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학생의 팬덤활동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조안나(Cho, An-Na),이은경(Lee, Eun-Kyoung),장미경(Jang, Mi-kyung)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학논총 Vol.40 No.-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팬덤활동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러한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 · 청소년패널조사2015 자료를 활용하여 총 1,734명의 중학교 1학년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학생의 팬덤활동은 그들의 학교생활적응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학생의 팬덤활동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중학생의 공동체의식은 팬덤활동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팬덤문화가 청소년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문화로서 발전해 나갈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fandom activities and school adjustment and whether this relationship is mediated by the sense of community in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nts were 1,734 middle school students and data was obtained from the first wave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administer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school adjustment was predicted by fandom activities. In ad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ense of communit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fandom activities and school adjustment. The results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the fandom culture may have the positive impact on the adolescents culture.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과의 관계: 어머니의 취업여부와 유아의 성별을 중심으로

        조안나 ( An Na Cho ) 대한아동복지학회 2012 아동복지연구 Vol.10 No.2

        이 연구는 어머니의 취업 여부 및 유아의 성별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자녀의 정서조절능력 간에 관계성을 알아보고자 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5개의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만 4-6세의 유아를 둔 취업모 86명과 비취업모 94명, 총 180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도구는 가정환경 조사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측정도구(Korean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와 유아의 정서지능평정척도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을 통해 빈도와 백분율 분석, 더미변수를 이용한 회귀분석과 Pearson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의 취업여부와 유아의 성별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상관없이 유아의 성별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아가 남아보다 정서조절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은 전반적으로 낮은 부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양육스트레스의 복합적 원인의 분석 및 부모역할 지원을 통한 유아의 정서적·사회적 능력 증진을 위한 방안 모색에 대해 제고해보도록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mothers` employment and their children`s gender o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their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It also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6 employed mothers and 94 unemployed mothers, for a total of 180 mothers in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mothers of 4-to-6-year old children were administered a survey that assessed their demographics, parenting stress, and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ir children.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frequency and percentage, regression analysis using dummy variables, and correlation analysis at the p<.05levelbySPSS19.0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from the mothers` employment and their children`s gender on parenting stress.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from the mother`s employment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ir children, though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girls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of boys regardless of the mother`s employment status. Third,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This study provides insight into improving children`s emotional and social ability through analys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parenting stress and recommends support for stressed mothers.

      • KCI등재

        가정 내 전자미디어 사용실태 및 어머니의 미디어 중재 유형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안나(Cho, Anna),고영자(Ko, Young-Ja)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3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유아들이 가정 내에서 경험하는 전자미디어 매체에 대해서 알아보고, 어머니의 중재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3개의 유치원 만 4-5세 유아와 어머니 각각 16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을 통해 t 검증 및 일원변량분석, 중다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연령과 성별은 유아의 미디어 사용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직업유무는 어머니의 미디어 중재 유형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직업이 있는 어머니가 그렇지 않은 어머니에 반해 부정적 중재를 더 많이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전자 미디어 이용이 길어질수록 어머니의 직접적 중재가 더 많이 실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긍정적 중재는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21세기 IT정보통신세대를 살아가는 유아들에게 바람직한 전자미디어 매체와의 교육적 경험을 위해 가족과 교육환경에서 어떠한 태도를 보여야 하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그 의의가 있겠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dia use of young children and maternal mediation in home on their children’s prosocial skills. The subjects included in this study were 169 mothers in three kindergartens in Kyonggido. Mothers of 5-to 6-year old children and teachers assessed a packet of the survey. Statistic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test, one 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t the p<.05 level by SPSS 19.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media use of young children by age and gender of children.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mother’s employment on maternal mediation toward media use of young children. Employed mothers were more likely to use negative mediation to their children. Third, mothers used directive mediation when their children used media longer. Forth,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by positive mediation of mothers on prosocial skills of their children. The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information for appropriate media use of young children in ‘smart’ world.

      • KCI등재

        사립유치원 방과 후 과정 운영 실태와 운영에 대한 방과 후 담당교사의 인식 고찰

        조안나 ( An Na Cho ),고영자 ( Young Ja Ko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5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사립유치원 방과 후 과정 실태 및 담당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서울과 경기에 소재한 사립유치원에 종사하는 151명의 방과 후 과정 교사를 연구대상으로 실시 및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방과 후 과정은 한 학급으로 15~20명 미만, 혼합연령, 오후 별도 방과 후 과정을 가지고 누리과정 이후 오후 6시까지 운영되는 곳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태에 비해 방과 후 과정 담당교사들은 11~15명 미만으로 유아 수가 감소하고 동일연령, 오후 별도 방과 후 과정으로 운영되기를 희망하였다. 또한 방과 후 과정의 일과는 휴식과 자유놀이 중심의 활동이 이루어지고, 기본 생활습관을 기를수 있는 교육내용의 실행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과 후 과정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방과 후 과정의 적절한 운영방안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사립유치원 현장의 의견을 반영한 현실적인 방과 후 과정 정책 마련의 기초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anagement status of after school program in private kindergartens, and to consider after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management in after school programs. This study involved 151 after school teachers in 30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Kyonggi-do district and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ost of the private kindergartens had one afternoon class which has 15 to 20 children operating until 6 o``clock using Nuri curriculum. However, after school teachers expected the afternoon class should consist of 11~15 children per class of same age, focusing on basic daily life habits, free play activities, and relaxation. Moreo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eachers`` perceptions toward proper management for after school classes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point that it provided basic information for policy making of after school programs, and reflected the basic opinion in private kindergartens.

      • KCI등재

        일상주의 언어학파의 언어행위이론(Speech Act Theory)의 이해와 하나님의 수행적 행위로서의 기독교(성서)윤리

        조안나(Anna Cho) 한국기독교학회 2018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10 No.-

        성서윤리는 성서를 기반으로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전의 성서윤리는 주로 성서 본문에서 성서 언어의 특징을 연구하기보다 (성서 언어의 사용, 성서언어의 의미) 성서 본문에서 기독교 생활에 필요한 윤리적 규범과 실천을 도출해 내는 것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성서언어의 역동적이고 강력한 성격과, 그것이 어떻게 그리스도인의 삶에 사용되고 적용되는지(“언어의 사용”), 그리고 그 가치(“이해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제대로 설명하지 못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것에 대안으로서 일상주의 언어학파의 언어행위이론을 방법론으로 하여 성서윤리를 고찰할 것을 제안한다. 성서윤리와 관련한 언어행위이론 연구는 성서에 나타난 하나님의 신적 언어의 수행 행위를 인식하고 하나님의 수행 행위가 그리스도인의 삶에서 어떻게 실재가 되는지를 설명한다. 이것은 자연스레 성령의 사역에 대한 언어학적 해석의 이해를 제시한다. 또한 하나님의 말씀이 인간의 삶에서 어떻게 해석되고 적용되는지에 대하여 탐구하여 그리스도인의 윤리적 함의를 도출한다. Biblical ethics is based on the Bible. Previous studies in biblical ethics have tended to focus primarily on moral principles, characters from the Bible, biblical theology, or narratives, rather than on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biblical language. This tendency did not adequately take into account the dynamic and powerful nature of the Bible language, how it is used and applied to the Christian life (“use of language”), and its value (“meaning of understanding”, hermeneutic).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a methodology of Speech Act Theory (SAT) as an alternatives to the study of the biblical ethics. The study of SAT in relation to biblical ethics recognizes the performative acts of God’s divine language in the Bible. It furthermore explains how God’s performative acts become real in the Christian life. This naturally presents an understanding of the linguistic interpretation of the works of the Holy Spirit. It also investigates the ethical implications of Christians by exploring how God’s Word is interpreted and applied in human life.

      • KCI등재

        학교현장실습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변화 분석: 인식, 교사역량, 교수효능감을 중심으로

        조안나(Cho An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5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학교현장실습 수업을 통해 교육실습 관련 인식, 교사역 량, 교수효능감의 변화를 살펴보고, 그 효과성을 탐색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4년제 대학교의 교원양성기관에서 유아교육을 전공 중이거나 유아교육 복수 교직과정을 이수중인 4학년 학생 4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2018년 3월부터 6월까지 ‘학교현장실습’ 수업에서 교육실습 관련 이미지 맵을 수집하였고, 교사역 량과 교수효능감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범주화 과정을 통한 질적 분석과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한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현장실습 수업 이후 예비유아교사는 교육실습을 배움과 성장, 대인관계역량의 증진, 진로결정 및 갈등의 시간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현장실습 수업 전후 교사역량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교사역량 전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하위요소인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역량에서 유의 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학교현장실습 수업 전후로 교수효능감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토대로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교육실습및 총체적인 학교현장실습 교과의 효율적 운영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teaching practice, teacher competence, and teaching efficacy through practice in school fields. For this purpose, 45 students in 4th grade who have undergone early childhood education or undergraduate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at the 4-year university in Gyeonggi- do, and from March to June, 2018, image maps related to teaching practice were collected in the class, and teacher competence and teaching efficacy test tool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qualitative analysis through categorization process and the corresponding sample t-test using SPSS 23.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teaching practice as learning and growth, interpersonal competence enhancement, and career decision and conflict time.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nge of teacher competence before and after the school field practic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eacher competence as a whol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ability.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aching efficacy before and after the school field practi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on teaching practice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effective management of school curriculum were discussed.

      • KCI등재

        언어행위이론의 관점에서 본 하나님 나라의 윤리적 수행을 위한 기독교 생활에서의 도덕적 행위자로서의 성령

        조안나 ( Cho Anna ) 한국조직신학회 2018 한국조직신학논총 Vol.51 No.-

        이 논문은 언어행위이론을 통하여 성서적 윤리의 해석학적 접근을 소개함으로써 말씀이신 성령 하나님이 어떻게 신자들 안에서 도덕적인 행위자로서 역사하는지, 성령의 사역을 통해 어떻게 그리스도인이 하나님의 말씀에 반응하는지를 보여준다. 이 접근법은 언어행위이론의 관점에서 하나님 나라가 하나님의 자발적 참여 행위와 관련이 있다는 이해에서 출발하여 기독교윤리에서 그리스도인의 삶의 성령의 역사가 하나님의 수행 행위에 대한 신학적 이해와 신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한다. 언어행위이론의 초점은 하나님 나라와 하나님의 백성에 대한 하나님의 통치와 관련하여 “협력적 사회참여”(CSP)의 원칙과 일상생활에서의 윤리적인(신앙적인) 반응으로서의 그리스도인들을 책임을 고려한다. This article presents how the Holy Spirit, the Word of God works in the believers as a moral agent not simply as a helper, and believer’s response to the Word of God through the work of the Holy Spirit in our lives as Christian moral conduct. This approach emerges from an understanding of God’s selfinvolving activity as the presence of the kingdom of God in the present world in the light of speech act theory (abbreviated as SAT). This paper discusses how the work of the Holy Spirit in Christian ethics can enhance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God’s performative action and its effects on the believers. The focus in SAT considers the principle of “Co-Operative Social Participation”(CSP) in relation to God’s sovereignty for God’s kingdom and God’s people, and the responsibility of Christians as ethical response in ordinary life.

      • KCI등재후보

        명제 언어와 수행 언어 사이에서 성서언어의 하나님 나라와 윤리적 함의 연구 ―언어행위이론의 통찰을 활용하여

        조안나 ( Cho Anna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8 神學과 宣敎 Vol.53 No.-

        언어에는 힘이 있다. 언어는 무엇을 창조(실현)하기도 하고 무엇인가를 수행하기도 하며 무엇인가를 설명한다. 그렇다면 성서언어는 어떠한가? 진실로 성서언어(하나님 말씀)는 문자 속에 갇혀진 텍스트가 아니라 우리 삶에 영향을 미치며 (윤리적 신앙적 함의) 우리 안에서 하나님의 말씀(하나님나라)을 성취하는가? 성서 언어가 우리 삶에 실제가 되는 것은 성서 언어가 가지는 역동성, 수행성 때문이다. 대부분의 성서 언어는 명제 언어라기보다는 수행 언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서언어의 수행적 측면과 관련하여 성서 언어 (하나님나라)가 어떤 의미를 갖고 어떻게 신자들의 삶에서 윤리적 (신앙적 혹은 실천적)함의를 도출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논문은 성서언어의 명제적 접근과 수행적 접근을 비교하여 성서언어의 하나님나라와 윤리적 함의를 연구하기 위해 언어행위이론의 통찰(수행적 측면만)을 활용하여 탐구한다. 이는 성서언어의 탐구에 있어 명제적 접근과 수행적 접근의 방식이 신앙의 윤리적 함의를 도출하는데 있어 행동의 측면에서 어떠한 차이를 지니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또한 역동적인 성서 해석을 위한 도구로써 성서언어의 수행적 측면을 고려할 것을 제안한다. 따라서 성서언어의 수행적 접근은 성서 텍스트가 어떻게 독자 (신자)들에게 행동하기를 요청하는지를 보여주며 어떻게 독자들이 텍스트에 반응해야 하는지를 텍스트가 가지는 윤리적(신앙적) 함의와 함께 보여준다. Language has power. Language is what creates (realizes), performs and explains something. So, what about the Bible language? Indeed, does the Bible language (the Word of God) affect our lives (ethical or faithful implication) and not the text trapped in it, fulfill the Word of God (the kingdom of God) in us? It is because of the performance of the biblical language that it becomes a reality in our lives. Most of the biblical language is performative, rather than propositional language. Nevertheless, research on the meaning of the biblical text (the kingdom of God) in relation to the performance aspect of the biblical language and how to derive ethical (faithful or practical) implications in the life of believers seems to be insufficient. Therefore, this paper explores the use of insight (the performative act aspect only) of the speech act theory to study the biblical language of the kingdom and its ethical implications by comparing the propositional language and the performative language in the biblical text (language). This shows how the approaches of propositional language and of performative language to the exploration of the biblical language differ in terms of behavior in deriving the ethical implications of faith. It also suggests that this paper considers the performance aspect of the biblical language as a tool for dynamic interpretation of the biblical text. Thus, the performance approach of the biblical language shows how the biblical text asks readers (believers) to act and shows how the text should react to readers, with ethical (faithful) implications.

      • KCI등재

        이민 가정의 유아성별에 따른 사회적 행동 연구

        조안나 ( An Na Cho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1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a child`s gender and immigration status on the mothers` perceptions of their preschool children`s social behaviors as well as maternal stress in Korean famili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the mothers` perceptions in both immigrant Korean families in the U.S. and Korean families in Korea. The sample consisted of 49 immigrant Korean mothers in the U.S. and 52 Korean mothers in Korea. The maternal stress and social behaviors of their 4-to 6-year old children were assessed through the mother rating on the Parenting Stress Index (1995) and Preschool and Kindergarten Behavior Scale-2 (2002). Mothers rated 120 items on a 5-point Likert-type scale on PSI and 76 items on a 3-point Likert-type scale on PKBS-2. Statistic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NOVAs at the p < .05 level. Results indicated that a) the mean total stress scores were higher in the group of mothers who had boys regardless of immigration status, b) the mean scores for the children`s social skills rated by mothers were lower in the group of immigrant Korean mothers who had boys, and c) the mean scores for children`s problem behaviors rated by mothers were higher in the immigrant group who had both girls and boy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influence of a child`s gender on maternal stress in both immigrant Korean families in the U.S. and Korean families in Korea. The study also supports the influence of gender and immigration status on the social skills of preschool children and the influence of immigration status on behavioral problems of preschool children perceived by mot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