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양 열전도를 이용한 토양함수비 예측에 관한 연구

        조진우,강도경,강이석,Cho, Jin-Woo,Kang, Do-Kyung,Kang, E-Sok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15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18 No.2

        Vehicles and UGV(Unmanned Ground Vehicle) need a variety of road informations, such as road profile, soil type and soil water contents, to run a cross country course. Especially, soil water contents are very important factor to judge the vehicle mobility, because it can change soil strength. This paper describes the real-time measuring method of soil water contents by using the soil thermal conductivity.

      • KCI등재

        생활SOC정책의 문제점과 개선과제

        조진우(Cho, Jin-Woo) 한국토지공법학회 2020 土地公法硏究 Vol.90 No.-

        그동안 국가중심으로 추진된 SOC 사업은 경제성장의 기반이 되었고 지금은 선진국에 비추어 높은 수준에 이르게 되었다. 하지만 사회간접자본의 높은 총량을 주민은 일상생활에서는 제대로 체감하지 못하고 있으며 오히려 주민들의 변화한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SOC 시설들은 주민들의 수요에 비해 부족하거나 노후화로 인해 이용불편이 가중되고 있지만 지방자치단체는 낮은 재정자립도로 인하여 주민들의 요구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정부는 “일상생활”과 “주민편익”을 중심으로 한 생활SOC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생활SOC는 기존의 중앙정부의 일방적인 계획수립과는 달리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지역에서 필요한 사회간접자본을 제안 받아 추진하는 사업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생활SOC 3개년 계획을 수립하였고, 생활SOC 시설을 한 곳으로 모아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복합화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또한 생활SOC 사업에 대해 국고보조율을 상향 조정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참여 유도를 촉진하였다. 하지만 생활SOC에 대해서는 법적 개념이 명확하지 않아 유사 SOC 개념과 혼선이 있다. 생활SOC 개념이 매우 광범위한 개념으로 설정하여 SOC 사업 관련 법제간의 체계에 혼동이 발생하고 있다. 서울시의 경우 별도의 생활SOC계획이 수립되어 있지만 다른 지방자치단체들의 경우 종합적인 도시계획체계를 바탕으로 하여 생활SOC사업이 추진되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개별사업 중심으로 주민의견을 단순히 모아 사업을 신청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또한 사업선정에 집중하여 생활SOC 시설에 대한 운영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방안이 부재한 상황이다. 무엇보다 생활SOC기본법을 제정하여 생활SOC의 개념의 명확화, 관련 사업에 대한 사전 수요조사 명문화, 관련 법률에서의 면제 사항 등이 구체화되어야 한다. 또한 생활SOC의 종합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서울시와 같이 생활권계획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기존의 도시계획에 기반하여 체계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개별 생활SOC의 사업에 있어서 현황관리, 사업선정, 운영 등에 대한 종합적인 가이드라인이 마련되어야 한다. 생활SOC 사업에서 민간자본의 참여를 확대하고 주민이 운영을 주도할 수 있는 기반 조성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생활SOC는 생활편의시설의 확충이 아니라 주민들이 주도하여 생활에 밀접한 시설을 마련하고 운영하는 사업이다. 생활SOC사업이 단순히 일회성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주민의 편의를 증진하여 지역 커뮤니티를 보다 활성화하는 기반이 될 수 있는 제도 마련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SOC project, which has been promoted as a national center, has been the basis for economic growth, and has now reached a high level in light of developed countries. However, the high total amount of social overhead capital is not properly felt by the residents in everyday life, but rather does not meet the changing needs of the residents. SOC facilities are inadequate for the needs of the residents, or the use of them is increasing due to aging, but local governments are not able to respond appropriately to the needs of the residents due to low financial independence. Accordingly, the government has recently promoted a living SOC policy centering on “everyday life” and “resident convenience”. Unlike the existing central government s one-sided planning, the living SOC is a project that promotes the local community based on the opinions of local residents by proposing the necessary social overhead capital. To this end, the government has established a three-year plan for living SOC, and a complex project is underway to bring synergy to one living SOC facility. In addition, the government subsidy rate has been increased for the living SOC project to promote the participation of local governments. However, the legal concept of living SOC is not clear, so there is a confusion with similar SOC concept. The concept of living SOC is set as a very broad concept, and confusion has arisen in the system between laws related to SOC business. In the case of Seoul, a separate living SOC plan has been established, but other local governments have not been able to promote Living SOC projects based on a comprehensive urban planning system. As a result, they are staying at the level of applying for business by simply gathering opinions of residents based on individual projects. In addition, there is no specific plan for the operation of living SOC facilities by focusing on the business selection. Above all, the Basic Act on Living SOC should be enacted to clarify the concept of Living SOC, clarify the prior demand survey for related projects, and exempt from related laws. In addition, in order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plan for living SOC, it is necessary to use the life zone plan more actively, as in Seoul, so that it can be systematically operated under the existing urban planning system. Comprehensive guidelines for status management, project selection, operation, etc. should be prepared for individual SOC projects. In the social SOC project, the participation of private capital should be expanded, and the foundation for residents to lead the operation should also be established. Living SOC is not an expansion of living convenience facilities, but a project led by residents to prepare and operate facilities closely related to living.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ystem that can not only be a one-time living SOC project, but also promotes the convenience of the residents, thereby activating the local community.

      • KCI등재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의 문제점과 개선과제

        조진우(Jinwoo, Cho)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法學硏究 Vol.32 No.1

        정부의 강력한 출산억제정책으로 출발한 저출산이 지속되면서 이제는 국가의 존립을 위협하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저출산·고령화가 점점 심해지면서 국가차원의 대응이 필요하다는 인식하여 2005년에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이 제정되었고 이에 기초하여 기본계획과 시행계획이 수립되어 추진되었다. 그러나 저출산이 지속되면서 이제 출산율이 1명 아래로 낮아졌고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면서 이제는 인구감소시대로 접어들게 되었다. 인구 보너스(bonus) 시기를 지나 인구 오너스(onus) 시기에 접어들게 되었다.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은 저출산 대응 정책추진을 위하여 대통령 소속의 위원회를 마련하였고,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기본계획과 실행계획을 수립하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그러나 기본계획과 시행계획은 4번의 계획이 수립되는 동안 기존의 정책을 재배열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여성을 출산의 대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비판까지 받고 있다. 무엇보다 저출산·고령사회 기본법은 심각해지는 저출산의 변화와 달리 15년이 넘는 동안 별다른 개정 없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저출산 고령화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저출산고령화 정책이 삶의 질로 전환하는 관점의 전환이 법률에도 반영되어야 한다.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 위원회에 지방자치단체도 참여할 수 있도록 위원의 대상을 확대하고 위원회 개최를 정례화하여야 한다. 또한 법률에 남아 있는 성편향적 규정을 개정하여 저출산을 여성의 문제가 아니라 가족과 사회구성원 모두의 문제로 전환시켜야 한다. 인구문제가 다양한 분야의 문제라는 점을 고려하여 별도의 인구청을 신설하는 방안도 고려되어야 한다. 지방자치단체에게도 단순히 실행계획만을 수립하도록 할 것이 아니라 국가와 다른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하고 교류하여 보다 실효성 있는 정책을 수립할 수 있는 법적 기반을 마련하여야 한다. 저출산의 문제는 여성의 출산이라는 기존의 인식을 극복하고 삶의 질이라는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단기간의 처방보다는 장기간 지속적인 정책을 추진하여 국민의 신뢰를 얻어야 저출산을 극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정책을 넘어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의 개편을 통한 법적 기반의 정책추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With the continued low birth rate, which started with the government"s strong birth control policy, it is now facing a situation that threatens the existence of the state. Recognizing the need for a national level response as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are getting worse, the Framework Act On Low Birth in an Aging Society was enacted in 2005, and a basic plan and an action plan were established. However, the fertility rate has now fallen below one, and as this situation continues, it is now entering an era of population decline. After a period of population bonuses, we entered a period of population onus. The Framework Act On Low Birth in an Aging Society is the basis for establishing a committee and establishing a basic plan and an action plan. However, the basic plan and the action plan remain at the level of rearranging the existing policies, and are even being criticized for recognizing women as objects of childbirth. In order to overcome the aging of the low birth rate and the aging population, the change in the perspective of the policy of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to the quality of life should be reflected in the law.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the number of members should be expanded and the committee should be held regularly so that local governments can also participate in the committee. It is necessary to convert low birthrate into a problem for both families and members of society, not for women, through unification of policy formulation for uniformity of policy and revision of gender-biased regulations in the law. The establishment of a separate body (so-called Population Office) to oversee population issues should also be considered. The grounds should be defined so that local governments can establish more effective policies by cooperating and exchanging with the state and other local governments, not simply to establish an action plan. The problem of low birthrate must be understood in terms of quality of life. The low birth rate can be overcome by promoting long-term continuous policies to gain public trust.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promote policies under the legal system through reorganization of the Framework Act On Low Birth in an Aging Society beyond policy.

      • KCI등재
      • KCI등재

        휴대용 및 웨어러블 측정기를 위한 ECG와 PPG 신호를 활용한 합성곱 신경망 알고리즘 기반의 비가압식 혈압 추정 방법

        조진우(Jinwoo Cho),최아영(Ahyoung Choi) 한국산업정보학회 2020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25 No.3

        본 논문에서는 시계열 심전도 (Electrocardiogram: ECG) 및 광전용맥파 측정센서(Photoplethysmography: PPG)을 이용하여 혈압을 추정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혈압 (Blood pressure: BP)을 추정하기 위해 주기적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차동 및 임계값 방법에 따라 잡음을 제거한 다음 합성곱 신경망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여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을 예측한다. 본 논문에서 사용된 데이터는 MIMIC 데이터베이스에서 총 3.1GB의 49명의 환자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수축기 혈압의 평균 제곱근 오차는 5.80mmHg, 이완기 혈압의 예측 오차는 2.78mmHg을 나타내었다. 또한, 영국 고혈압 협회가 제안한 혈압계 평가 방법을 적용하였을 때, 최고 성능인 등급 A를 만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lgorithm for estimating blood pressure using ECG (Electrocardiogram) and PPG (Photoplethysmography) signals. To estimate the BP (Blood pressure), we generate a periodic input signal, remove the noise according to the differential and threshold methods, and then estimate the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s based on th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We used 49 patient data of 3.1GB in the MIMIC databas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prediction error (RMSE) of systolic BP was 5.80mmHg, and the prediction error of diastolic BP was 2.78mmHg. This result confirms that the performance of class A is satisfied with the existing BP monitor evaluation method proposed by the British High Blood Pressure Association.

      • KCI등재

        유료도로의 공공성에 대한 소고 : 정부의 유료도로 공공성 정책을 중심으로

        조진우(Cho, Jin-Woo) 한국토지공법학회 2020 土地公法硏究 Vol.91 No.-

        도로는 경제성장의 토대가 될 뿐만 아니라 이동의 자유를 실현하기 위한 기반이 되는 것으로 공공의 목적에 공용되는 대표적인 공물이다. 그러나 도로는 건설에 엄청난 예산이 필요하기 때문에 정부는 수요에 대응하는 충분한 도로를 건설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도로무료공개의 원칙에 대한 예외로서 도로를 이용하는 경우 일정한 통행료를 부담하게 하는 유료도로제도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현행 유료도로는 정부가 건설하여 운영하는 도로와 민간투자 방식으로 건설하여 운영하는 도로로 구분할 수 있다. 정부는 민간투자 방식의 유료도로의 높은 통행료를 인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하는 유료도로의 공공성 강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의 논의들은 정작 유료도로의 공공성이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보다는 통행료 인하에 치중하고 있다. 통행료의 인하도 유로도로의 공공성을 높이는 중요한 방법이기는 하지만 근본적인 방안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공공성은 그동안 많은 논의에도 불구하고 개념의 다의성, 모호성 때문에 개별 영역에서 구체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공공성이 개별 정책의 정당성을 보여주는 수식어에 그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유료도로의 공공성은 기본적으로 공공성 일반 요소로 논의되고 있는 공민성, 공익성, 공개성의 요소를 갖추어야 한다. 이러한 요소는 명확하게 구분되기 보다는 상호 융합하고 보완하여 공공성의 개념을 구체화하게 된다. 이를 기반으로 공공재로서 도로의 성격과 도로무료공개원칙의 예외로서의 국가임무론을 고려하여 유료도로에 대한 공공성을 보다 구체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인 개념화를 넘어 구체적인 영역에서 공공성의 개념화에 대한 논의는 아직 미흡한 상황이고 이는 도로 분야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로분야의 공공성을 보다 구체화하기 위해서는 유료도로의 환경침해, 주민참여, 교통약자에 대한 통행료 인하 등 구체적인 분야에서 공공성에 대한 많은 논의가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The road is the foundation of economic growth and the basis for realizing freedom of movement, and is a representative tribute shared for public purposes. However, the roads require a huge budget to build, so the government is not building enough roads to meet demand. As an exception to the principle of free road disclosure, the government introduced and operates a toll road system that charges a certain toll when using the road. Current toll roads can be divided into roads constructed and operated by the government and roads constructed and operated by companies by private investment. The government is driving a policy to strengthen the publicity of toll roads, focusing on the contents of cutting high tolls on toll roads using private investment. However, the discussions now focus on lowering tolls rather than discussing what the publicity of toll roads is. Although reducing the toll is an important way to increase publicity on the toll road, it is hard to say that it is a fundamental measure. Publicity, despite many discussions, has not been materialized in individual domains due to the multiplicity and ambiguity of the concept. As a result, publicity is often a qualifier that shows the legitimacy of individual policies. The publicity of toll roads should basically have the elements of citizenship, public interest, and publicity that are discussed as general elements of publicity. Rather than being clearly distinguished, these elements fuse and complement each other to shape the concept of publicity. Based on this, the publicity of toll roads can be more concretely considered in consideration of the nature of roads as public goods and national mission theory as an exception to the principle of free public roads. The discussion of conceptualization of publicity in concrete areas beyond general conceptualization is still insufficient, and this is also true in the road sector. In order to further refine the publicity of the road sector, many discussions on publicity in specific fields such as environmental infringement of toll roads,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reduction of tolls for the weak of traffic should be continuously promoted.

      • KCI등재

        도시기본계획에서 인구추정의 적정성 확보 방안 연구

        조진우(Cho, Jin-Woo) 한국토지공법학회 2021 土地公法硏究 Vol.96 No.-

        In the process of high economic growth in Korea, the population increased with a high fertility rate, and people flocked to cities. As many problems occurred due to the rapidly increasing population of cities, the Urban Planning Act solved these problems by preparing the urban master plan and urban management plan. In a time when the population is declining due to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a fundamental change is inevitable in the urban master plan stipulated on the premise that the existing population is increasing. However, although local annihilation is becoming a reality due to population decline, local governments are establishing basic urban plans on the premise that the population will increase as in the past. In the urban master plan established by local governments, overestimating the future population, the gap with the reality of declining population is gradually increasing. The urban master plan presents an image of the future of the city, and an increase in the population gap, which is the basis of the plan, leads to indiscriminate development of the region and waste of finances, leading to the decline of the city. In order for the urban master plan to perform its original function by bridging the population gap between the plan and reality, local governments should be able to utilize more diverse population indicators to establish the urban master plan and to establish more flexible plans. do. In addition, more specific control measures are required for population growth caused by social factors in the planned population estimation. Recognizing that population movement in the era of population decline is a zero-sum game for local governments, measures that enable neighboring local governments to interconnect the urban master plan should also be considered. Above all, it is also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local governments to establish urban master plans and to provide a basis for easily sharing data for rational establishment of urban master plans between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In the era of population decline, if local governments overestimate the population according to the urban master plan as in the past, the current difficulties will be accelerated. It should be possible to establish a basic urban plan suitable for its original function by inducing population estimation through more diverse methods and controlling excessive population estimation. 우리나라는 높은 경제성장 과정에서 높은 출산율 속에서 인구는 증가하였고 도시로 모여들었다. 도시가 급증하는 인구로 인해 많은 문제가 발생하면서 도시계획법은 도시기본계획과 도시관리계획을 마련하여 이를 해결하였다. 저출산ㆍ고령화로 인해 인구가 감소하는 지금에 있어서 기존에 인구가 증가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규정된 도시기본계획은 근본적인 변화가 불가피하다. 하지만 인구감소로 인해 지역소멸이 현실화되고 있지만 지방자치단체는 과거와 같이 인구가 증가하는 것을 전제로 한 도시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가 수립한 도시기본계획에서는 장래인구를 과다하게 추정하면서 인구가 줄어드는 현실과의 격차는 점점 크게 증가하고 있다. 도시기본계획은 해당 지역의 도시의 미래상을 제시하고 있어서 계획의 기본이 되는 인구격차가 증가하는 것은 결국에 지역의 무분별한 난개발과 재정낭비를 초래하여 도시의 쇠퇴를 가속화시키는 결과를 낳고 있다. 계획과 현실간의 인구격차를 해소하여 도시기본계획이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가 도시기본계획의 수립을 위해서 보다 다양한 인구지표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보다 탄력적인 계획수립을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계획인구 추정에서 사회적 요인에 의한 인구증가에 대해서는 보다 구체적인 통제방안 요구된다. 인구감소시대의 인구이동은 지방자치단체에게는 제로섬 게임이라는 점을 인식하고 주변 지방자치단체가 도시기본계획을 상호 연계할 수 있는 방안도 고려되어야 한다. 무엇보다 지방자치단체의 도시기본계획 수립 역량을 강화하고 도시기본계획의 합리적 수립을 위한 데이터를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용이하게 공유할 수 있는 근거도 필요하다. 인구감소시대에 직면한 지금에 있어서 지방자치단체가 과거와 같이 도시기본계획상의 인구를 과도하게 추정하게 되면 지금의 어려움을 가속화시킬 것이다. 보다 다양한 방법을 통한 인구추정을 유도하고 과도한 인구추정을 통제하여 본래의 기능에 적합한 도시기본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