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상속이 자녀출산에 미치는 영향

        조하영(Ha young Jo),신우리(Woo ri Shin) 한국재정학회(구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2018 한국재정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8 No.-

        I. 서론 II. 선행연구 III. 이론적 배경 IV. 분석자료 및 방법 V. 분석결과 VI. 결론 본 연구는 재정패널자료를 이용하여 19세∼45세의 여성 배우자가 있는 부부 가구를 대상으로 상속이 자녀출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상속은 자녀출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속으로 인해 증가된 것으로 추정되는 자녀수를 계산하면 2016년을 기준으로 21,009명 이며, 이는 총 유배우 가임여성이 일생동안 출산할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수의 0.4% 정도에 해당한다. 상속뿐만 아니라 증여를 포함한 분석과 완결출산율을 고려한 분석에서도 일관성 있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현재 정부에서 가구에게 각 시기별로 일정한 금액을 지급하는 출산지원방식의 전환에 대한 논의를 시작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즉, 일정 금액을 여러 번으로 나누어 지급하는 것보다 큰 금액을 일시에 제공하는 방식이 출산율 제고에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 KCI등재

        효소제를 달리한 현미 찹쌀 고추장의 품질특성 비교

        조하영(Ha-Yeong Jo),홍재훈(Jae-Hoon H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4

        본 연구에서는 순창에서 구입한 메주와 Aspergillus kawachii 를 접종한 쌀코지, Aspergillus oryzae 를 접종한 콩코지를 이용하여 제조한 현미찹쌀고추장의 품질특성을 비교하고자 진행하였다. 효소제를 달리하여 제조한 고추장을 제조한 뒤 총 20일간의 발효 기간을 거쳤다. 발효 기간이 경과함에 따른 효소제별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을 연구를 하였다. 이화학적 특성(산도 및 pH, 당도, 수분함량, 색도,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 측정)과 미생물학적 특성(생균수 및 유산균 수 측정)을 분석한 결과 첨가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효소제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있는 것으로 나왔다. 특히 순창에서 구입한 코지를 이용하여 제조한 현미찹쌀고추장은 7.1-7.5×10⁷ CFU/mL의 생균수, 1.9-2.2×10³ CFU/mL의 유산균수와 48.67-52.30%, 58.57-63.90%의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이 있어 쌀코지와 콩코지에 비해 기능적으로 우수함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순창에서 구입한 메주의 미생물 및 효소제의 조성은 확인하지 않았으나, A. oryzae, A. kawachi i에 비해 영양적, 기능적 특성이 확보된 현미찹쌀고추장이 제조되어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each brown rice glutinous rice red pepper paste prepared. In this study, brown rice, glutinous rice, and red pepper paste were prepared with various enzyme preparations. A 20-day study of the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each enzyme through the results proc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ticular, brown rice red pepper paste manufactured using cozies purchased from Sunchang was functionally superior to rice cozies and bean cozies, with probiotics of 7.1-7.5×10⁷ CFU/mL, lactobacillus of 1.9-2.2×10³ CFU/mL, 48.67-52.30%, and 58.57-63.90%. When the results were combined, the composition of microorganisms and enzymes of fermented soybean paste purchased from Sunchang was not confirmed, but brown rice chili paste with nutritional and functional properties could be prepared compared to A.oryzae and A. kawachii.

      • KCI등재

        대학입학전형별 교육투자 비교 분석

        조하영 ( Hayoung Jo ),김진영 ( Jinyoung Kim ),송헌재 ( Heonjae Song ) 한국노동경제학회 2021 勞動經濟論集 Vol.44 No.1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대학입학전형별로 서로 다른 교육투자행태를 보이는지 확인해보았다. 분석 결과, 수시전형으로 대학에 입학한 학생들의 연평균 사교육비와 일주일 평균 혼자서 공부한 시간이 정시전형으로 대학에 입학한 학생들보다 낮았고, TV 시청, 컴퓨터 이용 등과 같은 여가시간과 수면시간이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입학 제도가 교육투자의 양태를 바꿀 가능성을 보여주며, 나아가 필요한 인적자본투자를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가능성도 있음을 보여준다. We empirically verified whether there are different educational investment behaviors according to university admissions, using the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average annual private education cost and the average amount of time spent studying alone per week of rolling admission type were lower than those of regular admission type. Also, rolling admission applicants had longer leisure and sleeping hours, such as watching TV and using computers. These results show the possibility that the university admission system will change the educational investment behavior. Furthermore, there is a possibility to induce the human capital investment to be made efficiently.

      • KCI등재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유아의 공격성 감소 효과

        조하영(Jo, Ha-Yeong),황성동(Hwang, Sung-Do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5 No.4

        본 연구는 체계적 리뷰 및 메타분석을 통해 공격성 감소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유아의 공격성 감소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자료는 PICOS 선정 기준에 따라 3개월 동안 수집되었고, 연구 보고기준인 PRISMA를 바탕으로 총 45편의 연구는 체계적 리뷰에 포함되었다, 45편의 연구 중 44편의 연구는 메타분석에 포함되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격성 감소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효과크기를 살펴보면 사회관계, 예술경험, 신체운동․건강 순으로 효과크기가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프로그램 효과는 서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효과크기의 이질성을 밝히기 위해 연령, 보고유형, 프로그램 횟수 및 기간에 따라 조절효과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관계 및 신체운동․건강 프로그램에서 보고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전반적으로 유아의 공격성 감소 효과는 프로그램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o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n reducing aggression in early childhood by the types of the programs used to do so. Based on the PRISMA guideline a total of 45 studies were included in the systematic review, and among them, 44 studies were synthesized through meta-analysis. Among the finding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gression reduc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aggression reduction program (x²=7.49, df=2, p=0.02)). Each of the program effects was large in magnitude, specifically –1.84 (95% CI, -2.40;-1.28) in the program of social relation, -1.01 (95% CI, -1.33;-0.50) in art experience, and –0.91 (95% CI, -1.50;-0.59) in physical exercise and health. The social relation program showed the highest effect in reducing aggression. Second, to investigate the possible causes of differences in effect sizes, the impact of children’s age, reporting types, the period of treatment and the number of treatment were explored. Consequently, reporting types turned out to be a moderator which explains some differences in effect sizes in both the social relation program and the physical exercise and health program (p<0.05). These findings, overall, show that each program has its own impact on reducing aggression in early childhood.

      • KCI우수등재

        아버지의 양육경험과 심리적 안녕감이 자녀에 대한 아버지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조하영(Ha Yeng Jo),박성연(Seong Yeon Park) 한국아동학회 2013 아동학회지 Vol.34 No.3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oderating affects of fathers` current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fathers` experienced parenting from the family of origin and their parenting attitudes to their children. The subjects themselves consisted of 370 fifth-and sixth-grade children and their fathers from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Deagu. Questionnaires containing items related to experienced parenting and the current psychological well-being reported by fathers and fathers` parenting attitudes reported by their children were used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a fathers` ``independent encouraging`` attitude to their children was predicted by a fa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whereas a fathers` ``acceptance`` attitudes was predicted by both a fathers` experienced ``acceptance`` parenting and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Further, a fa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played a moderate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experienced ``independent encouraging`` parenting from the family of orign their ``independent encouraging`` attitude to their children.

      • KCI등재

        어머니 상위정서철학이 유아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정서인식 및 정서표현의 매개효과

        조하영 ( Jo Ha-yeong ),정정희 ( Chung Chung-h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이 유아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유아의 정서인식 및 정서표현이 매개하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자료 수집을 위해 대구에 위치한 어린이 집 및 유치원 만 4, 5세 유아 304명과 그들의 어머니,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어머니 상위정서철학은 유아의 또래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어머니 상위정서철학이 유아 정서인식 및 정서표현을 통해 유아 또래관계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어머니 상위정서철학과 유아 또래관계 간의 관계에서 유아의 정서인식 및 정서표현이 완전매개역할을 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유아의 또래관계에 있어서 어머니 상위정서철학과 유아의 정서인식 및 정서표현이 중요한 변인임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aternal meta-emotion on preschoolers peer relations through preschoolers emotional awareness and emotional express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304 pairs of mothers and their preschool-aged children, and their teacher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Maternal meta-emotion didn t have a direct effect on preschoolers` peer relations. However, the relations between maternal meta-emotion and preschoolers peer relations were mediated by preschoolers emotional awareness and emotional expression.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aternal meta-emotion and preschoolers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expression are important in predicting preschoolers peer relations.

      • KCI우수등재

        응급실 환자공간의 실내 환경을 위한 요소 도출

        조하영(Jo, Ha-Young),김소희(Kim, So-Hee) 대한건축학회 2021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7 No.4

        The nation’s emergency medical care has been highlighted in the wake of the recent MERS outbreak, and the facility standards have been detailed through the revision of the law on emergency medical care in 2015. Following these changes, many emergency medical centers are currently undergoing remodeling. However, the revised standards are focused on the functional aspects of the emergency room. But emergency rooms also need to be considered for emotional aspects that can alleviate fears as a human-used indoor environment. Emergency department interior design should be based on behavior and sense factor of emergency care and emergency room. Behavior factor is composed observation, way-finding and privacy. Sense factor is expressed as light, color and textu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studied the design upgrade of the emergency patient area, which has not been studied before, and draws out the basic factor and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mergency room.

      • KCI등재

        메타분석을 이용한 감정코칭 부모교육프로그램 연구의 체계적 리뷰

        조하영 ( Jo Ha Yeong ),윤미승 ( Yun Mi Se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연구 Vol.42 No.2

        본 연구는 현재까지 축적된 감정코칭 부모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2010년부터 2021년까지 수행된 ‘감정코칭 부모교육프로그램’의 개별 연구들을 메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총 13편의 분석 대상 연구물로부터 23개의 효과크기를 R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랜덤효과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감정코칭 부모교육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중간 이상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양육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결과, 감정코칭 부모교육프로그램은 긍정적 양육태도가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하위요인에서는 내적요인의 효과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효과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수로는 회당 시간으로 나타나 감정코칭 부모교육그로그램을 120∼180분을 실시할 때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양한 부모교육 중에서 감정코칭 부모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밝힌 것으로 감정코칭 부모교육프로그램의 구안 및 운영에 시사점을 제공한 것이다. In order to systematically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emotion coaching parent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integrated research papers that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the emotion coaching parent education program. The program's empirical research papers accumulated from 2010 to 2021 were verified through meta-analysis. From a total of 13 studies, 23 effect sizes were analyzed by applying a random effect model using the R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emotion coaching parent education program was found to be above the middle level. Second, in respect to the effect on parenting attitude, the emotion coaching parent education program showed a high effect size of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the effect size of the internal factor was the highest among the sub-factors. Third, examining time per session as a modulating variable, the effect size was high when 120-180 minutes of emotion coaching parent education was conducted. This study revealed the effectiveness of the emotion coaching parent education program among various parent education programs, and provided implications for the design and operation of the emotion coaching parent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푸드코트 속성과 감정이 고객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조하영 ( Hayoung Jo ),이현주 ( Hyunjoo Lee ),최진경 ( Jinkyung Choi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6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3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nge attributes of food courts inside department stores or shopping centers, which are becoming more sophisticated and gentrified. A survey was conducted regarding customer satisfaction level of food services, which influences customers’ revisit behavioral intentions, to provid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Using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55 questions on food and beverage service, atmosphere, comfort, sanitation, and food quality were produced. This study tested how these choice factors affect customers’ positive or negative impressions of their dining experiences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food servic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contributing to customers’ positive impressions along with higher revisit behavioral intentions. On the contrary, respondents who received poor ‘food service’ had higher negative impressions with low revisit intentions. The results and findings of this study will positively influence marketing and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and thus help design of successful strategies for food court development.

      • 한 지역 자치구를 중심으로 한 정신건강복지센터 3개년 응급 출동 현황 분석

        조하영(Ha Yeong Jo),이승기(Seung Gi Lee),이소희(So Hee Lee),유소영(So Young Yoo)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21 사회정신의학 Vol.26 No.2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한 정신응급 초기 대응 내역을 대상으로 주요 요소별 분석 및 연도별 추이 분석을 통해 정신응급 대응체계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방 법 : 2018년 1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의 서울시 내 일개 지역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정신응급출동 요청을 받은 총 180건을 대상으로 출동 발생 건수, 개입 시간, 의뢰 경로, 문제 종류, 대상자 요인, 조치사항에 대하여 기초통계분석 및 연도별 추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 정신응급출동건수는 3개년 중 2019년에 가장 많았고, 건당 개입 소요시간은 2020년에 가장 높았다. 총건수로 볼 때에 의뢰 경로는 경찰이 가장 많았고, 자살과 정신증이 주요한 개입 문제였다. 조치사항으로는 보호자 인계 및 응급 입원이 많았고, 연도가 증가할 수록 복잡한 조치를 포함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그중에서도 2020년 응급 입원 경우 서울시 외 지역에 위치한 민간 병원으로 연계된 비율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 론 : 이 연구를 통하여 지역사회정신응급 대응을 주관하는 정신건강복지센터 역할의 중요성과, 효과적인 정신응급 위기 중재를 위해 서는 의뢰부터 조치까지 경찰 및 의료기관을 포함한 전체 구성원의 긴밀한 협조적 체계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COVID-19 팬데믹 상황이 정신응급조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는 바, 환경 변화에 유연한 대응을 위해 정신응급대응 시스템의 평가 및 보완 관련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 database based on the characteristic analyses and yearly trend-analysis of the management of psychiatric emergency calls within the community to improve the psychiatric emergency management system. Methods : The study analyzed psychiatric emergency calls from mental healthcare centers in the districts of Seoul from January 1st, 2018, to December 31st, 2020. Based on the total 180 emergency requests, we conducted a statistical analysis and yearly trend statistics on the total number of dispatches, total invested time, request routes, problem types,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atients and their management. Results : The total number of psychiatric emergency dispatches was highest in 2019 among the three years, and the invested time per dispatch was the longest in 2020. Based on the total number, request routes by police were the highest, and suicide and psychosis were the main problems. Guardian transfer and emergency hospitalization were most common, and we observed that more complicated interventions were necessary as the year went by. Especially in the case of emergency hospitalization in 2020, the admission rates in private hospitals outside of Seoul increased. Conclusion : Based on the study result, mental healthcare centers managing psychiatric emergency requests play crucial roles. All personnel from the police force to healthcare institutions should participate in kin cooperation to manage psychiatric emergency requests most effectively. Due to the impact of COVID-19, continuous evaluation and discussions on possi-ble improvements in the psychiatric emergency management system are necessary to provide more flexible and effective respon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