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2-D ADI-FDTD의 수치적 분산특성에 관한 연구

        주세훈,김형동 대한전자공학회 2003 電子工學會論文誌-TC (Telecommunications) Vol.40 No.5

        본 논문에서는 관심주파수의 파장에 비하여 매우 섬세한 구조의 해석에 있어서 기존의 FDTD보다 효율적인 해석이 가능한 ADI-FDTD의 분산오차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2-D ADI-FDTD에 적합한 분산식을 제안하였으며 기존의 분산식들과 비교하였다. 수치적인 해석을 통하여 제안된 2-D ADI-FDTD 분산식이 수치결과와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a numerical dispersion relation for the two-dimensional finite-difference time-domain method based on the alternating-direction implicit time-marching scheme(2-D ADI-FDTD), which method has the potential to considerably reduce tile number of time iterations especially in case where the fine spatial lattice relative to the wavelength is used to resolve fine geometrical features. The proposed analytical relation for 2-D ADI-FDTD is compared with those relations in the Previous works. Through numerical tests, the dispersion equation of this work was shown as correct one for 2-D ADI-FDTD.

      • KCI등재

        파수영역 이산 웨이블릿 변환을 이용한 효율적인 그린함수 표현에 관한 연구

        주세훈,김형동 한국전자파학회 2001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12 No.7

        그린함수의 효율적인 표현을 위하여 파수영역 웨이블릿 변환 개념을 이용하였다. 파수영역 웨이블릿 변환을 공간영역에서 가변 윈도우를 사용하여 등가적으로 구현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공간영역 그린함수에 대하여 윈도우 함수를 이용한 필터링과정, 고유함수의 전개를 통한 중심이동과정, 그리고 푸리에 변환과정으로 이루어진다. 파수영역 이산 웨이블릿 변환이 적용된 그린함수의 수식을 유도하였고, 근거리 그린함수와 원거리 그린함수를 표현하여 파수영역에서 비교하여 특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discrete wavelet concept in the k-domain is applied to efficiently represent Green function of integral equations. Application of discrete wavelet concept to Green function in the k-domain can be implemented equivalently by using spatial domain variable-sized windows. The proposed method consists of constant Q-filtering, changing the center of coordinates, and transforming spatially filtered Green functions into those in the k-domain. A mathematical expression of Green function based on the discrete wavelet concept is derived and its characteristics are discussed.

      • KCI등재

        윈도우 그린함수를 이용한 고속 산란필드 계산

        주세훈,김형훈,김형동 한국전자파학회 2001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12 No.7

        본 논문에서는 방사 적분방정식의 해를 구하기 위하여 파수영역 웨이블릿 변환개념에 기반을 둔 윈도우 그린 함수를 사용하여 파수영역에서 고속으로 산란필드를 계산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린함수에 적용된 파수영역 웨이블릿 변환은 공간영역에서 동일한 Q를 갖는 윈도우를 사용하여 필터링함으로써 등가적으로 구현하였다. 고유함수를 이용하여 관찰점을 중심으로 전개된 그린함수를 푸리에 변환한 후 파수영역에서 방사 적분을 계산함으로써 계산효율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관찰영역에서만 정확한 값을 갖는 고유함수로 전개된 그린함수는 그린함수에 윈도우 함수를 씌운 형태로 방사 적분방정식의 파수영역 표현에 적용하면 기존의 고속멀티폴 법과 동일한 산란필드 공식을 얻을 수 있다. In this paper, by applying the spectral domain wavelet concept to Green function, a fast spectral domain calculation of scattered fields is proposed to get the solution for the radiation integral. The spectral domain wavelet transform to represent Green function is implemented equivalently in space via the constant-Q windowing technique. The radiation integral can be calculated efficiently in the spectral domain using the windowed Green function expanded by its eigen functions around the observation region. Finally, the same formulation as that of the conventional fast multipole method (FMM) is obtained through the windowed Green function and the spectral domain calculation of the radiation integral.

      • ADI-FDTD를 이용한 이동통신 대역통과 여파기용 압전 박막 음향 공진기의 효율적인 시간영역 해석

        주세훈,이상근,김형동 에스케이텔레콤 (주) 2003 Telecommunications Review Vol.13 No.6

        본 논문에서는 ADI-FDTD를 적용하여 압전 박막 음향 공진기(TFBAR: Thin-Film Bulk Acoustic Resonator) 의 전기음향적 특성을 해석하였다. ADI-FDTD는 시간 진행 간격에 상관없이 무조건 안정한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FDTD로 해석이 어려운 세밀한 구조와 매질의 변화를 갖는 TFBAR 해석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간단한 TFBAR 구조의 임피던스 해석을 통하여 CFLN이 10.4와 16.25 일때의 ADI-FDTD 해석으로 기존의 FDTD 에 대하여 비슷한 정확도를 유지하면서 각각 40%와 74%의 계산시간 감소 효과를 얻었다.

      • KCI등재

        ADI-FDTD 해석에서의 EFIU와 HFIU 계산 방법 비교 연구

        주세훈,이경훈,황인호,김형동,Ju Sae-Hoon,Lee Kyung-Hoon,Hwang In-Ho,Kim Hyeong-Dong 한국전자파학회 2006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17 No.1

        In this paper, updating schemes for the alternating-direction implicit finite-difference time-domain method(ADI-FDTD) are studied, which method has the potential to considerably reduce the number of time iterations especially in case where the fine spatial lattice relative to the wavelength is used to resolve fine geometrical features. In numerical simulations for microwave structure using ADI-FDTD, time marching scheme comprises of two sub-iterations. Two different updating equation sets for ADI-FDTD simulations are presented. In order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schemes especially in view of applying boundary conditions, we solved two complementary 2-D problems. 본 논문에서는 관심 주파수의 파장에 비하여 매우 섬세한 구조의 해석에 있어서 기존의 FDTD보다 효율적인 해석이 가능한 ADI-FDTD의 차분방정식 계산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반복 구간에서 계산되는 서로 다른 계산 방법을 유도하고 두 개의 상보적인 2차원 문제를 해석하여 경계 조건의 적용 관점에서 그 특성을 논하였다.

      • KCI등재

        Haar 웨이블릿 다중분해능 시간영역 해석법을 이용한 마이크로파 소자 해석

        주세훈,김형훈,김형동 한국전자파학회 1999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10 No.6

        A multiresolution time-domain analysis scheme is derived for the analysis of microwave structures by using Haar wavelets to discretize the Maxwell's curl equation. This technique requires less computational effort than the conventional FDTD method because larger space grid can be used in the simulations. To validate this scheme, several 2-D·3-D microwave structures are simulated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ventional FDTD scheme.

      • KCI등재후보

        Envelope ADI-FDTD의 수치적 특성에 관한 연구

        주세훈,정경영,김형훈,김형동 한국전자파학회 2003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14 No.6

        본 논문에서는 최근에 개발된 Envelope ADI-FDTD의 수치적 특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수치 실험을 통하여 Envelope ADI-FDTD가 시간간격에 상관없이 무조건 안정하고, 신호의 포락선을 해석함으로써 기존의 ADI-FDTD보다 더 좋은 분산특성을 얻을 수 있음을 보였다. 이러한 특성은 특별한 경우에서는 Nyquist 극한값까지 시간간격을 키울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수치결과를 통해서 Envelope ADI-FDTD가 단일주파수 또는 대역이 제한된 시스템의 해석에 있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the numer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cently developed Envelope ADI-FDTD are investigated. Through numerical simulations, it is shown that the unconditional stability of the Envelope ADI-FDTD is independent of time step size and we can get better dispersion accuracy than the traditional ADI-FDTD by analyzing the envelope of the signal. This fact gives the opportunity for extending the temporal step size to the Nyquist limit in certain cases. Numerical results show that the Envelope ADI-FDTD can be used as an efficient electromagnetic analysis tool especially in the single frequency or band limited systems.

      • KCI등재

        온실 내 대기와 근권부 온도 조절을 통한 파프리카의 초기생육 촉진

        주세훈,고윤,양진호,김은지,전용환,나해영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23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35 No.4

        대기온도와 근권부 온도가 파프리카 초기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1. 초장은 온도 처리 후 29일에 대기 온도와 근권부 온도처리구 간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2. 근장, 엽수, 엽면적, 지상부의 생체중, 건물중, 지하부 생체중 및 건물중은 온도 처리 후 29일에 대기온도 25o C에서근권부 온도를 25o C와 30o C로 조절하였을 때 가장 좋았다. 3. 충실도는 대기온도 25o C에서 근권부 온도를 20o C와25o C로 조절하였을 때 가장 좋았다. 4. 본 연구 결과는 근권부 온도 조절을 통해 생육을 촉진시킬 뿐 아니라 과도한 근권부 온도 하강 및 상승을 방지할 수있는 근권부 온도조절기술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optimal root zone temperature for paprika cultivation, with an aim to increase the heating and cooling energy efficiency and prepare for extreme weather conditions. The greenhouse air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20o C and 25o C during the daytime (12 hours) and at 18o C during the nighttime (12 hours). The plant heigh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reatment with air temperature and root zone temperature. The root length was highest under an air temperature of 25o C with root zone temperatures of 25o C and 30o C, and it was the lowest at 15o C. The leaf number was the highest when the root zone temperature was adjusted to 25o C and 30o C across all air temperatures. The leaf area increased with higher root zone temperatures, but considering the compactness of the seedlings, a root zone temperature of 25o C was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The fresh and dry weight of the shoot increased with higher root zone temperatures at an air temperature of 25o C, while the fresh and dry weight of the roots tended to be higher when the root zone temperature was adjusted to 25o C and 30o C across all air temperatures. The compactness was most effective when the root zone temperature was adjusted to 20o C and 25o CC across all air temperatures. Based on the above results, adjusting the root zone temperature to 25o C at an air temperature of 25o C was found to be effective for the early growth of Paprika.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not only can growth be promoted through the regulation of root zone temperature, but it als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root zone temperature control technology, which can prevent an excessive drop and rise in the root zone temperature.

      • KCI등재

        온실 내 대기온도와 근권부 온도가 토마토 초기생육에 미치는 영향

        주세훈,이범선,김은지,고윤,박진섭,나해영 한국원예학회 2023 원예과학기술지 Vol.41 No.4

        In this study,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velop an efficient method of the early cultivation of tomatoes by implementing temperature control in the root zone. The greenhouse air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20, 25, 30, and 35°C during the daytime (12 hours) and at 18°C during the nighttime (12 hour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by setting the root zone temperature to 15, 20, 25, and 30°C for each air temperature. The growth of seedlings was found to be optimal when the root zone temperature was adjusted to 25 and 30°C for an air temperature of 30°C and the root zone temperature was adjusted to 20 and 25°C for an air temperature of 35°C. Regarding the root length, overall growth was favorable when the root zone temperature was adjusted to 20°C across all air temperature conditions. The leaf area and number of leaves showed the best growth when treated with a combination of an air temperature of 35°C and a root zone temperature of 25°C. The T/R ratio reached its high point at a root zone temperature 15°C due to the inhibited root growth. The compactness of tomato seedlings was high in the treatment with a root zone temperature of 20 in all air temperature treatment. The CGR (crop growth rate) and RGR (relative growth rate) were favorable at the root zone temperature of 20°C at all air temperature treatments. Based on the overall experimental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setting the root zone temperature to 20 or 25°C is effective for the early growth of tomatoes at air temperatures of 25, 30, and 35°C.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help when regulating the early growth of crops in high and low air temperature con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