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미 한인 남성의 결혼만족도 영향요인

        조인주(Cho, In-Ju)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0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33

        본 연구의 목적은 재미 한인 남성들의 인구학적 및 사회?경제적, 이민관련, 심리?문화적 특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연령이 20세 이상 64세 이하이며, 결혼한 지 2년 이상이 되고, 아내와 함께 살고 있으며, 로스앤젤레스 카운티에 거주하는 재미 한인 남성들이다. 자료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기기입식 방법으로 수집하였다. 총 310부의 설문지가 배부되었고, 201부의 완성된 설문지가 회수되었다. 설문응답이 불충분한 5부를 제외한 196부의 설문지가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되었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우울증과 아내학대가 결혼만족도와 유의미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사와 정신건강실천가들을 위한 실천적 함의가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Korean American men"s marital satisfaction was affected by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immigration-related, and psych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A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and a total of 31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Data were collected from 201 Korean immigrant men who were 20 years or older, but younger than 64 years old, having a marital relationship for at least two years, living with a wife, and residing in Los Angeles County. Five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because of the unreliable responses, and the final data included 196.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depression and occurrence of wife abus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articipants" marital satisfaction.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or social workers and mental health practitioners a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조인주(Cho, In Ju),도향선(Do, Hyang Sun),구형선(Goo, Hyoung Sun)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社會科學硏究 Vol.3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생활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아존중감과 신체활동의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모형을 수립하고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해 경로과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 소재 6개 대학교의 대학생들을 편의표집방법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기기입식 방법으로 수집하였다. 배부된 설문지는 총 1,000부이고, 회수된 814부의 설문지 중 응답이 충실한 799부의 설문지를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구조방정식모델 검증결과, 생활스트레스는 자아존중감에 부적인 영향을, 자아존중감은 정신건강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생활스트레스는 신체활동에 부적인 영향력을, 신체활동은 자아존중감에 정적인 영향력을, 자아존중감은 정신건강에 부적인 영향력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생활스트레스는 정신건강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보였다. 반면, 생활스트레스는 신체활동에 부적인 영향력을 나타냈으나, 신체활동은 정신건강에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athways among stress, physical activity, and self-esteem on mental health in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 on this topic, we specified a research model and tested hypothesized paths on mental health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survey data of 799 college students residing in Jeonbuk area was used for this study.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both measurement and structural models had a good fit to the data. Among many hypothesized paths in our research model, stress had significant effects on mental health through physical activity and self-esteem in college students. Also, the path from stress to mental health was significant. However, the path from physical activity to mental health was not significant. Based on the study findings, implications for practice to improve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were discussed.

      • KCI등재

        원불교 출가교역자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조인주 ( In Ju Cho ),구형선 ( Hyoung Sun Goo ) 한국신종교학회 2012 신종교연구 Vol.27 No.-

        본 연구는 원불교 출가교역자의 생활만족도 정도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출가교역자 60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조사하였다. 생활만족도에 관한 독립변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개인적 특성, 종교적 특성으로 구분하여 이들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적으로 생활만족도는 평균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남성 출가교역자의 생활만족도 전체평균이 여성에 비해 다소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있어서는 남성 출가교역자의 경우, 우울, 주관적 건강평가, 상급자 만족도, 직무만족도, 급여만족도, 신앙·수행생활 만족도가 그들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출가교역자의 경우, 우울, 주관적 건강평가, 사회적지지, 직무만족도,급여만족도, 신앙·수행생활 만족도가 그들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바탕하여 원불교 출가교역자의 생활만족도 향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in Won-Buddhist ministers. In this study, a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and data collected from 601 Won-Buddhist ministers residing in Korea and overseas countries were analyzed. This study examined how socio-demographic, personal, and religious characteristics influenced life satisfaction in Won-Buddhist ministers. The result showed that the respondents` level of life satisfaction is above the mean. However, the male respondents` level of life satisfaction is higher than the female respondents` level of it.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for the male respondents revealed that depression, subjective health assessment, superiors`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llowance(salary)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in religious faith and practic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Als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for the female respondents revealed that depression, subjective health assessment, job satisfaction, allowance(salary) satisfaction, social support, and satisfaction in religious faith and practic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strategies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 of Won-Buddhist ministers we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의 가출 충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인주 ( Inju Cho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개인, 부모, 또래, 사회 환경적 특성이 그들의 가출 충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전북 A시에 재학 중인 720명의 중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2021년 10월부터 12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내용: 청소년의 개인적 특성인 학년, 성적, 경제 수준, 자아존중, 우울, 부모 특성인 부모 애정과 아동 학대, 또래 특성인 또래 신뢰와 비행 친구, 사회 환경적 특성인 가출 인식과 청소년 관련 기관 인식이 그들의 가출 충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론 및 제언: 다중회귀분석 최종 모델에서는 학년, 성적, 경제 수준, 자아존중, 부모 애정, 아동 학대, 가출 인식, 시설 인식이 가출 충동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었다. 반면, 성별, 우울, 또래 신뢰, 비행 친구는 가출 충동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가출 충동을 낮추고 가출을 예방 및 개입하기 위한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impulse to run away in adolescents are influenced by individual, parents, peers, and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his study used a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o gather data from 720 junior-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in Jeonbuk from October 2021 to December 2021.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in the final model revealed that the impulse to run awa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rade, academic performance, household economic status, self-esteem, parental affection, child abuse, perception of runaway, and knowledge of youth-serving agencies. However, gender, depression, trust in peers, and delinquent friends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t. Based on the study results, implications for practice to decrease the impulse to run away in adolescents a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우울 영향요인들의 구조적 관계 분석문화변용과 적응과정 이론을 중심으로

        조인주(In Ju Cho),현안나(An Na Hyun)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2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0 No.1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의 자아존중감, 한국어 능력, 사회적 지지, 문화적응 스트레스, 생활만족도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Berry와 Sam(1997)의 문화변용과 적응과정 이론과 관련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모형을 수립하고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해 경로과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 남성과 결혼하여 전라북도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으로 설문조사에 응답한 총 187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구조방정식분석결과, 본 연구를 위해 수립한 측정모형과 구조모형 모두 자료에 적절한 모형 적합도를 보였다. 연구모형에서 수립한 다양한 경로들 가운데 자아존중감은 주위 사람들의 지지를 통해 간접적으로 결혼이주여성들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결혼이주여성들의 한국어 능력은 문화적응 스트레스 중 향수병을 통해 우울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지각된 차별감과 향수병의 이중 매개를 통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자아존중감은 주위 사람들의 지지를 통해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쳤지만, 생활만족도가 우울에 이르는 경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결혼이주여성들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실천적 함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pathways among self-esteem, Korean ability, social support, acculturation stress, life satisfaction on depression in married migrant women. Based on the theory of the process of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by Berry and Sam(1997) and the existing literature on this topic, we specified a research model and tested hypothesized paths on depression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survey data of 187 married migrant women residing in Jeonbuk area wes used for this study.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both measurement and structural models had a good fit to the data. Among many hypothesized paths in our research model, self-esteem had an indirect effect on depression in married migrant women via perceived social support from significant others. Also, married migrant women`s Korean ability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depression through homesick as well as the double mediation of perceived discrimination as foreigners and homesick. Married migrant women`s self-esteem impacted on their life satisfaction via social support from significant others; however, the path from life satisfaction to depression was not significant. Based on the study findings, implications for practice to improve mental health of married migrant women and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원불교 성직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조인주(Cho, In Ju)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논총 Vol.37 No.-

        본 연구의 목적은 원불교 성직자의 직무만족 정도를 파악하고, 그들의 인구사회학적, 개인적, 조직적 특성이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데 있다. 성직자들은 종교 단체를 운영 및 관리하면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데, 그들의 직무는 성직자 개인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교인들과 조직, 더 나아가 지역사회로까지 확대되기에 더욱 중요하다. 기존 연구에서는 목회자의 직무만족도 관련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기독교 목회자 이외의 성직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재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불교 성직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직무만족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기기입식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대상자의 직무만족도는 평균 이상이었으며, 남성의 직무만족도가 여성에 비해 높았다. 다중회귀분석 결과에 있어서는, 전체 연구대상자의 경우, 성별, 월수입, 소진, 교단 헌신도, 신앙?수행생활만족도, 상사만족도, 동료만족도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여성 연구대상자의 경우, 월수입, 소진, 교단헌신도, 신앙?수행생활만족도, 상사만족도가, 남성 연구대상자의 경우, 소진, 교단헌신도, 동료만족도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원불교 성직자들의 직무만족도를 위한 실천적 함의 및 향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job satisfaction in Won-Buddhist ministers by examining how job satisfaction is affected by socio-demographic, personal,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The result showed that the respondents’ level of job satisfaction is above the mea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entire respondents revealed that gender, monthly income, burn-out, organizational commitment, satisfaction in religious faith and practice, superiors’ satisfaction, and colleagues’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job satisfaction. For the female respondents, it revealed that monthly income, burn-out, organizational commitment, satisfaction in religious faith and practice, and superiors’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job satisfaction. Lastly, for the male respondents, it revealed that burn-ou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olleagues’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job satisfaction.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or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are discussed.

      • KCI등재

        전북지역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조인주(Cho, In Ju) 한국생활과학회 2012 한국생활과학회지 Vol.21 No.5

        This study examined acculturation stress resulting from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sychological and social status of married immigrant women residing in the Jeonbuk region. Data were gathered from married immigrant women who were participating in non-profit agencies offering multi-cultural services and those who worked for business offices and stores in the Jeonbuk area. A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A total of 28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210 were returned. Twenty three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because of invalid responses, providing a final data pool of 187 response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Korean language ability and levels of depress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cculturation stress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terventions for reducing acculturation stress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 KCI등재

        Beckman Synchron CX3 자동화학 분석기 의 평가

        조인주 ( In Joo Cho ),김태숙 ( Tae Soog Kim ),권소영 ( So Young Gwon ),박영옥 ( Young Ok Park ),정현 ( Jeong Hyun Cho ) 대한임상검사과학회 1990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KJCLS) Vol.22 No.1

        The "Synchron CX3(Beckman Corp.)" is a random-access clinical chemistry autoanalyzer designed to determine the concentration of electro- lytes, urea, creatinine, glucose and calcium in biological fluids. For assessing the performance of Synchron CX3, six emergent chemistry tests: sodium potassium, chloride, total C02, glucose and urea were assayed with respect to accuracy, within and between run precision and correlation with ASTRA 8 results revealed good accuracy, high precision, excellent corre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