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urgical Outcomes of Single-port Laparoscopic Appendectomy versus Conventional Laparoscopic Appendectomy in Children: Preliminary Report of a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조정래,강원미,안수민,Cho, Jung Rae,Kang, Won Me,Ahn, Soo Min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2014 소아외과 Vol.20 No.2

        Purpose: Currently the substantial clinical benefits of single-port laparoscopic appendectomy (SLA) over conventional three-port laparoscopic appendectomy (CLA) are equivocal.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surgical outcomes between SLA and CLA in children with acute appendicitis. Methods: A single blind prospective randomized single center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surgical outcomes of SLA and CLA. A total of 105 patients were randomized and various parameters were analyzed, 52 patients with SLA and 53 patients with CLA between July 2013 and March 2014. Patients with sonographically confirmed acute appendicitis were randomly assigned to receive either SLA or CLA. The outcome measurements were operating time, wound complication, and intraperitoneal morbidities, postoperative pain score and cosmetic result score. Results: Operating time is significantly longer in SLA ($70.4{\pm}26.7$ minutes vs. $58.0{\pm}23.4$ minutes; p=0.016).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ostoperative wound complication rate and intraperitoneal morbidities between two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toperative resting pain score ($6.6{\pm}2.5$ vs. $6.3{\pm}2.5$; p=0.317) and activity pain score ($6.9{\pm}2.4$ vs. $6.3{\pm}2.5$; p=0.189), and the cosmetic result score ($9.2{\pm}1.1$ vs. $9.1{\pm}1.4$; p=0.853). Conclusion: Although SLA would be a safe and feasible procedure in children, SLA could not demonstrate the clear benefit over CLA.

      • KCI등재

        유기자재 시용이 벼의 생육과 질소이용효율에 미치는 영향

        조정래,최현석,이연,이상민,정석규,Cho, Jung-Lai,Choi, Hyun-Sug,Lee, Youn,Lee, Sang-Min,Jung, Seok-Kyu 한국유기농업학회 2012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0 No.2

        탄질비가 다른 유기자재를 시용하여 벼를 유기재배 할 때 자재별 무기화 정도와 벼의 질소 이용효율을 조사하기 위해서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시험을 수행하였다. 유기자재 처리는 질소함량 90kg/ha 수준으로 가축분퇴비, 유박, 유박2배, 헤어리베치, 헤어리베치+호밀 처리구를 두었고 화학비료구와 대조구를 두었다. 유기자재 중 유박은 가장 낮은 탄소:질소비(탄질비)를 나타내었고 가축분퇴비가 가장 높은 탄질비를 보였다. 토양 pH, 탄소, 질소, 칼슘, 그리고 마그네슘 농도는 처리간에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2009년과 2010년의 질소 이용효율은 유박처리구가 화학비료구와 헤어리베치 그리고 퇴비구보다 높았다. 강수량이 많았던 2011년에는 축분퇴비구가 질소이용효율이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soil nutrient concentrations and N uptake efficiency of paddy rice as affected by nutrient sources from 2009 to 2011. The treatments included chemical fertilizer, compost, oilcake, oilcake 2X, hairy vetch, vetch+rye, and control. Nutrient applications were made at rates equivalent to approximately 90 kg of actual N per hectare. Oilcake had the lowest C:N ratio from the raw materials, but compost had the highest C:N ratio of 34:1. Soil pH and concentrations of C, N, Ca, and Mg were unaffected by nutrient source treatments. N uptake efficiency was the greatest for oilcake-treated rice compared to those treated by NPK, hairy vetch, and compost in 2009 and 2010. Composttreated rice had the greatest N uptake efficiency in 2011 when the high amount of precipitation occurred.

      • KCI등재

        가묘상을 이용한 잡초관리가 잡초발생과 유기농 배추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조정래,이병모,안난희,옥정훈,신재훈,최현석,Cho, Jung-Lai,Lee, Byung-Mo,An, Nan-Hee,Ok, Jung-Hun,Shin, Jae-Hun,Choi, Hyun-Sug 한국유기농업학회 2014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2 No.4

        본 시험은 유기재배 배추(Brassica oleracea L.)에서 가묘상 준비 후 잡초관리 방법이 잡초발생과 배추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2013년 봄과 가을작기에 수행되었다. 잡초관리 방법에는 천경, 화염, PE멀칭, 무처리를 포함하였다. 천경처리는 봄작기에서 잡초억제 효과가 작았으나 화염처리는 봄과 가을작기 모두 효율적으로 잡초를 억제하였다. 봄작기에는 PE멀칭구에서 30%의 tip-burn이 관찰되었다. 가묘상 준비에 의한 잡초관리로 봄과 가을작기 모두 관행 PE멀칭과 비슷한 엽수와 신선중 및 수량이 가능하였다. 결구정도는 무처리구에서 가장 낮았다. 가을작기는 봄작기 보다 잡초생장이 감소되었고 이에 따라 배추 수량은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가묘상을 통한 천경이나 화염처리는 잡초발생을 크게 감소시켜서 PE 멀칭 대용으로서 친환경적인 초생관리의 효과가 기대되었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s of weed managements after false seedbed on the weed control and growth of spring and fall cabbages (Brassica oleracea L.) in an organic upland in 2013. Weed managements included rake, flame, PE mulch, and none treatment. The weed occurrence was not effectively controlled by rake treatment but controlled by flame treatment in spring and fall cultivation. PE mulch plots had 30% of tip-burn in spring cultivation. Weed managements after false seedbed were similar fresh weight, leaf number, and cabbage yield to the conventional PE mulch. Head of cabbage was the lowest on the none treatment. Fall cultivation reduced the weed density and increased yield of cabbage compared to those of spring in all treatment plots. In conclusion, rake or flame treatment after false seedbed markedly decreased weed occurrence, which was expected to use for management of environmentally-friendly vegetation as a substitute of PE mulch.

      • KCI등재

        2~18 GHz 광대역 캐비티 백 스파이럴 안테나 설계

        조정래,박진오,유병석,정운섭,정우성,박동철,Cho, Jung-Rae,Park, Jin-Oh,You, Byung-Sek,Jeong, Un-Seob,Chung, Woo-Sung,Park, Dong-Chul 한국전자파학회 2008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19 No.10

        본 논문에서는 $2{\sim}18$ GHz 광대역 캐비티 백 스파이럴 안테나 설계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Archimedean 스파이럴 안테나의 설계 기법을 바탕으로 스파이럴 안테나의 암 패턴과 백 캐비티를 설계하고, CST사의 MWS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안테나의 VSWR, 축비(axial ratio) 그리고 반전력 빔 폭을 고찰하였다. 또한, 동작 대역에서 요구되는 VSWR 특성을 만족시키는 Marchand 동축형 밸런을 설계하였다. 최종적으로 제작 및 측정을 통해 안테나의 성능 및 설계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In this paper, design of a $2{\sim}18$ GHz wideband cavity-backed spiral antenna is investigated. Firstly, an arm pattern and a backing cavity of a cavity-backed spiral antenna are designed based on the design theory of an Archimedean spiral antenna as well as by using CST's MWS. VSWR, axial ratio, and HPBW(Half Power Beam Width) characteristics are considered in the simulation. Secondly, a Marchand coaxial balun is designed to meet the required VSWR within the frequency band of operation. Finally, the validity of these approaches is verified by comparing the simulated results with measured ones.

      • KCI등재

        콩 무경운 유기재배 시 피복식물의 잡초억제 효과

        조정래,안난희,남홍식,이상민,옥정훈,Cho, Jung-Lai,An, Nan-Hee,Nam, Hong-sik,Lee, Sang-min,Ok, Jung-hun 한국잡초학회 한국잔디학회 2017 Weed & Turfgrass Science Vol.6 No.3

        전북 완주의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 시험포장에서 2015년과 2016년 콩 무경운 유기재배를 위해 피복식물을 이용한 잡초관리 시험을 수행하였다. 피복식물은 호밀 단파와 헤어리베치를 단파하는 처리와 혼파하는 처리를 두었다. 피복식물은 2014년 가을에는 경운 후에 파종하였으나 2015년 이후에는 무경운 파종하였고, 콩은 2015년과 2016년 모두 무경운 재배하였다. 호밀 피복구에서는 정식 후 60일까지 80% 이상의 잡초억제율을 보여 무경운 재배에서 잡초관리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며, 호밀/헤어리베치 혼파구에서도 30% 이상의 잡초억제율을 보여 잡초관리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헤어리베치 피복구는 잡초억제 효과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유기재배 콩 포장의 발생 초종은 일반 포장에 비하여 많지 않았다. 2016년에 콩 무경운 유기재배 수량은 관행재배와 비교하여 다소 좋은 수량을 나타내었으나 전체적으로 평균수량은 낮게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weed control effect in organic soybean upland field as affected by cover crops including rye, hairyvetch, and its mixtur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during two years (2015 and 2016) at the NA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organic farming experimental field. The cover crops were seeded after tillage at fall crop season in 2014, and then, the soybean field was managed with no tillage system from 2015. The weed suppression rates of cover crops application for rye and mixture (rye+hairyvetch) treatment during 60 days after transplanting were 80% and 30%, respectively. However, weed suppression rate of hairyvetch treatme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s compared to control. Weed flora in experimental field were less than general soybean field. The average organic soybean yield was generally low compare to normal year, nevertheless, the soybean yield for rye and mixture treatment in 2016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PE mulching treatment.

      • KCI등재

        연구논문 : 재정적 정부관계와 규제적 정부관계에 대한 인식의 차별: 미국 주정부 공무원의 인식 속에 존재하는 두 차원의 정부관계

        조정래 ( Chung Lae Cho )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2011 정부학연구 Vol.17 No.2

        미국의 연방-주정부관계는 역사적, 이론적, 개념적으로 두 차원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연방보조금(federal grants-in-aid)을 중심으로 한 재정적(또는 협력적) 정부관계와 법률, 명령을 중심으로 한 규제적(또는 강제적) 정부관계이다. 이 두 차원의 정부관계는 미국 정부관계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이론적 분석 틀을 제공한다. 역사적, 이론적, 개념적으로 구별되어지는 두 차원의 정부관계가 공무원의 인식 속에서도 경험적으로 구분되어지는가 하는 것이 이 논문의 연구주제이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1994, 1998, 2004년 미국 주정부 공무원프로젝트(American State Administrator`s Project) 설문자료를 이용하여 주정부공무원이 인식하고 있는 연방정부의 재정적 영향과 규제적 영향이 단일차원(uni-dimension)인지 아니면 이중차원(dual-dimension)인지를 확인적 요인분석방법(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연방정부의 재정적 영향과 규제적 영향은 단일차원이 아니며 두 차원으로 구별되어진다. 이론적으로 구별되는 두 차원의 연방-주정부관계가 현실적으로 공무원의 인식 속에도 구별되어 존재한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그러나 재정적 정부관계와 규제적 정부관계는 서로 완전히 별개의 독립된 차원이 아니라는 사실 또한 알게 되었다. 즉 연방과 주정부의 재정적 관계와 규제적 관계는 하나의 차원도 아니지만 완전히 독립된 개별 차원도 아닌 중첩모형이라 하겠다. There are two dimensions of American state-national relations. One is fiscal aspect which relies on federal grants-in-aid to secure cooperation from state governments. The other is regulatory aspect resting on the legal authority of the national government. These two dimensions provide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study of American intergovernmental relations. The dimensions, however, which can be separated historically and theoretically do not necessarily assure that they are empirically distinguishable. This article investigated whether or not administrators perceive the two dimensions of intergovernmental relations separately. The data for this research is derived from 1994, 1998, and 2004 American State Administrator Project surve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rovides a method to test the dimensionality of intergovernmental relations. It is found that state administrators perceive the two dimensions independently. The two dimensions, however, are to some extent overlapp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dimensions may be derived from federal regulations such as crosscutting requirements and crossover sanctions that blur the boundaries between fiscal and regulatory intergovernmental dimensions.

      • KCI등재

        여성의무공천제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지방정치에서 여성 대표성의 확대를 중심으로

        조정래 ( Chung Lae Cho ),박지영 ( Ji Young Park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11 국가정책연구 Vol.25 No.3

        2010년 제5회 동시지방선거에서 여성의무공천제가 도입되었다. 본 연구는 여성의 지방정치참여 확대를 위해 도입된 여성의무공천제가 지방정치에서 여성의 대표성 제고와 여성정치엘리트 충원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았다. 2010년 지방선거를 분석한 결과, 여성의무공천제 시행으로 여성 지방의회의원 후보자와 당선인의 숫자 및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여성의 당선경쟁력도 크게 향상되어 기초의회에서는 1995년 지방선거 이래 처음으로 여성의 당선율이 남성의 당선율을 앞지르는 결과가 나타나기도 하였다. 또한 여성의무공천제가 여성 지방의회의원 충원에 미친 영향을 연령, 학력, 경력측면에서 살펴보았다. 2006년 지방선거와 비교하여 볼 때 2010년 지방선거에서 여성후보자와 당선인의 연령은 증가하였으며, 학력은 향상되었고, 지방의원 또는 정치인 출신 여성 지방의원의 비율이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여성의무공천제 도입이 여성의 지방의회 진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여성의 대표성 및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어느 정도 나타났음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In 2010 there was an amendment to the Election Act for Public Offices. Under the amendment political parties were required to nominate more than one female candidate for local councils per one general constituency. The results of 2010 local election showed that the compulsory quota for female candidates improved the women`s representation in local councils: the number and ratio of female representatives in local councils successfully increased. In addition, the quality of women local council members improved: their education level increased and their career paths were more suited for local council members. It was proved clearly and conclusively that the compulsory quota for female candidates in local council election improved female presence in Korean local poli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