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2011년 중동의 시민혁명과 SNS의 정치적 매개역할

        조희정 ( Hee Jung Cho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1 韓國 政治 硏究 Vol.20 No.2

        이 글은 2011년 튀니지와 이집트에서 발생한 중동의 시민혁명을 중심으로 사회적 네트워크 서비스의 정치매개 역할을 논증한다. 일상적인 상태에서의 매개기능과 달리 혁명기와 같은 정치적 급변기에, SNS는 집단행동과 의제 폭발의 촉매 플랫폼(catalystic platform)으로 역할한다. 중동혁명에서 SNS의 역할에 대해서는 무용론과 필요론 등의 논란이 제시되었지만, 두 가지 입장 모두 정치변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매개작용에 대한 논증이 부족하며, 결과적으로는 SNS 평하론과 무용론으로 귀결될 뿐이다. 이 글에서는 중동혁명에서 SNS 역할에 대한 과정분석을 통해 SNS가 소셜네트워크화, 융합네트워크, 집합적 여론형성이라는 중첩적인 세 층위에서 정보·행위자·의제의 매개 역할을 함으로써 네트워크 내에서의 강한 유대 속성을 증폭시킴을 강조한다. 정치는 목적만큼 수단도 중요하며, SNS를 단지 도구적 수단에 한정하여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과정 중심의 유용한 매개체로 평가함으로써 정치변화에 있어서 SNS 미시정치 분석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것이다. 따라서, SNS는 혁명의 조건이 아니라 혁명 가속화의 조건이기 때문에 정치변화에 있어서 중요한 분석단위가 될 수 있으며, SNS 역할에 대해서는 스마트한 물결로써 SNS의 매개적 사용에 주목할 필요가 있고 이것이 ``SNS의 매개정치``가 된다는 것이 핵심 결론이다. This article occurred m 2011 in Tunisia and Egypt, the Middle East the center of the civil war politics of the SNS(Social Network Service) are mediated argumentation. Mediated functions in normal conditions and rapidly changing political, such as revolution because unlike, SNS, and the agenda for collective action of the explosion catalyst platform is a role. The role of SNS in the Middle East for the revolution and the uselessness and the necessity been proposed and debated, both the two positions appear in the course of political change mediated by a lack of an argument for, as a result, this leads to needless theory and SNS disparaged. Therefore, this article about the role of SNS in the process of revolution in the Middle Eas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NS social networking, converged networks, forming a collective opinion of all three layers of overlapping information in the agenda mediated by actors in the network a strong ties amplify emphasizes. The purpose is also important as a means of political, SNS means limited to just the Instrumental analysis center of the process rather than as a useful vehicle for political change by evaluating the micro-political analysis of the SNS is to emphasize the need. Thus, SNS is not a condition of revolution, a revolution in terms of acceleration, because the conditions for political change can be an important unit of analysis, SNS on the role of the mediator as a smart wave and the need to focus on this ``SNS`` in mediating Politics` would be a key conclusion.

      • KCI등재

        고전문학 교육에서 학습자의 감상 질문 생성 경험 연구

        조희정 ( Cho Hee-ju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7 고전문학과 교육 Vol.36 No.-

        본 논문은 문학 교실 내 학습자의 감상 질문 생성 경험을 탐색하는 데 목표를 둔다. 고전문학의 향유란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고전문학의 심미적 체험을 지속적으로 이어가는 것이라는 관점에 의거하여 본 논문에서 기획하는 학습자 감상 질문 교육은 학습자 스스로 비평적 유효성을 지닌 감상 질문을 생성함으로써 질문 주체가 감상 질문 생성 이전과는 다른 감상 단계로 진입할 수 있는 문학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문학 교실 내에서 감상 질문 교육을 시행하려 한다면, 교사는 감상 질문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학습자와 문학 작품 사이에 이루어지는 일을 파악하고자 할 것이다. 예상할 수 있는 바처럼 학습자와 문학 작품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일은 지극히 역동적일 뿐 아니라, 감각적으로 관찰하기 어려운 현상이다. 따라서 이 부분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와 문학 작품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일에 주목하는 문학 이론ㆍ교육 이론에 의거하는 이론적 탐색과 학습자와 문학 작품 사이에서 이루어진 일의 결과물들로부터 과정을 유추하는 추론적 접근이 가능하다. 학습자의 감상 질문은 학습자가 텍스트와 접하며 재현한 ‘문학 작품’에서 틈새를 발견하고, 그것을 문학 작품의 구조 내 결핍감이나 부족함으로 인식할 때 비로소 생성될 수 있는 것이다. 문학 교실 내 학습자가 작품 감상 과정에서 만들어내는 ‘문학 작품’은 서로 다른 세계이고, 그 문학 작품을 만들어내는 데 학습자가 활용하는 요소가 다르며, 학습자들은 서로 다른 세계에 대해 질문하기 때문에 동일한 텍스트를 감상하고도 서로 다른 질문을 만드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이 자료로 삼은 문학 교실 내에서 학습자들이 감상 질문을 만드는 과정에서 겪은 어려움은 크게 ‘문학 작품의 재현과 관련된 어려움’과 ‘감상 질문의 비평적 유효성과 관련된 어려움’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문학 교사가 제시할 수 있는 피드백 중 하나는 학습자가 감상 질문을 생성하며 경험했던 연쇄적 과정을 문학 교실 전체로 확장하는 방식으로 구체화할 수 있다. 문학 교실에서 감상 질문의 연쇄성을 활용하여 학습자들이 제출한 선행 질문에 후속 질문을 제안하는 것이다. 선행 질문과 후속 질문을 학습자가 생성하도록 의도할 때 교사의 역할은 문학 교실에 제출된 감상 질문 사이의 의미 관계를 발견하여 학습자들의 감상 질문을 선행 질문과 후속 질문으로 연계시키는 것이다. 다시 말해 학습자들의 감상 질문들은 해당 작품을 감상하는 문학교실 속 그물망 속에서 감상을 위한 의미 요소로 기능하며 교사는 개별 감상 질문들 속에서 연계되는 속성을 찾아 감상 질문들의 연쇄를 구성해냄으로써 문학 교실 내 감상 내용을 조직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Korean classical literature learners' queries in appreciating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hat they enjoy in a literary classroom. Learners' enjoyment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s to continue experiencing the esthetic experience spontaneously and positively. Learners make queries while appreciating Korean classical literature when they discover disparities and recognizes deficiencies in a literary work, or textual representation. Since learners utilize different facts to represent a literary work from a text, they make diverse and various queries for appreciating in a literary classroom. It is difficult for learners to represent a literary work from a text and to make queries regarding critical validity. The teacher could plan a course as a chain of queries, which a learner experiences a chain of queries in person through the process of queries while appreciating, in a literary classrooms.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국어·문학 교과서 고전문학 제재 수록 양상 연구

        조희정 ( Cho Hee-ju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6 고전문학과 교육 Vol.32 No.-

        본 논문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 시기 중·고등학교 국어과 교과서에 수록된 고전문학 제재의 수록 양상을 파악하였다. 검토 대상은 2009 개정 교육과정 시기 검정 심사에 통과하고 교육 현장에서 사용된 14개 출판사의 중학 국어 84종, 11개 출판사의 고등 국어 22종, 11개 출판사의 고등 문학 22종이다. 2009 개정 중학 국어에는 총 17종의 고전시가가 본 제재로 채택되었다. 3개 출판사 중학 국어에서 소단원 본 제재로 고전시가를 단 한 번도 다루지 않았다는 특이점을 보인다. 2009 개정 고등 국어 교과서에는 <제망매가>, <가시리>, <관동별곡> 등으로 대표되는 19종의 고전시가가 본 제재로 채택되었다. 중·고등 국어 교과서의 고전시가 본 제재 갈래는 향가, 고려가요, 시조, 가사의 국문 시가로 한정되었지만, 2009 개정 문학 교과서에서는 고전시가의 하위 갈래가 총망라되며 성취 기준 ‘한국문학의 범위와 역사’를 구현하는 단원의 본 제재로 주로 채택되었다. 2009 개정 중학 국어에서 총 26종의 고전산문이 본 제재로 채택되었다. 중학교 수준의 고전산문 제재 중 고전소설은 <홍길동전>, <박씨전>, <양반전> 등이 반복 채택되며 고전산문 대표 제재의 지위를 얻었다. 2009 개정 고등 국어 교과서에서는 16종의 고전산문이 본 제재로 채택되었는데, <봉산탈춤>, <춘향전>, <흥부전> 등이 주요 제재로 다루어졌다. 2009 개정 문학 교과서에는 고전산문의 하위 갈래인 서사무가, 설화, 판소리, 민속극, 고전소설, 한문 산문, 한글 산문 등의 대표 작품들이 성취 기준 ‘한국문학의 범위와 역사’를 구체화하는 단원의 본 제재로 주로 채택되었다. 2009 개정 중·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서 본 제재 또는 보조 제재로 4회 이상 수록된 고전 시가 제재 31종 중 반복 수록된 빈도가 높은 제재는 <서동요>, <동지ㅅ달 기나긴 밤을>, <제망매가>, <가시리>, <속미인곡>, <도산십이곡>, <두터비 파리를 물고>, <십 년을 경영하여>, <청산별곡>순이다. 고전시가 중 수록 종류와 수록 빈도가 가장 높은 갈래는 시조이다. 2009 개정 중·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서 본 제재 또는 보조 제재로 4회 이상 수록된 고전산문 29종 중 반복 수록된 빈도가 높은 제재는 <흥부전(흥부가)>, <봉산탈춤>, <춘향전(춘향가)>, <홍길동전>, <이옥설>, <주몽신화(동명왕편)>, <금오신화>, <사씨남정기>, <심청전(심청가)>, <양반전>, <박씨전> 순이다. 고전산문 제재 중 작품의 종류와 수록 빈도가 높은 중심적 갈래는 고전소설이고, 새롭고 다양한 제재가 유입되고 있는 갈래는 한문 산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 in literary materials in secondary school Korean textbooks and literature textbooks as per the 2009 revised curriculum. Literary materials in secondary school Korean textbooks have increased student awareness of literary canons because these have been taught and learned through public education. Seodongyo, Gemangmega, and Gasiri in classical poetry and the tale of Heungbu, Pongsan Mask Dance, the Tale of Ch'unhyang and the tale of Honggildong(by Heo Gyun) in classical prose are published in secondary school Korean textbooks and literature textbooks as per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9. A three-verse Korean ode and a classical novel are the most chosen genres in classical literature.

      • KCI등재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목적유형에 따른 이용행태 연구

        조희정(Hee-Jung Cho),류석진(Seok Jin Lew),전시홍(Si-Hong Jeon),이헌아(Hun-A Lee)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5 OUGHTOPIA Vol.30 No.1

        이 글은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자의 이용목적유형에 따른 이용행태와 정서요인 비교를 통해 미디어 확장 시대의 이용자 의식을 평가한다. 특히 개인지향형, 정보지향형, 관계지향형의 이용목적유형을 중심으로 이용행태와 소속감·신뢰도·자존감·만족도와 같은 정서요인의 차이를 비교분석한다. 첫째, 미디어 환경 변화와 이용목적에 따라 관계지향형은 수시로 사람들과 연락하고 관계유지를 위해 모바일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도에 있어서도 다른 두 그룹보다 참여도가 높았다. 가입 커뮤니티 종류에 있어서는 개인지향형의 경우, 팬카페, 정보지향형의 경우 경제정보, 관계지향형의 경우 오프라인의 지역 소속의 연장선상에서 지역 커뮤니티 가입률이 높다는 특징을 보였다. 둘째, 관계지향형의 정서요인이 나머지 두 그룹보다 강하게 나타났다. 단지 필요한 정보만 취하고 마는 것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서 현실공간에 이은 또다른 인간관계를 적극적으로 추구하고 있다는 가능성일 보여주었다. 즉,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핵심요소는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모바일로의 환경 변화, 정서적 측면에서는 관계 그리고 정보 신뢰이다. This article attempts to evaluate the user"s awareness of the media expansion times through a comparison of use form and emotional factors for the type of purpose of the user of the online community. In particular, study of individual-oriented, information-oriented, relationship- oriented usage purpose type and emotional factors such as belonging, reliability, self-esteem, satisfaction.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oriented type heavy use of mobile for contact and relationships maintained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and purpose of use. In relation to emotional factors, emotional factors were strongly oriented relative. Showed taste and fun online community of communities, but only the necessary information, only to see that ending is not likely to actively seek another relationship following the real space in it.

      • KCI등재

        고전 서사물 반-공감적(反共感的) 감상 연구 -인물의 고통을 대하는 비-연민적(非憐憫的) 태도를 중심으로-

        조희정 ( Cho Hee-ju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21 고전문학과 교육 Vol.46 No.-

        이 논문에서는 문학 교실에서 학습자들이 문학 텍스트 속 특정 인물에 공감하지 않는 비-공감/반-공감 감상 결과를 분석하였다. 선악 서사에서 악인에게 공감하는 감상 결과는 종종 작품 속 다른 인물들의 고통에는 무감한 비-공감과 선인들이 더 선인다웠어야 한다는 질책성 반-공감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감상 현상은 공감이 지닌 스포트라이트 속성을 보여준다. 문학 교실 내 고전 서사물 감상에서는 인물의 고통에 비-연민적 태도를 드러내는 감상 결과와 종종 마주치곤 한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은 고전 서사물 감상에 관여하는 다양한 맥락의 교차 지점에서 찾을 수 있다. 첫째, 학습자들이 고전 서사물을 감상하며 선인과 악인에게 다른 기준을 적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학습자들은 선악 서사를 감상하며 선인과 악인에 대한 판단의 기준을 다르게 적용한다. 학습자는 악인으로 평가받는 인물과 수평적 관계를 맺으며 악인의 서사에 공감적 이해를 시도하는 것과 달리, 선인으로 평가받는 인물들과는 수직적 관계를 맺은 채 등장인물보다 우월한 지위에 있는 재판관의 위치에서 선인들의 일거수일투족을 평가하곤 한다. 둘째, 고전 서사물 감상에 자주 등장하는 ‘창의성’이 개입하고 있기 때문이다. 선악 서사 혹은 선인이나 악인에 대한 기존 평가를 비트는 질문들 중에는 선인에 대해서는 반-공감을, 악인에 대해서는 공감을 유도하는 질문들이 많다. 이런 상황으로 인해 고전 서사물 감상에서 선인 혹은 악인에 대한 평가는 ‘기존의 평가 뒤집기 = 창의적 접근 = 선인에게 반-공감하기 = 악인에게 공감하기’의 구도가 형성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셋째, 공감이 야기하는 ‘스포트라이트’ 현상이 뚜렷이 발현되고 있기 때문이다. 비-연민적 감상 태도를 드러내는 학습자들은 선인에게 반-공감의 태도를 드러내고 있는 반면, 작품 속 악인이나 작품에서 상대적으로 간과되었던 주변 인물에 공감을 표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감상 과정에서는 공감의 스포트라이트 효과가 작동되는 양상이 확인된다. 고전 서사물 감상에서 작품에 제시된 다양한 고통의 서사를 탐색하는 것은 공감의 한계를 제어할 수 있는 교육 내용으로 자리할 수 있다. 문학 작품에서 다루는 고통의 종류와 내용은 인간들이 실제 삶에서 부딪치는 고통만큼이나 다채롭고 다양하다. 고통의 서사에 대한 탐색은 인간의 삶에 대한 탐색이다. 고전 서사물 감상 국면에서 인간의 고통에 주목하고 다양한 고통의 서사를 연민의 태도로 탐색하는 교육 내용은 고전 서사물의 주요 주제를 고찰하는 시각이 될 수 있으며, 공감 중심 교육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대안으로 기능하리라 기대한다. This paper analyzed phenomena where learners do not exhibit empathy according to the order inherent in the text in the literature classroom, especially the non-empathetic/anti-empathetic appreciation results lacking empathy for a specific person in the text. In the appreciation of classical narratives, the instance where sympathy for a character and anti-empathy intersect can often be found when viewing good and evil narratives with a clear confrontation between good and evil. If the existence of a suffering human being is the inevitable result of an evil act, it is not justified to evaluate the good and evil in a literary work, neglecting the existence of the suffering human. Nevertheless, in appreciation of classical narratives in the literature classroom, the literature classroom often encounters the results of appreciation that reveal a non-compassionate attitude to a character’s suffering. The cause of this phenomenon can be found at the intersection of various contexts involved in the appreciation of classical narratives. First, because learners appreciate classical narratives and apply different standards to the good and the wicked, the learner establishes a horizontal relationship with the person evaluated as being bad, and tries to understand the wicked person’s narrative sympathetically. On the other hand, they have a vertical relationship with people who evaluated as being good. They evaluate the progress of the predecessors in the position of judges who are superior to the characters. Second, it is because “creativity”, which often appears in appreciation of classical narratives, intervenes. Among the questions that twist the narrative of good and evil or the existing evaluation of good or bad, there are many questions that induce anti-empathy for the good and empathy for the bad. Third, it is because the “spotlight” phenomenon caused by empathy clearly manifests. Empathy is advantageous in concentrating on the pain of a specific person and imagining the depth and concreteness of the pain. However it is vulnerable to broadly reflecting and examining the entire situation in the work. Regarding the aspect of appreciating classical narratives, the educational content that focuses human suffering and explores various narratives of pain with compassion can serve as a perspective on the main themes of classic narratives, and function as an alternative to escape empathy-centered education.

      • KCI등재

        국어교육과 교과서 ; 국어 교과서의 역사적 변천 연구

        조희정 ( Hee Jung Cho ) 국어교육학회 2011 國語敎育學硏究 Vol.42 No.-

        본 논문은 해방 이후 각 교육과정별로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학습자가 접하는 첫 교과서-초등학교 1-1학기, 중학교 1-1학기, 고등학교 1학년(혹은 상권)-의 초판을 기준으로 서지 사항, 단원의 구조, 1단원 학습 내용을 고찰하였다. 정부 수립 이전 국어 교과서의 저자는 민간 학회인 조선어학회이며, 정부 수립 이후 정부 내에서 문교 행정을 담당하는 문교부-교육부-교육인적자원부로 이어졌다. 4차 이후 저자와 편찬자가 분리하였는데, 교과서 편찬 기관은 국가 기관에서 민간의 기관으로 이월하는 모습을 보인다. 교과서의 판형은 신국판에서 4×6배판으로 변화하며 ``읽기`` 중심의 강독 교재에서 ``활동`` 중심의 교과서로 변모하였다. 국어 교과서의 기본 학습 단위는 ``단원(單元, unit)``이다. 해방 직후 국어 교과서는 제재 자체가 단원 전체인 모습을 띤다. 읽기 자료 중심의 국어 교과서 구성은 국어교육 내 다른 영역은 교과서에서 배제한 채, 국어 교과서 단원 전체가 ``읽기 능력의 향상``을 목표로 삼는다는 점을 분명히 하며, 개별 단원들의 학습 차이는 다양한 갈래의 읽기 제재를 통해 서로 다른 갈래의 글 읽기로 구현되도록 의도하였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이후 국어 교과서는 제재와 학습 활동으로 구성된 소단원의 연쇄 구조를 취하다가, 4차 중학교 교과서부터 대단원과 소단원의 중층적 체계가 자리 잡게 된다. 각 학교 급별 국어 교과서 1학년 1학기 1단원에서는 단위 학교에서 처음 배워야 하는, 국어교육의 학습 내용을 전진 배치시키기 마련이다. 4차 교육과정기의 <바른생활 1-1>을 제외하면, 초등 1학년 1학기 1단원에서는 ``그림 읽기``를 통해 학습자들에게 글자 학습의 동기를 끌어내는 데 주력하였다. 중학교 국어 교과서 1학년 1학기 첫 단원에서는 교수요목기부터 7차 교육과정기를 관통하는 하나의 흐름을 찾아내기 어렵다. 고등 국어 교과서는 1차와 5차 교과서에서는 국어 활동을 중심에 둔 학습 내용이 제시된 반면, 다른 시기에는 문학을 포함한 다양한 갈래의 읽기 제재가 제시된 읽기 교육이 설계되었다. This thesis aimed to research the historical change of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 the structure of a unit and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in the Korean textbooks during all periods of curriculum after Korea`s emancipation. The materials for this study are the first edition of the first grade Korean textbooks in a primary school, a lower secondary school and a upper secondary school. Before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ment, authors of Korean textbooks were an academic society which was named The Society of Korean Language. After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ment, authors were replaced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the government. The format of Korean textbook was changed from A5 size in black and white to B5 size in full color, which reflected a change of the viewpoint that a textbook was a workbook for a learner`s language activity, not a set of materials for reading. The Korean textbook is composed of a lot of units. The first unit looks the first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 in the each school step. The understanding of Korean letters, which used various illustrations, has been focused on in the first unit of the primary Korean textbook. As distinct from the primary Korean textbook, there is nothing in common with between the first unit of lower secondary Korean textbooks. The contents of the first unit of upper secondary textbooks were both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based on Korean activity, speaking and listening, and various materials for reading including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노자의 자연주의 관점에서 본 유아 배려교육

        조희정(Hee Jung Cho)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노자의 자연주의 관점에서 유아 배려교육에 대한 의미를 찾고 유아교육적 실천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노자의 도덕경에서 ‘도(道)’는 만물이 존재하는 이유와 모든 이치의 근거가 됨을 설명하는 데, 자연은 절대적인 원리에 의해 움직이기 때문에 또한 자연은 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아기 배려교육은 인성교육의 중요한 요소로서 인간의 본성이 자연을 닮은 것처럼 인간에게 행해지는 교육은 자연의 순리에 맞아야 하며, 인간이란 나와 타인을 포함한 관계이므로 인간관계 속에 배려는 자연스러운 속성으로 자리해야 한다. 노자의 자연사상에 근거한 배려는 존재로서의 배려, 지원으로서의 배려 그리고 온전함으로서의 배려로서 그 의미가 도출되었으며, 유아 배려교육을 위한 방법으로 대화와 모델, 페미니즘적 교육과정 운영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배려적 행동에 앞서 자연스러운 배려적 사고를 하기 위해서는 정서적인 측면과 반성적 사고를 강조한 교육이 필요함을 언급하였다. Seeking practical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 of a caring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s conveyed through Laozi`s view of naturalism. According to Laozi`s Tao Te Ching, the Tao is the reason for the existence of all things. Nature is the state that all things have to attain and it is driven by an absolute principle. To be in alignment with Laozi`s Tao, one must strive to realize nature, our ultimate state. Therefore, as human nature mirrors nature, a caring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hould, as an important part of a personality education, reflect the laws of nature. Caring in human relationships, including self and others, should unfold in a very natural way. Caring using Laozi`s naturalism was found to carry the following three meanings, caring as existence, caring as support, and caring as feminism. As ways to direct a caring education of young children, this study suggested conversation, modeling and feminism curriculum. Also prior to the caring behavior, for natural caring thinking, the researcher notes the need for emotional aspects and reflective thinking.

      • KCI등재
      • KCI등재

        대학 교양 수업의 비평문 쓰기 교육 연구 - 내용 생성 전략을 중심으로 -

        조희정 ( Cho Hee-jung ) 한국작문학회 2011 작문연구 Vol.0 No.12

        본 논문에서는 대학 교양 교육 내 비평문 쓰기의 학습자 요인과 텍스트 요인을 검토한 후, 비평문 쓰기의 내용 생성 전략을 살폈다. 비평문은 비평 텍스트에 대한 비평 필자의 주관적 인상에서 시작하되, 비평 필자의 주관적 인상을 비평문의 독자에게 설득하여 비평문 독자의 동의를 획득함으로써 객관성을 확보하게 된다. 대학 교양 수업의 학습자들은 대부분 비평문의 구체적인 실체를 가늠하지 못 하는 초보자이다. 대학 이전의 초·중등학교의 국어 교육과정에서 비평문 쓰기 교육이 제대로 다루어진 적이 없기에, 대학생 학습자들에게 ‘비평문’ 갈래는 초·중등학교에서 미처 접해보지 못 한 갈래로 간주되고 있다. 비평문 쓰기의 첫 번째 내용 생성 전략으로 ‘상호 텍스트성 전략’을 제안하였다. 비교와 대조는 글의 내용을 생성해내는 기본 전략 중 하나이다. 상호 텍스트성이 두드러지는 두 텍스트를 비평 대상으로 삼는다면, 모티프, 인물, 사건 등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기 위해 비교하고 대조하는 과정에서 비평문에 담을 내용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비평문 쓰기의 내용 생성 전략으로 ‘5W+1H를 활용한 질문 전략’을 제안하였다. 질문하기 전략이 유효한 이유 중 하나는 학습자의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내용 생성 과정에 질문-응답으로 만드는 과정을 통해 교수자와 학습자가 함께 대화할 여지를 마련하기 때문이다. ‘5W+1H’는 구체적 질문을 마련하기 위한 질문의 틀로 유용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writing strategies by which contents of a critique are made in the liberal arts. Because a writing process was affected with a factor of a learner and a critical text, we should examine these factors to search writing strategies of a critique. Learners in the liberal arts, who have never written a critique during secondary school, are beginners of writing a critique. So they need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critical writing genre and strategies of writing a critique. The first step of writing a critique is to make writer's impression on the target text and the next is to persuade the reader to understand writer's critical view. For this, this thesis suggest two writing strategies: One is a strategy of intertextuality and another is a strategy of questions by use of 5W+1H(who, when, where, what, why, how).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 모의수업의 의미

        조희정 ( Hee Jung Cho ),이대균 ( Dae Kyun Lee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2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이 4년간 모의수업을 통해 느낀 심정을 저널쓰기로 수집하고 분석하여 예비유아교사들이 경험하는 모의수업의 의미와 시사점을 제시하여 교사양성 교육과정에서 모의수업을 진행하는 대학 교수자의 수업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S시에 소재한 A대학교 유아교육과 4학년 학생 28명을 연구참여자로 하여 실시되었는데 연구 결과, 학생들은 유아교육 전공교과와 관련된 다양한 모의수업을 통해 모의수업에 대한 이중적인 태도가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의 현장실습을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은 모의수업은 유아교육 현장에서 실제로 수업을 진행하기 위해서 없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실천과정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지금까지 해 왔던 수업의 형태보다 더 철저한 준비와 현장성에 맞는 수업으로 진행되어야 함을 공감하고 요구하였다. 그러나 모의수업의 진행방법이나 운영 측면에서 유아를 대상으로 수업할 수 없는 현실적 조건들과 수업의 집중, 수업계획의 어려움 등은 모의수업에서 극복해야 할 문제점이자 어려운 점으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모의수업에 대한 갈등적 심정 속에서도 예비유아교사로서 학생들은 두 번의 현장실습을 통해 느낀 점을 토대로 현장 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모의수업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give some suggestions to instructors participating in simulated instruction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by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reflective journal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feelings during the four years of simulated instruction.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28 early childhood education senior college students from the Class of 2011 at a 4-year university in A city. The study found the formation of a twofold attitude for student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lessons through a variety of simulated instruction. Through fieldwork,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recognized that a simulated instruction is an indispensable and important practice course for actual lesson progres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it has been empathized and in demand for providing more thorough preparation and appropriate lessons than classes until now. But some difficulties that need to be overcome in the process and operation of simulated instruction are: trouble focusing in class, difficulty of creating an instruction plan or realistic conditions in which to teach young children. Despite these conflicts, studen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presented in the fieldwork that there is a need for simulated instruction to fit into the sce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