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비자의 독특성 추구경향과 과시적 소비성향이 패션 콜레보레이션 제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아라 ( Cho Ahra ),이윤정 ( Lee Yoon-ju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3 한국디자인포럼 Vol.38 No.-

        콜레보레이션(Collaboration)은 두 개의 브랜드가 공동의 목표를 갖고, 일정기간 제휴를 맺어 다양화 된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시켜주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전략이다. 본 연구는 패션 콜레보레이션 제품이 제한된 생산으로 희소성을 가진다는 점과 주로 유명 브랜드의 이미지를 활용하는 제품이 많다는 점의 두 가지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소비자의 독특성 추구경향과 과시적 소비성향이 패션 콜레보레이션 제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08년 8월 한 달간 서울의 패션 중심 거리에서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측정도구에는 소비자의 독특성 추구경향, 과시적 소비성향, 패션 콜레보레이션 제품에 대한 태도, 구매의도 등에 대한 척도와 인구통계적 특성에 대한 질문이 포함되었다. 최종 표본은 589명이었으며, 자료분석은 SPSS 12.0을 사용하여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의 독특성 추구경향의 세 가지 하위 요인 중 창의적 선택 요인은 패션 콜레보레이션 제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었다. 즉, 새롭고 디자인이 창의적인 제품을 구매하기를 원하는 성향이 높을수록 패션 콜레보레이션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의 과시적 소비성향은 패션 콜레보레이션 제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었다. 즉, 타인에게 과시하는 성향이 높은 소비자일수록 패션 콜레보레이션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콜레보레이션은 소비자들에게 잘 알려진 명품 브랜드와의 협업을 통하여 제품을 생산할 경우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독특성 추구경향 중 비대중적 선택이나 유사성 회피 요인은 패션 콜레보레이션 제품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패션 콜레보레이션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초점이 단순한 남들과의 차별성이 아니라 디자인의 새롭고 창의적인 측면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인구 통계적 특성은 패션 콜레보레이션 제품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았다. 그러나 한 달 평균 패션 제품 지출 정도에 따른 구매의도에 대한 분석에서는 젊을수록, 그리고 지출성향이 높을수록 패션 콜레보레이션 제품을 구매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패션 콜레보레이션 제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의 소비성향을 밝힘으로써 향후 콜레보레이션을 시도하려는 브랜드 간의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에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and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y affect their attitude toward and purchase intention of fashion collaboration products. Collaboration is a new strategy to satisfy the needs of different consumers by tying-up two different brands for the same goal for a certain period. This study focused on the fact that fashion collaboration products has scarcity due to limited production and takes advantage of the partner brands` reputation by collaborating with famous brands. A survey was conducted to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 are living in Seoul area.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and credibility of the instrument, a pilot study was conducted to 32 women in July 2008. The main survey was distributed to 589 women in fashion area in August 2008. The instrument included measures of need for uniqueness,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y, attitude toward fashion collaboration products, intention to purchase fashion collaboration products, and demographics. SPSS 12.0 was used for factor analysi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affected to the consumption on fashion collaboration products. The creative choice factor of need for uniquenes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attitude toward and intention to purchase fashion collaboration products. Second, Consumers`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y affected their attitude toward and intention to purchase fashion collaboration products. Those who have higher tendency of conspicuous consumption showed more interest in fashion collaboration products. Therefore, tying up with famous prestige brands will increase the possibility for success of collaboration products. Third, the relation betwe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attitude toward fashion collaboration products wasn`t big. However unlike othe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ge and average monthly expenditure on fashion items had relationships with attitude toward fashion collaboration products. Younger consumers and/or those with higher expenditure were more intended to purchase fashion collaboration products consumption. This research will help establish the marketing strategy for launching new fashion collaboration products by discover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consumer`s consumption patterns and their attitude toward fashion collaboration products.

      • KCI등재

        실행식 기반 쌓기나무 학습의 평가 및 지도 방안 연구

        조아라(Cho, AhRa),조한혁(Cho, HanHy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evaluation of building block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and to describe instructional plan accordingly. In particular, it is pointed out that the current teaching method of building block teaching is limited to the field of geometry, so it does not fully reflect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mathematical subject. This paper presents a building block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executable expression in which learners can code letters and numbers by themselves and instantaneously check the images of the building block. In other words, it discusses the ways of linking to the field of characters and expressions, creativity and computing thinking by developing the patterned building block learning that was treated only as the geometric area in the formal education course, and the validity and evaluation standard There is a key point of the study to look at the guidance method. It is expected that the evaluation and guidance method sought through three areas will present a broader perspective on the teaching - learning of the building block, and present a meaningful teaching - learning direction to both the teacher and the learner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 교과의 쌓기나무 학습에 대한 평가를 논의하고, 이에 따른 지도 방안을 기술하려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특히 현재 쌓기나무 교수-학습이 기하의 영역으로 한정되어 쌓기나무가 수학 교과에서 가지고 있는 교육적 의의를 충 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학습자가 스스로 문자와 수를 코딩하고 이에 대한 쌓기나무 이미지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실행식 기반의 쌓기나무 학습 환경을 제시한다. 즉, 공식적 교육과정에서 기하의 영역으로만 다루어졌던 쌓기 나무 학습을 쌓기나무 패턴 학습으로 발전시켜 문자와 식, 창의성 그리고 컴퓨팅 사고력 영역과 연계시키는 방안을 논의하고, 각 영역을 연결시키는 타당성과 평가 규준 및 지도 방안을 살펴보는 것에 연구의 핵심이 있다. 세 가지 영역을 통해 모색한 평가 및 지도 방안은 쌓기나무 교수-학습에 더욱 넓은 관점을 제시하고, 교사와 학습자 모두에게 유의미한 교수-학습의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우수등재

        다차원적 코즈모폴리턴 정향 척도 : 미디어 이용과 커뮤니케이션 태도를 중심으로

        조아라(Ahra Cho),김용찬(Yong-Chan Kim) 한국언론학회 2020 한국언론학보 Vol.64 No.4

        With global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issues of difference and diversity have become important in most societies and more and more people experience various situations and activities crossing ethnic/cultural boundaries in their daily lives. Recently, cosmopolitanism has received much attention in various disciplines as a concept for explaining the new social experiences and conditions of the globalized world. The core concept of cosmopolitanism has always been associated with the openness to difference such as an orientation to a larger community transcending the location, tolerance towards diversity, and open-mindedness to otherness. Based on a critical review of prior empirical studies of cosmopolitanism, the current study discusses individual-level ”cosmopolitan orientation“ or openness to difference as multi-dimensional phenomena. The primary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conceptualize and test the validity of a multi-dimensional scale to measure cosmopolitan orientation. This new multi-dimensional scale consists of (1) cultural dimension: transnational consumption, (2) ethical dimension: openness to ethnic/cultural others, (3) media use dimension: transnational use of media, and (4) communication attitude dimension: tolerant communication attitude. Ethical and cultural dimension have been mainly featured in scholarly descriptions of the cosmopolitanism. In this study, we proposed to add media use and communication attitude as another important dimensions of cosmopolitan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review of earlier research on the possibility and usefulness of media and communication to transcend ethical, cultural, and national boundaries. Particularly, this study focused on activeness of transnational media use and tolerance in communication with others from different cultures or perspectives. Items of the scale were developed and refined based on prior empirical studies of cosmopolitanism, our own focus group interviews, expert evaluations, and pilot survey interviews. The main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by online survey conducted between April and May in 2018 with 557 residents of Seoul aged between 19 and 59. We conduct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or evaluating construct validity and criterion-relation validity of the multi-dimensional cosmopolitan orientation scale. Especially, three models of data factor structure were compared for testing construct validity of the new scale: 1) single factor model, 2) 4-factors model, and 3) second-order model (cosmopolitan orientation loads into 4 underlying sub-components). In addition, overseas travel frequency and the number of foreign acquaintances were used for criterion variables expecte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 sca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4-dimensional scale of cosmopolitan orientation with second-order model developed and proposed in this study was valid and reliable.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공간 데이터베이스 아웃소싱을 위한 비트맵 암호화 기법 및 GPU 기반 질의처리 알고리즘

        윤민(Min Yoon),조아라(Ahra Cho),장재우(Jae-woo Chang) 한국정보과학회 2014 정보과학회논문지 : 데이타베이스 Vol.41 No.2

        최근 클라우드 컴퓨팅이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공간 데이터베이스 아웃소싱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공간 데이터베이스 아웃소싱에서 위치 데이터 보호를 위한 암호화 기법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공간 좌표 변환 기법인 FDH는 위치 데이터의 분포를 고려하지 않고 암호화를 수행하기 때문에, 공격자가 암호화 변환 데이터로부터 원본 데이터 분포를 유추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트리기반 인덱스를 통해 질의 처리를 수행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양이 많아질수록 질의 처리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공간 데이터베이스 아웃소싱에서 위치 데이터 보호를 위한 비트맵 기반 데이터 암호화 기법 및 질의처리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에서는 공격자의 원본 데이터 유추 방지를 위해 데이터 분포를 고려한 영역 분할/병합 정책을 이용한 앵커 선정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아울러, 최적의 질의 처리 성능을 보장하기 위해, GPU를 통한 질의 처리를 수행한다. 한편, 성능 평가를 통해 제안하는 기법이 공격자로의 원본 데이터베이스 노출 확률을 감소시키면서, 빠른 질의 처리를 수행함을 검증한다. With the development of cloud computing, the interest on spatial database outsourcing has been increasing. Therefore, researches for protecting location data privacy in spatial outsourced databases have been actively performed. However, FDH (Flexible Distance-Based Hashing) is easy to access original data because they do not consider data distribution. In addition, since they perform the nearest neighbor query processing by using tree-based indexs, query processing time can be increased depending on tree depth. To solve these problems, we propose a bitmap encryption scheme and a query processing algorithm for spatial database outsourcing. We propose an anchor selection algorithm using a split-and-merge policy based on data distribution to protect privacy of users from attackers. Furthermore, we reduce the communication cost for query processing by performing searching based on GPU. Finally, we show through performance analysis that the proposed scheme shows better query processing performance and guarantees the privacy of users, compared with the existing scheme.

      • 분산 병렬 질의 처리를 지원하는 CUBRID 기반 미들웨어 개발

        김형일 ( Hyeong-il Kim ),윤민 ( Min Yoon ),조아라 ( Ahra Cho ),최문철 ( Mun-chul Choi ),장재우 ( Jae-woo Cha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1 No.2

        최근 SNS의 발전으로 인헤 정보의 양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며,이에 따라 빅데이터 처리를 위한 NoSQL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NoSQL은 데이터베이스의 ACID 조건을 만족하 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RDBMS를 기반으로 빅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를 위한 대표적인 기법인 CUBRID Shard는 데이터베이스를 Shard 단위로 수평 분할하여 각기 다른 물리 노드에 데이터를 분산 저장한다. 그러나 해당 기법은 한 클라이언트의 질의가 다수의 서버에서 실행되어야 하는 경우를 에는 질의를 처리하지 못하는 단점을 보인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병렬질의 처리를 지원하는 CUBRID 기반 분산 미들웨어를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