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TG 빅데이터 분석 기반 지역 교통지도 확대

        조원희,최은미 한국엔터프라이즈아키텍처학회 2015 정보기술아키텍처연구 Vol.12 No.1

        The utilization and application of big data are being gradually expanded from the businessand public sector to personal life area.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and traffic map coverageof rural area and to improve routing service quality of smartphone navigation. In the rural area inwhich vehicle traffic is relatively row, the approach of expanding local traffic map coverage isapplied to improve traffic map quality. We use a large amount of GPS trajectory for calculating atraffic pattern from DTG which is a measuring device required on all commercial vehicles, and weintroduce a method that is replacing the map default speed value with traffic pattern for routingcalculations in a rural province. This research work gives rural traffic map to be expanded trafficcoverage and improve the routing service quality. 빅데이터의 적용과 활용 분야는 기업과 공공 분야에 이어서 점차 개인 실생활의 영역에 접근을하여 활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활성화된 스마트폰 내비게이션의 교통정보를 이용한 빠른 길 안내 이용 시 상대적으로 교통정보 품질이 취약한 지방지역의 교통지도 커버리지를 확대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차량이용이 상대적으로 저조한 지방지역의 교통지도 개선을 위하여 DTG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지역 교통지도를 확대하는 접근법을 적용한다. 국내 모든 상용차량에 대해 의무장착 대상인 디지털 운행기록계 단말로부터 수집된 많은 양의 GPS위치데이터를 빅데이터 기술을 이용하여 속도 패턴을 산출하고 전자지도 기본 도로 속도 값을 교통 패턴 통계 데이터로 교체 반영하는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교통정보 확대 및 실시간 교통정보를 이용한 빠른 길 안내 서비스 품질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

        DTG Big Data Analysis for Fuel Consumption Estimation

        조원희,최은미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Vol.13 No.2

        Big data information and pattern analysis have applications in many industrial sectors.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effectively, the eco-driving method that reduces the fuel consumption of vehicles has recently come under scrutiny. Using big data on commercial vehicles obtained from digital tachographs (DTGs), it is possible not only to aid traffic safety but also improve eco-driving. In this study, we estimate fuel consumption efficiency by processing and analyzing DTG big data for commercial vehicles using parallel processing with the MapReduce mechanism.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asurement of fuel consumption using the On-Board Diagnostics II (OBD-II) device, in this paper, we use actual DTG data and OBD-II fuel consumption data to identify meaningful relationships to calculate fuel efficiency rates. Based on the driving pattern extracted from DTG data, estimating fuel consumption is possible by analyzing driving patterns obtained only from DTG big data.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북한 산림복원 전략에 따른 탄소저장량 잠재성 평가

        조원희,김인유,고동욱 한국환경생물학회 2023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41 No.3

        본 연구는 북한의 과거 토지이용 변화의 경향성을 반영한 토지이용 변화 시나리오에 따라 2050년까지의 탄소저장량 변화를 평가하였다. 토지이용 변화 시나리오는 과거 시점의 상태로부터 현 상태를 예측할 수 있는 CA-Markov 모델링을 통해 구축하였으며, 이를 위해 북한 산림복원을 위한 대내·외 노력이 시도된 2010년 전후의 토지이용 공간정보를 통해 추정한 토지이용 유형별 변화 경향성을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산림황폐화 (non-reforestation)와 산림복원 (reforestation) 시나리오를 마련하였으며,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북한 탄소저장량 변화를 평가하였다. 북한의 토지이용 유형별 탄소저장량은 우리나라를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문헌 조사를 통해 도심지, 산림, 농경지, 초지, 나지의 지상부, 지하부, 토양, 기타 유기물에 대한 추정값을 적용하였다. 북한을 대상으로한 대내·외 산림복원 노력은 2050년의 탄소저장량을 2020년 대비 4.4% 증진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닐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산림복원의 노력없이 황폐화가 지속된다면 2050년 탄소저장량은 2020년 대비 11.5%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에 따라 북한의 탄소저장량 증진을 위해서 대내·외의 지속적인 노력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북한의 산림복원을 위한 노력과 협력을 추진됨에 있어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결과가 기여할 수 있길 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to conduct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the potential impact of deforestation and forest restoration on carbon storage in North Korea until 2050, employing rigorous analyses of trends of land use change in the past periods and projecting future land use change scenarios. We utilized the CA-Markov model, which can reflect spatial trends in land use changes, and verified the impact of forest restoration strategies on carbon storage by creating land use change scenarios (reforestation and non-reforestation). We employed two distinct periods of land use maps (2000 to 2010 and 2010 to 2020). To verify the overall terrestrial carbon storage in North Korea, our evaluation included estimations of carbon storage for various elements such as above-ground, below-ground, soil, and debris (including litters) for settlement, forest, cultivated, grass, and bare areas.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effective forest restoration strategies in North Korea have the potential to increase carbon storage by 4.4% by the year 2050, relative to the carbon storage observed in 2020. In contrast, if deforestation continues without forest restoration efforts, we predict a concerning decrease in carbon storage by 11.5% by the year 2050, compared to the levels in 2020. Our findings underscore the significance of prioritizing and continuing forest restoration efforts to effectively increase carbon storage in North Korea. Furthermore, the implication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in the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of long-term forest restoration strategies in North Korea, while foster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towards this common environmental goal.

      • KCI우수등재

        세계사 속의 중앙유라시아 ― 현황, 이론 그리고 사례 ―

        조원희 동양사학회 2023 東洋史學硏究 Vol.164 No.-

        This paper examines into the historiography of Central Eurasia, with particular emphasis on its relationship to world/global history. It concentrates on three primary aspects: first, a critical appraisal of the fields within Central Eurasian history; second, a concise introduction to several contemporary theoretical approaches in world history; third, an examination of specific research that serves as a case study for the application of these theories. In the initial section, I scrutinize key issues in East Asian history, specifically the challenges of otherization and the reclamation of East Asian history from “Western” comparative frameworks. I discuss how these issues have influenced the history of Central Eurasian studies and the extent to which the field has surmounted these challenges. The subsequent section explores the ways in which novel theories pertaining to empire, religion, and ethnicity have impacted recent historical studies, and considers the potential ramifications for Central Eurasian Studies. Finally, as a series of case studies illustrating the application of these theories, I present several works that investigate the nature of the Mongol Empire and its religious dimensions.

      • KCI등재

        자택소유 및 자택유형에 따른 노인의 삶의 만족도 변화에 관한 종단연구-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한 초기값 및 변화율의 영향을 중심으로 -

        조원희,한창근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9 사회복지정책 Vol.46 No.4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residential environment on life satisfaction of older adults over the life courses. For these analyses, this study combines all the KReIS data set which are the first wave through the sixth wave and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home-ownership and housing types using latent growth model.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the intercept and slope of housing typ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lope of life satisfaction respectively. Second, the intercept and slope of home-ownership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rcept and slope of life satisfaction respectively. It implies that the residence environment may make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Based on the empirical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housing welfare program and the community based social services need to enhance older adults life satisfa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이 사는 주거환경이 삶의 만족도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민연금연구원에서 구축한 국민노후보장패널 1차(2005년)부터 6차(2015년)까지의 Panel데이터를 결합하여 자택소유여부 및 거주주택유형과 삶의 만족도 궤적 간 관계를 잠재성장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65세 이상 남녀노인으로서 2005년부터 2015년까지 중단하지 않고 모든 조사에 참여한 총 1,650명이었다. 분석결과, 첫째 주거환경변수 중 하나인 자택소유 초기 값은 노인의 삶의 만족도 초기 값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른 자택소유변화율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 종단변화율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들의 주택소유에 변화가 많을수록 노인들의 살의 만족도 수준이 더 크게 변화함을 의미한다. 둘째 단독주택과 공동주택으로 분류한 주택유형의 초기 값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 기울기(궤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른 주택유형의 변화율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 종단변화율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들이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경우가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경우보다 삶의 만족도가 시간이 흐르면서 더 높아지며, 거주하는 주택유형의 변화가 많을수록 노인의 삶의 만족도 변화도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자택을 소유한 노인이 초기 삶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장기적으로는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노인들이 삶의 만족도가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노인들의 주거환경이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하며 노인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 장기적인 제도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에 따라 관련된 정책적 함의도 함께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