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Organizational justice and complaints in the US federal workplace

        조윤직 한국행정학회 2017 International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 Vol.22 No.2

        Creating fair workplaces has been a critical issue of management. Organizational justice in the workplace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ffective organizational functioning with enhanced employee satisfaction and commitment, whereas discrimination incurs substantial costs to organizations.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this issue, the current research seeks to explore several factors affecting discrimination in US federal workplaces, especially focusing on organizational justice as a managerial factor. Ordinary least squares regression analysis examines whether organizational justice decreases discrimination measured by the percentage of US federal employees who fi led a complaint to the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Commission. The result demonstrates that managerial efforts to establish organizational justice pay off in the form of a decreased level of discrimination.

      • KCI등재

        서울시 신인사시스템에 대한 공무원 인식조사: 성과포인트제도와 현장시정추진단을 중심으로

        조윤직,안지선,송현진,노혜정 한국인사행정학회 2014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3 No.3

        정부의 비효율을 방지하고 행정서비스의 질을 높이고자, 공공부문에도 많은 민간관리기법이 도입되어 왔다. 특히 구성원 개개인이 조직의 성과와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여,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를 통한 성과관리가 큰 관심을 받아왔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민선 4기 오세훈 시장 집권기에 시행되었 던 서울시 신인사시스템의 내용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서울시 공무원들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신인사 시스템은 크게 고성과자를 대상으로 하는 ‘성과포인트제도’와 저성과자를 대상으로 하는 ‘현장시정추진 단’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들 각각의 제도를 경험해 본 공무원들이 현재 어떠한 평가를 내리고 있는지 설문조사에 기반을 두어 연구하였다. 두 제도 모두 현재는 시행되고 있지 않지만, 그렇기 때문에 공무 원들이 보다 객관적으로 응답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향후 인사개혁 방안에 대 한 함의를 도출해 볼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분석결과, 두 제도 모두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가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개혁의 대상이 되는 공무원들의 인식이 이들 제도의 성패를 좌우하는 유일한 요인은 아니지만, 설문결과에 근거할 때 성공적인 성과관리를 위해서는 저성과자 관리에 보다 신중하게 접근 해야 함과 동시에 성과관리제도의 공정한 운영에 초점을 두어야 함을 추론해 볼 수 있었다. 이와 관련 해 실시한 서울시 공무원 인터뷰도 이 같은 내용을 뒷받침하였다.

      • KCI등재

        공공기관 통합의 성과와 조직구성원 직무태도에 관한 연구

        조윤직,박주원,박한준 한국인사행정학회 2019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7 No.4

        국가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개혁의 일환으로 시작된 공공기관의 통합은 이명박 정부의 공공기관 선진화계획에 따라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고, 박근혜 정부의 공공기관 정상화 대책으로 이어져 2009년부터 2017년 사이에 69개의 공공기관이 25개 기관으로 통합되었다. 이러한 공공기관의 통합과 관련하여 행정학 분야에서도 여러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으나, 선행연구들은 대부분은 한정된 샘플을 다루고 있어서 일반화에 한계가 있었으며, 규범적인 측면의 주장을 담고 있는 경우들도 많았다. 본 연구는 공공기관 통합이 시작된지 상당한 시간이 지난 현재, 과연 공공기관 통합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 그러한 성공적 통합은 통합조직의 성과를 향상시켰는지, 조직성과의 향상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태도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통합공공조직 10곳의 조직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질문은 크게 다음의 두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첫째, 성공적 조직통합의 구성요소라고 할 수 있는 통합과정에의 참여, 조직학습과 기능융합이 통합 후 공공조직의 성과를 결정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가? 둘째, 통합조직의 성과가 현재 조직구성원들의 조직몰입과 조직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직학습과 기능융합, 통합과정의 참여는 통합공공조직의 성과를 결정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으며, 통합조직의 성과는 조직몰입과 조직신뢰의 향상이 라는 형태로 조직구성원들의 긍정적인 태도를 고양하는데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결과에 근거해 실천적 함의를 제시한다.

      • KCI등재

        환경 NGO에 대한 정부지원의 특성 분석: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비교

        조윤직,박기일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3 行政論叢 Vol.51 No.1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연구주제를 다루었다. 첫째, 어떤 조직적 특성들이 정부의 환경 NGO 지원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노무현 정부 당시의 자료를 바탕으로 알아보았다. 둘째,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 하에서 비영리민간단체에 대한 사업지원의 전반에 대해 살펴보고, 정부의 지원을 받는 환경 NGO의 특성이 두 정부 간에 어떤 차이점을 보이는지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노무현 정부 하에서는 직원수가 많고 예산규모가 큰 환경 NGO들이 정부의 지원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를 비교했을 때에는, 노무현 정부 아래서 정부지원을 받은 환경 NGO가 이명박 정부에서 지원을 받은 환경 NGO에 비해서 더 오랜 기간 정부에 등록되어 있었고, 언론노출 빈도가 잦았으며,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는 비율이 더 높았다. 이는 노무현 정부 하에서의 환경 NGO에 대한 지원이 환경분야에서의 지위가 더 확립된 환경단체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해석함에 있어 환경NGO 실무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wo research subjects. First, it explores which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ffect government support for environmental NGOs under the Roh Administration. Second, the study compares how support differed between two recent administrations, the Roh Administration and the subsequent Lee Administr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demonstrate that, under the Roh Administration, NGOs with a large budget and a large number of employees were more likely to receive government support. The comparison of the two administrations shows that the NGOs supported under the Roh Administration had a longer period of registration, greater amount of media coverage, and were more likely to have their own homepage than the NGOs supported under the Lee Administration. An interview with an environmental NGO practitioner was conducted to validate the interpretations of these findings.

      • 조직커뮤니케이션이 직무만족, 커뮤니케이션만족,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중길,조윤직 한국정책학회 2015 한국정책학회 동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5 No.-

        조직 내 구성원 간 커뮤니케이션은 효과적인 조직을 만들기 위한 필수 요소이다. 조직 내에서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은 조직 구성원들의 행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는 조직의 성과향상에도 기여하게 된다. 본 연구는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이 조직구성원들의 행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상사의 하향적 커뮤니케이션이 구성원의 직무만족, 커뮤니케이션만족,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는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이 어떤 상황에서 그 효과성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을지에 관한 한 가지 조건을 직속상사가 갖는 신뢰성(Trustworthiness)에서 찾고자 하였다. 즉, 직속상사가 신뢰성을 갖주고 있을 때에 조직 내의 커뮤니케이션이 조직구성원에게 미치는 영향력이 더욱 강화됨을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질문에 답하기 위해 본 연구는 미국인사관리처(U.S. Office of Personnel Management)에서 실시한 2014 Federal Employee Viewpoint Survey 데이터를 활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은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 커뮤니케이션 만족을 높이는 한편, 이직의도를 낮추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직속 상사가 갖는 신뢰성이 높은 상황 하에서 이러한 조직커뮤니케이션의 영향력이 더욱 증가하는 것을 검증하였다.

      • KCI등재

        서울시 무상급식 정책 도입에 관한 연구: 정치적 관리의 관점을 중심으로

        박주원,조윤직 한국국정관리학회 2017 현대사회와 행정 Vol.27 No.1

        본 연구는 서울시 무상급식 정책사례를 다루는 가운데, 정책의 도입과정을 Mark Moore(1995) 가 제시한 정치적 관리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2010년 지방선거에서 여당의 오세훈 서울특별시 장이 재선됨과 동시에 서울시의회는 야당인 민주당 소속 의원들이 다수를 차지하게 되면서, 무상급식을 둘러싼 정치적 갈등이 본격화되었다. 서울시 무상급식의 주요 정책행위자들은 당시 핵심 쟁점이었던 차별문제와 비용문제를 둘러싸고 자신들의 논리 정당화를 위해 다양한 행동전 략을 구사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서울시 무상급식 정책의 도입은 정책행위자들의 정치적 관리전략에 의한 결과로 볼 수 있다. Moore(1995)는 정치적 관리전략을 크게 기업가적 옹호, 정책개발관리, 협상, 공적 숙의와 사회적 학습 및 리더십, 그리고 공공부문 마케팅과 전략적 커뮤 니케이션의 다섯 가지 범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위의 다섯 가지 전략을 분석 틀로 활용하여, 서울시 무상급식 정책을 도입하는 과정에서 보수진영과 진보진영이 각 범주에서 어떠한 정치적 관리전략을 활용하였는지를 분석한다. 그리고 각 진영의 관리전략을 비교하는 가운데, 다양한 정치적 관리노력이 어떻게 무상급식 정책의 도입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 한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성공적인 정책도입을 위해 정치적 관리전략이 갖는 함의를 제시한다.

      • KCI등재

        공공봉사동기가 조직구성원의 태도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성 요인들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주원,조윤직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2016 정부학연구 Vol.22 No.2

        조직구성원들의 동기는 효과적인 조직관리를 위한 핵심요인으로 다루어져 왔다. 공공의 이익 실현을 위한 이타적 동기인 공공봉사동기(public service motivation)는 특히 공공부문에 종사하는 조직구성원들이 갖는 주요한 동기 중 하나로 제시되면서 그 중요성이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 20여 년간 관련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지만, 더 연구해야 할 영역도 여전히 존재한다. 본 연구는 공공봉사동기가 조직구성원의 태도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과 동시에, 어떤 조건에서 공공봉사동기의 영향력이 더욱 커지는지를 검증함으로써 기존 연구의 간극을 메우고자 한다. 특히 자기결정성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에 근거하여 조직구성원이 느끼는 유능성과 자율성이 높아질 때 공공봉사동기의 영향력이 더욱 증가한다고 가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자기효능감과 상사의 지지, 업무자율성이 갖는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2011년 한국행정연구원에서 시행한 ‘제1차 공무원 패널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공공봉 사동기가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 그리고 개인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에 더하여 개인이 인지하는 업무자율성이 높아짐에 따라 공공봉사동기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욱 증가하였으며, 자기효능감과 상사의 지지가 높은 상황에서는 개인의 성과에 대한 공공봉사동기의 영향력이 더욱 강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정부조직 내에서 공공봉사동기의 영향력을 배가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관리적 함의를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직무특성과 직무태도에 관한 연구: 현역 의무병사를 중심으로

        황휘욱,조윤직 한국정책학회 2015 한국정책학회 동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5 No.-

        일 자체로부터 느끼는 의미와 성취감에서 발생되는 내재적 동기의 중요성과 영향력은 많은 조직 관련 연구에서 입증되어 왔다. 그런 점에서 조직 내에서 어떤 업무를 수행하는가는 조직구성원의 행태에 지대한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고, Hackman과 Oldham이 제시한 직무특성모형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그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직무특성모형이 제시하는 직무의 다섯가지 차원이 조직구성원의 행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실증분석의 대상으로 본 연구는 현역 의무병사에 초점을 두었다. 국방의 큰 축을 담당하고 있는 의무병사들은 직업군인에 비해 비교적 단순하고 반복적인직무를 수행하고 있어 이들의 동기나 태도에 대한 관심이 더욱 요구된다. 본 연구는 기본적으로 과연 의무병사들이 수행하는 직무 간에 적어도 인식상의 차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직무재설계의 여지가 있는지를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직무특성에서 제시하는 다섯가지 차원이 의무병사들의 태도에 긍정적이고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현역 의무병사들 560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을 바탕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직무특성 중 기술다양성과 환류, 자율성이 의무병사들의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보다 효과적인 군조직 관리를 위한 실제적 함의를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