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개정 저작권법상 공중송신 및 디지털음성송신 개념 등에 대한 고찰

        조성훈(Jo Sung-hoon) 세창출판사 2007 창작과 권리 Vol.- No.49

        The concepts of 'Communication to the Public' and 'Digital Sound Transmission' are introduced in the Revised Copyright Law of Korea in 2006. The comprehensive and future-oriented 'Communication to the Public' concept can be affirmed, when we appreciate its potential and various meaning. Disambiguation the definitions of 'Broadcasting' and 'Making available to the public' and attempt to balance interests between authors and users by introducing 'Digital Sound Transmission' concept can be estimated. Policies and legislations based on what we have observed on the market are needed to harmonize the interests between the authors and users of copyrightable works.

      • KCI등재

        국내산 보리와 밀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조성훈(Sung-Hoon Jo),조차영(Cha-Young Cho),하경수(Kyoung-Soo Ha),최은지(Eun-Ji Choi),강유리(Yu-Ri Kang),권영인(Young-In Kw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7

        본 연구에서는 4가지의 맥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항균활성 그리고 지표성분인 DMBQ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4가지 맥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겉보리(UB), 통보리(PB), 쌀보리(NB) 순으로 도정도가 진행됨에 따라 항산화 활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통밀(WG)은 겉보리와 유사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총 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피어슨 상관계수로 비교 분석한 결과, 0.9934로 높은 유의성을 나타냈다. 4가지 대표적인 식중독 유발균을 대상으로 항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모든 추출물에서 Staphylococcus(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NB, PB, UB 추출물은 15.69±0.20, 16.87±0.05, 17.91±0.10mm 순으로 S. aureus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겉보리(UB)는 배아와 겨, 통보리(PB)는 배아, 쌀보리(NB)는 배유만을 포함하고 있는 상태인데, 도정이 진행됨에 따라 DMBQ가 함유되어 있는 배아와 겨 부분이 제거되어 항균 활성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조군으로 분석한 통밀(WG) 추출물은 22.37±0.04 mm로 보리 추출물들과 비교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DMBQ의 양을 분석하였을 때 WG 추출물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비교해 보았을 때 배아와 겨 부분에 주로 함유되어 있는 DMBQ의 양에 따라 맥류의 항균, 항산화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가공정도에 따라 각기 다른 기능성을 나타내는 것을 이용해 용도에 따라 가공공정을 조절하여 새로운 소재로의 개발이 가능할 것을 알 수 있었다. 맥류 추출물은 항산화력과 항균력 두 가지를 모두 갖춘 천연물 유래 식품보존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selected barleys (UB, unhulled barley; PB, pearl barley; and NB, naked barley) and wheat (WG, wheat with germ and endosperm) extracts were evaluated against the food-borne pathogens Staphylococcus aureus KCTC 1927, Escherichia coli KCTC 2593, Salmonella Typhimurium KCTC 2054, and Bacillus cereus KCTC 1014. The amount of the antibacterial biomarker, 2,6-dimethoxy-1,4-benzoquinone (DMBQ), present in selected barleys and wheat, was measured by HPLC. Furthermore, antioxidant activity of samples was determined using the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assay. WG (22.35±0.04 mm) was found to be highly inhibitory to Staphylococcus aureus followed by UB (17.91±0.10 mm), PB (16.87±0.05 mm), and NB (15.69±0.20 mm).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selected grains was correlated with antioxidant activities and the amount of DMBQ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0.7831).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selected grains was also correlated with the total phenolic conten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0.9934). WG extrac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ntibacterial activity, compared with barley extracts such as UB, PB, and NB.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barley has a potential in the development of natural antimicrobials and food preservatives for controlling food-borne pathogens.

      • KCI등재

        연구논문 : 축산분뇨를 이용한 바이오에너지 사업의 경제적 타당성에 관한 연구

        진상현 ( Sang Hyeon Jin ),조성훈 ( Seong Hoon Jo ) 한국환경정책학회 2008 環境政策 Vol.16 No.1

        The Republic of Korea proclaimed the year 2004 as the first year of the implementation of its project on tapping new renewable energy. As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diverse projects related to providing new renewable energy, domestic and foreign industries are further focusing on bio-energy as such a form of energy does not increase greenhouse gases. However, there was an argument on economic feasibility of renewable energy. Especially it is a very important issue whether bio-energy can compete with other energies or not. So we focused on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he bio-energy and made a cost-benefit analysis on bio-energy projec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he small scale bioenergy village project was not satisfactory. So it will be useful, a strategy to raise the economic feasibility of a village`s bio-energy by reducing the cost and improving the benefit in the short term. In the long term, it will be also useful a strategy for a bio-energy production base that will bring about an added value by converting bio-gas into bio-methane. Also subsidy will be good for activation of bio-energy, because it is a fast growing and climate friendly energy.

      • KCI등재

        스터럽 보강 선설치 앵커의 정적 전단하중에 대한 저항 강도

        박용명,조성훈,김태형,강충현,김재봉,Park, Yong Myung,Jo, Sung Hoon,Kim, Tae Hyung,Kang, Choong Hyun,Kim, Jae Bong 한국강구조학회 2016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Vol.28 No.1

        본 연구에서는 스터럽 보강 선설치 앵커의 정적 전단하중에 대한 저항강도 평가를 위한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변수로는 전면지압철근 유무와 콘크리트 균열 유무로 설정하였다. 앵커는 M36, 연단거리는 180mm로 하였다. 모든 철근은 HD-10 철근을 사용하고 스터럽의 간격은 100mm로 하였다. 실험으로부터 전면지압철근을 설치한 경우 스터럽 저항강도는 16% 증가하였다. 한편 균열 콘크리트에서의 저항강도는 비균열 콘크리트에 비해 5% 감소에 불과하였다. 실험 결과로부터 ACI 318 및 ETAG 001 기준은 스터럽의 저항강도를 안전측으로 평가하였으며, 적절한 강도 평가 방안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스터럽 보강 시 앵커 본체의 파괴강도에 대한 고찰을 제시하였다. An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static shear strength of stirrup-reinforced cast-in anchors. The test parameters considered herein are an existence of front bearing bar and concrete crack. M36 anchor was used with an edge distance of 180mm. HD-10 bars were used for all reinforcing bars and the stirrups were placed with 100mm spacing. The shear resistance increased by 16% when the front bearing bar was installed. Meanwhile, the resistance reduced only 5% in the cracked concrete compared with the uncracked concrete.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ACI 318 and ETAG 001 specifications could estimate the shear strength of stirrup-reinforced anchors conservatively and a rational method was proposed. A consideration on the fracture strength of stirrup-reinforced anchor is also given.

      • KCI등재

        수평보강재로 보강된 세장복부판을 갖는 플레이트거더의 휨강도 평가 실험

        박용명,이건준,주호중,조성훈,Park, Yong Myung,Lee, Kun Joon,Ju, Ho Jung,Jo, Sung Hoon 한국강구조학회 2014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Vol.26 No.6

        본 연구에서는 수평보강재로 보강된 세장복부판을 갖는 플레이트거더의 휨강도 평가를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복부판세장비가 219와 156이며 수평보강재가 없는 경우와 설치한 경우의 총 4개 거더를 제작하였다. 실험으로부터 구해진 휨강도를 현행 AASHTO LRFD 기준과 Eurocode 3 기준과 비교하였다. 이로부터 AASHTO LRFD 기준은 저자들이 발표한 선행 논문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수평보강 거더의 휨강도를 크게 저평가하는 것이 입증되었으며, 선행 논문에서 제안한 휨강도 평가 방법은 보강 거더의 휨강도를 합리적으로 평가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In this paper, a series of experiments for the evaluation of flexural resistance of longitudinally stiffened plate girder with slender web were conducted. For the purpose, four plate girder specimens with and without longitudinal stiffener were fabricated for the web slenderness of 219 and 156. The test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current AASHTO LRFD and Eurocode 3 codes, respectively. As presented in the previous paper by the authors, it was acknowledged that the AASHTO LRFD code could considerably underestimate the flexural resistance of longitudinally stiffened girder with slender web and the proposed method in the previous paper could estimate the flexural resistance reasonably.

      • KCI등재

        지진모의실험에 의한 비균열 및 균열콘크리트에 매입된 비보강 선설치앵커의 전단 저항강도 평가

        박용명,김태형,김동현,조성훈,이종한,Park, Yong Myung,Kim, Tae Hyung,Kim, Dong Hyun,Jo, Sung Hoon,Lee, Jong Han 한국강구조학회 2015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Vol.27 No.3

        본 연구에서는 지진모의실험으로 비보강 선설치앵커의 전단에 대한 콘크리트 파열파괴강도를 평가하기 위한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앵커 직경 30mm, 연단거리 150mm, 매입깊이 240mm인 비균열 시험체와 전단하중에 수직 및 수평 방향 균열콘크리트 시험체들에 대해 각각 실험을 수행하였다. 지진모의실험 시 동적 가력은 CSA N287.2, ACI 355.2와 ETAG 001 기준을 참조하여 결정하였으며 이후 파괴 시까지 정적 재하를 실시하였다. 비균열 및 균열콘크리트 모두 지진모의실험에 의한 저항강도는 각각 정적 강도와 거의 동등한 수준이었다. 한편, 콘크리트 파괴단면의 깊이는 $8d_0$에 모두 미치지 못하였으며 이로부터 기존 강도식에 비해 유효지압길이를 고려하지 않는 ACI 318-11의 수정강도식이 콘크리트 파열파괴강도를 적절하게 평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In this study, an 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oncrete breakout strength of unreinforced cast-in-place anchors by seismic qualification test under shear loading. The CIP anchors tested herein were 30mm in diameter with an edge distance of 150mm and an embedment depth of 240mm in uncracked and cracked concrete. The cracked specimen consisted of orthogonal and parallel crack to the loading direction, respectively. The dynamic loading sequence during the seismic qualification test was determined based on CSA N287.2, ACI 355.2 and ETAG 001 codes. After the dynamic loading, the static loading was applied until failure occurs. The shear resistance by seismic qualification tests showed almost the same strength as that obtained from the static tests in uncrcaked and cracked concrete, respectively. Meanwhile, the breakout depth did not reach $8d_0$, therefore the modified strength equation of ACI 318-11 could estimate properly the concrete breakout strength, which does not consider effective bearing length.

      • KCI등재

        헤어핀 보강 선설치앵커의 정적 및 지진모의실험에 의한 전단 저항강도 평가

        김동현,박용명,김태형,조성훈,강충현,Kim, Dong Hyun,Park, Yong Myung,Kim, Tae Hyung,Jo, Sung Hoon,Kang, Choong Hyun 한국강구조학회 2015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Vol.27 No.3

        본 연구에서는 비균열 및 균열콘크리트에 설치된 헤어핀 보강 선설치앵커의 정적 및 동적 저항강도 평가를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앵커 직경 30mm, 연단거리 150mm, 매입깊이 240mm에 D10 헤어핀 철근으로 보강한 시험체를 제작하였으며, 균열시험체는 전단하중에 직각방향과 평행방향 균열을 각각 고려하였다. 동적 강도 평가는 지진모의실험에 의하였으며 가력방법은 ACI 355.2의 기준을 적용하였다. 헤어핀 보강 앵커의 저항강도는 콘크리트 균열과는 상관성이 없었으며 동적 강도는 정적 강도와 동등한 수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헤어핀 보강 앵커의 설계 강도에 대한 고찰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valuated the static and dynamic shear strength of cast-in-place anchors reinforced with hairpin bars in uncracked and cracked concrete. The anchors 30mm in diameter reinforced with D10 hairpin bar were designed with an edge distance of 150mm and an embedment depth of 240mm. The cracked specimens consisted of the orthogonal and parallel cracks to the direction of shear loads, respectively. The dynamic strength was evaluated using seismic qualification tests based on the ACI 355.2 standard. The shear strength of the hairpin reinforced anchor was hardly correlated to the concrete cracks and the dynamic strength was similar to its static shear strength. Finally, a consideration on the design strength of hairpin reinforced anchors was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