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블시네마틱유니버스(MCU) ‘인피니티 사가’ 서사 구조 분석: 캡틴 아메리카를 중심으로

        조희영(Cho, Heeyoung)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20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8

        본고의 목적은 마블시네마틱유니버스(MCU) 페이즈(phase) 1-3 시기인 ‘인피니티 사가(Infinity Saga)’의 개별 영화들 가운데 아이언맨에 이어 두 번째 중심 캐릭터라 할 수 있는 캡틴 아메리카 중심의 연속적 내러티브의 구조를 규명하기 위해 북미 및 국내에서 가장 대중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시나리오 작법인 블레이크 스나이더(Blake Snyder)의 ‘세이브더캣(STC)’ 패러다임을 활용하고 그 실효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총 952분에 이르는 7편의 영화들을 하나의 텍스트로 간주하여, 110분의 표준 극영화를 기준으로 15단계의 서사 단위(beat)로 구성된 STC 비트 패러다임의 원형이 제시하는 기준 비율에 의거하여 해당 서사 연속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조정된 STC 패러다임에서 제안하는 위치에서 15단계의 서사 단위가 적절하게 탐색되었으며, 이 탐색의 과정에서 각 서사 단위에 해당하는 극적 전환이 전체 내러티브에서 점유하는 의미를 재차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952분의 방대한 텍스트를 더욱 유기적으로 명료하게 분석해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MCU 페이즈 1-3 시기의 중심 캐릭터 중 하나인 캡틴 아메리카 연계 서사 분석에 있어 STC 패러다임의 실효성을 입증함으로써, 호흡이 긴 시리즈물의 텍스트의 서사 구조를 분석적으로 파악하고 기획적으로 설계하는 데 있어서도 해당 패러다임이 유효함을 입증했다는 데 있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페이즈 4로 진입을 앞둔 MCU의 종결된 ‘인피니티 사가’의 방대한 내러티브를 보다 포괄적이고 입체적으로 명확하게 파악하는 데 성공할 수 있었으며, 향후 추가 검증과 논의를 거친 후에 여타의 다른 시리즈물을 분석하고 기획하는 데에도 STC 패러다임을 유의미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s ‘Infinity Saga’of Marvel Cinematic Universe (MCU) concluded in 2019, it is time to systematically analyze this storytelling of the phenomenal franchise. In order to identify the structure of the continuous stories focusing on ‘Captain America’, the second leading character of MCU Phase 1-3, this study used Blake Snyder’s “Save the Cat (STC)” Beat Sheet as the tool for narrative analysis. The seven films with 952 minute-run time in total was analyzed based on the 15-beat paradigm by adjusting the distance ratio between each beat of its prototype originally based on conventional 110-minute films. The results reveal that all 15 beats of the combined texts were fairly properly discovered in the positions suggested by the adjusted STC Beat Sheet. Moreover, through the investigation, the vast text was able to be analyzed in a far more comprehensive, satisfying manner in the process of reconfirming the meaning of the dramatic transition corresponding to each beat against the entire narrative.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lies in its attempt to prove the STC paradigm as a meaningful signpost for plot drives even for such a voluminous text, following the author’s previously successful analysis on combined texts focusing on another leading character of the same saga, ‘Iron Man.’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application of this paradigm would be likely to help not only analyze but also design other serialized franchises as well. Prior to that,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tinue examining other franchises designed in similar forms and intention to MCU movies through the same paradigm to verify effectiveness of such applica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수학적(數學的) 인문학(人文學) 관점으로 본 채침(蔡沈)의 상수사상(象數思想) ― 채침(蔡沈)의 『홍범황극내편(洪範皇極內篇)』을 중심으로

        조희영 ( Cho Hie-young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6 大東文化硏究 Vol.96 No.-

        數는 인간의 존립에 필수적인 존재이다. 수를 통해 인간을 이해할 수 있고 수학을 통해 인문학을 만날 수 있다. 수학과 소통된 인문학 가운데 南宋代 蔡沈이 지은 『洪範皇極內篇』은 象數易學의 영역에서 만난 수학적 인문학의 사례이다. 채침은 수가 萬物의 始原에 존재한다는 입장에서 상수사상을 전개한다. 9수는 「洛書」의 수이자 수의 窮極이라 한다. 9수를 기틀 삼아 99數圖와 占法을 지었다. 천지만물의 始終과 古今의 유행변화를 3과 9와 81이 매개되어 이루어진 6561의 사례로 알 수 있다고 했다. 그 가운데 인문학적 요소를 다음과 같이 추출할 수 있다. 첫째, 그는 수와 禮樂과 倫理의 상통을 주장하는데 이는 예악·윤리와 수가 인문적으로 상관성과 보완성을 지녔다는 것이다. 둘째, 수로 性命의 이치를 알고 이를 바르게 할 수 있다고 한다. 수를 통해 파악한 만물의 본성과 자연환경이 교감하여 인문적인 요소로 뻗어갈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 그는 수가 천지자연을 이해하고 만물의 존립근거를 인식할 수 있는 열쇠라고 생각한다. 그의 상수사상에서 人間學의 면모를 읽을 수 있고 人文學과의 교감을 확인할 수 있으니 이를 기초로 조선시대 수인문학의 연구도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Number is essential for the presence of human existence. Through mathematics you can meet the humanities. Cai Shen(蔡沈)`s Hongbeomhwanggeuknaepyeon(洪範皇極內篇) is model about mathematics and mathematical communication humanities in field of I-ching. He said number is the root of all things and Luo-shu(洛書)`s nine(9) is the end of number and Luo-shu is source of number. All thing world and change history are made through number of three(3), nine(9), eighty-one(81), finally six-five-six-one(6561) case are solved. Among his opinion, humanistic element is as follows. First, music · etiquette · ethics are communicated number and forward mathematical humanities(數學的 人文學). Second, through number, people understand original nature and can communicate world, that is enter the gate of the humanities. Third, He thought number is the key of understand of world and based existence all things. He is a rare man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and the field of I-ching. But we read humanistic element in the his thought of Xiang-shu(象數思想).

      • KCI등재
      • KCI등재

        조선 도서학(圖書學)의 효시-권근의 『입학도설(入學圖說)』

        조희영 ( Cho Hie You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6 民族文化硏究 Vol.72 No.-

        본 논문은 권근의 『입학도설』과 조선 圖書學·象數學의 관련성을 연구한 글이다. 연구 과정에서 이 책이 지닌 학문적 가치를 발견했다. 첫째, 권근의 책은 宋代 상수학에 의거한 바가 적지 않지만 자신의 고유한 시각으로 논리를 전개했다. 易學과 經學의 중요부분을 그림을 매개로 융합화를 시도하였는데 이는 권근 특유의 도서학이라 할 수 있다. 둘째, 후학들에게 도서로 철학을 논하는 틀을 제공했다. 셋째, 『周易』을 경전의 머리에 두고 경학사상을 전개하여 조선유학에서 하나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넷째, ``관점``의 다변화를 통해 학문에 있어서 창의와 변화의 방향을 제시했다. 다섯째, 『역학계몽』과 『선천도』를 소개하여 조선역학의 신지평인도서상수학을 처음 열었다. 이런 의미에서 권근은 의리를 겸비한 조선 상수학의 창시자이고 『입학도설』은 조선 도서학의 효시라 부를 만하다. 그가 도서를 통해 보여준 人文精神과 象數의 度數物理論은 오늘날에도 유효한 간학적인 주제이다. This paper is to explain that the Ip-Hak-Do-Seol(『入學圖說』) is the pioneer of the Joseon Dynasty``s The study of Painting & Symbol(圖書學) and the exploitation of the I-ching of Images & Numbers(象數學). In the process, I found some academic value with this book. First, Kwon Geun``s(權近) painting & writing(圖說) is the convergence of The study of Painting & Symbol(圖書學) tried to picture the dynamics and threaded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經學). Second, it provided the framework for discussing the philosophy books the Junior. Third, He proposed the direction of this study to put I-ching at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Confucianism. Fourth, a variety of ``perspective``. View of the thing and its functions(體用), view of Conversely(反對), view of Horizontal and vertical(縱橫) etc. Fifth, He first opened a new horizon of I-ching in Joseon Dynasty by introducing new books and Shao-Yong(邵康節), Chu Hsi(朱熹)`` painting & writing(圖說). The Astronomical calendar and Yulryeo(律呂) related painting & writing(圖說) awakened the creativity of the junior. Kwon Geun(權近) is the founder of the Joseon Dynasty``s I-ching of Images & Numbers(象數學) and The study of Painting & Symbol(圖書學).

      • KCI등재
      • KCI등재

        서명응(徐命膺)의『복희(伏羲)64괘방원도(方圓圖)』개작(改作)에 대한 검토(檢討) -『황극경세서(皇極經世書)』와 『선천사연(先天四演)』을 중심으로-

        조희영 ( Hie Young Cho ) 율곡학회 2010 율곡학연구 Vol.21 No.-

        서명응은『하도(河圖)』와 소자(邵子)의 『황극경세서』를 기초로 그의 선천사상을 나타낸 책이『선천사연』이다. 그는 논리전개의 틀로써『하도』를 이용했고, 또『하도』로 다양한 이론을 나타냈다. 그 중에서 독특한 것이 소자의 ‘복희64괘방원도’에서 내도(內圖)인 방도(方圖)가 정사각형(□)인데 그는 마름모 모양(◇)으로 바꾸고, 이것이 소자의 뜻이라고 주장을 한다. 개작하는 원인은 소자가 말한 ‘리(離)와 감(坎)은 陰陽의 限界이다. 그러므로 리는 인방(寅方)에, 감은 신방(申方)에 해당하는데 數가 항상 그것을 넘는 것은 음양의 넘침(溢)이다. 용수(用數)는 인(寅)에 불과하고 교수(交數)는 신(申)에 불과하다’ 와 주자(朱子)가 말한 ‘이는 마땅히 리는 묘(卯)에, 감은 유(酉)에 해당한다는 說을 다시 생각해야 한다’(갱의사-更宜思)에 있다고 했다. 즉 서명응은 주자가 속으로 ‘소자의 말대로 되면 원도와 방도의 위치가 어긋난다’라고 생각한다고 여긴다. 그러나 그렇지 않다. 소자의 주장은 ‘리의 陽氣는 인에서 나오고 묘에서 다하며’ 이때(묘)를 수가 넘치고(數定) 음양이 넘치는 지점(氣盈)으로 본 것이다. 감의 陰氣와 申, 酉의 관계도 같다. 여기서 ‘다한다, 넘친다’는 의미는 ‘꽉 찬다, 가득하다’라는 뜻이다. 소자는 氣가 무성하면 기우는 것을 염려하여 氣가 가득 찬 시점을 數가 넘친다, 음양이 넘친다고 한 것이지 이 때문에 방도를 개작해야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호방평의 주장으로 정확한 지적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소자의 주장이나 주자의 ‘갱의사(更宜思)’가 방도개작의 이유가 될 수 없다. 다만 서명응이 주장하는 ‘하도중궁론(河圖中宮論)’에 기인하여 방도를 마름모꼴로 바꾸어야 한다는 주장은 그만의 ‘하도론’으로 이유가 있는 주장이다. 이것은 소자의 선천사상을 서명응식으로 변용한 것으로 한 걸음 전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Seo myeng-eung(서명응) had writed a Seonchensayeon(先天四演), it`s infleunced by Soja(邵子) Seo myeng-eung(서명응) is arrange his Seonchenyeokhak(先天易學) through the Hado(河圖) and Hyangkeukgyengseseo(皇極經世書) Especially he used Hado(하도), for the tool of election of the his principle, and added Soja(소자)`s Seonchenhak(선천학) But he insist uniquely that The Bokhee64gyebangwondo(복희64괘방원도)`s inner side(內圖-方圖) must be change from a regular square(정사면체) to diamonded-shaped(마름모꼴). He insist, the change of inner side(내도-방도) shape is Soja(소자)`s original idea. But anyone say it not yet. He told, the reason why is that Soja(소자) said GamRee(坎離) is limit of Eumyang(陰陽), In(寅) is start point of Ree(리)` Yangi(陽氣), Sin(申) is start point of Gam(감)`Eumgi(음기), if over a number it`s overflow Eumyang(음양) At this time Juja(朱子) said that I reconsider Ree(리) deserve Myo(卯) and Gam(감) deserve Yu(酉). Seo myeng-eung(서명응) said, Soja(소자) and "Juja(朱子) said I reconsider" is the source of changing The Bokhee64gwaebangwondo(복희64괘방원도)`s inner side(내도-방도) But after review we had a result that Soja(소자) insist Ree(리)` Yangi(陽氣) from In(인) to Myo(묘), Myo(묘) is point of upside of number and Gi(기) and so called `Overflow` but not really overflowed only `full of Gi(기)`. Between Eumgi(음기) and Gam(감), Sin(申) and Yu(酉) are same condition. On this view point we had settled a problem of "Juja(주자) said I reconsider" We have discovered that his principle come from Hadojungung(河圖中宮). His principle-"The Bokhee64gyebangwondo(복희64괘방원도)`s inner side must be change from a regular square(정사면체) to diamonded-shaped(마름모꼴)" is creative one. And he had succeed the Soja(소자)`s Seonchenhak(선천학), but take step forward.

      • KCI등재

        국내 영상콘텐츠에 적용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연구

        조희영(Hee-Young Ch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8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2 No.3

        국내 영상콘텐츠 산업의 진일보를 견인하는 기획개발 트렌드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가능성과 그 원천 콘텐츠로서 웹툰의 활용에 대한 적극적인 고민과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21세기 이후 디지털 기술과 참여문화 발달로 다매체를 횡단하는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제작의 핵심 서사 기법으로 대두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 영화, TV드라마, 웹드라마, 게임이라는 국내 영상콘텐츠 4대 대표 매체들과 웹툰과의 결합 내에서 적용된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13년부터 시작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적용은 단순한 홍보 마케팅 차원의 마케팅 트랜스미디어에서 2014년 드라마 〈미생〉의 성공을 필두로 더딘 속도로나마 프랜차이즈 트랜스미디어로 진화되어 가는 추세이다. 영화와 TV드라마의 경우는 여전히 마케팅 트랜스미디어의 일환으로 웹툰이 전방위적으로 활용되는 실정이다. 게임의 경우 원작 인기 웹툰을 활용한 모바일게임화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 적용된 사례라 평가할만한 경우는 거의 엿보이지 않았다. 고무적으로 웹드라마의 경우 2016년부터 〈마음의 소리〉, 〈특근〉과 〈통 메모리즈〉 등 웹툰과 시너지를 내며 내러티브 및 세계관 확장을 시도한 주목할 만한 사례가 발견되었다. 향후 기획적 측면에서의 작품별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세부 분석 및 지향 제시에 대한 예비 과정으로서 본 연구가 활용되길 기대한다. The study investigates how Korean audiovisual works have so far tried to employ transmedia storytelling, no matter how tenuously they may have, with a primary focus on the application of transmedia storytelling to media franchise based on or utilizing webtoons. Examination of patterns in which local feature films, TV shows, games, and web dramas are associated with webtoons reveals there are few Korean audiovisual works yet that can be viewed as genuine transmedia products intended to provide additive comprehension, one of the major distinctions between crossmedia storytellling and transmedia storytelling defined by Henri Jenkins, by offering different texts through their respective media platforms deployed. However, a few promising exemplary projects such as The Sound of Your Heart illustrate the synergistic storytelling between webtoons and their stretched web dramas where more enriched storyworlds within a larger universe can be shaped than would be possible in a single medium. An increased number of trials of such synergistic strategies and further enhanced analyses on the trials are needed in that transmedia storytelling utilizing low-end media platforms such as webtoons and web dramas as stepping stones is deemed one of the most effective strategies in Korea to expand a media property into other more mainstream formats such as feature filmsm, TV shows, or games by building brand awareness from initial fan base who has already consumed the earlier formats of the property within the same story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