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구형정자의 난자내 미세주입 후 보조활성화술에 의한 임신과 분만 1례

        주재홍,이용찬,윤산현,임진호,박흠대,Joo, Jae-Hong,Lee, Yong-Chan,Yun, San-Hyun,Im, Jin-Ho,Park, Heum-Dai 대한생식의학회 2000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27 No.3

        Globozoospermia is a rare type of teratozoospermia. It occurs in 0.1% of all andrological patient's and used to be considered sterile. Globozoospermic patient has 100% round headed spermatozoa, but the spermiogram is normal. The spermatozoa show oval-shape head, the lack of a nuclear envelope, acrosome, and post acrosomal sheath. Objective: To report that a couple with infertility secondary to globozoospermia received ICSI treatment. Material and Method: Case report Results: In the first trial, fertilization was failed. In the second trial, 40% of oocytes were fertilized and all of these embryos were cleaved, but pregnancy did not achieved. In the third trial, sperm injected oocytes were exposed to 10 ${\mu}M$ calcium ionophore for 15 min. All of the injected oocytes were fertilized and proceeded to develop. Triplet pregnancy was achieved after the transfer of six embryos in their third cycle. One embryo vanished and the remaining twins (female) were delivered at 33 weeks of gestation by Caesarean section. Conclusion: This result shows that assisted activation following ICSI may overcome infertility associated with globozoospermia.

      • KCI등재

        육미지황탕가미방(六味地黃湯加味方)이 streptozotocin으로 유발(誘發)된 백서(白鼠)의 실험적(實驗的) 탕뇨(糖尿)에 미치는 영향(影響)

        주재홍,김동우,Joo, Jae-Hong,Kim, Dong-Woo 대한한의학방제학회 2006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Vol.14 No.2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effect of Yukmijiwhangtangkamibang(YukmD with Liriopis Tuber, Amomi Fructus, Citri Pericarpium, Zizyphi Spinosae Semen, Drynariae Rhizoma Ephedrae Herba, Ginseng Radix, Phellodendri Cortex, on the experimental diabetes. Methods : In order to induce diabetes experimentally, injected streptozoticin to the vein in the tail of rats and then treated oral administration of Yukmi water extracts. In the measurement of the variation levels of glucose, ALP, creatinine, and BUN concentration for each concentration levels for serum (382.5mg/l00g, 510.0mg/100g, 637.5mg/100g), concentration level of glucose significantly decreased in 510.0mg/l00g concentration level of Yukmi. With this 510.0mg/100g concentration level of Yukmijiwhangtanggamibang,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erived from the measurement of the serum levels of glucose, ALP, GOT, GPT, creatinine, and BUN concentration for the streptozotocin injection date of each 4th, 11th, and 18th day. Results : 1. In the measurement for each concentrations. the glucose concentration level in the serum significantly decreased on the 9th day in the Yukmi group. 2. In the measurement for each concentrations, the creatinine concentration level in the serum significantly decreased on the 9th day in the Yukmi group. 3. In the measurement for each dosage dates, the glucose concentration level in the serum significantly decreased on the 18th day in the Yukmi group to which 510.0mg/l00g administrated. 4. In the measurement for each dosage dates, the got concentration level in the serum significantly decreased on the 18th day in the Yukmi group to which 510.0mg/100g administrated. 5. In the measurement for each dosage dates, the creatinine concentration level in the serum significantly decreased on the 18th day in the Yukmi group to which 510.0mg/l00g administrated. Conclusion : Yukmi that is Yukmijiwhangtang with Liriopis Tuber, Amoni Fructus, Citri Pericarpium, Zizyphi Spinosae Semen, Drynariae Rhizoma, Ephedrae Herba, Ginseng Radix and Phellodendri Cortex, is known to have effects to lessen the damages on renal function and liver function without causing damages on liver and kidney.

      • KCI등재

        탈식민주의와 질적 연구: 방법적 이슈들

        주재홍 ( Jae-hong Joo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6 교육과정연구 Vol.34 No.4

        이 논문은 질적 연구의 지적 전통으로서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탈식민주의가 질적 연구의 방법적 이론화에 어떤 문제의식과 연구주제 그리고 시사점을 제공해 주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연구의 첫 번째 내용으로서 탈식민주의의 목적과 지향점을 개략적으로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탈식민주의의 이론에 통찰력을 제공한 Fanon, 그리고 탈식민주의 비평을 이론의 수준으로 발전시켰다고 평가받는 Said와 Spivak의 주장을 중심으로 저항담론으로서 탈식민주의 이론을 검토하였다. 연구의 두 번째 내용으로서 이러한 탈식민주의의 목적과 지향점이 질적 연구에 어떤 방법적 이슈들을 제기하고 있는지를 개념화시켰다. 탈식민주의 이론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질적 연구의 방법적 실천 아이디어들은 다음 네 가지로 정리될 수 있었다: (1) 비서구적/국지적 연구주제의 탐색, (2) 토착적인 지식의 이론화, (3) 탈서구적인 방법적 지식의 규명, (4) 서구의 질적 연구 타당도 범주의 재영토화. 질적 연구에서 이러한 네 개의 방법적 이슈들은 우리나라에서 아직은 심도 있게 연구되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탈식민주의 질적 연구의 새로운 전통을 만들기 위한 기초적인 이론적 입장을 제공해 줄 것이다. Postcolonialism as the fourth research paradigm in human and social sciences research has influenced theorzing and problematizing our research practices in a new way. In particular, it has enabled researchers in the non-Western area to reflect their previous research traditions and methods with postcolonial identies and orientations. More importantly, it leads them to pose questions about the beliefs and prepositions on the traditions which are deeply embedded the dominant and colonizing ideology of the West. From this perspective, this research proposes that qualitative research is another practice of Western/colonizing practices of Western power and knowledge, and it should be discussed and theorized with decentering and postmodern epistemologies and ideas. By applying major ideas and concpets of postcolonial philosophies such as Fanon, Spivak, and Tuhami, this research attempts to create a new research agenda called "Regions of qualitative research after/against colonialism and the Western-based scientific regime. As research results four research domains of qualitative theorizing for postcolonial emancipation are identified and discussed in detail for the qualitative researchers in general to think about and apply for in their future qualitative research practices.

      • KCI등재
      • KCI등재

        효과적인 다문화교육 실천을 위한 학교 교육과정 개발

        주재홍 ( Jae Hong Joo ),김영천 ( Young Chun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4 교육과정연구 Vol.32 No.4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의 교사, 행정가, 그리고 교육과정 개발자에게 다문화교육의 실현을 위해서 학교를 어떻게 변화시키고, 재구조화 할 것인지에 대한 하나의 개발모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학교 교사들이 알아야 할 네 가지 단계의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단계와 세부 영역을 개념화하고 규명하였다. 이 논문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학교의 기초로서 다문화교육의 철학적 전제를 ‘다양성의 존중’, ‘교육적 평등’, 그리고 ‘모든 학습자에 대한 높은 기대’로 개념화하였다. 둘째, 다문화교육을 학교와 수업에 구체적으로 적용하고 실천하기 위한 네 가지의 단계를 교육목표, 교육내용, 수업, 그리고 학습자 평가로 개념화하였고, 각 영역에 해당하는 실제와 활동들을 구체적으로 규명하였다. 셋째, 이 연구에서 개념화한 다문화교육과정 개발 모형이 우리나라 학교 교육과정에서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가 학교 교육과정과 수업에 주는 시사점과 실천전략을 간략하게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기존의 학교교육과정 대부분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들이 활동이나 경험 중심, 또는 주제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측면이 많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국가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다문화 관련 교육목표가 무엇인지를 먼저 명료하게 규명하고 이에 기초하여 학교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실천해야 한다는 그 관계성을 통합적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다문화교육과정을 교육과정 개발이라는 이론적 모형 속에서 구체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school teachers and educators with a model of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to be used for objectiv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o do so, essential knowledge and ideas in four areas are identified and discussed; (1) educational objectives, (2) educational content, (3) instructional method, and (4) learner evaluations. These areas were drawn from a critical summary and analysis of previous literature on multicultural education both in the foreign countries and in South Korea. In addition, a new checklist was developed based on the new model in order to show how it can be used in the future at a school curriculum level as school teacher``s self-evaluation process to develop better multicultural schools. Since this model shows educators an entire process of multicultural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it enables them to understand practical issues and strategi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t school level within the broad picture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therefore,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current approach, which is characterized by students`` activities and cultural programs.

      • P.V.C관(管)을 이용(利用)한 저습답(低濕畓)의 이모작(二毛作)에 관(關)한 연구(硏究)

        주재홍 ( Jen Hong Joo ),황용진 ( Young Gin Whang ),이유근 ( Yoo Keon Lee ) 한국농공학회 1973 韓國農工學會誌 : 전원과 자원 Vol.15 No.2

        The study on the drainage has been performed for long time in Korea. The 4th attempt of study on under-drainage by use P.V.C. suction pipe were made in 1971. Drainage method, soil temperature, growth of crop and yield were observed and compared with the 3 drained Plots and at the 3 undrained ones.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oil temperatures in the drained plots were 1.8℃ higher than that in the undrained ones during the irrigation period. 2. 20% of increased yield were resulted from practicing of P.V.C. suction pipe drainage. 3. The annual net income per 1ha of paddy rice field with P.V.C. suction pipe drainge was 82,900 won.

      • KCI등재

        대학 교원의 학생평가 유형에 대한 잠재 프로파일 분석

        주재홍(Jaehong Joo),주라헬(Rachel Ju),홍소정(Sojung Hong) 사단법인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4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원이 선호하는 학생평가 방법을 유형화하고, 하위 잠재 집단 간의 차이를 탐색하여 수업 질 제고를 위한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2022년에 실시한 대학 교수·학습 과정에 관한 교수 설문조사(National Assessment of Faculty Engagement in Teaching; NAFET)에 응답한 5,213명의 교원 데이터를 활용해 인간중심 접근 방법인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여 교원의 학생평가 양상을 살펴보았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의 학생평가 양상에 따라 ‘지필평가 지양형’, ‘전통적 평가 지향형’, ‘전반적 학생평가 경시형’, ‘협력 중심 평가 지향형’, ‘개인 작성 평가 지향형’, ‘다면평가 지향형’의 6개 프로파일이 유의하게 식별되었다. 둘째, 본 프로파일을 예측하는 요인은 대학의 연구 및 교수학습 지원, 학과의 교육 과정 및 시스템, 교원의 연구 및 교수학습 지향성 모두 교원이 특정 프로파일에 속할 확률에 대해 유의한 효과를 가졌다. 특히 예측 요인에 대한 교원의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다양한 학생평가를 활용하는 집단에 속할 확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마지막으로, 프로파일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선정한 학습자의 학업 역량에 대한 인식, 동료 교원의 인정, 그리고 교원의 학과 적합성 수준은 일부 집단에 한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수업 질 제고를 위한 교원, 학과 및 학교 차원의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 방향성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he student assessment styles preferred by university faculty and explore differences between sub-potential groups to derive interven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instruction. This study examined faculty’s student assessment styles by conducting latent profile analysis using data from 5,213 respondents to the National Assessment of Faculty Engagement in Teaching in 2022. The main analysis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six profiles were significantly identified based on faculty’s student assessment styles. Second, the university’s research support and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the department’s curriculum and system, and the faculty’s research orientat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orientation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to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each profile. In particular, a higher awareness of predictive factors increased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a group employing various student assessment. Finally, there wer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learners’ academic competency, recognition by co-faculties, and the perception of department fit when examining differences by the each profile. Based on these results, we deriv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roles of faculty, departments, and university institutions in improving instructional quality. We also discussed the research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 KCI등재

        다문화 교육 연구를 위한 탈식민주의 이론의 역할과 가능성

        주재홍(Joo, Jaehong),김영천(Kim Youngchu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3 열린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 다문화” 의 이념이 효과적으로 우리 사회에 잘 적용되고 접목될 수 있는 교육적 실천 전략으로서 “탈식 민주의 담론” 을 탐구하였다. 이에 연구문제로서 우리가 접하는 다양한 텍스트들(학교교과서, 잡지, 매스컴, 의사소통, 문헌들 등)을 분석하고, 나아가 비평할 수 있는 탈식민적 분석의 준거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의 배경적 지식이자 방법적 배경으로서 두 개의 연구영역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시도하였다. 첫째, 다문화교육 연구에서는 여러 학자들의 주장을 통하여 다문화/다문화교육의 가장 중요한 전제이자 기준은 문화적 다양성과 공존을 강조한다는 접을 논의하였다. 둘째 탈식민주의 이론에서는 다문화/다문화교육을 위한 관점과 다문화교육의 한 가지 이론적 탐구영역으로서 탈식민주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로서, 다문화적 텍스트를 규명하고 비평할 수 있는 방법적 전략으로서 네가지의 탈식민 비평의 준거를 개념화시켰다: (1) 주체와 타자의 구성, (2) 포함과 배제, (3) 목소리의 침묵,(4) 재식민화의 내러티브, 이러한 개념들 또는 기준들은 단순히 어떤 문화적 메시지 또는 결과들이 서구적이라든지, 아니면 비서구적이라는지 추상적인 수준에서 폄하하는 대신에 보다 구체적인 일련의 기준들에 기초하여 서구적/비서적인 것으로 평가할 수 있게 만들 것이다. Korean educational researchers have recently attempted to theorize and practice the idea of multiculturalism, Under this new research trend, authors try to use the discourse of postcolonialsim as new theoretical base to expand and advance region of multicultural discourse in South Korea, In this effort, there is a premise that Eurocentrism has been imbedded in every aspect of our lives since Korean War, and may play negative role in accepting and applying the idea of multiculturalsim which emphsaizes the rights, interets, and respects of all races and ethnicities. Within this perspective, authors developed four criteria from postcolonial discourse and literatures as a way of discovering, analyzing, and assessing the implicit presumption and interests of Eurocentrism in our lives. in particualry, cultural tex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Construction of Subject/Other: (2) Inclusing vs. Exclusion: (3) Silenced voice of subaltern; and (4) Narratives of re-colonization. In Each critira, more specific questions have been produced and identifeid, which will enable educational researchrs to analyze historical, educational, and cultural texts such as school textbooks, mass-media, propaganda, public magagizes. Authors propose that more new criteria should be developed in the future, and also, the possible ideas of roles of postcolonialsim in advancing multicultural education in South Korea will b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