생된 민중들의 아픈 삶을 문제 삼으면서,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론으로 제주 섬사람들의 집단무의식에 내재한 한민족의 ‘넋’을 제주 신화와 전설을 통해 형상화하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조선 초 과거 제도 논쟁을 통해 본 시학의 가치

        주지영 우리문학회 2022 우리文學硏究 Vol.- No.76

        Focusing on the controversy over the early Joseon Dynasty Public Examination System, Gwageo (科擧), this study examines the contribution of poetics to the selection and nurturing of talents. The Joseon Dynasty began reforming the Public Examination System with the founding of the dynasty. The Public Examination was reorganized into a Confucianism- centered examination to solidify Neo-Confucianism as the governing ideology. It replaced Jesul (製述), a test method for interpreting and discussing the contents of the Confucian scriptures, with Kanggyeong (講经), which tests whether examinees have mastered the verses of the scriptures accurately, intending to abolish the Jinsashi (進士試) that evaluates writing skills. The Jesul test and the Jinsashi, which are advantageous for selecting those with literary competence, generally coincided with the flow of existence.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the debate over the Public Examination System began in earnest. Sejong, who paid attention to selecting talents through public examination, sought opinions on the system from bureaucrats. Those who advocate for the inclusion of poetry in the Public Examination subjects emphasized its necessity. They defended poetics on the grounds that poetry is essential to diplomacy, it can overcome the futileness of national and local school, and can encourage novice scholars to enter academia. The development of the debate and its specific arguments make it possible to consider the contribution of poetry to the development and selection of the talents demanded at the time. Poetics deserves recognition in that it is a means of nurturing literary bureaucrats who have the right qualifications for carrying out state affairs and can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national prestige. Furthermore, those who have properly cultivated their character will be a clue to promoting the nation's academic tradition and create an ideal nation. 이 연구는 조선 초 과거 제도에 대한 논쟁의 양상을 통하여 인재의 선발과 육성에 시학이 기여하는 바를 고찰한 것이다. 조선은 왕조의 개창과 함께 과거 제도의 개혁을 시도하였다. 성리학을 통치 이념으로 공고히 하기 위하여 과거를 경학 위주의 시험으로 개편하고자 하였다. 유학 경서의 내용에 관해 해석하고 논술하는 시험 방식인 제술(製述)을 경서의 구절을 정확하고 치밀하게 익혔는지 시험하는 강경(講經)으로 대신하고, 시작(詩作) 실력을 평가하는 진사시(進士試)를 혁파하고자 하였다. 문학적 역량을 갖춘 자를 선발하는 데 유리한 제술 시험과 진사시는 대체로 존폐의 흐름을 같이하였다. 세종 조에 이르러 과거 제도에 대한 논쟁이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세종은 과거를 통한 인재의 발탁에 관심을 기울이며 관료들에게 과거 제도에 대한 의견을 구하였다. 시를 과거 과목에 포함할 것을 주장하는 이들은 논쟁 과정에서 시학의 필요를 역설하였다. 그들은 시학이 외교에 긴요하며, 국학과 향학의 허소화(虛疏化)를 타개할 수 있게 하고, 초학자의 학문 입성을 독려할 수 있다는 논거를 들어 시학을 옹호하였다. 논쟁의 전개 양상과 그 구체적 논거들은 당대가 요구하였던 인재상, 그리고 인재의 육성과 선발에 시학이 기여하는 바에 대하여 사유할 수 있게 한다. 시학은 국무 수행에 적합한 자질을 갖추고 국위 선양에 기여할 만한 문인 관료를 배출하는 수단이자, 성정을 바르게 수양한 이들이 국가의 학풍을 진작하고 이상적 국가를 만들어 가는 단서가 된다는 점에서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