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벌매 Pernis ptilorhynchus의 번식보고

        조해진(Hae-Jin Cho1),이영석(Young-Suk Lee),강태한(Tae-Han Kang),김인규(In-Kyu Kim),우희철(Hee-Chul Woo),이한수(Han-Soo Lee) 한국조류학회II 2010 한국조류학회지 Vol.17 No.1

        2009년 8월 16일 강원도 홍천군 북방면 일대에서 벌매의 번식을 확인하였다. 이 종은 국내에는 번식하는 것으로 추정은 하고 있었지만, 실제 번식 둥지가 확인된 것은 첫 사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번식에 대한 보고하고자 한다. On 16 August 2009, Nest of Oriental Honey Buzzard (Pernis ptilorhynchus) was observed at Bukbang-myeon, Hongcheon-Gun, Gangwon-Do Province. This species was known to breed in korea, but actual breeding nest was not observed. This is the first record of observed breeding nest of the Oriental Honey Buzzard in korea.

      • KCI등재

        멸종위기종인 하늘다람쥐 서식특성에 관한 기초적 연구

        조해진 ( Hae Jin Cho ),김달호 ( Dal Ho Kim ),강태한 ( Tae Han Kang ),김인규 ( In Kyu Kim ),이준우 ( Joon Woo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7 No.5

        본 연구는 2009년 3월부터 6월까지 강원도 원주시 신림면 구학리 지역에서 하늘다람쥐 둥지 및 배설물 흔적을 조사하였다. 조사지역 내의 하늘다람쥐의 흔적은 총 30개소에서 확인되었으며, 이 중 둥지가 15개소, 배설물 흔적이 15개소였다. 이 중 둥지 이용이 직접 확인된 개체는 총 3개체로 나무 구멍 둥지 1개소에서 1쌍의 하늘다람쥐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소나무에 만들어진 나무 위 둥지에서 1개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하늘다람쥐가 이용한 둥지의 수종은 일본잎갈나무를 주로 이용하였으며, 소나무, 물박달나무, 때죽나무, 층층나무, 고로쇠나무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설지로 이용하는 수종은 산벚나무, 층층나무, 졸참나무, 단풍나무, 신갈나무, 물박달나무 등으로 확인되었다. 둥지는 주로 조림지 내의 침엽수 계통을 주로 이용하며, 배설지는 주로 활엽수에서 확인되었다. We studied the habitat sites of Siberian flying squirrel in Guhak-ri, Sillim-myeon, Wonju-si, Gangwon-do from March to April in 2009. We were found total 30 points of inhabitation trace types; nests 15 points(Tree nest types were 13 points, used Tree hole types hole types were 2 points) and droppings 15 points. We observed 3 individuals of Siberian flying squirrels and founded that 2 individuals of them used tree holes, and another individual used tree nest which were located in branches of Pinus densiflora. Most utilized nest trees of Siberian flying squirrel were Larix leptolepis, and also used Pinus densiflora, Betula davurica, Styrax japonica, Cornus controversa, Acer mono. Droppings trees were Prunus sargentii, Cornus controversa, Quercus xmccormickii, Acer palmatum, Acer palmatum, Betula davurica. Through the observation, we defined that flying squirrels mainly used Conifer trees as nest sites, and decideous trees as droppings.

      • KCI등재

        고전설화 <만파식적>의 문화콘텐츠적 가치에 관한 연구

        조해진(Hae Jin Ch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3

        문화콘텐츠산업은 이제 발전가능성이 매우 높은 산업이라는 인식을 넘어 타 소비재 상품의 수출을 견인하는 전략적 선도산업으로까지 발전했다. 이러한 대내외적인 환경에서 가능성 있는 소재의 발굴과 개발은 필연적이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만파식적> 설화의 문화콘텐츠적 가치를 알아보기 위해 기존에 발표된 문화콘텐츠를 살펴 본 후 각각의 문화콘텐츠별로 성공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논의의 집중을 위해 연구범위를 창작의 여러 요소 중 스토리와 스토리텔링의 영역에 한정하였다. 그 결과 다음 몇가지 구체적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만파식적>은 서사의 구체성과 지역적 특수성이 세계적 보편성을 담보할 수 있는 스토리의 원형적 성격을 갖고 있어 <반지의 제왕>의 사례에서 보는 것과 같은 다양한 거점콘텐츠의 원천콘텐츠로의 가능성이 매우 높다. 둘째, 서사를 구성하는 요소를 스토리와 캐릭터로 볼 때 <만파식적> 스토리의 도식성과 전형성 그리고 캐릭터의 유형성은 영화, 게임, 공연, 테마파크 등의 여러 거점콘텐츠로의 확산을 용이하게 만드는 기제로 작용한다. 셋째, 각 지역의 문화코드를 글로벌코드와 로컬코드로 구분할 수 있는데 각 지역과 시대에 걸쳐 공감대를 형성하는 글로벌코드는 보편성을 담보로 하는데 <만파식적>이 가지고 있는 권선징악, 이상향 건설 등의 보편성이 높은 문화코드는 판타지장르라는 낮은 문화할인율과 더불어 세계시장 진출에 매우 유리하다. 이 결과에 따르면 <만파식적>을 활용한 판타지소설, 판타지만화, 판타지영화, TV드라마, MMORPG 게임, 테마파크 등의 문화콘텐츠로의 확장은 모색해 볼 가치가 있다. Culture contents business has developed to strategic industry which leads export increase beyond understanding of that is possible business before. So it is inevitable to find original contents which could be developed to other culture contents genre possible in this industrial situation. with this point of view, value aspect of <manpasikjuk> was verified as a original contents as followings. for this result, I examined possibilities after researching of all kinds of culcure contents which is created with this material and limit the bound to the story and its storytelling. first, <manpasikjuk> has international universality which is based on local speciality and narrative concreteness and it is very similar with <The lord of the rings, 2001> which has big success in culture contents business area. second, understanding that the components which makes narratives are story and character. the story is schema and character is typical so that makes <mapasikjuk> adaptation making easily. third, culcure code is divided global code and local code. global code makes export easily. <manpasikjuk> have some global code such as ``reward virture and punish vice`` and ``utopia things`` and etc. So, the utilization of <manpasikjuk> tale would be a momentum of Korea culture contents industry in the field of fantasy novel, comics, film, TV drama, MMORPG games, Theme park and the like.

      • KCI등재

        강릉단오제 온라인축제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관한 연구

        조해진(Cho, Haeji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3

        지역축제는 본질적으로 지역에 기반하고 있고, 지역의 특성을 주제로 개최된다. 지역에 기반한 경제상품들과 더불어 지역의 고유한 역사적 유물과 유적지 그리고 지형적 특색은 외래인의 방문을 유인한다. 또한 지역에서 자생하거나 변화하면서 발전한 지역만의 독특한 문화와 예술은 그 지역에 대한 이미지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통상적으로 축제에 참여한다는 의미는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공간으로의 참여를 의미한다. 하지만 온라인축제는 그런 개념을 완전히 부숴버리고 재창조한다. 어디서든지 축제에 참여할 수 있고 언제든지 과거를 소환할 수 있고 시공간의 차이없이 현재를 공유할 수 있다. 그리고 직접체험의 효과도 누릴 수 있다. 바로 이 점이 본고가 관심을 갖는 부분이다. 강릉단오제 온라인개최의 구체적인 성과를 정리하면 젊은이들 참여확장, 강릉단오제 콘텐츠개발 및 제작, 강릉단오제 프로그램의 변화와 발전으로 볼 수 있었다. 이런 성과를 바탕으로 향후 보다 발전적이고 시의성을 반영한 지역축제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본고는 사례분석, 문헌자료조사, 선행연구조사, 관계자 인터뷰 등을 통해 3가지 제언을 도출했다. 먼저 그동안 인문학과 사회학에 머물렀던 강릉단오제와 관련한 연구를 공학에까지 연구범위를 넓히자는 것이다. 주지하듯 CT는 이제 어느 분야에서도 간과할 수 없는 시대적 필수연구분야가 되었다. 이 분야에 대한 심도있고 지속적인 논의를 통해 강릉단오제는 온라인뿐만 아니라 오프라인에서도 발전적 변화를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지역성의 확장을 위해 홈페이지 개편 및 VR, AR과 같은 강릉단오제의 디지털 영상콘텐츠개발을 통해 온라인플랫폼을 확장해야 할 것을 제안했다. 이를 통해 지구상 어느곳에서든지 강릉단오제를 경험하고 체험하면서 향후 강릉을 방문하고자 하는 욕구를 만들어 낼 수 있고 그런 점에서 강릉단오제의 지역성을 확장할 수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강릉단오제의 콘텐츠와 기록물을 효율적으로 보관하기 위해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상호보완적으로 전시하는 아카이브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운영의 주체가 일원화되고 첨단기술을 활용하여 방문객들의 만족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함을 밝혔다. Local festivals are essentially regionally based and are held under the theme of local characteristics. Along with local-based economic products, the region’s unique historical artifacts, historical sites, and geographical features attract foreign visitors. In addition, the unique culture and art of the region, which developed as it grew or changed, play an important role in building an image of the region. Usually, participating in a festival means participating in a set space at a set time. But the online festival completely destroys and recreates such a concept. You can participate in the festival anywhere, summon the past at any time, and share the present without any difference in space and space. And you can enjoy the effects of hands-on experience. This is exactly what the main body is interested in. Organizing the detailed results of the Gangneung Dano Festival online hosting, it could be seen as the expansion of young people’s participation, the development and production of Gangneung Dano Festival contents, and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the Gangneung Dano Festival program. Based on these achievements, through the paper studies and Interviews, this study has drawn three suggestions to establish itself as a more developmental and timely regional festival in the future. First of all, the idea is to expand the scope of research related to the Gangneung Dano Festival, which has stayed in humanities and sociology, to engineering. As You know, CT(Culture Technology) is now an essential area of research for the times that cannot be overlooked in any field. Through in-depth and continuous discussions on this field, Gangneung Dano Festival will be able to seek developmental changes not only online but also offline. Next, in order to expand regional characteristics, it was suggested that online platforms should be expanded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the website and the development of digital video contents of Gangneung Dano Festival such as VR and AR.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experience and experience Gangneung Dano Festival anywhere on the earth to create a desire to visit Gangneung in the future, and in this regard, to expand the locality of Gangneung Dano Festival. Finally, in order to efficiently store the contents and records of Gangneung Dano Festival, it was argued that an archive should be established to complement each other online and offline, which should be promoted to unify the main body of operation and increase visitors’ satisfaction by utilizing advanced technology.

      • KCI등재

        종분포모형을 이용한 참매의 서식지 예측 -충청북도를 대상으로-

        조해진 ( Hae Jin Cho ),김달호 ( Dal Ho Kim ),신만석 ( Man Seok Shin ),강태한 ( Tehan Kang ),이명우 ( Myungwoo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9 No.3

        본 연구는 국내에서 아직 미흡한 조류 번식지 예측 모형을 이용해 참매의 서식지 예측 및 대체번식지로서 이용가능한 지역을 선정하고, 향후 참매 번식 가능지역을 대상으로 보호관리 지역을 확대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기 위한 방안이다. 참매의 번식지는 현장조사에서 확인된 둥지(N=10)를 이용하였으며, 출현지점은 제3차자연환경조사를 통해 확인된 참매출현지점(N=23)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모형변수로는 지형인자 4가지, 자연환경인자(식생) 3가지, 거리인자 7가지, 기후변수 9가지를 활용하였다. 활용변수중 Random sampling을 통해 확보된 비출현 좌표와 출현좌표간 비모수 검증을 통해 최종 환경변수를 선정하였다. 유의성 검증을 통해 선택된 변수는 번식지 대상 10가지, 출현지점 대상 7가지였으며, 이 변수를 활용해 최종 서식지 예측 모형(MaxEnt)을 구축하였다. 모델 구축결과 번식에 활용된 각 변수별 모형 기여도는 온도의 계절적 변동, 혼효림과의 거리, 입목밀도, 경급의 순이었으며, 출현지점에 활용된 각 변수별 모형 기여도는 온도의 계절적 변동, 수계와의 거리, 경작지와의 거리, 경사도의 순이었다. 번식지점을 대상으로 한 모델링은 기후환경과 숲 내부에서 번식하는 참매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예상서 식지는 충청북도 중부 이북지역으로 예상되었으며, 그 면적은 189.5㎢(2.55%)였다. 충북 이남지역은 청주와 충주 등의 비교적 큰 도시가 발달되어 있는 반면 충청북도 북부지역의 경우 산림과 경작지가 고루 발달되어 있어 번식에 있어 일정한 세력권과 먹이원이 필요한 참매로서는 번식에 유리한 지역일 것으로 판단된다. 출현지점 대상으로 한 모델링은 면적이 3,071㎢(41.38%)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출현지점을 대상으로 하여 단순 이동 관찰 및 계절적인 변동 미고려 등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번식지점을 대상으로 한 모델링보다 광범위한 서식예상지 역을 예측하였다. 결과에서 확인된 예측지점은 번식지를 대상으로 하였을 경우 정밀한 서식예측이 가능하나, 둥지의 특성상 확인되는 지점이 적고, 참매의 행동영역을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반면 출현지점을 대상으로 하였을 경우 더 광범위한 지점에 대한 결과 도출이 가능하였으나, 단순 이동이나 지속적인 이용실태를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정밀도에서는 다소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참매의 서식지를 예측할 수 있으며, 특히 정밀한 번식지역의 예측자료는 환경영향평가나 개발계획 수립시 서식지 모형 결과를 도입하여 반영할 필요성이 있다. This research aims at identifying the goshawk’s possible and replaceable breeding ground by using the MaxEnt prediction model which has so far been insufficiently used in Korea, and providing evidence to expand possible protection areas for the goshawk’s breeding for the future. The field research identified 10 goshawk’s nests, and 23 appearance points confirmed during the 3rd round of environmental research were used for analysis. 4 geomorphic, 3 environmental, 7 distance, and 9 weather factors were used as model variables. The final environmental variables were selected through non-parametric verification between appearance and non-appearance coordinates identified by random sampling. The final predictive model (MaxEnt) was structured using 10 factors related to breeding ground and 7 factors related to appearance area selected by statistics verifi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actor that affected breeding point structure model the most was temperature seasonality, followed by distance from mixforest, density-class on the forest map and relief energy. The factor that affected appearance point structure model the most was temperature seasonality, followed by distance from rivers and ponds, distance from agricultural land and gradient. The nature of the goshawk’s breeding environment and habit to breed inside forests were reflected in this modeling that targets breeding points. The northern central area which is about 189.5 ㎢(2.55 %) is expected to be suitable breeding ground. Large cities such as Cheongju and Chungju are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Chungcheongbuk-do whereas the northern part of Chungcheongbuk-do has evenly distributed forests and farmlands, which helps goshawks have a scope of influence and food source to breed. Appearance point modeling predicted an area of 3,071 ㎢(41.38 %) showing a wider ranging habitat than that of the breeding point modeling due to some limitations such as limited moving observation and non-consideration of seasonal changes. When targeting the breeding points, a specific predictive area can be deduced but it is difficult to check the points of nests and it is impossible to reflect the goshawk’s behavioral area. On the other hand, when targeting appearance points, a wider ranging area can be covered but it is less accurate compared to predictive breeding point since simple movements and constant use status are not reflected. However, with these results, the goshawk’s habitat can be predicted with reasonable accuracy.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apply precise predictive breeding area data based on habitat modeling results when enforcing an environmental evaluation or establishing a development plan.

      • KCI등재

        영화제작의 리스크관리를 위한 스토리공학적 접근

        조해진(Cho Haejin) 한국영화학회 2014 영화연구 Vol.0 No.61

        The research about movies have tended to focus on a movie itself like aesthetics and artistic values until now. Movie production system has no difference to this situation in Korea and other country. but this kind of situation shows many limits in the field of film study because of gigantic growth of film industry. As film industry grows, film study and film making system need more complicate and predictable methods and tools for the successful film making and film analysis. For this needs, film production system, film marketing and film industry are considered integrally for the more accurate film analysis and pre-production. Story-engineering attitude on film-storytelling is about to launch its own methodology. The methodology of story-engineering goes many different way and has many kind of object. On this paper, Story-engineering attitude of film study is aim at multi-aspect about film making for the raise of possibility of prediction because the risk of film making is getting grow and that has to avoid that risk. This research examine two different field of film making. the first is film making production and the other is film promotion agency Like a KOFIC(Korean Film Council). For the first filed, Story-engineering attitude would be helpful to directors, producers and writers from the examination on story-engineering model of movies. And another side of this research, film promotion agency would get help from the story-engineering attitude as the usage of its engineering element. The important thing on this filed is that film promotion agency has interest in not only economic promotion but also film aesthetics, so two way of promotion method would be considered to promotion Korea film industry. And To be more developed method, Story-engineering attitude should have more interest in ‘Big Data Theory’ and ‘Film Genre’. those would be more helpful for this story-engineering attitude and I hope that the word ‘attitude’ should be changed as reliable ‘film study methodology’ at early date.

      • KCI등재

        강릉단오제 문화콘텐츠 개발 방안 고찰

        조해진(Cho, Hae-jin)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4 스토리&이미지텔링 Vol.8 No.-

        유구한 전통을 가진 강릉단오제와 관련한 연구와 조사는 그동안 꾸준히 계속되어 왔다. 이와 관련한 학술행사도 많이 개최되는데 해마다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의견이 생성되고 논의됨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많은 내용들이 실제로 수렴되어 행해지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이는 행정절차나 시행절차상 절대적인 시간을 요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시행주체들간의 구심점을 활용한 원활한 업무진행이 다소 부족한 때문이기도 하다. 강릉단오제 본 행사의 대중화는 물론이고 강릉단오제의 저변 확대를 위한 문화콘텐츠의 창작과 제작 또한 이런 이유로 아직까지 기대에 못미치고 있는 듯 하다. 현재 강릉단오제와 관련하여 생산되어 향유되는 문화콘텐츠는 ‘관노가면극’과 ‘다노네다노세’ 공연이 대표적이다. 이 두 문화콘텐츠는 공연콘텐츠의 범주에 속하는데 먼저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관노가면극’의 경우 관노가면극 보존회를 중심으로 전승과 상설공연이 이루어지고 있다. ‘다노네다노세’는 강릉단오제의 공개행사 중 가장 핵심적인 내용인 제례, 단오굿, 관노가면극을 하나의 공연콘텐츠로 재구성하여 무대화시킨 작품으로 강릉단오제 본행사는 물론이고 전국적인 팸투어를 실시하고 있어 점차 저변을 넓혀가고 있다. 문화콘텐츠의 제작과 산업의 활성화에 있어서 스토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점차 강조되며 확산되고 있다. 그리고 스토리를 경제적 자원으로 인식하는 태도 또한 점차 공감대를 넓혀가고 있다. 이러한 현실의 토대위에서 대한민국이 자랑할 만한 전통있는 문화유산인 강릉단오제와 관련한 스토리는 경제자원으로서의 역할도 충분히 기대되고 있다. 이런 인식을 바탕으로 본고는 강릉단오제의 문화콘텐츠화 방안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그동안 탄생스토리와 창작스토리에 집중되었던 관심을 관련스토리까지 확장시켰다는 점이다. 둘째, 강릉단오제를 대표한 캐릭터를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친 점이다. 셋째, 다양하게 산재되어 운영되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스토리자원의 생산과 소비를 확산시켜 줄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이다. ‘Gannung Dano Festival’ which has long history has been studied until now. The concerned conferences has been held many times also. but effective results are not carried out because those are not practical and the communications are not work to researchers and workers each other. there is necessity not only times and funds for the process but also cooperation works. these are the reason why Gannung Dano Festival has less popularity and made less culture contents which are related that festival. There are two representative contents. The one is ‘kwano mask play’ and the other is ‘Danone Danoce show’. the first is Korea intangible cultural asset and is played every year. the last is made of contents which compose ‘Dano Festival’ and has widen its popularity. The importance of story gets more cognition and realized as economic resources. In this situation, Gannung Dano Festival would be recognized as a very useful resource for killer contents making in culture contents industry. With this point of view, this research has found three results. the first, the interest of related story was widen, the second, The related character would be made as soon as possible. the last, the useful methods which would be helpful for contents producing and making were presented.

      • 도심내 백로류 대체서식지 선정 및 유도방안 -대전광역시를 대상으로-

        조해진 ( Hae Jin Cho ),신만석 ( Man Seok Shin ),김인규 ( In Kyu Kim ),임은홍 ( Eun Hong Lim ),박치영 ( Chi Young Park ),이은재 ( Eun Jae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1

        우리나라에서 백로류는 2000년대 이후 서식지 축소로 인해 도심지 인근에서 집단번식지를 형성함으로서 광주광역시, 고양시 등 여러 지자체에서 주민과의 갈등을 지속적으로 유발하고 있다. 대전광역시에서도 2000년 전후 한국과학기술원(KAIST)와 충남대 궁동 근린공원, 남선공원 등 도심지 내에서 집단 번식하는 사례가 증가하였으며, 이로 인한 주민 피해 민원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발생으로 인간과의 공존을 위한 종합관리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며, 그 일환으로 백로류의 선호서식지를 파악하고, 인간과의 접촉이 최소화 되는 지역으로의 유도를 통해 공존할 수 있는 방안 수립이 절실히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백로류 집단번식지 특성을 분석하고 파악된 결과를 GIS를 활용한 모델링을 통해 대체서식지선정 및 대체서식지로의 유도를 그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종인 백로류는 황새목 백로과에 속하며 긴 부리, 긴 목, 긴 다리를 가진 물새이다. 전 세계 17속 62종이 있으며, 이 중 국내에는 9속 18종이 분포한다. 국내 백로류는 다양한 지역(무인도, 습지, 일반산림지역)에서 집단 번식지를 형성하지만 일부종은 단일쌍으로 번식하기도 한다. 백로류의 집단 번식지의 경우 주로 인간 거주지역과 인접한 산림, 구릉에 집단 번식을 하며, 소나무와 잣나무 등 침엽교목과 활엽교목, 대나무 등에서 번식을 한다. 종에 따라 둥지짓는 높이가 차이가 나며, 일반적으로는 가장 높은 위치에 왜가리와 중대백로가 번식을 하며, 쇠백로, 황로, 중백로, 해오라기 등은 왜가리와 중대백로보다 낮은 높이에서 둥지를 튼다. 주요 취식지는 논이나, 하천, 호소, 저수지, 갯벌, 해안 등 다양한 유형의 습지에서 취식을 하며, 주로 논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주요 먹이는 물고기나 개구리 등 수서생물을 주로 포식하며, 황로의 경우곤충이나 절지동물, 소형파충류와 소형 조류 등을 사냥하여 먹이자원으로 이용한다. 이러한 생태적 특성을 감안하여 선호서식지 파악을 위한 모형구축에 활용할 환경변수를 선정하였으며, 환경변수는 문헌들을 분석하여 지형인자, 자연환경인자, 거리인자, 기후변수 4가지로 구분 후 적용하였다. 지형인자로는 사면방향, 고도, 경사, 기복량 4가지, 자연환경인자는 영급, 경급, 임목밀도, 서식지유형(landcover) 4가지, 거리인자는 도로로부터의 거리, 산림에서의 거리, 수환경이격거리, 시가지이격거리, 농경작지와의이격거리 5가지, 기후인자는 가장 습한 분기의 평균 강수량, 가장 습한분기의 기온 2가지를 활용하였다. 구축에 사용된 지형인자는 국토지리정보원의 자료, 식생 등의 자연환경인자로는 산림청 임상도, 기후변수로는 Worldclim-Global Climate Data(www.worldclim.org)에서 제공하는 Bioclim자료를 활용하였다. 모형은 ERIS사의 ArcGIS 9.3을 활용하여 격자크기(grid size)는 30m×30m로 구축하였다. 백로류의 집단번식지 위치 자료는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출간한 “한국의 백로와 왜가리”의 번식지 좌표를 활용하였으며, 모형의 입력자료로 활용하기 전에 출현/비출현 자료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지를 고려하였다. 비출현 자료는 전국 출현자료(n=126)의 3배수인 378지점의 Randomsampling을 통해 확보하여 비출현 좌표와 출현좌표간 유의성 검증(Mann-whitney U test)을 통해 최종 환경변수를 도출하였다(p<0.05). 최종적으로 도출된 환경변수는 지형인자 1가지(고도), 자연환경인자 4가지(영급, 경급, 임목밀도, 서식지유형), 거리인자는 5가지(도로로부터의 거리, 산림에서의 거리, 수환경이격거리, 시가지 이격거리, 농경작지와의 이격거리), 기후인자 2가지(가장 습한 분기의 평균 강수량, 가장 습한 분기의 기온)가 최종적으로 선정되었다. 이 최종변수를 활용해 모델링을 실시하였으며, 기계학습모형 중 출현자료만이 있을 때 가장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있는 Maxent 모델을 이용하여 모형을 구축하였다. 모형예측결과 모형의 정확도를 나타내는 AUC값은 0.953이었으며, 0.7이상일 때 신뢰도를 가진다고 가정 할때 비교적 높은 신뢰도를 가졌다. 모형에 반영된 기여도 (Contribution ratio)는 연구결과 만들어진 모형에 환경변수가 Maxent 예측에 얼마만큼의 영향을 미쳤는지를 보여주는것으로 본 연구결과에서는 시가지와의 거리(48.3%), 서식지유형(29.5%), 산림과의 거리(4.5%), 고도(4.1%)의 순으로 기여하였다. 이렇게 확인된 결과를 기반으로 Maxent 모형에서 민감도(출현지역 예측률)와 특이성(비출현지역 예측률)의 합이 최대가 되는 값을 기준으로 출현/비출현으로 전국을 구분하여 서식가능지역을 예상하였으며, 이 지역 중 대전광역시에해당되는 구간을 추출하였다. 최종적 대전광역시에서 추출된 지역은 면적이 106.69㎢(19.7%)였다. 대부분 대전광역시 외곽지역이 서식지로 추출되었으며, 내부지역은 일부 고립된 산림지역이 예상되었다. 도심 내에 선정된 예상 서식지 중 국유지로서 사유재산권의 간섭을 받지 않으면서 사람에 피해가 가장 적은 최적의 장소로서 대전광역시 서구 월평공원 일대를 백로류 번식유도 대상지역으로 최종 선정하였으며, 이 지역에 모형, 음향시설을 설치하여 백로류가 집단번식지로 선택할 수 있게끔 유도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대체 백로서식지 조성을 통한 야생동물과의 공존을 시도한 것에 큰 의의가 있으나, 이용된 데이터가 공간적 분석 자료이기 때문에 현장조사를 통한 생태조사결과 분석자료가 반영되지 않은 부분이 연구의 한계이며, 전문가의 의견 및 생태연구결과가 모형에 반영될 수 있는 방안을 수립하여 향 후 더 정확한 예측을 할 수 있는 모형을 구축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